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732A -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Google Patents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7732A KR20200017732A KR1020180092985A KR20180092985A KR20200017732A KR 20200017732 A KR20200017732 A KR 20200017732A KR 1020180092985 A KR1020180092985 A KR 1020180092985A KR 20180092985 A KR20180092985 A KR 20180092985A KR 20200017732 A KR20200017732 A KR 202000177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ate
- core
- trap
- heat exchanger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37 fue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11 indu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49 liquefied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15 liquefied petroleum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4 petroleum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6—Means for removing condensate from the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36—Dispositions against condensation of combustion pro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12—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excess or release of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16T1/383—Valve closing members or valve sea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fluid fu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배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배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1 유로;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2 유로;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통과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제1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 차단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 차단 기구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소정량 이하이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 트랩의 유로에 역류 차단 기구를 설치하여 외기가 열교환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열교환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난방기는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연료가스의 연소 시 발생되는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는 기기이다.
특히,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될 때까지 연소가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콘덴싱(condensing) 가스 난방기의 경우, 열교환기 및 배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은 외부 대기 압력 대비 열교환기 내부에 음압이 조성된 경우,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로 역류함에 따라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공기 역류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외부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였으나, 열교환기 내부에 음압이 조성되면 공기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 역류 방지 장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조립과 분리가 불가능함으로써, 다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과의 호환성이 떨어지고 보수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열교환기 내부에 음압이 조성된 경우에도, 외부 공기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공기의 역류 차단 기구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배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1 유로;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2 유로;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통과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제1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 차단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 차단 기구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소정량 이하이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관체형의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 하측부 각각에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어의 상,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상, 하측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상기 상측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코어 헤드; 및 상기 코어 헤드의 하측에 위치되고, 저면부가 상기 하측 스토퍼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코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바디는, 상측부는 폐쇄되고 하측부는 개방되는 중공의 판체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코어 바디의 중공부로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바디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 하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 하측 고정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소정량 이하이면 코어가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어 제1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열교환기 내부에 음압이 조성되었더라도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하우징이 제1 유로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공기의 역류 차단 기구의 조립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커버가 제거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YZ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제2 커버가 제거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YZ 평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역류 차단 기구를 추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 차단 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의 상측 또는 하측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의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커버가 제거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YZ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제2 커버가 제거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YZ 평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역류 차단 기구를 추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 차단 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의 상측 또는 하측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의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3 등에 도시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토출구(23)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여 X축, Y축 및 Z축을 정의한다. 각 축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 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 난방기(1)는,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연료가스(R)의 연소 시 발생되는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P)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는 기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난방기(1)는, 연료가스(R)가 연소되어 연소가스(P)가 생성되는 연소부(2), 연소가스(P)가 유동되는 가스 유로가 형성된 열교환기(3), 송풍팬(4) 및 유도팬(5)을 포함한다.
연소부(2)에서 연료가스(R)가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P)가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가스(R)로는 천연가스를 냉각하여 액화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석유 정제 공정의 부산물로 얻은 가스를 가압하여 액화한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를 사용할 수 있다.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화염 및 연소가스(P)가 통과하는 열교환기(3) 주위로 통과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열교환기(3)는 제1차 열교환기와, 제2차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는 일단이 연소부(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은, 커플링 박스(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통과하는 연소가스(P)는 상기 커플링 박스를 통해 상기 제2차 열교환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일단은 상기 커플링 박스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는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는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를 상기 제2차 열교환기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와 다시 한번 열교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해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의 열에너지를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가스 난방기(1)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연소가스(P)는 상기 제2차 열교환기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전달 과정을 통해 응축되어,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소가스(P)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로 상태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제1차 열교환기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구비한 가스 난방기(1)는, 콘덴싱(condensing) 가스 난방기로도 불리운다.
