KR20200017774A -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 Google Patents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774A
KR20200017774A KR1020180093096A KR20180093096A KR20200017774A KR 20200017774 A KR20200017774 A KR 20200017774A KR 1020180093096 A KR1020180093096 A KR 1020180093096A KR 20180093096 A KR20180093096 A KR 20180093096A KR 20200017774 A KR20200017774 A KR 20200017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tylet
information
variable resistor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295B1 (ko
Inventor
최상식
Original Assignee
최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식 filed Critical 최상식
Priority to KR102018009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2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7Trocar-like, i.e. devices producing an enlarged transcutaneous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212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using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32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5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27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에 관한 것으로, 원격제어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경 블록(nerve block)의 대상인 전류를 생성하는 전자회로와 배터리가 내장된 스타일럿캡, 전단이 스타일럿캡의 일측에 결합되고 도전성 스타일럿, 스타일럿이 통과된 후에 입구에 스타일럿캡이 탑재될 수 있는 원통관 형상의 캐뉼러허브, 및 캐뉼러허브의 내부 통로와 연통하는 구조로 전단이 캐뉼러허브의 출구에 결합되는 중공 니들 형상의 캐뉼러를 포함하고, 캐뉼러의 후단 측에 노출된 스타일럿의 후단으로부터 목표신경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목표신경에 대한 전기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Wireless nerve block needle set}
신경블록 요법에 사용되는 신경블록 니들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표신경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신경블록 니들세트에 관한 것이다.
신경블록(nerver block) 요법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차단하는 요법으로서 목표신경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물리적으로 가열, 냉각, 압박 등을 하여 신경을 차단한다. 신경블록 요법의 예로는 시술자가 시술하고자 하는 목표신경에 국소적으로 마취제를 투여하는 요법,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목표신경을 응고시키는 고주파 열응고 요법, 목표신경을 냉동시키는 냉동블록 요법, 블록 니들에 의한 천자압박 요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신경블록 요법 중, 고주파 열응고 요법은 니들의 말단을 통해서 고주파 전류가 목표 신경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목표신경의 조직에 열을 발생시켜 목표신경을 응고시키는 방법으로서 과거의 수술법에 비해 비침습적 방법으로 통증을 최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각한 부작용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열응고 요법은 환자의 시술 만족도를 높이고 시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신경의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찾아내야 한다. 종래의 고주파 열응고 요법에 따르면, 목표신경에 인가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기와 그 전류를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니들세트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전류발생기와 니들세트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에 의해 니들세트의 정밀한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전선을 계속적으로 통제하면서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 완료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류발생기와 니들세트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 없이 캐뉼러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표신경에 대한 전기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게 되어 환자의 시술 만족도와 목표신경의 시술 성공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원격제어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경 블록(nerve block)의 대상인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를 생성하는 전자회로; 상기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자회로와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스타일럿캡; 도전성의 니들로 전단이 상기 스타일럿캡의 일측에 결합되고 후단이 인체에 삽입되어 상기 전자회로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목표신경에 인가하는 스타일럿; 입구로부터 출구의 방향으로 내부통로를 통해 상기 스타일럿이 통과된 후에 입구에 상기 스타일럿캡이 탑재될 수 있는 원통관 형상의 캐뉼러허브; 및 상기 스타일럿이 통과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중공 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뉼러허브의 내부 통로와 연통하는 구조로 전단이 상기 캐뉼러허브의 출구에 결합되는 캐뉼러를 포함한다.
