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210A - Stroller - Google Patents

S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210A
KR20200014210A KR1020190089329A KR20190089329A KR20200014210A KR 20200014210 A KR20200014210 A KR 20200014210A KR 1020190089329 A KR1020190089329 A KR 1020190089329A KR 20190089329 A KR20190089329 A KR 20190089329A KR 20200014210 A KR20200014210 A KR 20200014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seat
holding member
main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7428B1 (en
Inventor
나오 시미즈
도모야스 노자와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2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Abstract

A stroller (10) comprises: a stroller main body (20); a maintaining member (50) provided on the stroller main body (20); and a seat (60) having a supported part (63) supported by a supporting part (53) provided on the maintaining member (50)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troller main body (20) through the maintaining member (50). In the stroller (10), a fixing device (90) is provided to maintain a fixed state in which the supported part (63) is supported on the supporting part (53), and an operation part (55), which releases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device (9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troller main body (20) and the maintaining member (50).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Stroller {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JP2015-532903A에 개시된 유모차는, 유모차 본체와, 좌석과, 좌석을 유모차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를 갖고 있으며, 좌석을 유모차 본체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JP2015-532903A has a baby carriage body, a seat, and a mounting structure for attaching the seat to the baby carriage body, and the seat can be detached from the baby carriage body.

그런데, 좌석을 착탈 가능한 유모차는,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좌석이 의도하지 않게 유모차 본체로부터 빠져 버리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좌석을 의도하여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way, in order to ensure safety, the stroller which can attach or detach a seat needs to make sure that the seat does not accidentally fall out of the stroller main body. In addition, when the seat is intended to be separated from the baby carriag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be easily detachable.

본건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좌석이 의도하지 않게 유모차 본체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저감된 유모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혹은, 좌석을 의도하여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 point, Comprising: It aims at provision of the baby carriage in which the possibility that the seat falls out of the baby carriage body unintentionally is reduced.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aby carriage that can be easily removed when the seat is 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baby carriage body.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는,The first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모차 본체와,With the stroller body,

상기 유모차 본체에 마련된 유지 부재와,A holding member provided in the stroller body;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를 통해 상기 유모차 본체에 착탈 가능한 좌석을 구비하고,It has a supported part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said holding member, Comprising: The seat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via the said holding member,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가 마련되고,A fix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supported portion in a fixed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가, 상기 유모차 본체 및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다.An operation unit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and the hold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유지 부재 또는 상기 피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와 대면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된 돌기(突起)와,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갖고,The fix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or the supported portion, provided in the projection pressed on the side facing the supported portion or the holding member, and provided in the supported portion or the holding member, and the projection is provided. It has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돌기 수용부에 수용된 돌기를 상기 돌기 수용부로부터 압출하거나, 또는, 인출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The said operation part may be extruded from the said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or may draw out the protrusion accommodated in the said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 사이에, 상기 좌석을 상기 유모차 본체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상기 좌석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A pressurizing means for pressing the sea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ed portion so as to separate the seat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는,The second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모차 본체와,With the stroller body,

상기 유모차 본체에 마련된 유지 부재와,A holding member provided in the stroller body;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된 지지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유모차 본체에 착탈 가능한 좌석을 구비하고,It has a support part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said holding member, The seat is provided with the seat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상기 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 사이에, 상기 좌석을 상기 유모차 본체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상기 좌석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Press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supported portion to press the seat so as to separate the seat from the stroller body.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에 걸어맞춰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가 마련되고,A fix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supported portion in a fixed state engaged with the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가, 상기 유모차 본체 및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The operation part which releases the fixed state by the said fix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and the said hold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유지 부재 또는 상기 피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와 대면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된 돌기와,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갖고,The fixing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holding member or the supported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supported portion or the holding member, and is provided on the supported portion or the holding member, and the protrusion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jection. Have a receptacle,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돌기 수용부에 수용된 돌기를 상기 돌기 수용부로부터 압출하거나, 또는, 인출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The said operation part may be extruded from the said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or may draw out the protrusion accommodated in the said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or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지지부는, 상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갖고,The support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has an accommodation hole opened upward or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upward,

상기 좌석의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수용 구멍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한 삽입부, 또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삽입부를 받아들임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을 갖고 있어도 된다.The said to-be-supported part of the said seat may have the insertion part which protru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said accommodating hole of the said support part, or the accommodating hole which opened the insertion part of the said support part below acceptably.

본 발명에 따른 제1 또는 제2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first or second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좌석을 전후의 방향을 바꾸어 유지 가능해도 된다.The stroller main body may be capable of holding the seat by chang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이 의도하지 않게 유모차 본체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저감된다. 혹은, 좌석을 의도하여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of the seat unintentionally coming off the baby carriage body is reduced. Alternatively, when the seat is 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stroller body, the seat can be easily re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를 전개(展開) 상태에서 전방(前方)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유모차를 폴딩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유모차의 유모차 본체를 전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유모차의 전방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유모차의 유모차 본체 및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유모차의 부분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유모차의 좌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좌석의 유모차 본체에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I-I선을 따른 유지 부재 및 피지지부의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유모차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for demonstrating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baby carriage from the front in the expanded stat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by carriage of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by carriage of FIG. 1 in a folded stat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by carriage body of the baby carriage of Fig. 1 from the front in a deployed state.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baby carriage of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by carriage body and the holding member of the baby carriage of FIG. 4.
7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by carriage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t of the baby carriage of FIG. 1.
It is a side view explaining the mounting method of a sea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supported portion along the line II in FIG. 7; FIG.
FIG. 11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baby carriage. FIG.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도 3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되는 좌석(60)을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20)가 상대 동작 가능한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가짐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에는 유지 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20)는, 이 유지 부재(50)를 통해, 도 8에 나타난 좌석(60)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좌석(60)의 전후의 방향을 바꾸어, 즉 배면 상태와 대면 상태를 변경 가능하게, 좌석(60)을 유지할 수 있다.1-11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baby carriag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1 to 3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As shown in FIGS. 1-3, the baby carriage 1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has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nd the seat 60 hold | maintaine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As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has the some component which can operate relatively, as shown in FIG. 3, the baby carriage 10 can be folded. 4, the holding member 50 is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detachably hold the seat 60 shown in FIG. 8 via this holding member 50. In particula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the stroller main body 20 can hold the seat 60 so that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eat 60 can be changed, that is, the back state and the facing state can be changed.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를 조종하는 조종자(유모차(10)의 이용자, 보호자)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으로서,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유모차(10)를 조종하는 조종자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아래측 그리고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유모차(10) 전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이란, 횡 방향으로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of "before", "after", "up", "down", "front-back direction", and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10 and the baby carriage body 20 are specifically, When there is no instruction, the "front", "after", "up", "down", "front and rear" on the basis of the manipulator (user, guardian of the baby carriage 10) which controls the baby carriage 10 in a deployed state. And "up and down direction". Therefor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a direction which connects the lower left and upper right of the ground in FIG. 1, and corresponds to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ground in FIG.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front" is the side which the operator who steers the baby carriage 10 faces, and the lower left side of the ground in FIG. 1, and the left side of the ground in FIG. 2 are strollers 10 It becomes the front side. In addition, "up-down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a front-back direction, and orthogonal to a ground plane. Therefore, when the ground plane is a horizontal plane, the "up and down direction"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 "width direction" is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of "front-back direction" and "up-down dire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유모차(10)에 포함되는 몇 가지 구성 요소는, 일부의 도면에서는 나타나 있지만,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addition, although som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baby carriage 10 are shown in some drawings,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the other figure.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된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되는 좌석(6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유모차(10)는, 도 1 및 도 2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6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쿠션 시트(80)를 갖고 있다. 유유아는, 쿠션 시트(80) 위에 타게 된다. 또한, 유모차(10)는, 수납용 바구니나, 덮개 등의 도시하지 않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10 includes a baby carriage body 20 and a seat 60 held by the holding member 50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body 20. Moreover, the baby carriage 10 has the cushion seat 80 which is detachably fixed to the seat 60,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 and FIG. Infants are riding on the cushion sheet 80. The baby carriage 10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not shown, such as a storage basket and a cover.

우선,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유모차 본체(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20)는, 차륜(33, 38) 및 핸들(40)을 갖고 있으며, 조종자가 핸들(40)을 파지하여 밀고 나갈 수 있는 손수레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핸들(40), 하단에 차륜(33, 38)을 포함한 전각(前脚)(30) 및 후각(後脚)(35)에 더하여, 제1∼제3 링크 부재(21∼23)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더 갖고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유모차 본체(20)의 폴딩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대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First, the stroller main body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xample. As shown in FIGS. 1-4, the stroller main body 20 has the structure generally symmetric about the width direction center surface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s a whol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has wheels 33 and 38 and a handle 40, and is a cart that an operator can grasp and push the handle 40 to push out. As shown in FIG. 4,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ncludes a handle 40 and a first leg 30 and a rear leg 35 including wheels 33 and 38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third link members 21 to 23 are further included as main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capable of relative operation in order to enabl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21)는, 전각(30) 및 후각(35)의 상방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21)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o FIG. 2 and FIG. 4, the 1st link member 21 is located above the full-width 30 and the back 35, and is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pair of first link members 21 are provid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1st link member 21 is formed as a resin molded article, for example.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21)에는, 전각(30)이 접속해 있다.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전각(30)이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즉, 각 전각(30)은, 폭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전각(30)은, 제1 링크 부재(21)의 전방 부분, 특히 제1 링크 부재(21)의 전단(前端) 부분에 접속해 있다. 전각(30)은, 길이 방향을 갖고 있다. 전각(30)의 길이 방향이 전방을 향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전각(30)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전각(30)은,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전각(30)은, 제1 링크 부재(21)와 요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환언하면, 제1 링크 부재(21) 및 전각(30)은,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4, the full width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first link members 21, a pair of full lengths 30 are provid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each full length 30 is connected with the 1st link member 21 of the corresponding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full length 30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of the 1st link member 21, especially the front end part of the 1st link member 21. As shown in FIG. The em corner 3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angle 3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gle 30 may face downwar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em corner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at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The em corner 3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In other words,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full-width 30 are rotatable centering on the axis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전각(30)은, 제1 링크 부재(21)와 그 일단(一端)에 있어서 접속한 전각 주재(主材)(31)와, 전각 주재(31)에 접속한 전륜 유지 부재(32)와, 전륜 유지 부재(32)에 도시하지 않은 차축을 통해 유지된 전륜(33)을 갖고 있다. 전각 주재(31)는, 길이 방향을 갖고 있다. 전각 주재(31)는, 예를 들면, 금속제나 수지제의 파이프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륜 유지 부재(32)는, 길이 방향을 갖고 있으며, 전각 주재(31)의 연장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륜 유지 부재(32)는, 전각 주재(31)의 하단 부분에 접속해 있다. 전륜 유지 부재(32)는,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전각 주재(31)에 접속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ull width 30 includes the full width main body 31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and one end thereof, and the front wheel holding connected to the full width main material 31. The front wheel 33 is hold | maintained through the member 32 and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through the axl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full length main body 31 h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ull-base main body 31 can be formed using a metal or resin pipe material, for example.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as an extension of the full width main body 31.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ull length main body 31.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is connected to the full width main body 31 at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 유지 부재(32)는, 그 하단 부분에 있어서, 전륜(33)이 장착된 차축(도시 생략)을 유지하고 있다. 전륜 유지 부재(32)는, 전각 주재(31)에 장착된 장착부(32a)와, 차축을 통해 전륜(33)을 유지하는 차축 유지부(32c)와, 이들 사이에 있는 중간 지지부(32b)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중간 지지부(32b)는, 장착부(32a)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 결과, 중간 지지부(32b)는, 전각 주재(31)보다 폭 방향 내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차축 유지부(32c)를 지지하고 있다. 차축 유지부(32c)는, 중간 지지부(32b)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륜(33) 및 전륜 유지 부재(32)를 포함하는 전륜 유지체는 캐스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전륜 유지체는, 쌍륜 형식으로서, 차축 유지부(32c)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륜(33)을 갖고 있다. 중간 지지부(32b)가 장착부(32a)에 대하여 폭 방향 내측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폭 방향 외측의 전륜(33)이, 폭 방향으로 크게 돌출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holds an axle (not shown) in which the front wheel 33 is mounted at its lower end portion.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2a attached to the full width main body 31, an axle holding portion 32c for holding the front wheel 33 through the axle, and an intermediate support portion 32b therebetween. Hav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32b is offset from the mounting part 32a in the width direction inside. As a result, the intermediate | middle support part 32b is supporting the axle holding part 32c in the position shifted | deviated to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han the full width main body 31. As shown in FIG. The axle holding part 32c may be able to pivot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 middle support part 32b. In this case, the front wheel holder including the front wheel 33 and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functions as a cast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ront wheel holder has a pair of front wheels 3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axle holding part 32c as a twin wheel type. Since the intermediate | middle support part 32b is shift | deviated in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art 32a, the front wheel 33 of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can avoid large protrusion in the width direction.