이때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수 수집부(미부호)에 수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유도팬(인듀서, inducer)(5)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유도팬(5)이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유도팬(5)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가 결합된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매개로,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과 유도팬(5)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을 통과한 연소가스(P)는,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유도팬(5)으로 빠져나간 후, 배기관(6)을 거쳐 가스 난방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수집부를 통해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으로 빠져나간 후, 토출구(23) 및 토출관을 거쳐 가스 난방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상기 제2차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뿐만 아니라, 유도팬(5)에 연결된 배기관(6)에서 생성된 응축수도 함께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에서 미처 응축되지 못한 연소가스(P)가, 배기관(6)을 통과하며 응축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도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으로 수집되어 토출구(23)를 거쳐 가스 난방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난방기(1) 작동 시, 외부 대기 압력 대비 열교환기(3) 내부에 음압이 조성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 차단 기구(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유도팬(5)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매개로,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과 연통될 수 있다.
유도팬(5)의 일단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유도팬(5)의 타단은 배기관(6)에 결합될 수 있다.
유도팬(5)은 연소가스(P)가 상기 제1차 열교환기, 상기 커플링 박스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배기관(6)으로 배출되는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점에서, 유도팬(5)은 IDM(Induced Draft Motor)으로 이해될 수 있다.
송풍팬(블로어, blower)(4)은 열교환기(3) 주위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송풍팬(4)에 의하여 열교환기(3)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3)를 매개로 고온의 연소가스(P)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 받아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됨으로써, 실내가 난방될 수 있다.
송풍팬(4)은 가스 난방기(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는, 송풍팬(4)에 의하여 가스 난방기(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송풍팬(4)은 IBM(Indoor Blower Motor)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스 난방기(1)는 케이스(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가스 난방기(1)의 구성들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하부에는 송풍팬(4)과 인접한 측면에 하부측 개구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 개구부를 통해 열교환기(3)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열교환기(3) 상측과 인접한 측면에 상부측 개구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측 개구부를 통해 열교환기(3) 주위를 통과하며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 개구부 및 상기 상부측 개구부에는, 난방 대상 공간인 실내 공간과 가스 난방기(1)를 연통시키는 덕트(미부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 개구부와 이에 설치되는 상기 덕트 사이에는 공기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filter)(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배기관(6)이 관통하는 배기관용 개구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으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대로, 상기 제2차 열교환기는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의 열에너지를 추가로 이용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제1차 열교환기만을 적용한 가스 난방기에 비하여, 상기 제1차 열교환기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적용한 가스 난방기의 효율이 우수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3) 및 배기관(6)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제1차 열교환기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가 모두 적용된, 콘덴싱 가스 난방기(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을 주제로 삼고 있으므로, 열교환기(3) 중 응축수가 생성되는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이 설명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역류 차단 기구(60)를 뒤이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커버가 제거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YZ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제2 커버가 제거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YZ 평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열교환기(3)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21)와, 배기관(6)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22)와,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1 유로와, 제2 유입구(22)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통과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23)를 포함한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연소가스(P)에 포함된 수증기가 열교환기(3) 또는 배기관(6)에서 응축됨으로써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가스 난방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제1 유입구(21) 및 이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배관(7)을 통해 상기 응축수 수집부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를 매개로 열교환기(3)와 연결되어, 열교환기(3)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제1 유입구(21)는 열교환기 응축수 유입구이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제2 유입구(22) 및 이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배관(8)을 통해 배기관(6)과 연결될 수 있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배기관(6)과 연결되어, 배기관(6)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제2 유입구(22)는 배기관 응축수 유입구이다.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입구(21, 22)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배관(7, 8) 각각은 제1 및 제2 유입구(21, 22) 각각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3)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중력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제1 배관(7) 및 제1 유입구(21)를 통과하여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에 수집될 수 있다.
배기관(6)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중력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제2 배관(8) 및 제2 유입구(22)를 통과하여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에 수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관(7, 8) 각각을 상기 응축수 수집부 및 배기관(6)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이 상기 응축수 수집부 및 배기관(6)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의 응축수 수집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치일 수 있다.
