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471A -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 - Google Patents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471A
KR20200016471A KR1020180091637A KR20180091637A KR20200016471A KR 20200016471 A KR20200016471 A KR 20200016471A KR 1020180091637 A KR1020180091637 A KR 1020180091637A KR 20180091637 A KR20180091637 A KR 20180091637A KR 20200016471 A KR20200016471 A KR 20200016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oon
chopsticks
wash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한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소닉 filed Critical (주)한소닉
Priority to KR102018009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6471A/ko
Publication of KR2020001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2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lowering and lif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에 따르면, 수저투입통 내부에 사용이 완료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투입
한 후, 세제세척{세제투입, 물 분사(업다운 동작), 배수}, 헹굼세척{급수, 물 분사(업다운 동작), 배수} 및 물
끓임 살균 및 건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숟가락 및 젓가락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많은 량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캠 장치의 동작으로 숟가락 및
젓가락이 투입된 통을 업/다운시키면서 털어주게 되어 세척력, 헹굼력 및 물빠짐력이 향상됨에 따라 회사 및 학
교 등의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식당에 적합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Auto Spoon Washer}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식기를 닦을 수 있도록 구
성된다 따라서 본체의 도어를 열고, 식기를 본체에 배치한 후, 도어를 닫고 상기 노즐을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다량의 설거지물을 세척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0003] 따라서, 식당과 같이, 대량의 설거지 물이 발생 되는 곳에서는 수작업으로 식기를 세척하고 있다 그런데 숟가
락, 젓가락, 포크 및 나이프와 같은 양식기는 수작업으로 설거지하기 불편하므로,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000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숟가락, 젓가락, 포크 및 나이프 등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수저
전용의 세척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0005]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비교적 크기가 작은 숟가락 및 젓가락에 식기 세척기와 같
이 단순히 물을 분사시켜서 그 숟가락 및 젓가락을 세척하기란 쉽지 않게 되는 것이다
[0006]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소량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고, 대량의 제품도 제공되고 있어나, 이는 너무 복잡하여 제작 및 비용이 많이 들어 실제로 제품
화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숟가락 및 젓가락을 투입한
후, 세제세척{세제투입, 물 분사세척(업다운 동작), 배수}, 헹굼 세척{급수, 물 분사세척(업다운 동작), 배수}
및 물 끓임 살균, 건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숟가락 및 젓가락에 묻어 있는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위생
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에 따르면, 수저투입통 내부에 사용이 완료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투입
한 후, 세제세척{세제투입, 물 분사(업다운 동작), 배수}, 헹굼세척{급수, 물 분사(업다운 동작), 배수} 및 물
끓임 살균, 건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숟가락 및 젓가락에 묻어 있는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위
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많은 량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캠 장치의
동작으로 숟가락 및 젓가락이 투입된 통을 업/다운시키면서 털어주게 되어 세척력, 헹굼력 및 물 빠짐력이 향상
됨에 따라 회사 및 학교 등의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식당에 적합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11]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
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사시도이고, 4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의 정면도이다
[0012]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는 내부에 숟가락 젓가락이 투입