상기 스타일럿이 상기 캐뉼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캐뉼러가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스타일럿의 후단이 상기 캐뉼러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캐뉼러허브의 입구에 상기 스타일럿캡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캐뉼러의 후단 측에 노출된 스타일럿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목표신경에 상기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전자회로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목표신경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상기 목표신경이 반응하거나 상기 목표신경의 조직이 열응고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전류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는 펄스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저항값 변화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 크기를 갖는 전류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펄스컨버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변조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펄스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상기 펄스컨버터로 흘러드는 전류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를 모니터링하면서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가 상기 추출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에 수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상기 전류의 전류크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저항값 변화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 및 전류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와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와 전류크기를 갖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은 입력단자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흘러들고 출력단자는 상기 펄스컨버터에 연결되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 및 입력단자는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의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전자회로의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 2 디지털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과 상기 제 2 디지털가변저항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저항값 변화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 및 전류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은 상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와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와 전류크기를 갖는 전류를 상기 펄스컨버터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펄스컨버터에 흘러드는 전류의 전압크기를 검출하는 전압검출기; 및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과 상기 펄스컨버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펄스컨버터에 흘러드는 전류의 전류크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와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크기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와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크기가 상기 추출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와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와 전류크기에 수렴하도록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의 저항값과 상기 제 2 디지털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상기 전류의 듀레이션(duration)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듀레이션 정보가 나타내는 듀레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신경의 반응을 인지한 시술자에 의해 상기 캐뉼러허브와 상기 캐뉼러로부터 상기 스타일럿캡과 스타일럿이 제거된 후에 상기 캐뉼러허브에 주사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를 통해 상기 목표신경에 약물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럿캡은 일측에 콘형(conical shaped) 돌출부위를 갖는 원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상기 스타일럿캡의 콘형 돌출부위에 형성된 개구에 스위치 조작부위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자회로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경 블록(nerve block)의 대상인 전류를 생성하는 전자회로와 배터리가 내장된 스타일럿캡, 전단이 스타일럿캡의 일측에 결합되고 도전성 스타일럿, 스타일럿이 통과된 후에 입구에 스타일럿캡이 탑재될 수 있는 원통관 형상의 캐뉼러허브, 및 캐뉼러허브의 내부 통로와 연통하는 구조로 전단이 캐뉼러허브의 출구에 결합되는 중공 니들 형상의 캐뉼러로 이루어진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를 사용하여 캐뉼러의 후단 측에 노출된 스타일럿의 후단으로부터 목표신경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목표신경에 대한 전기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종래에는 목표신경에 인가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기와 그 전류를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니들세트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전류발생기와 니들세트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에 의해 니들세트의 정밀한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전선을 계속적으로 통제하면서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 완료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니들세트가 소형화되어 일체로 되어 있음에 따라 시술자가 한 손으로 니들세트를 조작하고 다른 손으로는 원격제어기를 조작하면서 종래와 같은 전선 간섭 없이 캐뉼러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목표신경에 대한 전기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게 되어 환자의 시술 만족도와 목표신경의 시술 성공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회로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고,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목표신경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목표신경이 반응하거나 목표신경의 조직이 열응고될 수 있음에 따라 한 손으로 니들세트를 조작하고 다른 손으로는 원격제어기를 조작하면서 목표신경에 대한 열응고 시술 외에도 약물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한 다목적의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효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와 원격 제어기(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의 전자회로(11)의 구성도이다.
도 5-6은 도 1-4에 도시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의 시술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류발생기와 니들세트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 없이 캐뉼러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표신경에 대한 전기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게 되어 환자의 시술 만족도와 목표신경의 시술 성공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를 간략하게 "니들세트"로 호칭할 수도 있고, 시술자가 시술하고자 하는 목표신경을 간략하게 "목표신경"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와 원격제어기(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의 전자회로(11)의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는 전자회로(11), 배터리(12), 배터리커넥터(13), 스위치(14), 스타일럿캡(15), 스타일럿(16), 캐뉼러허브(17), 및 캐뉼러(18)로 구성된다. 도 1에는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스타일럿캡(15)이 탑재된 상태의 니들세트(1)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캐뉼러허브(17)와 스타일럿캡(15) 사이가 벌어진 상태의 니들세트(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스타일럿캡(15)과 스타일럿(16)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캐뉼러허브(17)와 캐뉼러(18)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회로(11)는 스타일럿캡(15)에 내장되며, 원격제어기(2)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경 블록의 대상에 해당하는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기(2)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는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duration) 정보를 포함한다. 전자회로(11)는 원격제어기(2)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 및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크기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전류를 듀레이션 정보가 나타내는 듀레이션에 맞추어 스타일럿(16)으로 출력한다.