도 2 등에서 제1 및 제2 유입구(21, 22), 제1 및 제2 배관(7, 8)의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격벽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에 수집된 응축수는 상기 복수의 유로를 통과할 수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로는 제1 유입구(21)로부터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에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1 유로에는 열교환기(3)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통과할 수 있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로는 제2 유입구(22)로부터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에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2 유로에는 배기관(6)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통과할 수 있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40)과, 내부에 형성된 구획벽(44), 격벽(45, 46, 47)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0)은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면(43)과, 테두리면(43)에 대해 X축 방향으로 결합되는 커버(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포함하여,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의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이 내부에 상기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제1 트랩(미부호)과, 내부에 상기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제2 트랩(미부호)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랩은, 플레이트가 복수 회 절곡되어 형성된 테두리면(43)과, 테두리면(43)의 내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격벽(45, 46)과, 테두리면(43)에 결합되는 제1 커버(41)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랩은, 플레이트가 복수 회 절곡되어 형성된 테두리면(43)과, 테두리면(43)의 내측에 배치된 제3 격벽(47)과, 테두리면(43)에 결합되는 제2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트랩 사이에는, 구획벽(4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트랩은 구획벽(44)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트랩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트랩은 구획벽(44)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랩은 구획벽(44)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획벽(44)은 YZ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면(43)으로부터 제1 커버(41)가 제거된 상기 제1 트랩의 내부는 구획벽(44)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테두리면(43)으로부터 제2 커버(42)가 제거된 상기 제2 트랩의 내부는 구획벽(44)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면(43)에 제1 및 제2 커버(41, 42)가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트랩은 제1 및 제2 유입구(21, 22), 토출구(23)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41, 42)는 결합부(미부호)를 통해서 테두리면(4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테두리면(43)과 제1 및 제2 커버(41, 4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후크(미도시)와, 테두리면(43)과 제1 및 제2 커버(41, 42)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 후크 걸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41, 42)는 상기 후크 및 후크 걸이 간의 후크 결합에 의해 테두리면(4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의 내부에는, 제1 내지 제3 격벽(45, 46, 47), 구획벽(44), 테두리면(43), 제1 및 제2 커버(41, 42)로 둘러싸인, 상기 제1 및 제2 유로와 합류실(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격벽(45)은 제1 유입구(21)의 둘레로부터 대체적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트랩의 하단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벽(44)은 제1 유입구(21)의 둘레로부터 대체적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트랩의 하단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는 제1 유입구(21)의 둘레로부터 연장 형성된 테두리면(43), 구획벽(44), 제1 격벽(45) 및 제1 커버(41)로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는 제1 유입구(21)가 구비되고, -Z축 방향으로는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이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는 테두리면(43)이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는 제1 격벽(45)이 구비되고, +X축 방향으로는 구획벽(44)이 구비되고, -X축 방향으로는 제1 커버(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트랩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유입구(21)로부터 상기 제1 트랩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11a로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벽(44)이 상기 제1 트랩의 하단과 소정 거리 이격되므로,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구획벽(44)과 상기 제1 트랩의 하단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도 4 및 6에서 도면 부호 11b로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X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후술하는 합류실(50)에 수집될 수 있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3 격벽(47)은 제2 유입구(22)의 둘레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테두리면(43)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트랩의 하단과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제3 격벽(47)의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벽(44)은 제2 유입구(22)의 둘레로부터 대체적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트랩의 하단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는 제2 유입구(22)의 둘레로부터 연장 형성된 테두리면(43), 구획벽(44), 제3 격벽(47) 및 제2 커버(42)로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는 제2 유입구(22)가 구비되고, -Z축 방향으로는 상기 제2 트랩의 하단이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는 제3 격벽(47)이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는 테두리면(43)이 구비되고, +X축 방향으로는 제2 커버(42)가 구비되고, -X축 방향으로는 구획벽(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2 트랩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유입구(22)로부터 상기 제2 트랩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 부호 12a로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제2 유입구(22)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2 트랩의 하단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벽(44)이 상기 제2 트랩의 하단과 소정 거리 이격되므로, 상기 제2 트랩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구획벽(44)과 상기 제2 트랩의 하단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12b로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상기 제2 트랩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X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후술하는 합류실(50)에 수집될 수 있다.