되는 수저투입통(40)이 구비된 하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0)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케이스
(10) 내부에 보관되는 보호하기 위한 커버(90)로 이루어진다
[0013] 상기 하부케이스(10)는 직사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이동수단(11)이 구비된 하부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
(12)의 상부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입설된 수직프레임(14)과; 수직프레임(14) 상부 영역에 구비되고, 내부에
숟가락 및 젓가락이 투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수저투입통(40)이 구비되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16)
와; 세척수저장조(16) 일측 내부와 수직프레임(14) 하부 및 상단영역의 하부수평프레임(17) 및 상단수평프레임
(18) 사이에 구비되어 수저투입통(40)을 상하로 업/다운시키기 위한 수저투입통업다운장치(50)와; 수직프레임
(14)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설치된 제1,2수직대(19)(20)와 수직프레임(14)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수저투입통업다운장치(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업다운 동작장치(70)로 이루어진다
[0014] 이때, 커버(90) 내부에는 수도라인과 연결되어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물공급호스(22)가 "ㄷ"자로 구비되고,
이 물공급호스(22)의 외주연에는 물 분사공(22a)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분사되어 물이 공급되고, 물 공급호스
(22)는 외부에서 수도라인과 연결되고, 밸브(24)가 각각 구비되어 수돗물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0015] 그리고, 세척수저장조(16) 상부 영역에는 세척수가 넘쳐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공(16a)이 형성되고, 세척수배출공
(16a) 하부 영역의 세척수저장조(16)에는 만충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만충수위감지센서(26)가 구비되어 물의 수
위를 감지한 다음, 이 신호를 제어장치(100)로 전달하여 밸브(24)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에 따라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0016] 한편, 세척수저장조(16) 하부 영역에는 물이 공급되고, 배출되는 물분사관(27)과 물배출관(29)가 각각
구비되고, 물분사관(27)과 물배출관(29)은 순환펌프(30)에 연결되어, 이 순환펌프(30)의 압력으로써 물을 분사
하고, 배출하면서 순환시키게 된다
[0017] 이때, 물분사관(27)에 의해 물이 분사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면서 수저투입통(40)의 하단을 때리면서 공급되
어 수저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0018] 그리고, 세척수저장조(16) 바닥에는 세척수를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호스(32) 및 밸브(33)가 구비된
[0019] 또한, 세척수저장조(16)는 하부 영역에 내부의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한 히팅기(35)가 구비된다 이러한 히팅기(35)는 고온(100℃)으로 세척수저장조(16)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 수저투입통 업다운장치(50)는 하부수평프레임(17)과 상부수평프레임(18) [0020] 전방 양측에 체결 고정된 하부끼
움구(51) 및 상부끼움구(52)와; 하부끼움구(51)와 상부끼움구(52) 사이에 고정된 수직가이드봉(53)과; 수직가이
드봉(53)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수직고정구(54)와; 수직고정구(54)의 전방에 고정된
외측수직바(55)와, 외측수직바(55)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상부수평바(56)와, 상부수평바(56)의 단부에 하방
으로 연결되어 세척수저장조(16)에 위치되는 내측수직바(57)와, 내측수직바(57)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된 하부
수평바(58)로 이루어진 이동프레임(59)과; 이동프레임(59)의 내측수직바(57)에 연결되어 수저투입통(40)이 안착
되는 수저통안착부재(60)로 이루어진다
[0021] 상기 수저통안착부재(60)는 내측수직바(57) 외측에 일면이 각각 고정된 수평고정대(62)와; 수평고정대(62)에 양
단이 고정되고, 직사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63)가 형성된 수평프레임(64)과; 수평프레임(64)의 중
앙 영역에 구비되어 공간부(63)를 나누어 내부에 수저투입통(40)이 얹혀지는 수평마감대(66)로 이루어진다
[0022] 상기 수저투입통(40)은 수평프레임(64) 상부에 얹혀지고, 상부에 손잡이(42)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저가 투입되
는 다수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칸막이(44)가 구비되고, 사용이 완료된 숟가락 및 젓가락이 투입되며, 바닥과 외
주연 영역에 세척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망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망은 수저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
격(매시)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수저는 내부에 경사지게 투입된다
[0023] 상기 업다운 동작장치(70)는 수직프레임(14) 하부 영역에 구비되고, 내부에 구동모터(71)가 내장된 모터하부케