배터리(12)는 전자회로(11)와 함께 스타일럿캡(15)에 내장되며, 전자회로(11)에 전원을 공급한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캐뉼러(18)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스타일럿캡(15)은 시술자의 손바닥에 쥐어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소형의 스타일럿캡(15)에는 배터리(12) 외에도 전자회로(11)가 내장되기 때문에 배터리(12)의 크기는 매우 작아야 한다. 이러한 배터리(12)로 리튬이온 마이크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12)로부터 전자회로(11)에 공급되는 전원은 전자회로(11)의 구동 및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의 생성에 사용된다. 배터리(12)에는 스위치(14)와 배터리커넥터(13)에 병렬 연결된다. 배터리커넥터(13)는 시술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배터리(12)와 전자회로(11)의 전기적 연결이 끊긴 상태에서 별도의 충전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12)는 충전기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스타일럿캡(15)은 일측에 콘형(conical shaped) 돌출부위를 갖는 원구 형태로 형성되어 이것에 전자회로(11)와 배터리(12)가 내장된다. 스타일럿캡(15)은 절연성의 고강도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스타일럿캡(15)의 원통형 돌출부위의 말단에는 스타일럿(16)의 전단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스타일럿캡(15)은 시술자가 한 손만을 사용하여 스타일럿(16)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시술자의 한 손에 쥐어질 수 있는 크기의 원구 형태로 그 표면에는 원형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실리콘 등 미끄러운 재질의 외과용 장갑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시술자는 스타일럿캡(15)을 한 손에 쥔 상태로 스타일럿(16)의 후단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타일럿캡(15)의 원통형 돌출부위에는 직사각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12)로부터 전자회로(11)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on off)하기 위한 스위치(14)가 스위치 조작부위가 노출되도록 이 개구에 설치된다. 스위치(14)의 조작부위는 스타일럿캡(15)의 외부에 노출되고, 배선부위는 그 내부에 위치하도록 스타일럿캡(15)의 개구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는 배터리(12)와 전자회로(11) 사이에 연결되어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12)로부터 전자회로(11)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한다. 시술자는 한 손으로 스타일럿캡(15)을 쥔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스위치(14)를 조작함과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 원격제어기(2)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술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 시술자는 오른손으로 스위치(14)를 오프시키고 왼손으로 원격제어기(2)를 조작함으로써 스타일럿(16)의 후단으로부터 목표신경에 인가하고자 하는 전류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시술자는 오른손으로 스타일럿(16)의 후단 위치를 조절하면서 스위치(14)를 온시킴으로써 시술자가 원하는 목표신경에 원하는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스타일럿(16)은 도전성의 니들로 그 전단(proximal end)이 스타일럿캡(15)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후단(distal end)이 인체에 삽입되어 전자회로(11)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목표신경에 인가한다. 스타일럿(16)의 전단은 스타일럿캡(15)의 원통형 돌출부위의 말단 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고, 스타일럿캡(15) 내부의 전자회로(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스타일럿(16)은 전자회로(11)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도전성의 니들이다. 스타일럿(16)의 후단은 목표신경에 접촉하게 되는 부위로서 일반적인 주사 니들처럼 날카롭게 형성되면 목표신경의 조직이 손상될 수 있다. 목표신경의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타일럿(16)의 후단은 일반적인 니들과는 달리 뭉뚝하게 형성된다. 스타일럿(16)은 도전성의 고강도 금속재, 예를 들어 황동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스타일럿(16)에 흐르는 전류가 목표신경 측으로만 정확하게 흘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스타일럿(16)의 후단을 제외하고 그 표면이 절연성 물질로 코팅된다.
캐뉼러허브(17)는 그 입구로부터 출구의 방향으로 그 내부 통로를 통해 스타일럿(16)이 통과된 후에 그 입단에 스타일럿캡(15)이 탑재될 수 있는 크기의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뉼러허브(17)의 출구는 캐뉼러(18)의 전단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캐뉼러허브(17)의 입구는 스타일럿캡(15)이 탑재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는 스타일럿캡(15) 외에도 주사기의 주둥이가 탑재될 수도 있다. 캐뉼러허브(17)의 내부통로는 그 전단에 탑재된 주사기의 니들로부터 배출된 약물이 원활하게 캐뉼러(18)의 전단에 전달될 수 있도록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뉼러허브(17)의 전단에 주사기의 주둥이가 탑재된 상태에서 주사기의 니들은 그 길이에 따라 캐뉼러허브(17)의 내부통로에 위치할 수도 있고 캐뉼러(18)의 전단 부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시술자는 목표신경에 전기 자극을 가하고자 할 때에는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스타일럿캡(15)을 탑재시킨 상태로 본 실시예의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를 사용하고, 목표신경에 약물을 주입하고자 할 때에는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주사기의 주둥이를 탑재시킨 상태로 본 실시예의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를 사용한다. 인체의 신경은 머리카락 정도로 매우 가늘기 때문에 캐뉼러(18)의 후단이 시술자가 치료하고자 하는 목표신경에 정확하게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캐뉼러(18)의 후단에 대한 정밀한 위치 조정이 요구된다. 