전륜 유지 부재(32)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전륜 유지 부재(32)는, 보강용 금속제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 지지부(32b)는, 금속제 파이프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is formed using a resin molding, for example. In addition,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may include a reinforcing metal pipe.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support part 32b may include a metal pipe.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폭 방향 내측이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 본체(20)의 중심에 접근하는 측을 말한다. 한편, 폭 방향 외측이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 본체(20)의 중심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을 말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width direction inner side means the side approaching the center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n a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means the sid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n the width direction.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한 쌍의 전각(30)을 연결하는 부재를 갖고 있다. 도시된 유모차 본체(20)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한 쌍의 전각(30)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각 연결 부재(26)와, 전각 연결 부재(26) 위에 마련된 전방 부재(27)를 갖고 있다. 전각 연결 부재(26)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전방 부재(27)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As shown to FIG. 4 and FIG. 5,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has the member which connects a pair of full length 30. As shown in FIG. In the illustrated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5,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s on the full width | strength connection member 26 which connects between a pair of full width | strengths 30, and the full width coupling member 26. As shown in FIG. It has the front member 27 provided. The full width connection member 26 is formed using a metal pipe, for example. The front member 27 is formed using a resin molded article, for example.

전각 연결 부재(26)는, 그 양단이 전륜 유지 부재(32)에 접속해 있다. 따라서, 전각 연결 부재(26)의 전각(30)에의 접속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전각 주재(31) 위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각 연결 부재(26)는, 도 2에 나타난 측면에서 볼 때, 전륜 유지 부재(32)에 의해 은폐된다. 따라서, 의장성의 면에서도 형편이 좋다. 또한, 전방 부재(2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전각 연결 부재(2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전방 부재(2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22)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Both ends of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are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to the full width 30,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ember on the full width main body 31. In addition,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is concealed by the front wheel holding member 32 when viewed from the side shown in FIG. 2. Therefore, the situation is also good in terms of design. Moreover, the front member 27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centered on the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ont member 27 constitutes a part of the second link member 22 as described later.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21)에는, 후각(35)이 더 접속해 있다.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에 대응하여, 한 쌍의 후각(35)이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즉, 각 후각(35)은, 폭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후각(35)은, 제1 링크 부재(21)의 전방 부분, 특히 제1 링크 부재(21)의 전단 부분에 접속해 있다. 후각(35)은, 길이 방향을 갖고 있다. 후각(35)의 길이 방향이 후방을 향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후각(35)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후각(35)은,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후각(35)은, 제1 링크 부재(21)와 요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환언하면, 제1 링크 부재(21) 및 후각(35)은,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to FIG. 2 and FIG. 4, the back 35 is connected to the 1st link member 21 further.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first link members 21, a pair of olfactory legs 35 are provid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each olfactory leg 35 is connected with the 1st link member 21 of the corresponding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back leg 35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of the 1st link member 21, especially the front end part of the 1st link member 21. As shown in FIG. The olfactory 35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r leg 35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 leg 35 may face downwar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lfactory leg 35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at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The smell 35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so as to be swingable. In other words,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back 35 are rotatable centering on the axis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특히,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각(35)은, 대응하는 전각(30)과 동일 위치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즉, 제1 링크 부재(21)와 전각(30)과의 접속 위치(JP1)는, 제1 링크 부재(21)와 후각(35)과의 접속 위치(JP2)와 일치해 있다. 따라서, 제1 링크 부재(21)에 대한 전각(30)의 회동 축선과, 제1 링크 부재(21)에 대한 후각(35)의 회동 축선도 일치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the rear leg 35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orresponding full width 30. That is, the connection position JP1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full-width 30 is corresponded with the connection position JP2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back 35.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rotation axis of the full width 30 with respect to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back angle 35 with respect to the 1st link member 21 also correspond.

도시된 예에 있어서, 후각(35)은, 제1 링크 부재(21)와 그 일단에 있어서 접속한 후각 주재(36)와, 후각 주재(36)에 접속한 후륜 유지 부재(37)와, 후륜 유지 부재(37)에 도시하지 않은 차축을 통해 유지된 후륜(38)을 갖고 있다. 후각 주재(36)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후각 주재(36)는, 그 중간 부분에 있어서 굴곡 또는 만곡해 있다. 그리고, 후각 주재(36)의 하방 부분은, 후각 주재(36)의 상방 부분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해 있다. 이에 따라, 후륜 유지 부재(37) 및 후륜(38)의 폭 방향 외측에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후륜 유지 부재(37)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후륜 유지 부재(37)에는, 후륜(38)의 제동 기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ar leg 35 includes the rear main body 36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and one end thereof, the rear wheel holding member 37 connected to the rear main body 36, and the rear wheel. The holding member 37 has a rear wheel 38 held through an axle not shown. The olfactory base material 36 is formed using the metal pipe,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lfactory base 36 is bent or curved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And the lower part of the olfactory base material 36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han the upper part of the olfactory base material 36. Thereby, protrusion of the rear wheel holding member 37 and the rear wheel 38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can be suppressed. The rear wheel holding member 37 is formed using a resin molding, for example. The rear wheel holding member 37 may be provided with a brake mechanism of the rear wheel 38.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한 쌍의 후각(35)을 연결하는 후각 연결 부재(28)를 갖고 있다. 후각 연결 부재(28)는, 그 양단이 후륜 유지 부재(37)에 접속해 있다. 따라서, 후각 연결 부재(28)의 후각(35)에의 접속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후각 주재(36) 위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후각 연결 부재(28)는, 측면에서 볼 때, 후륜 유지 부재(37)에 의해 은폐된다. 따라서, 의장성의 면에서도 형편이 좋다. 후각 연결 부재(28)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has the olfactory connection member 28 which connects a pair of olfactory legs 35. As shown in FIG. Both ends of the back connecting member 28 are connected to the rear wheel holding member 37.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ember on the olfactory base 36 in order to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olfactory connection member 28 to the olfactory 35. In addition, the olfactory connection member 28 is concealed by the rear wheel holding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refore, the situation is also good in terms of design. The olfactory connection member 28 is formed using a resin molding, for example.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21)에는, 핸들(40)도 접속해 있다. 이하, 핸들(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핸들 본체(41)와, 핸들 본체(41)를 보강하는 보강 연결 부재(45)를 갖고 있다. 핸들 본체(41)는,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핸들 연장부(42)와, 핸들 연장부(42)를 연결하는 핸들 연결부(43)를 갖고 있다.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는,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는, 대칭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핸들 연장부(42)는, 길이 방향을 갖는 봉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다. 핸들 연장부(42)는, 후방을 향하여 상방을 향하도록,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각 핸들 연장부(42)는, 대응하는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각 핸들 연장부(42)는, 제1 링크 부재(21)의 후방 부분, 특히 후단 부분과 접속해 있다. 핸들 연장부(42)는, 그 중간 부분에 있어서,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해 있다. 핸들 연장부(42)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링크 부재(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2 and 4, the handle 40 is also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Hereinafter, the handle 4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the handle 40 has the handle main body 41 formed in U shape, and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which reinforces the handle main body 41. As shown in FIG. The handle main body 41 has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andle connection part 43 which connects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As shown in FIG. The pair of handle extension parts 42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first link members 21. The pair of handle extensions 42 may have a symmetrical configuration.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is a rod-shaped member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it may face upward toward the back. Each handle extension part 42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1st link member 21. Each handle extension part 42 is connected with the rear part of the 1st link member 21, especially the rear end part.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is connected with the 1st link member 21 in the intermediate part.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1st link member 21 centering on the axis lin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핸들 연결부(43)는,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의 상방측이 되는 단부(端部) 부분에 있어서,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를 연결하고 있다. 핸들 연결부(43)는, 유모차(10)의 조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된다. 유모차 본체(20)는, 그 전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기구(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핸들 연결부(43)에는, 이 고정 기구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44)가 마련되어 있다. 유모차(10)의 조종자는, 조작 장치(44)를 조작함으로써,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20)의 폴딩 조작을 개시할 수 있다.The handle connection part 43 connects a pair of handle extension part 42 in the edge part used as the upper side of a pair of handle extension part 42. As shown in FIG.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43 becomes a part held by the manipulator of the baby carriage 10.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has a fixing mechanism (not shown) for maintaining the expanded state. And the steering wheel connection part 43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apparatus 44 for remotely operating this fixing mechanism. The manipulator of the baby carriage 10 can start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n a deployed state by operating the operating device 44.

핸들 본체(41)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핸들 연장부(42) 및 핸들 연결부(43)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main body 41 is formed using a metal pipe, for example. The handle extension 42 and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43 may be integrally formed.