합류실(50)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랩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합류실(50)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랩 사이에 배치된 구획벽(44)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합류실(50)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랩에서 공유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X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 트랩의 하단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랩의 하단에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제2 트랩의 내부에 형성된 합류실(50)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2 트랩의 하단에 도달한 응축수는 -X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에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제1 트랩의 하단으로부터 대체적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트랩의 상단과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격벽(46)을 지나서, 상기 제1 트랩의 내부에 형성된 합류실(50)에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격벽(46)은 제2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즉, 배기관(6)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압력이 제1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즉, 열교환기(3)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압력보다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랩의 테두리면(43)에 결합되는 제2 커버(42)에 토출구(2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토출구(23)의 위치는 합류실(5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유입구(21, 22)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는 모두 합류실(50)에 수집되어 토출구(23)를 통해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연소가스(P)는 열교환기(3)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면서 점차 감압되므로, 열교환기(3)의 연소가스 배출구에서의 연소가스(P)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가스 난방기(1) 작동 시 열교환기(3) 내부에 대기압 대비 음압이 조성됨에 따라, 제2 유입구(22) 및 토출구(2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21)로 역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스 난방기(1) 작동 초기 단계, 즉 제1 유입구(21)로부터 소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유입구(21)로 역류하는 상기 외부 공기로 인하여 열교환기(3)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제1 유입구(21)를 통해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으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역류 차단 기구를 추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 차단 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의 상측 또는 하측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10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은, 역류 차단 기구(60)를 포함한다.
역류 차단 기구(60)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역류 차단 기구(60)는 하우징(70) 및 하우징(7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소정량 이하이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코어(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어(80)는 하우징(70)에 고이는 응축수가 상기 소정량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는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70)은 그 외측면이,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테두리면(43), 구획벽(44), 제1 격벽(45) 및 제1 커버(41) 각각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상기 제1 유로의 XY 평면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에 대응되도록, 하우징(70) 역시 XY 평면의 단면이 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유로의 단면 형상 및 하우징(70)의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하우징(70) 중 코어(80)가 설치되는 부분 이외는 속이 꽉 차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에 역류 차단 기구(60)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1 유로는 하우징(70) 내의 코어(80)의 위치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는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70)은 상기 제1 유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70)은 상기 제1 유로에 설치된 고정부(61, 62)에 의해 상기 제1 유로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5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61, 62)는 상기 제1 유로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재로서, 하우징(70)은 상측 고정부(61) 및 하측 고정부(62)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61, 62)의 형상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 결합 등 다양한 고정, 체결 방식을 따르는 고정부(61, 62)에 의해 하우징(70)이 상기 제1 유로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및 제2 트랩에 각각 제1 커버(41) 및 제2 커버(42)가 결합되는 경우에, 역류 차단 기구(60)가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어(80)가 설치된 하우징(70)의 상단 및 하단에 상, 하측 고정부(61, 62)가 위치하도록, 하우징(70)을 상기 제1 유로에 설치한 다음에, 상기 제1 트랩의 테두리면(43)에 제1 커버(41)를 결합시킴으로써, 역류 차단 기구(6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70)은 상기 제1 유로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유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다른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과의 호환성이 높고,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보수와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70)은 하우징 바디(72), 상측 스토퍼(73) 및 하측 스토퍼(7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7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71)이 형성된 관체형일 수 있다.
하우징 바디(72) 중 관통홀(71) 이외의 부분은 속이 꽉 차 있고 상기한 대로 하우징 바디(72)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들에 밀착되므로,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는 관통홀(71)을 거쳐서만 통과할 수 있다.
상, 하측 스토퍼(73, 74)는 하우징 바디(72)의 상, 하측부 각각에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코어(80)의 상,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코어(80)는 관통홀(7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나, 상, 하측 이동 각각은 상, 하측 스토퍼(73, 7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코어(80)의 외측면은 상, 하측 스토퍼(73, 74)를 제외한 하우징(7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된 경우, 코어(80)의 외측면과 상, 하측 스토퍼(73, 74)를 제외한 하우징(7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어(80)의 외측면은 상, 하측 스토퍼(73, 74)를 제외한 하우징(70)의 내측면과 충분히 이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스토퍼(73)는 하우징 바디(72)의 상측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한 코어(80)와 접촉되어 코어(8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73)는 후술하는 코어 헤드(81)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유로의 개폐를 결정짓고, 하우징(70)으로부터 코어(80)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측 스토퍼(73)는 단엽 쌍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측 스토퍼(73)는 내측면이 라운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스토퍼(73)의 내측면이 각지게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코어 헤드(81)와의 접촉에 따른 상측 스토퍼(73)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상측 스토퍼(73)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어(8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스토퍼(74)는 하우징 바디(72)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거리만큼 하측으로 이동한 코어(80)와 접촉되어 코어(8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74)는 후술하는 코어 바디(82)와 접촉되어 하우징(70)으로부터 코어(80)가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써, 하측 스토퍼(74)는 단엽 쌍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 스토퍼(74)는 내측면이 라운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측 스토퍼(74)의 내측면이 각지게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코어 바디(82)와의 접촉에 따른 하측 스토퍼(74)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다만, 하측 스토퍼(74)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어(8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코어(80)는 코어 헤드(81)와 코어 바디(8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헤드(81)는 상측 스토퍼(73)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코어(80)는, 코어 헤드(81)가 상측 스토퍼(73)에 접촉되어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을 수 있다.
