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706A -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706A
KR20200015706A KR1020207000172A KR20207000172A KR20200015706A KR 20200015706 A KR20200015706 A KR 20200015706A KR 1020207000172 A KR1020207000172 A KR 1020207000172A KR 20207000172 A KR20207000172 A KR 20207000172A KR 20200015706 A KR20200015706 A KR 2020001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downlink
resource s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키 타케다
사토시 나가타
친 무
리우 리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01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72/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93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제어 리소스 세트)을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저 단말은,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하향 링크 신호가, 하향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와는 다르며, 그리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무선 리소스가,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중복되는 경우, 상기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대해 소정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LTE Rel. 8, 9)의 더욱의 대용량 및 고도화 등을 목적으로, LTE-A(LTE 어드밴스드, LTE Rel. 10, 11, 12, 13)가 사양화되었다.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FRA(Future Radio Access),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plus),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LTE Rel. 14 또는 15 이후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에서는, 1 ms의 서브 프레임(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하여, 하향 링크(DL: Downlink) 및/또는 상향 링크(UL: Uplink)의 통신이 수행된다. 해당 서브 프레임은, 채널 부호화된 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 단위이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재송 제어(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등의 처리 단위가 된다.
무선기지국은, 유저 단말에 대한 데이터의 할당(스케줄링)을 제어하고,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유저 단말에 통지한다. 하향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선두 부분에 배치된 하향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유저 단말은, 하향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여 수신 처리(복조, 복호 처리 등)를 수행하고, 수신한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DL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상향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한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PDCCH/EPDCCH)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어 채널 요소(CCE/ECCE)의 집합(aggregation)을 이용하여 송신이 제어된다. 또, 각 제어 채널 요소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EREG)으로 구성된다.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은, 리소스 엘리먼트(RE)에 대한 제어 채널의 맵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에 있어서는,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을 고정적이지 않고, 유연하게 배치(맵핑)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영역을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 하향 제어 정보 이외의 정보 또는 신호의 배치와 경합하는(충돌(collision))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래의 REG의 맵핑을 적용한 경우,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제어 리소스 세트)을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일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은,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하향 링크 신호가, 하향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와는 다르며, 그리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무선 리소스가,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중복되는 경우, 상기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대해 소정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을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데이터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데이터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데이터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데이터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데이터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데이터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데이터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CSI―RS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CSI―RS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CSI―RS와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의, 다른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해 하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확장 PDCCH(EPDCCH: Enhanced PDCCH 등)을 이용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한다.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고 바뀌어 읽혀도 좋다.
DCI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 트랜스포트 블록 정보, 데이터 변조 방식 정보, HARQ 재송 정보, 및 복조용 RS에 관한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여도 좋다. DL 데이터 수신 및/또는 DL 참조 신호의 측정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 또는 DL 그랜트라 불려도 좋으며, UL 데이터 송신 및/또는 UL 사운딩(측정용) 신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라 불려도 좋다.
DL 어사인먼트 및/또는 UL 그랜트에는, DL 데이터에 대한 HARQ―ACK 피드백 및/또는 채널 측정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의 UL 제어 신호(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하는 채널의 리소스, 계열, 송신 포맷의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 UL 제어 신호(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는 DCI가 DL 어사인먼트 및 UL 그랜트와는 따로 규정되어도 좋다.
UE는, 설정(configure)에 기초하여, 소정 수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의 세트를 모니터한다. 여기서, 모니터란, 예를 들면, 해당 세트에서, 대상이 되는 DCI 포맷에 대해 각 하향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행(試行)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복호는, 블라인드 복호(BD: Blind Decoding), 블라인드 검출이라고도 불린다. 하향 제어 채널 후보는, BD 후보, (E)PDCCH 후보 등이라고도 불린다.
모니터해야 하는 하향 제어 채널 후보의 세트(복수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는, 서치 스페이스라고도 불린다. 기지국은,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소정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에 DCI를 배치한다. UE는, 서치 스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후보 리소스에 대해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고, 해당 UE에 대한 DCI를 검출한다. 서치 스페이스는, 유저 간 공통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되어도 좋으며, 유저 개별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서치 스페이스는, 해당 유저 단말에 대해 같은 캐리어에서 2개 이상 설정되어도 좋다.