보강 연결 부재(45)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이나 금속제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보강 연결 부재(4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가 연결되어 있다. 보강 연결 부재(45)는, 핸들 연결부(43)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어서,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특히,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연결 부재(45)는, 핸들 연결부(43)의 핸들 연결부(43)가 접속해 있지 않은 측의 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즉 핸들 연결부(43)의 하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표현을 바꾸면, 보강 연결 부재(45)는, 각 핸들 연장부(42)의 핸들 연결부(43)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하단부와, 당해 핸들 연장부(42)의 제1 링크 부재(21)와 접속하는 접속 위치(JP3) 사이에 있어서, 당해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formed using a resin molded article or a metal pipe, for example.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air of handle extension parts 42 are connected.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at th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handle connection part 43.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the reinforcement connecting member 45 is located near the end of the side on which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43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43 is not connected, that i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43. In the vicinity, a pair of handle extensions 42 are connected. In addition, when the expression is changed,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hich separates from the handle connection part 43 of each handle extension part 42, and the 1st link member 21 of the said handle extension part 42. It is connected to the said handle extension part 42 between the connection positions JP3 to connect.

또한, 도 2의 측면에서 볼 때, 보강 연결 부재(45)는, 제1 링크 부재(21)와 전각(30)과의 접속 위치(JP1)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고, 핸들 본체(41)의 핸들 연결부(43)는, 당해 접속 위치(JP1)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해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의 측면에서 볼 때, 보강 연결 부재(45)는, 제1 링크 부재(21)와 후각(35)과의 접속 위치(JP2)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고, 핸들 본체(41)의 핸들 연결부(43)는, 당해 접속 위치(JP2)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 2의 측면에서 볼 때, 보강 연결 부재(45)는, 제1 링크 부재(21)와 후각(35)과의 접속 위치(JP2)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고, 제1 링크 부재(21)와 핸들 연장부(42)와의 접속 위치(JP3)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해 있다.In addition, as seen from the side of FIG. 2,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located below in the up-down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osition JP1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full length 30, and the handle main body 41 The steering wheel connection part 43 of () is located above in the up-down direction than the said connection position JP1. Similarly, when seen from the side of FIG. 2,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located below in the up-down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osition JP2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back 35, and the handle main body 41 The steering wheel connection part 43 of () is located above in the up-down direction than the said connection position JP2. In addition, as seen from the side of FIG. 2,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located rear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rather than the connection position JP2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back leg 35, and a 1st link member It is located ahea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osition JP3 between the 21 and the handle extension 42.

다음으로, 제2 링크 부재(2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한 쌍의 제2 링크 부재(2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2)는, 전각(30)과 핸들(40) 사이, 특히, 전각(30)의 중간 부분과 핸들(4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2)는, 전각(30) 및 핸들(40)의 각각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22)는, 대응하는 전각(30)과 핸들(40)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Next, the second link member 22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2nd link member 22 is provid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link member 22 is provided between the full width 30 and the handle 40, in particular, between the middle portion of the full width 30 and the handle 40. The 2nd link member 22 is rotatable about each of the full width | variety 30 and the handle 40 centering on the axis lin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link member 22 form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k element connect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em corner 30 and the handle 40.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2 링크 부재(22)는, 대응하는 전각(30)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22)는, 핸들(40)의 대응하는 핸들 연장부(42)의 하방 부분, 특히 하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22)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 부재(25)를 통해,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또한, 도 7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22)는, 전각 연결 부재(26)를 통해, 전각(30)에 접속해 있다. 여기에서 도 7은, 유모차(10)의 종단면도로서, 유모차(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cond link member 2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full width 3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link member 22 is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particularly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handle extension 42 of the handle 40. As shown in FIG. 7, the 2nd link member 22 is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through the main-axis member 25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7, the second link member 22 is connected to the full width 30 via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Here,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and has shown the structu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제2 링크 부재(22)는, 주축 부재(25)를 이용하여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한 측방 링크재(29)와, 측방 링크재(29)의 전단 부분에 고정되는 전방 부재(27)를 포함하고 있다. 측방 링크재(29)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한 쌍의 측방 링크재(29)가 마련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각 연결 부재(26)는, 한 쌍의 전각(30)에 접속하고, 한 쌍의 전각(30)을 연결하고 있다. 전방 부재(27)는, 전각 연결 부재(26) 위에 마련되고, 전각 연결 부재(2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 부재(2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측방 링크재(29)의 전단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전방 부재(27)의 폭 방향 단부분과, 당해 단부분과 접속한 측방 링크재(29)에 의해, 각 제2 링크 부재(2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링크 부재(22)는, 전방 부재(2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링크 부재(22)는, 전각(30)이나 핸들(40)에 대하여, 서로 동기하여 회동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전각(30)과 제2 링크 부재(22)와의 회동 축선은, 전방 부재(27)와 겹치는 영역, 즉, 전방 부재(27)에 의해 점해진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of the second link members 22 includes the side link members 29 and the side link members 29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using the main shaft member 25. And a front member 27 fixed to the front end portion. The lateral link material 29 is formed using a metal pi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pair of side link members 29 are provid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ull lengths 30 and connects the pair of full lengths 30. The front member 27 is provided on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a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ull width connecting member 26. The front member 27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nects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pair of side link members 29. In this example, each second link member 22 is configured by the widthwise edge portion of the front member 27 and the side link member 29 connected to the edge portion. The pair of second link members 22 are connected by the front member 27. Therefore, the pair of second link members 22 rotate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30 or the handle 40.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rotation axis of the emf 30 and the second link member 22 is positioned in an area overlapped with the front member 27, that is, in an area pointed by the front member 27.

다음으로, 제3 링크 부재(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한 쌍의 제3 링크 부재(23)가 마련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23)는, 핸들(40)과 후각(35) 사이, 특히, 핸들(40)과 후각(35)의 중간 부분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23)는, 핸들(40) 및 후각(35)의 각각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링크 부재(23)는, 핸들(40)과 대응하는 후각(35)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Next, the third link member 23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 a pair of 3rd link member 23 is provid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link member 23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40 and the smell 35, in particular, between the handle 40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mell 35. The third link member 23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handle 40 and the back leg 35 about an axis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link member 23 form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k element connecting the handle 40 with the corresponding olfactory 35.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링크 부재(23)는, 대응하는 후각(35)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링크 부재(23)는, 핸들(40)의 대응하는 핸들 연장부(42)의 하방 부분, 특히 하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링크 부재(2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 부재(25)를 통해,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링크 부재(23)의 핸들(40)에의 접속 위치는, 제2 링크 부재(22)의 핸들(40)에의 접속 위치와 동일하다. 또한, 제3 링크 부재(23)와 핸들(40)과의 회동 축선은, 제2 링크 부재(22)와 핸들(40)과의 회동 축선과 일치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third link member 2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olfactory leg 35.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third link member 23 is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particularly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handle extension 42 of the handle 40. As shown in FIG. 7, the third link member 23 is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via the main shaft member 25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hird link member 23 to the handle 40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22 to the handle 40.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link member 23 and the handle 40 coincides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member 22 and the handle 40.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20)는, 각 구성 요소를 서로 회동시킴으로써, 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40)을 약간 후측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핸들(40)을 하강시킴으로써, 제3 링크 부재(23)를 후각(35)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제1 링크 부재(21) 및 제2 링크 부재(22)는 핸들(40)의 핸들 연장부(42)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핸들(40)과 전각(30)이 접근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40)의 위치가 내려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 본체(20)를 폴딩할 수 있다. 유모차 본체(20)는, 도 3에 나타난 폴딩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20)를 폴딩 상태로부터 전개하려면, 상술한 폴딩 조작과 반대의 절차를 밟으면 된다.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which has the above whole structure can be folded by rotating each component mutually. Specifically, the third link member 23 is rotated in the clockwise rot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leg 35 by lifting the handle 40 upward slightly and then lowering the handle 40. Let's do it. With this operation, the first link member 21 and the second link member 22 rotate in the clockwise rot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extension 42 of the handle 40. As shown in FIG. 3, by this operation, the handle 40 and the em corner 30 approach each other and are arranged substantially in parallel,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40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be folded. In the folding state shown in FIG. 3,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be downsized in dimension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velop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from a folding state, the procedure opposite to the folding operation mentioned above may be performed.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유지되는 좌석(60)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석(60)은, 유유아가 착석하는 부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60)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부(61)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61)는,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된 유지 부재(50)에 의해 지지되어지는 부위이다.Next, the seat 60 hel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will be described. The seat 60 is a site where an infant is seated. As shown in FIG. 8, the seat 60 has a pair of base part 61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The base portion 61 is a portion supported by the holding member 50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부(61) 사이에, 좌석부(65) 및 등받이부(70)가 마련된다. 좌석(60)은,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부위이다. 좌석부(65)는, 쿠션 시트(80)를 통해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면(65A)을 형성한다. 등받이부(70)는, 유유아의 등에 대면하게 되는 부위이다. 등받이부(70)는, 좌석부(6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좌석(60)은, 리클라이닝 기능을 갖고 있다. 좌석(60)은, 등받이부(70)를 좌석부(65)에 대하여 눕힘으로써, 유유아가 옆으로 눕는 침대로서도 기능한다.As shown in FIG. 1, the seat part 65 and the backrest part 70 are provided between a pair of base part 61. As shown in FIG. The seat 60 is a part which faces the buttocks of the infant riding in the baby carriage 10. The seat part 65 forms the seat surface 65A which supports the buttocks of an infant through the cushion seat 80. The backrest part 70 is a part which faces an infant's back. The backrest 70 is able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seat 65. That is, the seat 60 has a reclining function. The seat 60 also functions as a bed for infants to lie on its side by laying the backrest 70 against the seat 65.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부(65)는, 한 쌍의 베이스부(61) 사이에 마련된 전방 프레임재(66), 중앙 프레임재(67) 및 좌석판(68)을 갖고 있다. 전방 프레임재(66)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재이다. 전방 프레임재(66)를 이루는 U자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베이스부(61)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재(66)는, 한 쌍의 베이스부(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중앙 프레임재(67)는, 폭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재이다.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는, 좌석판(68)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원주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좌석판(68)은, 수지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판(68)이, 좌석면(65A)을 획정하고 있다. 단, 좌석판(68) 대신에,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에 팽팽히 설치된 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를 생략하여, 좌석판(68)을 한 쌍의 베이스부(61)에 의해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As shown to FIG. 1 and FIG. 8, the seat part 65 has the front frame material 66, the center frame material 67, and the seat plate 68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base parts 61. FIG. . The front frame member 66 is a frame member formed in a U shape. Part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U-shape forming the front frame member 66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base portion 61. The front frame member 66 extends forward from the pair of base portions 61. In addition, the center frame member 67 is a frame member extending linearly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ont frame member 66 and the center frame member 67 are formed of a metal pipe, for example. The front frame member 66 and the center frame member 67 form a circumferential frame that supports the seat plate 68 from below. The seat plate 68 is a plate-shaped member formed using resin or metal. In the example shown, the seat plate 68 defines the seat surface 65A. However, instead of the seat plate 68, a cloth provided in the front frame member 66 and the center frame member 67 may be used. The front frame member 66 and the center frame member 67 may be omitted, and the seat plate 68 may be supported by the pair of base portions 61.