이스(72)와; 구동모터(71)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모터하부케이스(71) 전면에 위치된 구동스프로켓(73)과;
수직프레임(14) 전면의 제1,2수직대(19)(20) 상부 영역의 상부수평대(19a)와 수직프레임(14)의 상부수평대(17a)
사이에 대응되게 장착된 구동베어링(74)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구동스프로켓(73)과 체인(75)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부스프로켓(76)과; 상부스프로켓(76)과 동일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캠(77)과, 상기 이동프레
임(59)의 외측수직바(55) 상부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78)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캠(77)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롤러(79)로 이루어진 캠 장치(80)로 이루어진다
[0024] 한편, 제1,2수직대(19)(20) 사이의 하부프레임(14)과 수평연결대(78) 사이에 수저투입통이동장치(70)의 상하 이
동시 동시에 이동하면서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웨이트장치(81)가 구비된다
[0025] 상기 웨이트장치(81)는 하부프레임(14) 상부에 설치되고, 스프링(82a)이 끼워진 한 쌍의 가이드봉(82)과; 가이
드봉(8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에 하부연결고리(83)가 구비된 웨이트(84)와; 하부연결고리(83)에 연
결되고, 수평연결대(78) 전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롤러(85)에 감겨지고, 단부가 연결롤러(85) 하
부의 수평연결대(78)에 고정된 수직편(86) 전면의 상부연결고리(87)에 고정되어 웨이트(84)를 매달게 되는 와이
어(88)로 이루어진다
[0026] 상기 커버(90)는 하부케이스(10)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수저장조(16)를 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부 영역에는 세척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각종 버튼 타입으로 이루어진 제어장치
(100)가 구비된다 이때, 커버(90) 내부에는 자외선 램프(92)가 구비되어 살균을 하게 된다
[0027] 한편, 하부패널(12)에는 항균필터가 내장된 건조기(94)가 구비되고, 이 건조기(94)는 연결관(95)으로써 연결되
고, 커버(90)의 중앙 영역에 구비된 건조팬(96)을 통하여 커버(90)에서 하방으로 열풍 또는 냉풍을 불어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건조시키게 된다
[0028]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29] 이러한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는 회사 및 학교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식당에 적합한 것이다
[0030] 이러한 세척기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사용이 완료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하부케이스(10)
상부 영역에 구비된 세척수저장조(16) 내부의 수저투입통(40) 내부로 직접 투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숟가락 및
젓가락의 사용면이 수저투입통(40) 하부로 위치되고, 수저투입통(40) 내부로 비스듬하게 투입되어 숟가락과 젓
가락이 구조상 사이에 공간이 많이 발생 된다
[0031] 즉, 상부에 손잡이(42)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저가 투입되는 다수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칸막이(44)가 구비된 수
저투입통(40) 내부에 사용이 완료된 숟가락 및 젓가락이 투입된다
[0032] 이러한 상태에서 수저투입통(40) 내부로 적당량의 세제를 투입한 다음, 커버(90) 내부에 구비되어, 수도라인과
연결된 밸브(24)를 개방하면, 수도압력에 의해 물공급호스(22) 선단의 물분사구(22a)를 통하여 수돗물이 하방으로 분사되면서 세척수저장조(16) 내부에 차게 되면서 수저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때, 세척저장조(16) 상부 영역의 만충수위감지센서(26)에 의해 만충수위가 [0033] 감지되면 자동으로 센서의 감지와
제어장치(100)에 의해 밸브(24)가 닫히게 되어 t수돗물의 공급이 차단된다(도 9 참조)
[0034] 그 다음으로 하부케이스(10) 상부에 커버(90)를 닫은 다음, 커버(90)에 구비된 제어장치(100)를 동작시키게 된
다 그러면, 제어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세척기를 구성하는 순환펌프(30)가 동작되어 물분사관(27)
을 통하여 물이 분사됨에 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하게 되어 수저투입통(40) 하단의 수저를 여러 각도로 때리면
서 세척하게 되고, 물배출호스(29)를 통하여 순환펌프(30)로 배출되고, 다시 물분사관(27)을 통하여 분사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순환하면서 세척된다(도 8 및 도 9 참조)
[0035] 이와 동시에 업다운동작장치(7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71)가 동작 되고, 구동모터(71)의 회전으로 구동스프로켓
(73)이 회전하게 되며, 체인(74)에 의해 구동베어링(74)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상부스프로켓(76)이 회전하게
된다
[0036] 이에 따라 상부스프로켓(76)과 동일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캠(77)의 외주면이 롤러(79)에 밀착되면서 회
전하게 됨으로써 회전운동을 직선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0037] 이때, 캠 장치(80)를 구성하는 캠(77)의 회전으로 캠(77)의 외주면이 이동프레임(59)의 외측수직바(55) 상부 사