기존의 LTE에서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목적으로, 서치 스페이스에는 복수 종류의 애그리게이션 레벨(AL: Aggregation Level)이 규정된다. AL은, DCI를 구성하는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확장 제어 채널 요소(ECCE: Enhanced CCE)의 수에 대응된다. 또, 서치 스페이스는, 어느 AL에 대해, 복수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를 갖는다. 각 하향 제어 채널 후보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단위(CCE 및/또는 ECCE)로 구성된다.
DCI에는, 순회 리던던시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가 부여된다(attached). 해당 CRC는, UE 개별의 식별자(예를 들면, 셀―무선 네트워크 일시 식별자(C―RNTI: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시스템 공통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마스킹(스크램블)되어 있다. UE는, 자 단말에 대응하는 C―RNTI에서 CRC가 스크램블된 DCI 및 시스템 공통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CRC가 스크램블된 DCI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서치 스페이스로서는, UE에 공통으로 설정되는 공통(common) 서치 스페이스와, UE마다 설정되는 UE 고유(UE―specific) 서치 스페이스가 있다. 기존의 LTE의 PDCCH의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AL(=CCE 수)은, 1, 2, 4 및 8이다. BD 후보 수는, AL=1, 2, 4 및 8에 대해, 각각 6, 6, 2 및 2로 규정된다.
그런데, 5G/NR에서는, 유연한 수비학 및 주파수의 이용을 서포트하고, 동적인 프레임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수비학이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에 관한 통신 파라미터(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 Spacing),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길이, TTI 당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필터링 처리, 윈도우 잉크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이다.
또,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5G, NR)은,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각각 다른 요구 조건(예를 들면, 초고속, 대용량, 초저지연 등)을 만족시키도록 실현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5G/NR에서는, eMBB(enhanced Mobile Broad Band), IoT(Internet of Thing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2M(Machine To Machine),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이라 불리는 무선 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제어 리소스 세트)을 고정적이지 않고, 유연하게 배치(맵핑)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UE는, 소정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모니터하여 하향 제어 채널(또는, NR용 제어 채널(NR―PDCCH))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리소스 세트는,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후보가 되는 리소스 세트이며, 컨트롤 리소스 세트(CORSET: COntrol Resource SET), 컨트롤 서브밴드(control subband), 제어 채널의 서치 스페이스, 서치 스페이스 세트, 서치 스페이스 리소스 세트, 컨트롤 영역, 제어 서브밴드, NR―PDCCH 영역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제어 리소스 세트는, 최소한의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등이라 불려도 좋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리소스 세트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 하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정보와는 다른, 정보 또는 신호의 배치와 경합하는(충돌(collision))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 리소스 세트에 하향 제어 채널을 배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UE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모니터하지만, 하향 제어 정보가 맵핑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의 복호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제어 리소스 세트의 맵핑 위치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UE에,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미리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있어서,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제어 리소스 세트가 배치되어 있다. 단,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의 리소스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UE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모니터하지만, 충돌하고 있는 리소스에 있어서 하향 제어 채널(하향 제어 정보)은 맵핑되어 있지 않으며, 불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유연하게 배치(예를 들면, 준정적으로 배치)된 제어 리소스 세트(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와, 하향 제어 정보 이외의 정보 또는 신호의 맵핑 위치가 충돌한 경우,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한 취급(핸들링)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및 채널에 관한 'NR―'의 접두어를 생략하여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무선 통신 방법)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충돌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는, 소정의 리소스 위치(심벌 및 주파수 리소스)에서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동기 신호(예를 들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한 리소스 유닛(예를 들면, SS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이 포함되어도 좋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각종 형태를 설명한다.
(형태 1―1)
형태 1―1에서는, 네트워크(예를 들면, eNB, gNB)가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배치를 금지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2 심벌 주기로) 제어 리소스 세트가 배치(설정(configure))된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맵핑하는 리소스가, 3번째 심벌의 제어 리소스 세트와 충돌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리소스 세트를 이용한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을 금지한다. 유저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할 가능성 리소스에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배치되지 않는다고 상정한다.
형태 1―1에 의하면, 제어 리소스 세트와, 하향 제어 정보 이외의 정보 또는 신호와의 충돌이, 네트워크 측에서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는, 하향 제어 정보 이외의 정보 또는 신호가 맵핑되어 있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이 없고,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형태 1―2)
다음으로, 형태 1―2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1―2에서는, UE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모니터를 수행하지 않는다(스킵한다).