코어 헤드(81)는 상측면이 평평한 판체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코어 헤드(81)는 상측 스토퍼(73)와 접촉되어 관통홀(71)을 폐쇄하여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코어 헤드(81)가 상측 스토퍼(73)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통홀(71)은 개방되어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코어 헤드(81)는 상측 스토퍼(73)의 형상이 단엽 쌍곡면인 경우,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 바디(82)는 코어 헤드(81)의 하측에 위치되고, 저면부가 하측 스토퍼(74)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코어(80)는, 코어 바디(82)의 저면부가 하측 스토퍼(74)에 접촉되어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을 수 있다.
코어 바디(82)는 상측부는 폐쇄되고 하측부는 개방되는 중공의 판체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바디(82)의 측면에는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코어 바디(82)의 중공부로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바디홀(8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바디(82)는 속이 빈 육각형의 형상이고, 바디홀(83)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어 바디(82)의 중공부는 바디홀(83)을 매개로 관통홀(71)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대로, 코어(80)의 외측면은 상, 하측 스토퍼(73, 74)를 제외한 하우징(7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므로, 코어 헤드(81)가 상측 스토퍼(73)와 미접촉되어 관통홀(71) 및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된 경우에는,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는 하우징(70)을 거쳐 상기 제1 유로 상에서 통과할 수 있다.
상기한 대로, 본 발명의 코어 헤드(81)는,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소정량 이하이면 상측 스토퍼(73)와 접촉되도록 상측으로 이동하여 관통홀(71) 및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유입구(22) 및 토출구(2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코어(80)에 전달되는 상측 방향의 힘이, 코어(80) 자체의 무게와 제1 유입구(21)와 코어 헤드(81) 사이에 고인 응축수의 무게와 열교환기(3) 내부로부터 코어(80)에 전달되는 하측 방향의 힘의 합보다 큰 경우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8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코어 헤드(81)가 상측 스토퍼(73)와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가스 난방기(1) 작동 시 열교환기(3) 내부에 음압이 조성되더라도, 제2 유입구(22) 및 토출구(2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2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대로, 코어 헤드(81)는, 제1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소정량을 초과하면 상측 스토퍼(73)와 미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이동하여 관통홀(71) 및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유입구(22) 및 토출구(2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코어(80)에 전달되는 상측 방향의 힘이, 코어(80) 자체의 무게와 제1 유입구(21)와 코어 헤드(81) 사이에 고인 응축수의 무게와 열교환기(3) 내부로부터 코어(80)에 전달되는 하측 방향의 힘의 합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8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코어 바디(82)의 저면부가 하측 스토퍼(74)와 밀착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3)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에 충분히 수집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21)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역류 차단 기구(60)가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의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의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코어(80)의 조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가스 난방기(1)의 작동 초기 단계에서 공기의 역류를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코어 헤드(81)가 상측 스토퍼(73)에 접촉되도록 코어(80)가 상측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코어(80)에 전달되는 상측 방향으로의 힘(하기의 식 1에서 좌변 항)이, 코어(80)에 전달되는 하측 방향으로의 힘(하기의 식 1에서 우변 항)보다 크도록 코어(80)가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식 1은 하기의 식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코어(80)는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외부 공기가 제1 유입구(2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가스 난방기(1)의 작동에 따라 코어 헤드(81) 위로 응축수가 소정 높이만큼 고이면, 코어 헤드(81)가 상측 스토퍼(73)로부터 벗어나도록 코어(80)가 하측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제1 유로 상의 하우징(70) 및 상측 스토퍼(73)의 위치는 고정부(61, 62)의 위치에 의해 정해지므로, 코어 헤드(81) 위로 고이는 응축수의 높이는, 소정의 높이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코어(80)에 