등받이부(70)는, 한 쌍의 베이스부(61) 사이에 마련된 후방 프레임재(71)를 갖고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재이다. 후방 프레임재(71)를 이루는 U자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베이스부(61)와 접속해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부(6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는, 한 쌍의 베이스부(61)로부터 상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다. 후방 프레임재(71)가 베이스부(61)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등받이부(70)를 좌석부(65)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등받이부(70)는, 후방 프레임재(71)에 의해 지지되는 천 형상재나 판 형상재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The backrest part 70 has the rear frame material 71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base parts 61. The rear frame member 71 is a frame member formed in a U shape.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U-shape forming the rear frame member 71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ase portion 61. The rear frame member 71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61 around an axis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rear frame member 71 extends upward or rearward from the pair of base portions 61. As the rear frame member 7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61, the backrest portion 70 can be reclined with respect to the seat portion 65. The backrest 70 may further have a cloth member and a plate member supported by the rear frame member 71.

또한, 좌석(6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베이스부(61)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방 지지부(72)를 갖고 있다. 측방 지지부(72)는, 폭 방향으로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측방 프레임재(73)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측방 프레임재(73)와 후방 프레임재(71) 사이에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재(74)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프레임재(74)는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재(74)는, 후방 프레임재(71) 및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재(74)는, 링크재로서 기능하고, 후방 프레임재(71) 및 측방 프레임재(73)의 한쪽의 요동에 수반하여 다른쪽을 요동시킨다. 또한, 연결 프레임재(74)는, 후방 프레임재(71)의 후방 부분과 측방 프레임재(73)의 후방 부분 사이에, 등받이부(70)가 눕혀진 상태에서 유유아의 두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부를 형성하고, 등받이부(70)가 일어선 상태에서 유유아의 두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부를 형성한다.Moreover, the seat 60 has a pair of side support part 72 extended upward from each base part 61,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 side support part 72 supports the side frame material 73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bout the axis lin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a pair of connecting frame members 74 are provided between the side frame member 73 and the rear frame member 71. The pair of connecting frame members 74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necting frame member 74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member 71 and the side frame member 73. The linking frame member 74 functions as a link member and swings the other side with one swing of the rear frame member 71 and the side frame member 73. In addition, the connecting frame member 74 is located between the rear part of the rear frame member 71 and the rear part of the lateral frame member 73 at the rear of the head of the infant in the state where the backrest 70 is laid down. The wall part is formed, and the back part 70 forms the wall part located behind the head of the infant in the state which stood up.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60)은, 각 베이스부(61)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가드 지지재(75)와, 한 쌍의 가드 지지재(75) 사이에 착탈 가능한 가드재(76)를 갖고 있다. 각 가드 지지재(7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부(61)에 약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좌석(60)은, 각 측방 지지부(72)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덮개 지지재(77)를 갖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한 쌍의 덮개 지지재(77) 사이에, 덮개 뼈대가 걸리고, 덮개 뼈대에 덮개 천이 장착된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 1 and FIG. 2, the seat 60 is between the pair of guard support material 75 extended from each base part 61, and a pair of guard support material 75, respectively. It has a removable guard material 76. Each guard support material 75 is rotatable slightly with the base part 61 centering on the axis lin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Moreover, the seat 60 has a pair of lid | cover support material 77 fixed to each side support part 72,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a cover armature is caught between a pair of cover support members 77 and a cover cloth is attached to the cover armature.

또한, 도 8에서는, 좌석판(68), 가드재(76), 덮개 지지재(77)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In addition, illustration of the seat plate 68, the guard material 76, the lid support material 77, etc.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되어 좌석(60)을 유지하게 되는 유지 부재(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 사이가 되는 위치에, 한 쌍의 유지 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유지 부재(50)는,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한 쌍의 유지 부재(50)에 의해,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 사이가 되는 위치에, 좌석(60)을 유지한다.Next, the holding member 50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o hold the seat 60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6, a pair of holding member 50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between a pair of 1st link member 21 in the width direction. The pair of holding members 50 are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pair of holding members 50 hold the seat 60 at a position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members 21 in the width direction.

유지 부재(50)는, 좌석(60)에 마련된 피지지부(63)를 지지하는 지지부(53)를 갖고 있다. 지지부(53)는, 상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지지부(63)는, 지지부(53)의 수용 구멍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한 삽입부, 또는, 지지부(53)의 삽입부를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유지 부재(50)는, 상방을 향한 지지면(52)에 형성된 수용 구멍을 지지부(53)로서 갖고 있다. 지지면(52)은,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전후 방향으로 확장된 지지면(52)의 중앙부에, 지지부(53)로서의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52)은 상방을 향해 있으며, 지지부(53)를 이루는 수용 구멍은 상방으로 개구해 있다.The holding member 50 has the support part 53 which supports the to-be-supported part 63 provided in the seat 60. The support part 53 can be formed as a receiving hole opened upward or an insertion part projecting upward. Further, the supported portion 63 can be configured as an insertion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insertable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supporting portion 53 or a receiving hole opening downwardly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53. In the example shown in the figure, the holding member 50 has the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 surface 52 facing upward as the support part 53. As shown in FIG. The support surface 52 is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receiving hole as the support part 53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support surface 52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support surface 52 faces upward, and the accommodation hole which comprises the support part 53 is opened upward.

한편, 좌석(60)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부(61)가, 피지지부(63)를 갖고 있다. 즉, 각 베이스부(61)에 각각 대응하여, 한 쌍의 유지 부재(50)가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61)는, 하방을 향하는 피지지면(62)을 갖고 있다. 피지지면(62)은, 지지면(52)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피지지면(6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피지지부(63)를 이루는 삽입부가, 하방으로 돌출해 있다.On the other hand, as for the seat 60, the pair of base part 61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has the to-be-supported part 63. As shown in FIG. That is, corresponding to each base part 61, a pair of holding member 50 is provided apart from the width direction. The base portion 61 has a sebum surface 62 facing downward. The sebum surface 62 is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52. From the center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ebum surface 62, the insertion part which comprises the support part 63 protrudes below.

이러한 지지부(53) 및 피지지부(63)의 구성에 의하면, 좌석(60)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으로부터 유모차 본체(20) 위로 내림으로써, 유지 부재(50)를 통해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석(60)을 내림으로써, 한 쌍의 베이스부(61)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피지지부(63)가, 대응하는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부(61)의 피지지면(62)이 유지 부재(50)의 지지면(52)과 접촉함으로써,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 위에 유지되게 된다.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지지부(53)가 피지지부(63)와 걸어맞춰 있으므로, 좌석(6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수평 방향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art 53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the seat 60 is pushed through the holding member 50 by lowering the seat 60 abov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from the upper direction in the up-down direction. It becomes possible to hold | maintain in the main body 20. More specifically, by lowering the seat 60, the supported portion 63 protruding downward from each of the pair of base portions 6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53 of the corresponding retaining member 50. . Then, the sebum surface 62 of the base portion 61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52 of the holding member 50, so that the seat 60 is held o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Since the support portion 53 is engaged with the supported portion 63 while the seat 60 is held by the stroller body 20, the movement of the seat 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oller body 20. This is regulated.

또한, 한 쌍의 유지 부재(50) 및 한 쌍의 베이스부(61)는,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53)의 전후에 지지면(52)이 확장되고, 피지지부(63)의 전후에 피지지면(62)이 확장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된 좌석(60)에 의해, 좌석(60)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holding members 50 and the pair of base portions 6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seat 60 is held in the stroller main body 20, the shift due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eat 60 and the stroller main body 20 around the ax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ift due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eat 60 and the stroller main body 20 around the axis can be effectively regulated. 6 and 7, the support surface 52 extends before and after the support portion 53, and the sebum surface 62 extends before and after the support portion 63.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seat 60 is hold | maintained in the stroller main body 20, the shift | offset | difference by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eat 60 and the stroller main body 20 centering on the axis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can also be regulated effectively. . In view of the above, the seat 60 can be stably held by the seat 60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유모차 본체(20)는, 폴딩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링크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링크 구조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인 한 쌍의 구성을, 폭 방향으로 이간시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유지 부재(50)는, 한 쌍의 구성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좌석(60)은, 한 쌍의 구성 사이에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석(60)은,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 사이, 한 쌍의 전각(30) 사이, 한 쌍의 후각(35) 사이,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 사이에 유지된다. 이러한 좌석(60)의 배치는, 유모차 본체(20)의 구성 요소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유지 부재(50)는,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로부터 이간하도록 하여, 좌석(60)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50)를 통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되는 좌석(60)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석(60)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도 9의 (a)에 나타난 유유아가 유모차(10)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하는 배면 상태와, 도 9의 (b)에 나타난 유유아가 유모차(10)의 조종자(보호자)와 대면하는 대면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좌석(60)의 배치는, 폴딩 동작 중에 있어서의 유모차 본체(20)와 좌석(60)과의 간섭을 회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60)을 유지한 채 유모차 본체(20)를 폴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시된 유모차(10)에서는, 대면 상태 및 배면 상태의 어느 상태여도,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채 유모차(10)를 폴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has a link structure for enabling the folding operation. These linkage structures include a pair of symmetrical structur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air of holding member 50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tructure, and the seat 60 is hold | maintained between a pair of structure. Specifically, the seat 60 includes a pair of first link members 21, a pair of full lengths 30, a pair of back angles 35, and a pair of handle extensions 42. Is maintained on. This arrangement of the seat 60 makes it possib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at is, the holding member 50 can hold the seat 60 so that the seat 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refore, as shown in FIG. 9, the direction of the seat 60 hel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via the holding member 50 can be changed. Accordingly,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eat 60, the infant shown in FIG. 9 (a) is in a back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age 10 i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troller 10, and the infant shown in FIG. 9 (b) is the baby stroller. It becomes possible to switch the face-to-face state which faces the controller (protector) of (10).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seat 60 may enable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nd the seat 60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3, it becomes possible to fold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maintaining the seat 60. FIG. In the illustrated baby carriage 10, the baby carriage 10 can be folded while the seat 60 is hel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n either the facing state or the back state.

또한, 유모차(10)는,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90)를 갖고 있다. 고정 기구(90)는, 피지지부(63)가 지지부(53)에 지지 또는 걸어맞춰진 고정 상태로 유지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고정 기구(90)는, 피지지부(63)에 마련된 돌기(64)와, 유지 부재(50)에 마련된 돌기 수용부(54)를 포함한다. 또한, 유지 부재(50)에는,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55)가 마련되어 있다.The baby carriage 10 also has a fixing mechanism 90 for holding the seat 60 supporte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 fixing mechanism 9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in which the supported portion 63 is supported or engaged with the supporting portion 53.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fixing mechanism 90 includes the protrusion 64 provided in the to-be-supported part 63,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holding member 50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art 55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돌기 수용부(54)는,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50)의 지지부(수용 구멍)(53)를 형성하는 벽부 중 폭 방향 내측의 벽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기(64)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지지부(63)의 내부에 형성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63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돌기(64)는, 돌기(64)와 공간(63a)을 구획하는 벽면(63b) 사이에 배치된 가압 수단(64s)에 의해, 피지지부(63)로부터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수단(64s)은 스프링이다. 돌기(64)는, 그 하측의 측면이 경사져 있으므로, 피지지부(63)를 지지부(53) 내에 삽입할 때에 자동적으로 피지지부(63)의 공간(63a) 내에 매몰한다. 그리고, 돌기(64)는, 돌기 수용부(54)에 대면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가압 수단(64s)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 수용부(54) 내에 끼워넣어진다. 따라서, 피지지부(63)를 지지부(53)에 삽입하여 좌석(60)을 하방으로 움직이면, 좌석(60)이, 자동적으로 유지 부재(50)에 대하여 고정되게 된다.As shown in FIG. 6 and FIG. 10,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is formed in the wall part of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among the wall parts which form the support part (accommodation hole) 53 of the hold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64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63a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o-be-supported part 63 as shown in FIG. The projection 64 is urged toward the width direction inward from the supported portion 63 by the pressing means 64s disposed between the projection 64 and the wall surface 63b partitioning the space 63a. In the example shown, the pressing means 64s is a spring. Since the lower side of the projection 64 is inclined, the projection 64 is automatically buried in the space 63a of the supported portion 63 when the supported portion 63 is inserted into the supported portion 53. And when the projection 64 reaches the position which faces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part 54, it is inserted in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part 54 by the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urizing means 64s. Therefore, when the support part 63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53 and the seat 60 is moved downward, the seat 60 is automatically fixed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ember 50. FIG.