도 3에 도시되는,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된다. 단, 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리소스 세트의 위치(주파수―시간 리소스)에 대해서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 등으로 UE에 미리 통지되어 있다(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되어 있다).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위치(주파수―시간 리소스)에 대해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와 마찬가지로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되거나, 혹은, 사양으로 미리 결정되어 있다.
UE는, 미리 통지 또는 결정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만, 모니터를 스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있어서는, 3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모니터를 스킵한다.
형태 1―2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만, UE는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고, 단말 배터리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1―3)
다음으로, 형태 1―3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1―3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시간축 방향으로 시프트되고, 브로드캐스트 정보와의 충돌이 회피된다.
형태 1―3에 따른 구성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여기서는, 형태 1―2에 있어서의 도 3과 마찬가지로,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지만,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한다.
UE는, 미리 통지 또는 결정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만, 배치 위치를 시간축 방향으로, 1 심벌 만큼 시프트하여, 모니터한다. 도 4에 있어서, UE는, 검출된 3번째 심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주파수는 그대로, 4번째 심벌로 시프트하여 모니터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미리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3번째 심벌의 제어 리소스 세트가 충돌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3번째 심벌에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맵핑하고,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 4번째 심벌(유효한 심벌)에, 3번째 심벌에서 설정(configure)할 예정이었던 제어 리소스 세트를 설정(configure)한다. 또는, 네트워크는,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배치되는 3번째 심벌에 제어 리소스 세트를 설정할 수 있지만, 양자의 충돌을 인식한 경우에, 유저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의 설정없이, 설정 정보 소정의 심벌(예를 들면, 1 심벌) 시프트한 심벌에서 제어 리소스 세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형태 1―3에 의하면,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 유효한 리소스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또,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되는 하향 제어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 리소스(유효한 리소스)로 맵핑되기 때문에,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이 억제된다. 또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다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기다려서,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신 지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형태 1―3에 있어서는, 시프트량이 시간축 방향으로 1 심벌이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속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사이에 복수 심벌이 개재(介在)하는 경우, 개재하는 어느 하나의 심벌 상이며,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 리소스에 제어 리소스 세트를 시프트하면 된다.
(형태 1―4)
다음으로, 형태 1―4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1―4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주파수축 방향으로 시프트되고, 브로드캐스트 정보와의 충돌이 회피된다.
형태 1―4에 따른 구성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여기서는, 형태 1―2에 있어서의 도 3과 마찬가지로,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지만,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한다.
UE는, 미리 통지 또는 결정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만, 배치 위치를 주파수축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모니터한다. 도 5에 있어서, UE는, 검출된 3번째 심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대응의 심벌은 그대로, 주파수를 시프트하여 모니터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미리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3번째 심벌의 제어 리소스 세트가 충돌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3번째 심벌에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맵핑하고,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도록, 주파수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설정(configure)한다.
형태 1―4에 의하면,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 유효한 리소스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또,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되는 하향 제어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 리소스(유효한 리소스)로 맵핑되기 때문에,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이 억제된다. 또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다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기다려서,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충돌하는 심벌 이후의 심벌에서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신 지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방향으로 시프트된 제어 리소스 세트의 위치(주파수 리소스), 또는, 주파수 방향의 시프트량에 대해, UE는, 미리 설정(configure)되어도,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되어도 좋다.
(형태 1―5)
다음으로, 형태 1―5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1―5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지 않고, 충돌하지 않는(중복되지 않는) 부분(리소스)에 대해,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여 모니터한다.
형태 1―5에 따른 구성 예가 도 6에 도시된다. 여기서는, 형태 1―2에 있어서의 도 3과 마찬가지로,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지만,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한다.
하향 제어 채널 요소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EREG)으로 구성된다.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은, 리소스 엘리먼트(RE)에 대한 하향 제어 채널의 맵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리소스 세트는, 30개의 REG로 구성되어 있다. 단,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REG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한편,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중복되지 않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되기 때문에, REG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다. 즉, REG 인덱스 1―24의 REG에 대해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되고, 하향 제어 채널을 배치(맵핑)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에서는, REG 인덱스 1―24의 REG를 이용하여, 하향 제어 채널을 맵핑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REG 인덱스 14와 REG 인테스 15가 비연속으로 할당되어 있다.