시술자가 캐뉼러(18)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캐뉼러허브(17)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시술자는 스타일럿캡(15)을 손바닥으로 감싸진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의 끝을 캐뉼러허브(17)의 오목진 표면에 압착시킴으로써 엄지와 검지의 감각을 이용하여 캐뉼러(18)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캐뉼러(18)는 스타일럿(16)이 통과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중공 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캐뉼러허브(17)의 내부 통로와 연통하는 구조로 그 전단이 캐뉼러허브(17)의 출구에 결합된다. 캐뉼러(18)의 전단은 캐뉼러허브(17)의 출구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캐뉼러허브(17)의 출구에 캐뉼러(18)의 전단이 끼워져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캐뉼러허브(17)의 출구는 그 내부 통로로 이어지는 지점까지 충분한 깊이를 갖는다. 스타일럿(16)은 내부식성의 고강도 금속재,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캐뉼러(18)는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스타일럿캡(15)이 탑재된 상태에서 스타일럿(16)의 후단, 대략 1~5mm 정도가 캐뉼러(18)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캐뉼러(18)의 후단은 스타일럿(16)의 후단과 달리, 날카롭게 형성되어 인체의 피부 조직을 뚫는 역할을 한다. 피부 천공 시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는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캐뉼러(18)에 숨겨지도록 하기 위해 캐뉼러허브(17)의 입구로부터 스타일럿캡(15)이 약간 이격된 상태로 사용된다. 캐뉼러(18)의 표면 전체가 절연성 물질로 코팅될 경우, 스타일럿(16)에 대한 절연성 물질 코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회로(11)는 수신부(111), 제어부(112), 고정저항(113), 트랜지스터(114), 두 개의 디지털가변저항(115, 116), 전압검출기(117), 전류검출기(118), 및 펄스컨버터(119)로 구성된다. 고주파 전류에 의해 목표신경의 조직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목표신경의 조직이 원활하게 열응고된다. 목표신경의 조직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신경 파괴와 환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신경 파괴와 환자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한도에서 목표신경의 조직에 가해질 수 있는 최대 전압은 45V로 알려져 있다. 목표신경에 인가되는 전류의 연속성 및 목표신경의 종류에 따라 목표신경의 조직을 열응고시키기 위해서는 목표신경에 인가되는 전류의 전압이 15~45V 범위 내에 분포함이 바람직하다. 목표신경의 조직 열응고에 배터리(12)의 전압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자회로(11)는 스위치(14)와 고정저항(113) 사이에 배터리(12)의 전압을 올려주는 승압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1)는 원격제어기(2)로부터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11)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저전력 무선망을 통해 원격제어기(2)로부터 이러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시술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제어기(2)의 노브,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원격제어기(2)에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의 전류크기 정보, 전압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전류크기 정보와 전압크기 정보는 교류의 RMS(Root Mean Square) 값 또는 진폭으로서 하나의 전류크기와 전압크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복수의 전류크기와 전압크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주파수 정보는 수 Hz로부터 수백 KHz까지의 넓은 범위로 분포한다. 듀레이션 정보는 특정 듀레이션이 없는 연속모드를 나타낼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듀레이션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어부(112)는 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112)는 이와 같이 추출된 전류의 듀레이션 정보에 따라 트랜지스터(114)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이와 같이 추출된 전류의 전류크기 정보와 전압크기 정보에 따라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이와 같이 추출된 전류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펄스컨버터(119)의 변조를 제어한다.
스위치(14)의 두 개의 단자 중 어느 하나는 배터리(12)의 양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고정저항(113)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배터리(12)의 음극은 전자회로(11)의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전자회로(11)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인체 내에서 흐를 수 있도록 전자회로(11)의 그라운드로부터 연장된 전선 등을 이용하여 전자회로(11)의 그라운드가 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스타일럿(16)이 인체에 침투되도록 한다. 트랜지스터(114)의 베이스 단자는 제어부(112)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는 고정저항(113)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 각각의 세 개의 단자는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제어단자로 구분된다.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입력단자와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입력단자는 서로 연결되어 트랜지스터(114)의 이미터 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114)의 이미터 단자로부터 출력된 전류, 즉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입력단자로 분기되어 흘러들게 된다.