전달되는 상측 방향으로의 힘(하기의 식 3에서 좌변 항)이, 코어(80)에 전달되는 하측 방향으로의 힘(하기의 식 3에서 우변 항)보다 작도록 코어(80)가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식 3은 하기의 식 4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셋째, 가스 난방기(1)의 작동에 따라 생성된 응축수가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10)으로 원활하게 수집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코어(80)가 하측 스토퍼(74)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즉, 응축수가 누적되어 코어(80)가 응축수에 잠긴 경우, 코어(80)가 부유하지 않고 하측 스토퍼(74)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의 식 5와 같이, 코어(80)의 밀도를 응축수의 밀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코어(80)는 관통홀(71) 및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여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하우징(70)을 거쳐 합류실(50)에 수집되어 토출구(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가스 난방기
2: 연소부
3: 열교환기 4: 송풍팬
5: 유도팬 6: 배기관
10: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21: 제1 유입구
22: 제2 유입구 23: 토출구
40: 케이싱 41: 제1 커버
42: 제2 커버 43: 테두리면
44: 구획벽 45: 제1 격벽
46: 제2 격벽 47: 제3 격벽
50: 합류실 60: 역류 차단 기구
61: 상측 고정부 62: 하측 고정부
70: 하우징 71: 관통홀
72: 하우징 바디 73: 상측 스토퍼
74: 하측 스토퍼 80: 코어
81: 코어 헤드 82: 코어 바디
83: 바디홀
3: 열교환기 4: 송풍팬
5: 유도팬 6: 배기관
10: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21: 제1 유입구
22: 제2 유입구 23: 토출구
40: 케이싱 41: 제1 커버
42: 제2 커버 43: 테두리면
44: 구획벽 45: 제1 격벽
46: 제2 격벽 47: 제3 격벽
50: 합류실 60: 역류 차단 기구
61: 상측 고정부 62: 하측 고정부
70: 하우징 71: 관통홀
72: 하우징 바디 73: 상측 스토퍼
74: 하측 스토퍼 80: 코어
81: 코어 헤드 82: 코어 바디
83: 바디홀
Claims (10)
- 열교환기 및 배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배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1 유로;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통과하는 제2 유로;
상기 제1 및 제2 유로를 통과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제1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 차단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 차단 기구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소정량 이하이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관체형의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 하측부 각각에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어의 상,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상, 하측 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측 스토퍼 각각은,
내측면이 라운딩되게 형성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상측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코어 헤드; 및
상기 코어 헤드의 하측에 위치되고, 저면부가 상기 하측 스토퍼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코어 바디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헤드는,
상측면이 평평한 판체부로 형성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바디는,
상측부는 폐쇄되고 하측부는 개방되는 중공의 판체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코어 바디의 중공부로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바디홀이 형성된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외측면은,
상기 상, 하측 스토퍼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 하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 하측 고정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밀도는,
상기 열교환기 및 배기관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밀도보다 높은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985A KR102546992B1 (ko) | 2018-08-09 | 2018-08-09 |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US17/266,578 US11592207B2 (en) | 2018-08-09 | 2019-08-08 | Condensate trap for gas furnace |
DE112019004000.6T DE112019004000T5 (de) | 2018-08-09 | 2019-08-08 | Kondensatabscheider für Gasofen |
PCT/KR2019/010003 WO2020032642A1 (ko) | 2018-08-09 | 2019-08-08 |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985A KR102546992B1 (ko) | 2018-08-09 | 2018-08-09 |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7732A true KR20200017732A (ko) | 2020-02-19 |
KR102546992B1 KR102546992B1 (ko) | 2023-06-22 |
Family
ID=6941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2985A KR102546992B1 (ko) | 2018-08-09 | 2018-08-09 |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592207B2 (ko) |