UE는, 미리 통지 또는 결정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중복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만 모니터한다. 도 6에 있어서는, UE는, REG 인덱스 1―24에 대응지어진 CCE(리소스 단위)에서 모니터한다.
형태 1―5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충돌하지 않는(중복되지 않는) 리소스를 사용하여 하향 제어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즉,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활용할 수 있다. 또, UE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중복되지 않는) 부분에 할당되는 인덱스(도 6에서는 인덱스 1―24)는, 미리 설정(configure)되어도,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되어도 좋다.
(형태 1―6)
다음으로, 형태 1―6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1―6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도,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여 모니터한다. 또, 형태 1―6에서는,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를 적용한다.
형태 1―6에 따른 구성 예가 도 7에 도시된다. 여기서는, 형태 1―2에 있어서의 도 3과 마찬가지로,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지만,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한다.
형태 1―5의 도 6과 마찬가지로, 제어 리소스 세트는, 30개의 REG로 구성되어 있다. 단, 형태 1―6의 도 7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도, UE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여 처리되기 때문에, 30개의 REG 전부에 REG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다.
네트워크는, 먼저, 브로드캐스트 정보와의 중복이 없다고 상정하여, 하향 제어 채널의 맵핑을 수행한다. 도 7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을 REG 인덱스 11―16에 맵핑하는 것을 결정한다(맵핑 리소스의 결정). 그 다음,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맵핑을 수행하지만, REG 인덱스 15, 16에 있어서, 하향 제어 채널과의 중복이 있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정보(REG 인덱스 15―20)에 대해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
UE는, 미리 통지 또는 결정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REG 인덱스 1―30을 이용하여 모니터한다. 단,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서는, REG 인덱스 15, 16에 있어서, 하향 제어 채널과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
여기서, 레이트 매칭이란, 실제로 이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를 고려하여, 부호화 후의 비트(부호화 비트)의 수를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이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에 맵핑 가능한 비트 수보다도 부호화 비트 수가 적은 경우, 부호화 비트의 적어도 일부가 반복되어도 좋다. 해당 맵핑 가능한 비트 수보다도 부호화 비트 수가 많은 경우,부호화 비트의 일부가 삭제되어도 좋다.
또, 레이트 매칭 대신에 펑처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펑처란,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할당된 무선 리소스 중, 사용할 수 없는 리소스량을 고려하지 않고 부호화를 수행하지만, 실제로 이용할 수 없는 리소스(예를 들면, REG 인덱스 15, 16)에 대해 부호화 심벌을 맵핑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형태 1―6에 의하면, 제어 리소스 세트에 충돌하여 배치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대해,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된 정보로서 복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UE에 있어서, 충돌한 제어 리소스 세트에만, 특별한 처리(일부만의 모니터, 무선 리소스의 시프트 등)를 수행하지 않고, 모니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REG 인덱스 11―16에 대응되는 하향 제어 채널과, REG 24―29에 대응되는 하향 제어 채널은, 같은 UE에 대한 하향 제어 채널이라도, 각각 다른 UE에 대한 하향 제어 채널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한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와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충돌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하향 링크 데이터가 충돌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종 형태를 설명한다.
(형태 2―1)
형태 2―1에서는, UE는,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모니터를 수행하지 않는다(스킵한다). 이는, 상술한 형태 1―2와 유사하다.
도 8에 도시되는,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된다. 단,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는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리소스 세트의 위치(주파수―시간 리소스)에 대해서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 등으로 UE에 미리 통지되어 있다(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되어 있다). 또, 하향 링크 데이터의 무선 리소스 위치는, 1번째 심벌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서 송신된 하향 제어 채널(하향 제어 정보)을 통해 지정되어 있으며,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되어 있다.
UE는, 이들의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만, 모니터를 스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있어서는, 3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모니터를 스킵한다.
형태 2―1에 따르면,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만, UE는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2―2)
다음으로, 형태 2―2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2―2에서는, 형태 1―6과 동일하게, 충돌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도 모니터를 수행하고,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를 적용한다.
형태 2―2에 따른 구성 예가 도 9, 도 10에 도시된다. 여기서는, 형태 2―1에 있어서의 도 8과 마찬가지로, 제어 리소스 세트는, 1번째, 3번째, 5번째, 및,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지만, 3번째 심벌에 있어서, 제어 리소스 세트는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한다. 또, 하향 링크 데이터의 무선 리소스 위치는, 1번째 심벌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서 송신된 하향 제어 채널(하향 제어 정보)을 통해 지정되어 있다.