이러한 고정 기구(90)를 갖는 유모차(10)는, 좌석(60)의 피지지부(63)를 유모차 본체(20)의 지지부(53)에 삽입한 후, 유유아를 좌석(60)에 착석시키면, 좌석(60)이 자동적으로 유지 부재(50)에 대하여 고정된다. 즉, 유유아의 무게에 의해 좌석(60)이 하방으로 밀려, 피지지부(63)의 돌기(64)가 지지부(53)의 돌기 수용부(54)와 대면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돌기 수용부(54)에 끼워넣어진다. 따라서, 유유아를 유모차(10)에 승차시켰을 때,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적절히 고정 상태로 되지 않은 채 유모차(10)의 주행이 개시된다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유모차(10)의 안전성의 면에서 형편이 좋다.When the baby carriage 10 having such a fixing mechanism 90 inserts the supported portion 63 of the seat 60 into the support portion 53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nd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60, The seat 60 is automatically fixed relative to the retaining member 50. That is, the seat 60 is push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infant, the projection 64 of the supported portion 63 moves to the position facing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54 of the support portion 53,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 54). Therefore, when the infant is riding in the baby carriage 10, it is prevented that the running of the baby carriage 10 is started without the seat 60 being properly fix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FIG.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afety of the baby carriage 10.

조작부(55)는, 유지 부재(50)의 폭 방향의 내측면의, 돌기 수용부(54)에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55)는, 유지 부재(50)의 폭 방향 내측의, 돌기 수용부(54)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조작부 수용부(55a)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조작부 수용부(55a) 내를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조작부(55)는, 그 일부가 조작부 수용부(55a)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 조작부(55)를 폭 방향 외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돌기 수용부(54) 내에 끼워넣어진 돌기(64)를 돌기 수용부(54)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즉, 조작부(55)를 조작함으로써,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조작부(55)는,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The operation part 55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faces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50 in the width direction. The operation part 55 is accommodated in the operation part accommodating part 55a formed in the position facing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of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of the holding member 50, and the inside of the operation part accommodating part 55a is a width direction. Can be moved to A part of the operation part 55 protrudes inward from the operation part accommodation part 55a in the width direction. By pushing this operation part 55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the projection 64 inserted in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part 54 can be pushed out from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part 54.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55, the fixing by the fixing mechanism 90 can be released. The operation part 55 may be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또한, 상술한 돌기(64)는 유지 부재(50)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돌기 수용부(54)는 피지지부(63)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돌기(64)는, 피지지부(63)와 대면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된다. 또한, 조작부(55)는, 돌기 수용부(54)에 수용된 돌기(64)를, 돌기 수용부(54)로부터 인출하도록 작용해도 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64 mentioned above may be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50,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may be provided in the to-be-supported part 63. FIG. In this case, the projection 64 is pressed toward the side facing the supported portion 63. Moreover, the operation part 55 may act so that the projection 64 accommodated in the projection accommodation part 54 may be taken out from the projection accommodation part 54.

상술한 지지부(53), 피지지부(63) 및 고정 기구(90)를 포함하는 유모차(10)에 있어서는,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할 때,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도시한 예에서는 조작부(55)를 미는 동작)과, 좌석(60)을 들어올려 피지지부(63)를 지지부(53)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동작이 요구됨으로써,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져 버린다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baby carriage 10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53, the supported portion 63, and the fixing mechanism 90 described above, when the seat 60 is separated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 fixing mechanism 90 is used.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xed state (operation for pushing the operation unit 55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d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seat 60 and separating the supported portion 63 from the support portion 53 are required. By requiring a plurality of operations in this way, the seat 60 is prevented from being accidentally pulled out of the baby carriage body 20.

또한, 조작부(55)가 좌석(60)이 아니라 유지 부재(50) 또는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조작부(55)를 조작하여 좌석(60) 고정 상태를 해제하면서 좌석(60)을 들어올린다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것은, 유유아가 착석한 채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안전성의 면에서 형편이 좋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unit 55 is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50 or the stroller main body 20 instead of the seat 60, the operation unit 55 is operated to release the seat 60 from being fixed. It is difficult to lift. This makes it difficult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while the infant is seated. Therefore, in view of safety of the baby carriage 10, it is better.

또한, 조작부(55)가, 유모차 본체(20)의 전각(30)이나 후각(35)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돌출해 있음으로써, 조작부(55)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되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55)가 유모차(10)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건과 접촉하여 의도하지 않게 조작된다는 것이 방지된다.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55 protrudes in the space enclosed by the full-width 30 and the back 35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 operation part 55 is prevented from being operated unintentionally.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55 is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operated in contact with an object present around the baby carriage 1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유아가 착석한 채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유모차(10)는, 조작부(55)를 조작하면서 좌석(60)을 들어올린다는 것이 곤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유유아가 좌석(60)에 착석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좌석(60)의 분리 작업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유모차(10)에는, 상기 분리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가압 수단(95)이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at 6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roller main body 20 while the infant is seated, the stroller 10 lifts the seat 60 while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55.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difficult.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of detaching the seat 60 when the infant is not seated on the seat 60 is easy. In view of this point, the baby carriage 1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95 for assisting the separation operation.

도 10을 참조하여, 가압 수단(95)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압 수단(95)은, 지지부(53)와 피지지부(63) 사이에 마련되어,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작용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수단(95)은, 스프링(96)과 스프링(96)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하방 돌기(97)를 갖는다. 스프링(96) 및 하방 돌기(97)는, 피지지부(63) 내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63c)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96)은, 당해 공간(63c)을 구획하는 벽면(63d)과 하방 돌기(9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방 돌기(97)의 하단부는, 피지지부(63)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지지부(53)의 하단면과 접해 있다. 이러한 가압 수단(95)은, 피지지부(63)를 상방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0, the pressurizing means 95 is demonstrated. The pressurizing means 95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53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and acts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the pressurizing means 95 has the spring 96 and the downward protrusion 97 pressed downward by the spring 96. As shown in FIG. The spring 96 and the downward protrusion 97 are accommodated in the space 63c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ed in the supported portion 63. The spring 96 is disposed between the wall surface 63d that partitions the space 63c and the downward protrusion 97. The lower end part of the downward protrusion 97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to-be-supported part 63,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3. Such pressing means 95 can press the supported portion 63 upward.

또한, 가압 수단(95)의 가압력은, 좌석(60)에 유유아가 착석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좌석(60)을 들어올릴 수 있지만, 좌석(60)에 유유아가 착석한 상태에서는 좌석(60)을 들어올릴 수 없도록 조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izing means 95 can lift the seat 60 in the state in which the infant 60 is not seated in the seat 60, but in the state in which the infant 60 is seated in the seat 60, the seat 60 is lifted. It is adjusted so that it cannot be lifted.

이러한 가압 수단(95)은, 좌석(60)에 유유아가 착석해 있지 않을 때, 조작부(55)가 조작되어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좌석(60)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그리고, 고정 기구(90)의 돌기(64)가 돌기 수용부(54)와 대면하지 않는 위치에, 좌석(60)을 유지한다. 즉,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조작자는, 좌석(60)을 분리할 때에, 조작부(55)의 조작(즉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과, 좌석(60)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좌석(60)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When the infant 60 is not seated in the seat 60, the pressing means 95 pushes the seat 60 upward when the operation unit 55 is operated to release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 And the seat 60 is hold | maintained in the position which the protrusion 64 of the fixing mechanism 90 does not face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is maintained in the released state. Therefore, the operator of the stroller 10 lifts the seat 60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5 (that is,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when the seat 60 is detache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the operations simultaneously. This facilitates the detachment work of the seat 60.

또한, 고정 기구(90)에 의해 고정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고정 기구(90)의 돌기(64)가 돌기 수용부(54)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수단(95)의 가압력에 의해 좌석(60)이 밀어올려진다는 것은 방지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좌석(60)에 유유아가 착석해 있을 경우에도, 가압 수단(95)의 가압력에 의해 좌석(60)이 밀어올려진다는 것은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수단(95)은, 좌석(60)에 유유아가 착석해 있지 않으며, 또한, 조작부(55)가 조작되어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에만, 피지지부(63)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projection 64 of the fixing mechanism 90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while the fixed state is hold | maintained by the fixing mechanism 90, the seat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izing means 95 is seated. It is prevented that 60 is pushed up.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an infant is seated in the seat 60, the seat 60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up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ans 95. Therefore, the urging means 95 is supported only when the infant 60 is not seated in the seat 60 and the operation part 55 is operated and the fixing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is released. Can be lifted upward, and the seat 60 can be separated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유모차(10)에는, 2개의 고정 기구(90)가 마련되어 있다.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하려면, 2개의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동시에 해제할 필요가 있다. 양쪽의 고정 기구(90)를 동시에 해제하기 위해서는, 양손이 필요하다. 이것은, 좌석(60)에 유유아가 착석한 상태에서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좌석(60)에 유유아가 착석해 있을 경우에도, 조작부(55)를 조작하여 고정 기구(90)를 계속해서 해제한 채 좌석(60)을 들어올리면,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기구(90)의 해제에 양손을 요함으로써, 고정 기구(90)를 해제하면서 좌석(60)을 들어올린다는 동작을 혼자서 행하는 것은 현저하게 곤란해진다. 이것은, 유모차(10)의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troller 10 is provided with two fixing mechanisms 90. In order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t is necessary to release | release the fixed state by the two fastening mechanisms 90 simultaneously. To release both fixing mechanisms 90 simultaneously, both hands are required. This prevents the seat 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while the infant is seated in the seat 60. That is, even when an infant is seated in the seat 60, the seat 60 is lif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55 and lifting the seat 60 while releasing the fixing mechanism 90. ) Can be separated from. However, since both hands are required to release the fixing mechanism 90, it is remarkably difficult to perform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seat 60 alone while releasing the fixing mechanism 90. This effectively improves the safety of the baby carriage 10.