트랜지스터(114)는 그 베이스 단자가 제어부(112)에 연결됨으로써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12)에 의해 추출된 듀레이션 정보가 나타내는 듀레이션에 기초하여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트랜지스터(114)는 그 베이스 단자로 제어부(112)로부터 스위칭 온에 해당하는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을 갖는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고, 그 베이스 단자로 제어부(112)로부터 어떤 신호도 입력되지 않거나 그 임계전압 미만의 전압을 갖는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전류의 듀레이션 정보가 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연속모드를 나타내면, 트랜지스터(114)는 시술자에 의해 스위치(14)가 온된 시점부터 오프될 때까지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 전류의 듀레이션 정보가 60초의 단일 듀레이션을 나타내면, 트랜지스터(114)는 시술자에 의해 스위치(14)가 온된 시점부터 60초 동안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 전류의 듀레이션 정보가 50KHz 주파수에 대한 20ms 듀레이션과 2Hz 주파수에 대한 480ms 듀레이션의 반복을 나타나면, 트랜지스터(114)는 시술자에 의해 스위치(14)가 온된 시점부터 오프될 때까지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출력단자는 펄스컨버터(119)에 연결되고,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출력단자는 전자회로(11)의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제어단자와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제어단자는 제어부(112)와 연결된다. 전압검출기(117)의 두 개의 검출단자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제어부(112)에 연결된다. 전류검출기(118)의 두 개의 검출단자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펄스컨버터(119)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제어부(112)에 연결된다. 배터리(12)의 출력전압은 고정저항(113)의 저항값에 대한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총 저항값의 비율에 따라 조절되어 펄스컨버터(119)로 입력될 수 있다. 배터리(12)의 출력전류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상호간의 저항값 비율에 따라 조절되어 펄스컨버터(119)로 입력될 수 있다.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은 그 각각의 제어단자가 제어부(112)에 연결됨으로써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른 저항값 변화에 의해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와 전류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은 제어부(112)에 의해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와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 크기와 전류크기를 갖는 전류를 출력한다. 전자회로(11)를 보다 더 축소시키기 위해, 전자회로(11)는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만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전자회로(11)로부터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이 생략될 수도 있다. 고주파 전류에 의한 목표신경 조직의 온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는 목표신경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의 전압, 전류, 주파수와 주위 조직으로의 열전도와 열순환을 통한 열손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 중 목표신경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의 전압과 주파수가 목표신경의 조직의 온도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전압검출기(117)는 그 두 개의 검출단자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양단 전압, 즉 펄스컨버터(119)로 흘러드는 전류의 전압을 검출한다. 전류검출기(118)와 펄스컨버터(119) 각각의 자체 저항은 거의 없음을 고려할 때에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양단 전압은 스타일럿(16)으로 출력되는 전압이 된다. 전류검출기(118)는 그 두 개의 검출단자가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과 펄스컨버터(119)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펄스컨버터(119)에 흘러드는 전류의 전류크기를 검출한다.
제어부(112)는 전류검출기(118)에 의해 검출된 전류크기와 전압검출기(117)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를 모니터링하면서 전류검출기(118)에 의해 검출된 전류크기와 전압검출기(117)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가 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추출된 전류의 전류크기 정보와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크기와 전압크기에 수렴하도록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는 전압검출기(117)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가 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에 수렴하도록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 중간값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 중간값으로부터 출발하여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동일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조절한다.
이어서, 제어부(112)는 전류검출기(118)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가 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에 수렴된 상태에서 전압검출기(117)에 의해 검출된 전류크기가 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추출된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크기에 수렴하도록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상호간에 반대로 증가시키면서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과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을 증가시키면서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의 저항값을 감소시키면서 제 2 디지털가변저항(116)의 저항값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압크기 또는 전류크기에의 수렴은 그 전압크기 또는 전류크기에 일치되거나 가장 근사해짐을 의미한다.
펄스컨버터(119)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112)에 의해 추출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스타일럿(16)에 출력한다. 배터리(12)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직류이기 때문에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도 직류가 된다. 펄스컨버터(119)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115)으로부터 출력된 직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112)에 의해 추출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스타일럿(16)에 출력한다. 펄스컨버터(119)에 의해 생성된 전류는 정현파 형태의 펄스 전류일 수도 있고 구형파 형태의 펄스 전류일 수도 있다. 고주파 전류에 의한 신경블록 시술에서는 그 고주파 전류의 형태가 일반적인 교류 형태로 알려진 정현파 형태의 펄스 전류일 때에 고주파 전류가 신경조직을 통해 흐르면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높아 신경조직의 온도 상승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11)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원격제어부(112)로부터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원격 제어부(112)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류크기, 및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전류를 듀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스타일럿(16)의 후단을 통하여 목표신경에 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11)는 스타일럿캡(15)에 내장 가능한 정도로 소형화될 수 있음에 따라 목표신경에 인가된 전류의 주파수 등에 따라 목표신경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목표신경이 반응하거나 목표신경의 조직이 열응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도 1-4에 도시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의 시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시술자가 오른손잡이라고 가정하고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의 시술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시술자가 왼손잡이인 경우, 아래 설명에서의 오른손과 왼손은 서로 뒤바뀌게 된다. 시술자는 스타일럿캡(15)을 오른손으로 쥔 상태에서 스타일럿(16)의 후단 위치를 조정하여 캐뉼러허브(17)의 입구 중심에 스타일럿(16)의 후단을 위치시킨 후, 캐뉼러허브(17)에 스타일럿캡(15)이 탑재될 때까지 캐뉼러허브(17)에 스타일럿(16)을 밀어 넣는다. 이어서, 시술자는 스타일럿캡(15)을 오른손바닥으로 감싸지고 엄지와 검지의 끝을 캐뉼러허브(17)의 표면에 압착시키고 엄지와 검지를 쭉 편 상태에서 캐뉼러(18)를 목표신경의 상층부에 해당하는 피부 조직에 찔러 넣는다.