도 9는, 제어 리소스 세트와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중복부에 있어서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를 적용하는 구성 예이다(옵션 1). 도 10은, 제어 리소스 세트의 하향 제어 정보(DCI)에 있어서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를 적용하는 구성 예이다(옵션 2).
(옵션 1)
네트워크는, 우선,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중복이 없다고 상정하여, 하향 제어 채널(제어 리소스 세트)의 맵핑을 수행한다(맵핑 리소스의 결정). 그 다음, 하향 링크 데이터의 맵핑을 수행하지만, 제어 리소스 세트와의 중복이 있기 때문에,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
UE는,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 모니터한다. 단,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는,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중복부가 있기 때문에, 중복부 주위의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도 9).
여기서, 레이트 매칭 대신에 펑처를 이용해도 좋다.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서는, 펑처를 적용함으로써, 하향 링크 데이터의 일부의 송신이 보류되는 경우가 있지만, 다른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송신할 수 있고, 그리고 수신기 처리를 펑처 유무로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옵션 2)
네트워크는, 우선,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중복이 없다고 상정하여, 하향 제어 채널(DCI)의 맵핑을 수행한다(맵핑 리소스의 결정). 그 다음, 하향 링크 데이터의 맵핑을 수행하지만, DCI와의 중복이 있기 때문에,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
UE는,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 모니터한다. 이 결과 DCI가 복호된다. UE는, DCI의 주위의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도 10).
레이트 매칭 대신에 펑처를 이용하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옵션 1)과 동일하다.
형태 2―2에 따르면, 하향 링크 데이터에 중복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중복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게 모니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2―3)
다음으로, 형태 2―3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2―3에서는, 형태 1―5와 마찬가지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지 않고, 충돌하지 않는(중복하지 않는) 부분(리소스)에 대해,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여 모니터한다(도 11). 네트워크 및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차이점 이외는, 형태 1―5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형태 2―3에 따르면, 하향 링크 데이터에 충돌하지 않는(중복하지 않는) 리소스를 사용하여 하향 제어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즉,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를 활용할 수 있다. 또, UE는,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2―4)
다음으로, 형태 2―4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2―4에서는, 형태 1―6과 마찬가지로,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도,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여 모니터한다. 또, 형태 2―4에서는,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를 적용한다(도 12). 네트워크 및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차이점 이외는, 형태 1―6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형태 2―4에 따르면, 제어 리소스 세트에 충돌하여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된 정보로서 복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UE에 있어서, 충돌한 제어 리소스 세트에만, 특별한 처리(일부만의 모니터, 무선 리소스의 시프트 등)를 수행하지 않고, 모니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2―5)
다음으로, 형태 2―5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2―5에서는, 형태 1―3과 마찬가지로,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시간축 방향으로 시프트되고,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충돌이 회피된다(도 13). 네트워크 및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차이점 이외는, 형태 1―3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형태 2―5에 따르면,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지 않는 유효한 리소스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는,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또,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되는 하향 제어 채널은,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지 않는 리소스(유효한 리소스)로 맵핑되기 때문에,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이 억제된다. 또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다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기다려서,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신 지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2―6)
다음으로, 형태 2―6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2―6에서는, 형태 1―4와 마찬가지로,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주파수축 방향으로 시프트되고,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충돌이 회피된다(도 14). 네트워크 및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하향 링크 데이터와의 차이점 이외는, 형태 1―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형태 2―6에 따르면,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지 않는 유효한 리소스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는,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는 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또,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되는 하향 제어 채널은, 하향 링크 데이터와 충돌하지 않는 리소스(유효한 리소스)로 맵핑되기 때문에,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이 억제된다. 또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다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기다려서,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충돌하는 심벌 이후의 심벌에서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신 지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했을 때에, 제어 리소스 세트와 하향 링크 데이터가 충돌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배치되는 무선 리소스(심벌)가 상향 링크에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에 있어서는, 상향 링크의 설정(configure)은 동적(다이나믹)하게 수행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리소스 세트가 배치되는 심벌이 상향 링크에 이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UE는, 미리 통지 또는 결정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동적으로 통지되는 상향 링크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어 리소스 세트가 배치되는 심벌이 상향 링크에 이용되는 것을 검출(특정)한다. UE는, 검출된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모니터를 스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있어서는, 7번째 심벌에 설정(configure)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모니터를 스킵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리소스 스킵이 배치되는 심벌이 상향 링크에 이용되는 경우, 대응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만, UE는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가 충돌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각종 형태를 설명한다.