다음으로,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의 장착 구조 및 장착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position of the holding member 50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re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 부재(50)는, 유모차 본체(20)의 서로에게서 이간한 복수의 접속 위치(JPX, JPY)에 접속해 있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각 유지 부재(50)가, 유모차 본체(20)에 대하여 고정되고,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안정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가, 유모차 본체(20)의 하나의 접속 위치(JPX)의 상방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 좌석(60)의 무게를,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안정되게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유지 부재(50)의 덜거덕거림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50)를 대형화시키거나, 다수의 유지 부재(50)를 마련할 필요도 없으므로, 유모차(10)의 의장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each hold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some connection position (JPX, JPY)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a result, in the example shown, each holding member 50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nd is hold | maintained stably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is located above the one connection position JPX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refore, the weight of the seat 60 held by the holding member 50 can be stably and efficiently supporte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reby, rattling of the holding member 50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be reduced effectively.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holding member 50 or to provide a plurality of holding members 50, the desig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improved.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유지 부재(50)는, 우선, 제2 링크 부재(22)와 핸들 연장부(42)와의 회동 축선(AR1) 위에 있어서,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 부재(50)는, 제2 링크 부재(22)와 핸들 연장부(42)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주축 부재(25)와 접속해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제1 접속 위치(JPX)는, 주축 부재(25)가 된다. 주축 부재(25)는, 유지 부재(50)를 관통하고 있다. 주축 부재(25)는, 또한 제2 링크 부재(22) 및 제3 링크 부재(23)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50)는, 주축 부재(25)를 통해, 핸들(40)의 핸들 연장부(42)뿐만 아니라, 제2 링크 부재(22), 더욱이는 제3 링크 부재(23)에도 접속해 있다.In the example shown, each holding member 50 is first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on the rotation axis AR1 of the 2nd link member 22 and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As a specific structure, as shown to FIG. 6 and FIG. 7, each holding member 50 is connected with the main shaft member 25 which connects the 2nd link member 22 and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have. That is, in the example shown, the 1st connection position JPX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f the holding member 50 turns into the main shaft member 25. As shown in FIG. The main shaft member 25 penetrates through the holding member 50. The main shaft member 25 penetrates the second link member 22 and the third link member 23 further. Therefore, the hold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not only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of the handle 40 but also the 2nd link member 22 and the 3rd link member 23 via the spindle member 25. Do it.

또한, 각 유지 부재(50)는, 핸들(40)의 보강 연결 부재(45)와 접속해 있다. 보강 연결 부재(45)는, 핸들(40)의 일부분으로서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제2 접속 위치(JPY)는, 보강 연결 부재(45)가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50)는, 보강 연결 부재(45)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56)을 갖고 있다. 보강 연결 부재(45)의 단면(斷面) 형상은, 원 형상으로부터 약간 편평해 있다. 유지 부재(50)의 관통 구멍(56)도, 약간 편평해 있다. 따라서, 보강 연결 부재(45)가 유지 부재(50)의 관통 구멍(56)을 관통함으로써, 폭 방향을 따른 축선에서의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holding member 50 is connected with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of the handle 40.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as a part of the handle 40. That is, in the example shown, the 2nd connection position JYY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f the holding member 50 becomes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7, the holding member 50 has a through hole 56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45 passe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45 is slightly flat from the circular shape. The through hole 56 of the holding member 50 is also slightly flat. Therefore, since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penetrates the through-hole 56 of the holding member 50, th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f the holding member 50 in the axis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is regulated. .

이러한 유모차(10)에 있어서,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의 제1 접속 위치(JPX)는, 주축 부재(25)로서, 유지 부재(50)의 하방 부분과 접속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주축 부재(25)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50)를 대형화시키거나, 다수의 유지 부재(50)를 마련하지 않고,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 좌석(60)의 무게를,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In such a baby carriage 10, the first connection position JFX of the holding member 50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50 as the main shaft member 25. And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shifted upward along the up-down direction from the spindle member 25,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weight of the seat 60 held by the holding member 50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without increasing the holding member 50 or providing a plurality of holding members 50. It can support.

또한,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의 제2 접속 위치(JPY)는, 보강 연결 부재(45)로서, 유지 부재(50)의 후방 부분과 접속해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5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보강 연결 부재(45)에 대면하고 있다. 그리고,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보강 연결 부재(45)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20)는, 유지 부재(50)를 통해, 전진시에 있어서의 좌석(60)으로부터의 관성력을 효율적으로 안정되게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덜거덕거림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the 2nd connection position JPY of the holding member 50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s connected with the rear part of the holding member 50 as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holding member 50 faces the reinforcement connecting member 45 from the front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shifted forwar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receive the inertial force from the seat 60 at the time of advancement stably through the holding member 50 efficiently. Thereby,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rattling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f the holding member 50 can be suppressed more effectively.

또한, 유모차 본체(20)의 두 개의 접속 위치(JPX, JPY)의 거리가 근접해 있으면, 유지 부재(50)가 유모차 본체(20)에 대하여 덜거덕거리기 쉬워진다. 한편으로,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와 좌석(60)의 피지지부(63)와의 상하 방향을 따른 삽입 길이(IL)가 길면, 유지 부재(50)에 대한 좌석(60)의 덜거덕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이 삽입 길이(IL)가 길면, 유지 부재(50)에 대하여 큰 힘이 가해져,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덜거덕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점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접속 위치(JPX, JPY)의 이간 거리(D)는,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 및 좌석(60)의 피지지부(63)의 상하 방향에의 삽입 길이(IL)보다 길어져 있다. 이에 의해서도,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덜거덕거림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nnection positions (JPX, JPY)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s close, the holding member 50 becomes easy to rattle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ertion length IL along the up-down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and the supported part 63 of the seat 60 is long, the seat 60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ember 50 is rattling. It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tingling. On the other hand, when this insertion length IL is long, a big force is applied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ember 50, and rattling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f the holding member 50 becomes eas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is regard, as shown in FIG. 7,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two connecting positions JPX and JPY is the suppo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and the supported portion 63 of the seat 60. Is longer than the insertion length IL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is, generation of rattling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f the holding member 50 can be suppressed more effectively.

이에 더하여, 유지 부재(50)에 가해진 힘을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효율적으로 지탱하려면,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로부터 유모차 본체(20)에 접속 위치(JPX, JPY)까지의 거리(D1, D2)는 짧아져 있는 것이 유효하다.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로부터 어느 하나의 접속 위치(JPX, JPY)까지 거리가, 특히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와 어느 하나의 접속 위치 사이의 최단 거리가, 지지부(53) 및 피지지부(63)의 상하 방향에의 삽입 길이(IL)보다 짧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로부터 임의의 접속 위치(JPX, JPY)까지 최단 거리가, 어느 것이나, 지지부(53) 및 피지지부(63)의 상하 방향에의 삽입 길이(IL)보다 짧아져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53)와 제1 접속 위치(JPX) 사이의 최단 거리(D1)가, 지지부(53) 및 피지지부(63)의 상하 방향에의 삽입 길이(IL)보다 짧으며, 또한, 지지부(53)와 제2 접속 위치(JPY) 사이의 최단 거리(D1)가, 지지부(53) 및 피지지부(63)의 상하 방향에의 삽입 길이(IL)보다 짧아져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fficiently support the force applied to the holding member 50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to the connection position (JPX, JPY)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s carried out. It is effective that the distances D1 and D2 are shortened.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ing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to any one connection position (JPX, JPY) is especially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and any one connecting position. 53) and the supported portion 63 are preferably shorter than the insertion length IL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upporting portion 53 of the holding member 50 to any connection position (JPX, JPY) is the insertion length of the supporting portion 53 and the supported portion 63 in the vertical direction. Shorter than (IL).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shortest distance D1 between the support part 53 and the 1st connection position JPX is the insertion length IL to the up-down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53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As shown in FIG. It is shorter and the shortest distance D1 between the support part 53 and the 2nd connection position JYY becomes shorter than the insertion length IL of the support part 53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to the up-down direction. have.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지지부(53)로부터 지지부(53)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 접속 위치(JPX)까지의 상하 방향을 따른 거리(D1)가, 지지부(53) 및 피지지부(63)의 상하 방향에의 삽입 길이(IL)보다 짧아져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 좌석(60)의 무게를, 유모차 본체(20)가 제1 접속 위치(JPX)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3)로부터 지지부(53)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접속 위치(JPY)까지의 전후 방향을 따른 거리(D2)가, 지지부(53) 및 피지지부(63)의 상하 방향에의 삽입 길이(IL)보다 짧아져 있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20)는, 그 제2 접속 위치(JPY)에 있어서, 전진시에 있어서의 좌석(60)으로부터의 관성력을, 유지 부재(50)를 통해, 효율적으로 안정되게 받을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particular, the distance D1 along the up-down direction from the support part 53 to the 1st connection position JPX located under the support part 53 is the support part 53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Is shorter than the insertion length I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weight of the seat 60 held by the holding member 50 can support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efficiently in the 1st connection position JPX. Moreover, the distance D2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support part 53 to the 2nd connection position JYY located in the back of the support part 53 to the up-down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53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is carried out. It is shorter than the insertion length IL. Therefore, the stroller main body 20 can stably receive the inertial force from the seat 60 at the time of advancing through the holding member 50 in the 2nd connection position JPY.