KR (1) | KR102546992B1 (ko) |
DE (1) | DE112019004000T5 (ko) |
WO (1) | WO20200326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0134940B3 (de) * | 2020-12-28 | 2022-06-23 |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 Siphon |
DE102023103542A1 (de) * | 2023-02-14 | 2024-08-14 | Vaillant Gmbh | Kondensatablaufvorrichtung für ein Heizgerät und Heizgerä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8306A (ko) * | 2000-10-09 | 2002-04-17 | 구자홍 | 콘덴싱 가스 난방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
JP2014184952A (ja) * | 2013-02-25 | 2014-10-02 | Denso Corp | 排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空調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9749A (en) * | 1993-08-16 | 1995-01-10 | Carrier Corporation | Condensate trap for multi-poise furnace |
US5704343A (en) * | 1996-09-11 | 1998-01-06 | American Standard Inc. | Furnace condensate trap |
US7930898B2 (en) * | 2008-05-12 | 2011-04-26 | Bryce Laufenberg | A/C drain line device |
KR101091580B1 (ko) * | 2009-08-10 | 2011-12-13 | (주)문명에이스 |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
US20130118608A1 (en) * | 2011-09-22 | 2013-05-16 | Laars Heating Systems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trapping and neutralizing condensate in a condensing gas appliance |
KR101381699B1 (ko) * | 2014-01-03 | 2014-04-04 | 윤정상 |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스팀트랩 |
KR101781020B1 (ko) * | 2016-05-10 | 2017-10-24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보일러의 응축수 회수용 사이펀 |
-
2018
- 2018-08-09 KR KR1020180092985A patent/KR102546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8-08 DE DE112019004000.6T patent/DE112019004000T5/de active Pending
- 2019-08-08 WO PCT/KR2019/010003 patent/WO202003264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8-08 US US17/266,578 patent/US1159220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8306A (ko) * | 2000-10-09 | 2002-04-17 | 구자홍 | 콘덴싱 가스 난방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
JP2014184952A (ja) * | 2013-02-25 | 2014-10-02 | Denso Corp | 排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空調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9004000T5 (de) | 2021-05-06 |
WO2020032642A1 (ko) | 2020-02-13 |
KR102546992B1 (ko) | 2023-06-22 |
US20210310697A1 (en) | 2021-10-07 |
US11592207B2 (en) | 2023-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6553B2 (en) | Condensate pan with condensate trap | |
US5347980A (en) | Dual drainage slope recuperative heat exchanger assembly for fuel-fired condensing furnaces | |
US9878404B2 (en) | Condensation management system, a furnac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densation collection box | |
KR101146020B1 (ko) | 콘덴싱 보일러의 2차 열교환기 | |
KR20200017732A (ko) | 가스 난방기용 응축수 트랩 | |
KR20110084725A (ko) | 열교환기의 배기가이드 조립구조 | |
KR20110077307A (ko) | 콘덴싱 보일러의 2차 열교환기 | |
EP1707896A2 (en) | Central heating boiler auxiliary heat exchanger | |
KR101899911B1 (ko) | 보일러용 열교환기 | |
CN103604172B (zh) | 空气调节器 | |
US11519636B2 (en) | Condensate water trap for gas furnace | |
US11499750B2 (en) | Gas furnace to produce heated air and optionally hot water via a bypass pipe | |
JP2014070800A (ja) | 燃焼装置 | |
KR20140000803A (ko) | 콘덴싱 보일러의 2차 열교환기 | |
EP1672278A1 (en) | Condensing heating apparatus | |
JP2018112348A (ja) | 温水装置 | |
JP7356024B2 (ja) | 熱交換器及び温水装置 | |
KR20020013274A (ko) | 사이클론 배기 장치를 갖는 콘덴싱 가스 난방기 | |
CN220771387U (zh) | 冷凝式燃气热水器 | |
CN217303186U (zh) | 一种可调传热系数的全预混热交换器 | |
JP2014190577A (ja) | 排熱ボイラユニット及び排熱ボイラ | |
CN216953545U (zh) | 燃气热水设备 | |
JP6114142B2 (ja) | 潜熱熱交換器 | |
JP2006153375A (ja) | 熱交換装置および燃焼装置 | |
EP4180717A1 (en) | A condensing boiler with an improved roof assembly for the connection with combustion gas discharge and combustion air supply 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