(형태 4―1)
우선, 형태 4―1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4―1에서는, 형태 1―6, 형태 2―2, 형태 2―4와 마찬가지로, CSI―RS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CSI―RS와 충돌하는 부분(리소스)에 대해서도, 제어 리소스 세트라 간주하여 모니터한다(도 16). 또, 형태 4―1에서는,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를 적용한다. 네트워크 및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CSI―RS와의 차이점 이외는, 형태 1―6, 형태 2―2, 형태 2―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형태 4―1에 따르면, 제어 리소스 세트에 충돌하여 배치되는 CSI―RS에 대해,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된 정보로서 복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UE에 있어서, 충돌한 제어 리소스 세트에만, 특별한 처리(일부만의 모니터, 무선 리소스의 시프트 등)를 수행하지 않고, 모니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4―2)
다음으로, 형태 4―2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4―2에서는, 형태 1―3과 마찬가지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시간축 방향으로 시프트되고, CSI―RS와의 충돌이 회피된다(도 17). 네트워크 및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CSI―RS와의 차이점 이외는, 형태 1―3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형태 4―2에 따르면, CSI―RS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CSI―RS와 충돌하지 않는 유효한 리소스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는, CSI―RS와 충돌하는 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또,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되는 하향 제어 채널은, CSI―RS와 충돌하지 않는 리소스(유효한 리소스)로 맵핑되기 때문에,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이 억제된다. 또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다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기다려서,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신 지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형태 4―3)
다음으로, 형태 4―3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 4―3에서는, 형태 1―4와 마찬가지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가 주파수축 방향으로 시프트되고, CSI―RS와의 충돌이 회피된다(도 18). 네트워크 및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와 CSI―RS와의 차이점 이외는, 형태 1―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형태 4―3에 따르면, CSI―RS와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 CSI―RS와 충돌하지 않는 유효한 리소스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E는, CSI―RS와 충돌하는 리소스에 대해, 모니터링·복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일 없이,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또,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에 맵핑되는 하향 제어 채널은, CSI―RS와 충돌하지 않는 리소스(유효한 리소스)로 맵핑되기 때문에,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이 억제된다. 또한, 충돌하는 제어 리소스 세트의 다음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기다려서,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충돌하는 심벌 이후의 심벌에서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신 지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리소스 세트를 유연하게 배치할 때에, 제어 리소스 세트와 CSI―RS가 충돌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제어 리소스 세트가 중복하여 배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장래의 시스템에서는, UE 또는 UE 그룹에 대해, 복수 종류의 제어 리소스 세트가 설정(configure)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제어 리소스 세트가 중복되어 배치되는 것이 상정된다.
도 19에서는, 1번째와 3번째 심벌에서 다른 제어 리소스 세트가 일부 겹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UE는, 어느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도, 중복이 없다고 상정하여 모니터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어 리소스 세트의 PDCCH 후보/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한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복수의 제어 리소스 세트로부터, 바람직한 제어 리소스 세트를 이용하여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제어 리소스 세트의 통신 품질, 또는, 배치 상태(설정(configure) 빈도 등)에 따라, 적절한 제어 리소스 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결과, 통신 품질의 열화 및/또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복된 제어 리소스 세트의 어느 하나를, 시간축 방향 또는 주파수축 방향 시프트한 후에, UE가, 어느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해서도 모니터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같은 무선 리소스 영역을 중복하여 모니터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 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R(New Radio),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이들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은, 비교적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 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각 셀 및 유저 단말(20)의 배치, 수 등은, 도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 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매크로 셀(C1) 및 스몰 셀(C2)을, CA 또는 DC에 의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 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5개 이하의 CC, 6개 이상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해도 좋다.