시술자가 엄지와 검지를 쭉 펴게되면 캐뉼러허브(17)의 입구로부터 스타일럿캡(15)이 약간 이격되어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캐뉼러(18)의 내부에 숨겨지게 되고, 시술자가 엄지와 검지를 약간 구부리면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스타일럿캡(15)이 밀착 탑재되어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캐뉼러(18)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자는 스타일럿캡(15)을 오른손바닥으로 감싸지고 엄지와 검지의 끝을 캐뉼러허브(17)의 표면에 압착시킬 수 있는 구조와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스타일럿캡(15)이 탑재된 상태에서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캐뉼러(18)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는 구조에 의해 시술자가 엄지와 검지를 폈다 구부렸다하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캐뉼러(18)의 내부에 숨겨지도록 하거나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 천공 시의 스타일럿(16)의 후단 숨김과 캐뉼러(18)의 후단에 의한 신경 손상 방지를 위한 스타일럿(16)의 후단 노출이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일럿(16)의 후단 노출 상태에서 숨김 상태로 순간적으로 전환될 수 있어 유사시 목표신경으로의 전류 투입의 순간적 정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시술자는 캐뉼러(18)가 피부 조직을 관통한 것으로 판단되면 엄지와 검지를 약간 구부려서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스타일럿캡(15)을 밀착시켜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캐뉼러(18)의 후단 측에 노출된 상태로 캐뉼러(18)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하면서 캐뉼러(18)의 후단, 즉 스타일럿(16)의 후단이 목표신경 또는 그 근처에 도달할 때까지 인체 내부에 캐뉼러(18)를 더욱 깊숙이 진입시킨다. 이어서, 시술자는 스타일럿(16)의 후단이 목표신경 또는 그 근처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원격제어기(2)를 조작함으로써 스타일럿(16)의 후단이 목표신경에 정확하게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원격제어기(2)에 입력하고 전류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버튼을 누른다.
이때, 사용자가 엄지를 이용하여 스위치(14)를 온시키면 전자회로(11)의 수신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스타일럿(16)의 후단으로부터 이러한 정보에 해당하는 전류가 출력되어 신경 조직에 흘러들게 된다. 예를 들어, 시술자가 2V의 전압크기 정보, 0.2mA의 전류크기 정보, 50Hz의 주파수 정보, 연속모드의 듀레이션 정보를 원격제어기(2)에 입력한 경우, 스타일럿(16)의 후단이 통증의 유발 지점인 목표신경으로부터 1c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면 목표신경의 조직이 환자가 이상 감각을 느낄 정도의 감각 반응을 하게 된다. 시술자는 원격제어기(2)의 조작을 통해 0.5V까지 점차적으로 전압을 낮추어가면서 환자의 이상 감각을 관찰한다. 0.5V에서 환자가 이상 감각을 느끼면 스타일럿(16)의 후단은 목표신경으로부터 반경 3mm 이내에 정확하게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주파 열응고를 이용한 통증 치료 시에 운동신경의 응고는 피하여야 하기 때문에 감각신경에 해당하는 목표신경 근처에 운동신경에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확인을 위해, 시술자가 2V의 전압크기 정보, 0.2mA의 전류크기 정보, 2Hz의 주파수, 연속모드의 듀레이션 정보를 원격제어기(2)에 입력하고 스타일럿(16)의 후단으로부터 이러한 정보에 해당하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하면서,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위치한 조직의 반응을 살핀다. 2V의 전기 자극에도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위치한 조직의 근육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스타일럿(16)의 후단으로부터 반경 3mm 이내에 운동 신경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시술자는 목표신경을 열응고시키기 위해 20V의 전압정보, 0.3mA의 전류크기 정보, 50KHz와 2Hz의 주파수 정보, 20ms와 480ms를 반복하는 듀레이션 정보를 원격제어기(2)에 입력하고 스타일럿(16)의 후단으로부터 이러한 정보에 해당하는 전류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목표신경에는 50KHz의 전류가 20ms 동안 인가된 후에 2Hz의 전류가 480ms 동안 인가되고, 다시 50KHz의 전류가 20ms 동안 인가된 후에 2Hz의 전류가 480ms 동안 인가된다. 스위치(14)가 오프될 때까지 이러한 전류의 인가는 반복된다. 시술자는 영상진단장비를 통해 목표신경의 열응고를 확인하면 스위치(14)를 오프시킬 수 있다. 20ms 동안의 50KHz의 전류에 의해 목표신경의 조직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480ms 동안의 열전도 및 열순환에 의해 신경 파괴와 환자 통증을 차단할 수 있다.