이상의 장착 구조의 결과,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21), 핸들(40)의 핸들 연장부(42) 및 후각(35)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위치해 있다. 즉,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대략, 유모차 본체(20)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이에 따라, 좌석(60)을 안정되게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above mount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ing portion 53 of the holding member 50 is attached to the first link member 21, the handle extension 42 of the handle 40, and the back 35. It is located in an area surrounded by. That is,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is substanti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reby, the seat 60 can be stably and efficiently supported.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50)의 유모차 본체(20)에의 제1 접속 위치(JPX)는 주축 부재(25)로 되어 있으며, 제2 접속 위치(JPY)는 보강 연결 부재(45)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50)는, 주축 부재(25)를 통해, 제2 링크 부재(22), 제3 링크 부재(23), 핸들(40)의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또한, 유지 부재(50)는, 보강 연결 부재(45)를 통해, 핸들(40)의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즉, 유지 부재(50)는, 서로 다른 경로를 거쳐, 핸들(40)의 핸들 연장부(42) 위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접속해 있다. 이 때문에, 유지 부재(50)는, 핸들(4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핸들(4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란 핸들에 직접적으로 접속해 있는 것뿐만 아니라, 핸들과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하며 또한 핸들(40)과의 상대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한다.By the way, as mentioned above, the 1st connection position JPX of the holding member 50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becomes the spindle member 25, and the 2nd connection position JPY is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As shown in FIG. It is. Therefore, the hold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2nd link member 22, the 3rd link member 23, and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of the handle 40 via the main shaft member 2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hold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of the handle 40 via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That is, the hold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 positions on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of the handle 40 via different path | route. For this reason, the holding member 50 is being fixed with respect to the handle 40. Here, " fixed to the handle 40 "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the handle,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the handle through another member, and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handle 40 is kept constant. It includes what is there.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난 전개 상태에 있어서, 핸들(40)은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으로, 도 3에 나타난 폴딩 상태에 있어서, 핸들(40)은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핸들(40)에 대하여 유지 부재(50)가 고정됨으로써, 전개 상태에 있어서, 좌석(60)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좌석(60)이 높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좌석(60) 위의 유유아는, 지면(地面)으로부터의 열이나 먼지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좌석(60)의 좌석면(65A)이 높으므로, 유유아의 승강(乘降)을 용이하며 또한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폴딩 상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은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핸들(40)과 함께, 좌석(60)도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폴딩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ployed state shown in FIG. 2, the handle 40 is disposed at a high posi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olding state shown in Fig. 3, the handle 40 is disposed at a low position. As the holding member 50 is fixed to the handle 40, the seat 60 is disposed at a high posi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By placing the seat 60 at a high position, the infant on the seat 60 can effectively avoid the influence of heat and dust from the ground. Moreover, since the seat surface 65A of the seat 60 is high, it become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the infant easily and stably. On the other hand, in the folding state, as shown in FIG. 3, the handle 40 is disposed at a low position. Together with this handle 40, the seat 60 is also arranged in a low position. Therefore, the folding dimens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또한, 유지 부재(50)의 방향도 핸들(40)에 대하여 일정해진다. 따라서, 폴딩 동작 중에, 유지 부재(50)에 유지된 좌석(60)이, 큰 모멘트를 발생시키지도 않는다. 한편으로, 좌석(60)의 무게가 핸들(40)을 압하(押下)하게 된다. 즉, 좌석(60)의 무게가, 핸들(40)을 하강시키는 폴딩 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따라서, 폴딩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holding member 50 also becomes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handle 40. Therefore, the seat 60 held by the holding member 50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does not generate a large moment.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of the seat 60 pushes down the handle 40. That is, the weight of the seat 60 assists the folding operation of lowering the handle 40. Therefore, the fol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난 측면에서 볼 때, 좌석(60)에 의해 형성되는 좌석면(65A)은, 제1 링크 부재(21)와 전각(30)과의 접속 위치(JP1)보다 상방에 위치해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난 측면에서 볼 때, 좌석부(65)에 대한 등받이부(70)의 요동 축선(AS1)은, 제1 링크 부재(21)와 후각(35)과의 접속 위치(JP2)보다 상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측면에서 볼 때, 좌석부(65)에 대한 등받이부(70)의 요동 축선(AS1)은, 핸들(40)과 제2 링크 부재(22)와의 접속 위치(JP4)보다 상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측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부(72)에 대한 측방 프레임재(73)의 요동 축선(AS2)은, 제1 링크 부재(21)보다 상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측방 지지부(72)에 대한 측방 프레임재(73)의 요동 축선(AS2)은, 제1 링크 부재(21)와 전각(30)과의 접속 위치(JP1)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제1 링크 부재(21)와 후각(35)과의 접속 위치(JP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1 링크 부재(21)와 핸들(40)과의 접속 위치(JP3)보다 상방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이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좌석(60)이 높은 위치에 유지되므로, 유유아의 승강, 리클라이닝 조작, 덮개의 개폐 조작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좌석(60)이 핸들(4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유모차(10)의 폴딩 치수를 충분히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from the side surface shown in FIG. 2, the seat surface 65A formed by the seat 60 is the connection position JP1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full width 30.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above. Similarly, when viewed from the side shown in FIG. 2, the swinging axis AS1 of the backrest 70 with respect to the seat 65 is the connecting position JP2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21 and the olfactory 35. It is located above. 2, the swing axis AS1 of the backrest 70 with respect to the seat 65 is higher than the connection position JP4 between the handle 40 and the second link member 22. Located in In addition, as viewed from the side shown in FIG. 2, the swing axis AS2 of the side frame member 73 relative to the side support portion 72 is located above the first link member 21. In addition, the swing axis AS2 of the side frame member 73 with respect to the side support part 72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position JP1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full width 30, and is 1st link | link | linked. It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position JP2 of the member 21 and the back leg 35, and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position JP3 of the 1st link member 21 and the handle 40. As shown in FIG. In the specific example shown in this way, since the seat 60 is maintained at a high posi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it is possible to easily raise and lower the infant, reclining operatio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at 60 is fixed to the handle 40, the folding dimens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ufficiently miniaturized.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는, 조종자(사용자, 보호자)가 핸들(40)의 핸들 연결부(43)를 파지하여 핸들(40)을 밀음으로써 주행한다. 이 유모차(10)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60)의 방향을 바꾸어, 유지 부재(50)는 좌석(60)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배면 상태와 대면 상태를 전환함에 있어서, 핸들(40)을 요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핸들(40)이, 유모차(10)의 다른 구성 요소와 간섭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설치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던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를 연결하는 보강 연결 부재(45)를 핸들 본체(41)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stroller 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ravels by a manipulator (user, guardian) gripping the handle 40 by pushing the handle 40. In this baby carriage 10, as shown in FIG. 9, the direction of the seat 60 is changed and the holding member 50 can hold the seat 60. As shown in FIG. That is, in switching the back state and the facing state, it is not necessary to rock the handle 40.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handle 40 interferes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10 is lowered. For this reason,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which connects the pair of handle extension parts 42 which were considered to be impossible to install so far can also be provided in the handle main body 41. FIG.

도시된 예에서는, 핸들(40)은,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 및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의 단부를 연결하는 핸들 연결부(43)를 가진 핸들 본체(41)에 더하여, 한 쌍의 핸들 연장부(42)를 핸들 연결부(43)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어서 연결하는 보강 연결 부재(45)를 더 갖고 있다. 이 핸들 연결부(43)가 핸들 본체(41)를 효과적으로 보강함으로써, 핸들(40)의 강성이 개선되어 있다. 이 결과, 핸들(40)의 상방 단부가 되는 핸들 연결부(43)에 힘이 가해졌을 때, 핸들(4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핸들(40)에 가해진 힘이, 유모차(10)의 주행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한, 조종자는, 핸들(40)을 통해, 주행면의 상태 등을 충분히 파악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들의 점에서, 유모차(10)의 조종성을 현격히 개선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the handle 40 is in addition to a handle body 41 having a pair of handle extensions 42 and a handle connection 43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ir of handle extensions 42, It further has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which connects a pair of handle extension part 42 in th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handle connection part 43. As shown in FIG. The rigidity of the handle 40 is improved by this handle connection part 43 reinforcing the handle main body 41 effectively. As a result,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43 serving as the upper end of the handle 40, the deformation of the handle 40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s a result,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40 is effectively used for traveling of the baby carriage 10. Moreover, the operator can fully grasp | ascertain the state of a running surface, etc. via the steering wheel 40. FIG. In these respects, the controll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에 더하여, 도시된 유모차(10)에서는, 보강 연결 부재(4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사이에 접속한 부재가, 보강 연결 부재(45)와 핸들 연장부(42)와의 접속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 연결 부재(4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사이에 접속한 부재는 유지 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결과, 핸들(40)의 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유지 부재(50)는, 좌석(60)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핸들(4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baby carriage 10, a member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45 in the width direction is displaced from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45 and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Is connected to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More specifically, the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45 includes the holding member 50.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handle 40 can be further improved. In particular, the holding member 50 has a function of holding the seat 60, and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handle 40 can be improved efficiently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또한, 보강 연결 부재(4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사이에 접속한 이 부재는, 제2 링크 부재(22)와 핸들 연장부(42)와의 회동 축선(AR1) 위에 있어서, 핸들 연장부(42)에 접속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 연결 부재(4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사이에 접속한 부재는, 주축 부재(2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있어서는, 핸들의 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주축 부재(25)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이에 따라, 폴딩 동작 및 전개 동작을 원활화시킬 수 있다.Moreover, this member which connected between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member 45 is a handle extension part (on the rotation axis AR1 of the 2nd link member 22 and the handle extension part 42). 42). More specifically, the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45 further includes a main shaft member 25. In such a baby carriage 10, the rigidity of the handle can be further improved. In particular, the rigidity of the spindle member 25 can also be improv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mooth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unfolding operation.

상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된 유지 부재(50)와, 유지 부재(50)에 마련된 지지부(53)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63)를 갖고, 유지 부재(50)를 통해 유모차 본체(20)에 착탈 가능한 좌석(60)을 구비하고 있다. 유모차(10)에는, 또한, 피지지부(63)가 지지부(53)에 지지된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90)가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55)가, 유모차 본체(20) 및 유지 부재(50)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조작부(55)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좌석(60)이 의도하지 않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적다. 또한, 조작부(55)가 좌석(60)이 아니라, 유모차 본체(20) 또는 유지 부재(50)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조작부(55)를 조작하면서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한다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유유아를 착석시킨 채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것은, 유모차(10)의 안전성의 면에서 형편이 좋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baby carriage 10 is supporte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the holding member 50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nd the support part 53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The seat 60 has a supported portion 63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via the holding member 50. The baby carriage 10 further includes a fixing mechanism 90 for holding the supported portion 63 in a fixed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ortion 53, and an operation unit 55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nd the holding member 50. According to such a baby carriage 1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operation part 55 in order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the seat 60 may fall out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unintentionally.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55 is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r the holding member 50 instead of the seat 60, it isolate | separates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perating the operation part 55. As shown in FIG. It is difficul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while the infant is seated.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afety of the baby carriage 10.

상술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고정 기구(90)는, 유지 부재(50) 또는 피지지부(63)에 마련되고, 피지지부(63) 또는 유지 부재(50)와 대면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된 돌기(64)와, 피지지부(63) 또는 유지 부재(50)에 마련되고, 돌기(64)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5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55)는, 돌기 수용부(54)에 수용된 돌기(64)를, 돌기 수용부(54)로부터 압출하거나, 또는,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기구(90) 및 조작부(55)는, 실현이 용이하며, 또한,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55)의 조작도 용이하다.In one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fixing mechanism 90 is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50 or the supported part 63, and the processus | protrusion pressed toward the side facing the supported part 63 or the holding member 50. It is provided in 64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or the holding member 50, and has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which accommodates the protrusion 64. As shown in FIG. And the operation part 55 is extruded from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or draws out the protrusion 64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As shown in FIG. Such a fixing mechanism 90 and the operation part 55 are easy to implement, and als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55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is also easy.