유저 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 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 GHz, 5 GHz 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유저 단말(20)은, 각 셀에서,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각 셀(캐리어)에서는, 단일의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으며, 다른 복수의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 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이동국)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고정국)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되고, 상향 링크에 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OFDMA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무선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 단말(20)에서 공유되는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하향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이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하향 L1/L2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또는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또한, DCI에 의해 스케줄링 정보가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DL 데이터 수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라 불려도 좋으며, UL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라 불려도 좋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벌 수가 전송된다. PHICH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달 확인 정보(예를 들면, 재송 제어 정보, 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가 전송된다. EPDCCH는, PDSCH(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와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 단말(20)에서 공유되는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향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등이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 링크의 무선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송달 확인 정보, 스케줄링 리퀘스트(SR: Scheduling Request) 등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전송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참조 신호로서,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위치 결정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등이 전송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참조 신호로서, 측정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등이 전송된다. 또한, DMRS는 유저 단말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라 불려도 좋다. 또, 전송되는 참조 신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하향 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 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1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상향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호 처리(설정, 해방 등)나,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 무선리소스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실시하는 아날로그 빔포밍부를 더 가져도 좋다. 아날로그 빔포밍부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 위상 시프트 회로) 또는 아날로그 빔포밍 장치(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기)로 구성해도 좋다. 또, 송수신 안테나(101)는, 예를 들면, 배열 안테나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송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해도 좋으며,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제어부(301)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동기 신호(예를 들면, NR-PSS, NR-SSS 등)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예를 들면, NR-PBCH)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블록(SS 블록)을 송신한다. 송수신부(103)는, 다른 복수의 SS 블록을 이용하여 같은 내용 및/또는 구성을 갖는 NR-PBCH를 송신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적어도 한 종류의 제어 리소스 세트, 브로드캐스트 정보, 하향 링크 데이터, 및, CSI-RS를 송신해도 좋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스케줄러)(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무선기지국(1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스케줄러)(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의한 신호의 생성, 맵핑부(303)에 의한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의한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305)에 의한 신호의 측정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시스템 정보, 하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하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DCCH 및/또는 EPDC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송달 확인 정보 등)의 스케줄링(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등의 생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동기 신호(예를 들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하향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 CSI-RS, DMRS) 등의 스케줄링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상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UCCH 및/또는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송달 확인 정보 등),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예를 들면, PRA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있어서의 디지털 BF(예를 들면, 프리코딩) 및/또는 송수신부(103)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BF(예를 들면, 위상 회전)를 이용하여,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하향 전파로 정보, 상향 전파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빔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이들의 전파로 정보는, 수신신호 처리부(304) 및/또는 측정부(305)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제어부(301)는, RRC 시그널링 또는 SIB를 사용하여, 유저 단말(20)이 타 셀의 SS 블록에 포함되는 PBCH를 복호하지 않는 것을 명시적으로 지시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상기 제1-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각종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DL 어사인먼트 및/또는 상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UL 그랜트를 생성한다. DL 어사인먼트 및 UL 그랜트는, 모두 DCI이며, 대응되는 DCI 포맷에 따른다. 또, 하향 데이터 신호에는, 각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에 따라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가 수행된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하향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맵핑부(3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송수신부(1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유저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을 수신한 경우, HARQ-ACK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한다.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3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3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 단말)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 단말(2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1), 앰프부(202), 송수신부(2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하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 링크의 데이터 중 브로드캐스트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채널 부호화, 프리코딩,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이루어져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실시하는 아날로그 빔포밍부를 더 가져도 좋다. 아날로그 빔포밍부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 위상 시프트 회로) 또는 아날로그 빔포밍 장치(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기)로 구성해도 좋다. 또, 송수신 안테나(101)는, 예를 들면, 배열 안테나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송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해도 좋으며,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제어부(401)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동기 신호(예를 들면, NR-PSS, NR-SSS 등)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예를 들면, NR-PBCH)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블록(SS 블록)을 송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상기 제1-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각종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 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 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유저 단말(2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401)는, 유저 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있어서의 신호의 생성, 맵핑부(403)에 있어서의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있어서의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405)에 있어서의 신호의 측정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제어 신호 및 하향 데이터 신호를, 수신신호 처리부(404)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401)는, 하향 제어 신호 및/또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신호 및/또는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있어서의 디지털 BF(예를 들면, 프리코딩) 및/또는 송수신부(203)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BF(예를 들면, 위상 회전)를 이용하여,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하향 전파로 정보, 상향 전파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빔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이들의 전파로 정보는, 수신신호 처리부(404) 및/또는 측정부(405)로부터 취득되어도 좋다.