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78) 후면의 롤러(79)에 밀착된 지점이 최상정점으로, 수저투입통업다운장치(50)가 상승
하게 되고, 롤러(79)를 이탈하면 중량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업/다운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도 5a 및 도 5b 참조)
[0038]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캠(77)이 상부스프로켓(76)과 회전하다가 캠(77)의 외주면이 수평연결대(78)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79)에 밀착되면서 수저투입통업다운장치(50)를 구성하는 이동프레임(59)의 외측수직
바(55) 상부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78)가 상승하게 된다(도 6 및 도 7 참조)
[0039] 이에 따라 하부수평프레임(17)과 상부수평프레임(18)에 고정된 하부끼움구(51) 및 상부끼움구(52) 사이의 수직
가이드봉(53)을 따라 수직고정구(54)가 상승하게 되고, 수직정구(54)의 전방에 고정된 외측수직바(55)가 상승하
게 됨에 따라 이동프레임(59)이 상승하게 된다
[0040] 이와 동시에 이동프레임(59)의 내측수직바(57) 외측에 수평고정대(62)로써 고정된 수저통안착부재(60)가 상승하
게 되고, 수저통안착부재(60)의 수평마감대(66)에 얹혀진 수저투입통(40)이 상승하게 되면서 내부에 보관중인
수저가 상승하게 된다
[0041]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수저통안착부재(60)에 안착되는 수저투입통(40) 내부의 수저가 상하부
로 이동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유동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0042] 한편, 수저투입통업다운장치(50)의 상하 이동시 웨이트장치(81)에 의해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0043] 즉, 수저투입통이동장치(50)의 동작으로, 하부연결고리(83)와 연결롤러(85)에 감겨지고, 수직편(86)의 와이어
(88)에 매달린 상태의 웨이트(84)가 하부프레임(14) 상부의 가이드봉(82)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웨이트(84)가 가이드봉(82)의 스프링(82a)에 의해 충격이 완충되면서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도 4 참조)
[0044] 이와 같이 물 분사와 캠 장치의 동작으로 세제세척 작업이 이루어지면, 드레인호스(32)의 밸브(33)가 열리게 되
어 내부의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1차 세제세척 동작이 완료된다
[0045] 그 다음으로 수도라인과 연결된 물공급호스(22)(23)의 밸브(24)가 개방되어, 물공급호스(22)(23) 선단의 물분사
구(24)를 통하여 수돗물이 하방으로 분사되면서 세척수저장조(16) 내부에 차면서 수저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제
거된다
[0046] 이러한 물공급은 만충수위감지센서(26)의 감지에 의해 만충수위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밸브(24)가 닫히게 중단된
[0047]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장치(10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세척기를 구성하는 순환펌프(30)가 동작되어 물분사호스
(27)를 통하여 분사됨에 따라 수저투입통(40) 내부의 수저를 세척하게 되고, 물배출호스(29)를 통하여 순환펌프
(30)로 배출되고, 다시 물분사호스(27)를 통하여 분사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순환하면서 세척된다
[0048] 이와 동시에 업다운동작장치(70)와 캠 장치(80)의 동작으로 이동프레임(59)의 내측수직바(57) 외측에 수평고정대(62)로써 고정된 수저통안착부재(60)가 상승하게 되고, 수저통안착부재(60)의 수평마감대(66)에 얹혀진 수저
투입통(40)이 상승하게 되면서 내부에 보관중인 수저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수저통안착부재(60)에 안착되는 수저투입통([0049] 40) 내부의 수저가 상하부
로 이동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유동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헹굼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0050] 이와 같이 물 분사와 캠 장치의 동작으로 헹굼작업이 이루어지면, 드레인호스(32)의 밸브(33)가 열리게 되어 내
부의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1차 헹굼세척의 동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헹굼세척 작업을 3회 정도 실시
하게 됨으로써 수저에 대한 헹굼 작업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0051] 이와 같이 헹굼작업이 완료되면, 수도라인과 연결된 물공급호스(22)(23)의 밸브(24)가 개방되어, 물공급호스
(22)(23) 선단의 물분사구(24)를 통하여 수돗물이 하방으로 분사되면서 세척수저장조(16) 내부에 차면서 수저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0052] 이러한 물공급은 만충수위감지센서(26)의 감지에 의해 만충수위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밸브(24)가 닫히게 되어
중단된다
[0053]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장치(10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세척수저장조(16)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된 히팅기(3