종래에는 목표신경에 인가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기와 그 전류를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니들세트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전류발생기와 니들세트를 연결하는 전선의 간섭에 의해 니들세트의 정밀한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전선을 계속적으로 통제하면서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 완료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 따르면 스타일럿(16)이 캐뉼러(18)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캐뉼러(18)가 인체에 삽입되고,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캐뉼러(18)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캐뉼러허브(17)의 입구에 스타일럿캡(15)이 탑재된 상태에서 캐뉼러(18)의 후단 측에 노출된 스타일럿(16)의 후단으로부터 목표신경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니들세트가 소형화되어 일체의 세트로 되어 있음에 따라 시술자가 한 손으로 니들세트(1)를 조작하고 다른 손으로는 원격제어기(2)를 조작하면서 종래와 같은 전선 간섭 없이 캐뉼러(18)의 후단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캐뉼러(18)의 후단을 목표신경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의 피부 천공에는 캐뉼러(18)의 날카로운 후단이 사용되며 스타일럿(16)의 후단은 고주파 전류의 방출에 요구되는 1~5mm 정도만 노출되기 때문에 목표신경에 스타일럿(16)의 후단이 정확하게 위치되었을 때에 캐뉼러(18)의 후단 역시 목표신경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목표신경에 대한 열응고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게 되어 환자의 시술 만족도와 목표신경의 시술 성공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4에 도시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의 다른 시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신경에 5~0.5V까지 점차적으로 전압을 낮추어가면서 전기 자극을 가하였을 때에 목표신경이 환자의 이상 감각 등의 반응을 보이면 전기자극의 발생 지점에 해당하는 스타일럿(16)의 후단은 목표신경으로부터 반경 3mm 이내에 정확하게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목표신경에 위치된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1)를 이용하여 그것을 마취시키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목표신경에 정확하게 주입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신경의 반응을 인지한 시술자에 의해 캐뉼러허브(17)와 캐뉼러(18)로부터 스타일럿캡(15)과 스타일럿(16)이 제거된 후에 캐뉼러허브(17)에 주사기(3)가 삽입된다. 그 상태에서, 주사기(3)를 통해 목표신경에 약물이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표신경에 대한 열응고 시술 외에도 약물 시술이 정확한 신경 위치에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한 다목적의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11 ... 전자회로
111 ... 수신부 112 ... 제어부
113 ...고정저항 114 ... 트랜지스터
115, 116 ... 디지털가변저항 117 ... 전압검출기
118 ... 전류검출기 119 ... 펄스컨버터
12 ... 배터리
13 ... 배터리커넥터
14 ... 스위치
15 ... 스타일럿캡
16 ... 스타일럿
17 ... 캐뉼러허브
18 ... 캐뉼러
2 ... 원격제어기
3 ... 주사기

Claims (11)

  1. 원격제어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신경 블록(nerve block)의 대상인 목표신경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를 생성하는 전자회로;
    상기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자회로와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스타일럿캡;
    도전성의 니들로 전단이 상기 스타일럿캡의 일측에 결합되고 후단이 인체에 삽입되어 상기 전자회로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목표신경에 인가하는 스타일럿;
    입구로부터 출구의 방향으로 내부통로를 통해 상기 스타일럿이 통과된 후에 입구에 상기 스타일럿캡이 탑재될 수 있는 원통관 형상의 캐뉼러허브; 및
    상기 스타일럿이 통과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중공 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뉼러허브의 내부 통로와 연통하는 구조로 전단이 상기 캐뉼러허브의 출구에 결합되는 캐뉼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럿이 상기 캐뉼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캐뉼러가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스타일럿의 후단이 상기 캐뉼러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캐뉼러허브의 입구에 상기 스타일럿캡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캐뉼러의 후단 측에 노출된 스타일럿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목표신경에 상기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목표신경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상기 목표신경이 반응하거나 상기 목표신경의 조직이 열응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전류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하는 펄스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저항값 변화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 크기를 갖는 전류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펄스컨버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변조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갖는 펄스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컨버터로 흘러드는 전류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를 모니터링하면서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가 상기 추출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에 수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전류의 전류크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저항값 변화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 및 전류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와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와 전류크기를 갖는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은
    입력단자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흘러들고 출력단자는 상기 펄스컨버터에 연결되는 제 1 디지털가변저항; 및