제어부(401)는, 상기 제1-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 리소스 세트를 제어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예를 들면,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정보, 채널 상태 정보(CSI) 등에 관한 상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는 하향 제어 신호에 UL 그랜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1)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지시받는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상향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맵핑부(4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송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DCI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405)로 출력한다.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4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 측정, CSI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4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SINR, SNR),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401)로 출력되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 단말 등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으로, 1 이상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등은, 프로세서(1001)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테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 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벌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이라 약칭할 수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또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 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 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나 송신전력 등)을,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가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를, 통상 TTI(LTE Rel.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러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또는, 서브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TTI의 길이어도 좋다. 1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의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로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인 통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g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 단말(user terminal)', '유저 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 단말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 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 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 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이나 '하향' 등의 문언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 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2개의 요소가 접속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또는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되는' 등의 용어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Claims (6)

  1.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하향 링크 신호가, 하향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와는 다르며, 그리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무선 리소스가,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중복되는 경우, 상기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대해 소정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제어로서 상기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의 모니터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제어로서, 상기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 이외의 무선 리소스를 모니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제어로서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를 수행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하향 링크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6. 유저 단말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상기 하향 링크 신호가, 하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와는 다르며, 그리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무선 리소스가,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중복되는 경우, 상기 하향 제어 채널 검출용 모니터 영역에 대해 소정의 제어를 수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207000172A 2017-06-15 2017-06-15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2000157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2210 WO2018229951A1 (ja) 2017-06-15 2017-06-15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706A true KR20200015706A (ko) 2020-02-12

Family

ID=6466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172A KR20200015706A (ko) 2017-06-15 2017-06-15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40819B2 (ko)
EP (1) EP3641438B1 (ko)
JP (1) JP6791611B2 (ko)
KR (1) KR20200015706A (ko)
CN (1) CN110915273B (ko)
BR (1) BR112019026709A2 (ko)
DK (1) DK3641438T3 (ko)
PT (1) PT3641438T (ko)
RU (1) RU2751788C9 (ko)
WO (1) WO2018229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5338B2 (en) * 2017-07-12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resource set configuration for 5G next radio system
CN113517952A (zh) 2017-09-30 2021-10-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确定时频资源的方法及装置
CN111066363B (zh) * 2018-08-07 2023-04-18 Lg电子株式会社 节点在无线通信系统中的资源使用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
WO2021048581A1 (en) * 2019-09-09 2021-03-18 Orope France Sarl A method for control channel detection in wideband operation
US10993264B1 (en) 2019-10-15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s in multiple transmit-receive point (TRP) scenarios
WO2022081053A1 (en) * 2020-10-14 2022-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signa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871405B2 (en) * 2021-07-27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parameters for unequal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CN113727307B (zh) * 2021-10-15 2023-08-15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冲突检测与冲突避免联合的车联网资源选择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2426B2 (en) * 2008-03-24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42069B2 (en) * 2008-04-14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uplink control for restricted association networks
US9554368B2 (en) 2011-10-10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532546A (ja) * 2012-09-27 2015-11-09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物理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リソースを判定する方法
KR102491072B1 (ko) * 2016-12-07 2023-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에 대한 제어 채널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00 V8.12.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Release 8)", 2010년 4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1788C1 (ru) 2021-07-16
CN110915273B (zh) 2023-11-14
WO2018229951A1 (ja) 2018-12-20
EP3641438A4 (en) 2020-12-30
BR112019026709A2 (pt) 2020-06-30
PT3641438T (pt) 2023-12-29
US11240819B2 (en) 2022-02-01
JPWO2018229951A1 (ja) 2020-04-16
EP3641438B1 (en) 2023-12-06
JP6791611B2 (ja) 2020-11-25
RU2751788C9 (ru) 2021-08-17
EP3641438A1 (en) 2020-04-22
US20210153202A1 (en) 2021-05-20
DK3641438T3 (da) 2024-01-08
CN110915273A (zh)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97643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0915273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WO2019215932A1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1528737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19368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00030554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19224875A1 (ja) ユーザ端末
WO201917151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133780A (zh) 用户终端、基站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JP7251983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917603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90073421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152478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1700607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15929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16332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およびシステム
JPWO2018158923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814338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851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97644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855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4227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220624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基地局
WO2020039483A1 (ja) ユーザ端末
WO201913528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