5)를 고온(100℃)으로 동작시켜 내부의 세척수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살균하게 된다
[0054] 이때, 세척수저장조(16)의 세척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세척수배출공(16a) 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0055] 이와 같이 살균작업이 완료되면, 내부의 세척수를 드레인시킨 다음, 다시 업다운동작장치(70)와 캠 장치(81)의
동작시켜 헹굼 및 살균이 이루어진 수저통안착부재(60) 내부의 수저투입통(40)이 상승 및 하강하게 됨으로써 보
관중인 수저의 물기가 털어지게 된다
[0056] 그 다음으로 커버(90) 내부의 자외선 램프(92)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고, 하부패널(12)에 장착된 건조기
(94)가 동작되어 온풍이 연결관(95)을 따라 커버(90)로 공급되어 하방으로 공급되어,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건조
시키게 된다(도 10 참조)
[0057]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10)로부터 커버(90)를 개방시켜 세척수저장조(16) 내부의 수저세척통(40)을 분리시
키게 되면, 위생적인 수저의 세척이 완료되어, 다음의 수저세척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005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
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하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에 입설된 수직프레임(14)과;상기 수직프레임(14) 상부 영역에
    구비되고, 숟가락 및 젓가락이 투입되는 수저투입통(4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조(16)와; 상기 세척수저장조(16) 일측 내부와 수직프레임(14) 하부 및 상부영역의 하부수평프레임(17) 및
    상부수평프레임(18) 사이에 구비되어 수저투입통(40)을 상하로 업다운시키기 위한 수저투입통업다운장치(50)와;
    상기 수직프레임(14)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2수직대(19)(20)와 수직프레임(14) 하부 영역에 구비되
    어 수저투입통업다운장치(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업다운 동작장치(70)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10); 및
    상기 하부케이스(10)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저장조(16)를 은폐시키고, 세척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00)가 구비된 커버(9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1020180091637A 2018-08-07 2018-08-07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 KR20200016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637A KR20200016471A (ko) 2018-08-07 2018-08-07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637A KR20200016471A (ko) 2018-08-07 2018-08-07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471A true KR20200016471A (ko) 2020-02-17

Family

ID=6967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637A KR20200016471A (ko) 2018-08-07 2018-08-07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4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65151B2 (en) Dishwasher in the form of a commercial utensil washer or dishwasher which is designed as a batch dishwasher
KR20110038366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EP2691565B1 (en) System for washing garments in plumbing fixtures like showers, combined bathtub - shower and the like
KR20110096607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NO151727B (no) Oppvaskmaskin
CN101317746A (zh) 转刷式洗锅碗菜消毒保鲜机
KR20100111398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20080011995A (ko) 수저 전용 세척기
CN109464100A (zh) 具有臭氧消毒功能的旋臂式砧板清洗机
KR20200016471A (ko) 수저 살균 자동 세척기
KR100963225B1 (ko) 식기세척기
US11845111B2 (en) Countertop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CN201171660Y (zh) 转刷式洗锅碗菜消毒保鲜机
KR101904640B1 (ko) 인덕션 가열장치를 이용한 소독 및 세척장치
KR101317336B1 (ko) 식기 세척기
KR20090114213A (ko) 걸레 세탁기
CN112244721B (zh)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CN220256416U (zh) 一种防返潮分体式餐具清洗装置
JP3786022B2 (ja) 食器洗い機
KR100931751B1 (ko) 주방 가구형 신발 세탁기
CN216454879U (zh) 具有消毒的可移动洗碗机
KR20110009441U (ko) 가정용 주부 습진 방지용 손 건조기 및 행주 건조기
KR101317337B1 (ko) 식기 세척기
EP3000376B1 (en) Dishwashing machine and hygienisation method thereof
CN109464084A (zh) 旋臂式砧板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