    입력단자는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의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전자회로의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 2 디지털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과 상기 제 2 디지털가변저항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저항값 변화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전압크기 및 전류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은 상기 추출된 전압크기 정보와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와 전류크기를 갖는 전류를 상기 펄스컨버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펄스컨버터에 흘러드는 전류의 전압크기를 검출하는 전압검출기; 및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과 상기 펄스컨버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펄스컨버터에 흘러드는 전류의 전류크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와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크기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전압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압크기와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크기가 상기 추출된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와 전류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압크기와 전류크기에 수렴하도록 상기 제 1 디지털가변저항의 저항값과 상기 제 2 디지털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전류의 듀레이션(duration)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전류의 전압크기 정보, 전류크기 정보, 주파수 정보, 및 듀레이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듀레이션 정보가 나타내는 듀레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가변저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신경의 반응을 인지한 시술자에 의해 상기 캐뉼러허브와 상기 캐뉼러로부터 상기 스타일럿캡과 스타일럿이 제거된 후에 상기 캐뉼러허브에 주사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를 통해 상기 목표신경에 약물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럿캡은 일측에 콘형(conical shaped) 돌출부위를 갖는 원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럿캡의 콘형 돌출부위에 형성된 개구에 스위치 조작부위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자회로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KR1020180093096A 2018-08-09 2018-08-09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KR10213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96A KR102139295B1 (ko) 2018-08-09 2018-08-09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96A KR102139295B1 (ko) 2018-08-09 2018-08-09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74A true KR20200017774A (ko) 2020-02-19
KR102139295B1 KR102139295B1 (ko) 2020-07-29

Family

ID=6967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96A KR102139295B1 (ko) 2018-08-09 2018-08-09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2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9737A1 (en) * 2006-11-16 2008-05-22 Penrith Corporation Integrated nerve stimulator and ultrasound imaging device
WO2012038748A1 (en) * 2010-09-22 2012-03-29 Norfolk & Norwich University Hospitals Nhs Foundation Trust Mr- or ct- guided medical instruments
US20170106159A1 (en) * 2013-06-10 2017-04-20 Joshua J. Herskovic Combined laryno-tracheal anesthetic and stylet device
KR20180006365A (ko) * 2015-01-21 2018-01-17 서린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신경전도 확인 및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9737A1 (en) * 2006-11-16 2008-05-22 Penrith Corporation Integrated nerve stimulator and ultrasound imaging device
WO2012038748A1 (en) * 2010-09-22 2012-03-29 Norfolk & Norwich University Hospitals Nhs Foundation Trust Mr- or ct- guided medical instruments
US20170106159A1 (en) * 2013-06-10 2017-04-20 Joshua J. Herskovic Combined laryno-tracheal anesthetic and stylet device
KR20180006365A (ko) * 2015-01-21 2018-01-17 서린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신경전도 확인 및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295B1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779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Source of Chronic Pain and Treatment
US8512335B2 (en) High 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medical device with self-limiting conductive material and method
EP3572022B1 (en) Electrosurgical medical device with power modulation
CN108778409B (zh) 用于改善电刺激的提供的方法和系统
US10213363B2 (en) Acupuncture needles with accessories for sensing and stimulation
US8323274B2 (en) Ablation catheter arrangement and cooling control
US20120130269A1 (en) Integrated nerve stimulation and skin marking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90209234A1 (en) Radio frequency handpiece for medical treatments
CN107847261A (zh) 用于识别和限制神经传导的系统和设备
US90446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migrating cells using electric fields
WO2001012089A1 (en) Nerve stimulation and tissue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949402B2 (en) Neuro-stimulation and ablation system
JP2017012862A (ja) 自己制御式電気加熱要素を有する医療用加熱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208274617U (zh) 一种极间放电的射频消融及标测系统
US20080109049A1 (en) Device & method for relieving pain
KR20200067837A (ko) 미세바늘 처치 시스템
CN105682593B (zh) 刺激装置适配器
KR102139295B1 (ko) 무선형 신경블록 니들세트
CN219354133U (zh) 一种适用于甲状腺肿瘤消融术的神经监测系统
GB2536690A (en) Medical ablation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stray heating
CN117881353A (zh) 电穿孔治疗
WO2021247425A1 (en) Device for treating sinus targets
KR101066912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화뜸 장치
US20050267466A1 (en) Thermocouple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