상술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지지부(53)와 피지지부(63) 사이에,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좌석(60)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95)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In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pressing means 95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53 and the supported portion 63 to press the seat 60 so as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stroller main body 20. . According to such a baby carriage 10, it is easy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혹은, 상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마련된 유지 부재(50)와, 유지 부재(50)에 마련된 지지부(53)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지지부(63)를 갖고, 지지부(53)를 통해 유모차 본체(20)에 착탈 가능한 좌석(60)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53)와 피지지부(63) 사이에,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좌석(60)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95)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10 includes a baby carriage main body 20, a holding member 50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 support part 53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50, and The seat 60 is provided with a supportable part 63 which can be engaged, and is detachable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via the support part 53. Between the support part 53 and the supported part 63, the pressurizing means 95 which presses the seat 60 so that the seat 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s provided. According to such a baby carriage 10, it is easy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상술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피지지부(63)가 지지부(53)에 걸어맞춰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90)가 마련되고,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55)가, 유모차 본체(20) 및 유지 부재(50)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조작부(55)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좌석(60)이 의도하지 않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적다. 또한, 조작부(55)가 좌석(60)이 아니라, 유모차 본체(20) 또는 유지 부재(50)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조작부(55)를 조작하면서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한다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유유아를 착석시킨 채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것은, 유모차(10)의 안전성의 면에서 형편이 좋다.In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fixing mechanism 90 for holding the supported portion 63 in a fixed state engaged with the supporting portion 53 is provided, and an operation portion 55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nd the holding member 50. According to such a baby carriage 1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operation part 55 in order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the seat 60 may fall out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unintentionally.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55 is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r the holding member 50 instead of the seat 60, it isolate | separates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operating the operation part 55. As shown in FIG. It is difficul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seat 60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while the infant is seated.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afety of the baby carriage 10.

상술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고정 기구(90)는, 유지 부재(50) 또는 피지지부(63)에 마련되고, 피지지부(63) 또는 유지 부재(50)와 대면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된 돌기(64)와, 피지지부(63) 또는 유지 부재(50)에 마련되고, 돌기(64)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5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55)는, 돌기 수용부(54)에 수용된 돌기(64)를 돌기 수용부(54)로부터 압출하거나, 또는,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기구(90) 및 조작부(55)는, 실현이 용이하며, 또한,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55)의 조작도 용이하다.In one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fixing mechanism 90 is provided in the holding member 50 or the supported part 63, and the processus | protrusion pressed toward the side facing the supported part 63 or the holding member 50. It is provided in 64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or the holding member 50, and has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which accommodates the protrusion 64. As shown in FIG. And the operation part 55 is extruded from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or draws out the protrusion 64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54. As shown in FIG. Such a fixing mechanism 90 and the operation part 55 are easy to implement, and als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55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chanism 90 is also easy.

상술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상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갖고 있다. 또한, 좌석(60)의 피지지부(63)는, 지지부(53)의 수용 구멍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한 삽입부, 또는, 지지부(53)의 삽입부를 받아들임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유모차(10)에서는, 좌석(60)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석(60)의 무게 및 좌석(60) 위의 유유아의 무게가, 좌석(60)의 유모차 본체(20)에의 유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In one specific example mentioned above,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has the accommodating hole which opened upward or the insertion part which protruded upwards. Moreover, the to-be-supported part 63 of the seat 60 has the insertion part which protru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hole of the support part 53, or the accommodation hole which opened below the insertion part of the support part 53 which can receive. have. In such a baby carriage 10, the seat 6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easily. Further, the weight of the seat 60 and the weight of the infant on the seat 60 act to maintain the holding state of the seat 60 in the stroller body 20.

상술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20)는, 좌석(60)을 전후의 방향을 바꾸어 유지 가능하다. 즉, 이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10)의 조종자(유유아의 보호자, 유모차의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유유아를 승차시키는 것(대면 상태) 및 유모차(10)의 이동 방향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유아를 승차시키는 것(배면 상태) 양쪽이 가능해진다.In one specific example mentioned abov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hold | maintain the seat 60 by changing the front-back direction. In other words, in the baby carriage 10, the baby is allowed to ride (face-to-face) so as to face the manipulator (guardian of the baby, the user of the baby carriage) of the baby carriage 10, and the baby infant is faced forward in the mov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ide (back state) both.

일 실시형태를 복수의 구체예에 의해 설명해 왔지만, 이들 구체예가 일 실시형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구체예에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Although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lural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specific example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for the corresponding parts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xamples are used for the parts that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xamples. Omit the description.

예를 들면,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유지 부재(50)가, 두 개의 접속 위치(JPX, JPY)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20)에 접속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세 개 이상의 접속 위치에서 유모차 본체(20)에 접속해 있어도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mentioned specific example, although the holding member 50 showed the example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n two connection positions (JPX, JPY),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May be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t three or more connection positions.

또한,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유모차 본체(20)의 어느 하나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가 두 개의 접속 위치(JPX, JPY) 사이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pecific example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showed the example provided in the position shifted upward along the up-down direction from any connection position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may be located between two connection positions (JPX, JPY).

또한,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가, 두 개의 접속 위치(JPX, JPY)를 잇는 가(假)직선분 위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20)는,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 좌석(60)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유지 부재(50)의 덜거덕거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you may make it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be located on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wo connection positions (JPX, JPY). According to such a baby carriage 10,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receive the weight of the seat 60 hold | maintained by the holding member 50 efficiently. Accordingly, rattling of the holding member 50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2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두 개의 접속 위치(JPX, JPY) 사이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20)는,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 좌석(60)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다. 특히,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에 대한 우수한 강성을, 유모차 본체(20)에의 유지 부재(50)의 장착 구조에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유지 부재(50)의 덜거덕거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may be located between two connection positions JPX and JPY in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such a baby carriage 10,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can receive the weight of the seat 60 hold | maintained by the holding member 50 efficiently. In particular,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moment centering on the axis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can be provided to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olding member 50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rattling of the holding member 50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2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상술한 구체예에서는,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는, 상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을 갖고, 좌석(60)의 피지지부(63)는, 지지부(53)의 수용 구멍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갖고 있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3)가,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갖고, 좌석(60)의 피지지부(63)가, 지지부(53)의 삽입부를 받아들임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을 갖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pecific example mentioned above,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has the accommodating hole opened upward,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of the seat 60 is inserted in the accommodating hole of the support part 53. Although it had the insertion part which protruded as possible downward,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Even if the support part 53 of the holding member 50 has the insertion part which protruded upwards, and the to-be-supported part 63 of the seat 60 has the accommodation hole which opened the insertion part of the support part 53 below the acceptable part, do.

또한, 상술한 유모차 본체(20)나 좌석(60)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각(30)의 하단에 하나의 전륜(33)이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troller main body 20 and the seat 60 are on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one front wheel 3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full width 30.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의(適宜)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some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a plurality of modifications in an appropriate combination.

Claims (8)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마련된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를 통해 상기 유모차 본체에 착탈 가능한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가, 상기 유모차 본체 및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
With the stroller body,
A holding member provided in the stroller body;
It has a supported part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said holding member, Comprising: The seat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via the said holding member,
A fix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supported portion in a fixed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The baby carriage which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and the said holding member for the operation part which cancels the fixed state by the said fixing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유지 부재 또는 상기 피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와 대면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된 돌기(突起)와,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돌기 수용부에 수용된 돌기를 상기 돌기 수용부로부터 압출(押出)하거나, 또는, 인출(引出)하도록 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chanism,
A projection provided on the holding member or the supported portion and pressed toward the side facing the supported portion or the holding member;
It is provided in the said to-be-supported part or the said holding member, and has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said protrusion,
The said operation part is a baby carriage by which the protrusion accommodated in the said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is extruded from the said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or is pulled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 사이에, 상기 좌석을 상기 유모차 본체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상기 좌석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essing means for urging said seat to separate said seat from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between said support portion and said supported portion.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마련된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된 지지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유모차 본체에 착탈 가능한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 사이에, 상기 좌석을 상기 유모차 본체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상기 좌석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
With the stroller body,
A holding member provided in the stroller body;
It has a support part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said holding member, The seat is provided with the seat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And a pressing means for urging said seat to separate said seat from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between said support portion and said support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지지부와 걸어맞춰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가, 상기 유모차 본체 및 상기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x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supported portion in a fixed state engaged with the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The baby carriage which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said baby carriage main body and the said holding member for the operation part which cancels the fixed state by the said fixing mechanis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유지 부재 또는 상기 피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와 대면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된 돌기와, 상기 피지지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돌기 수용부에 수용된 돌기를 상기 돌기 수용부로부터 압출하거나, 또는, 인출하도록 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holding member or the supported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supported portion or the holding member, and is provided on the supported portion or the holding member, and the protrusion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jection. Have a receptacle,
The said operation part is a baby carriage which is made to extrude | extract or take out the protrusion accommodated in the said projection accommodating part from the said projection accommod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지지부는, 상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좌석의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수용 구멍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한 삽입부, 또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삽입부를 받아들임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수용 구멍을 갖고 있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has an accommodation hole opened upward or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upward,
The said support part of the said seat | seat is a baby carriage which has the insertion part which protru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said accommodation hole of the said support part, or the accommodation hole which opened the insertion part of the said support part downwardly and accepta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좌석을 전후의 방향을 바꾸어 유지 가능한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baby carriage main body is a baby carriage that can maintain the seat by chang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KR1020190089329A 2018-07-31 2019-07-24 Stroller KR1024774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4466A JP6957028B2 (en) 2018-07-31 2018-07-31 baby carriage
JPJP-P-2018-144466 2018-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210A true KR20200014210A (en) 2020-02-10
KR102477428B1 KR102477428B1 (en) 2022-12-15

Family

ID=6938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329A KR102477428B1 (en) 2018-07-31 2019-07-24 Stroll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7028B2 (en)
KR (1) KR102477428B1 (en)
CN (1) CN110775136B (en)
TW (1) TWI752336B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42969Y (en) * 2007-02-07 2008-04-02 林美伶 Combination structure of seat frame and main frame body of baby carriage
JP2008272212A (en) * 2007-04-27 2008-11-13 Graco Childrens Prod Inc Bed for infa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37003Y (en) * 2007-06-06 2008-03-19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Armchair jointing structure and baby carriage with the same
NO335333B1 (en) * 2012-09-19 2014-11-17 Stokke As Stroller
CN203294163U (en) * 2013-06-07 2013-11-20 胡震海 Pushchair
DE102015102538A1 (en) * 2015-02-23 2016-08-25 Cybex Gmbh Collapsible child seat and stroller with such a child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42969Y (en) * 2007-02-07 2008-04-02 林美伶 Combination structure of seat frame and main frame body of baby carriage
JP2008272212A (en) * 2007-04-27 2008-11-13 Graco Childrens Prod Inc Bed for inf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75136A (en) 2020-02-11
TWI752336B (en) 2022-01-11
KR102477428B1 (en) 2022-12-15
CN110775136B (en) 2022-06-07
JP6957028B2 (en) 2021-11-02
JP2020019364A (en) 2020-02-06
TW202007573A (en) 202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8353B2 (en) Stroller body
JP5465721B2 (en) Carrier and stroller
EP2441645B1 (en) Baby buggy
JP5020655B2 (en) stroller
KR102366373B1 (en) Baby carriage
JP2007098996A (en) Hand rod of baby buggy
KR20200014212A (en) Stroller
KR20200014210A (en) Stroller
KR102488862B1 (en) Stroller
TWI761080B (en) baby carriage
JP2009090777A (en) Mounting vehicle for bicycle
JP2020019363A (en) baby carriage
JP2020019365A (en) baby carriage
JP2020019366A (en) Baby carriage and seat
JP2020019359A (en) baby carriage
JP2020019368A (en) Push cart
TWI810793B (en) Wheelchair
JP6938071B1 (en) baby carriage
TWI810792B (en)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