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904A -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904A
KR20200013904A KR1020180089122A KR20180089122A KR20200013904A KR 20200013904 A KR20200013904 A KR 20200013904A KR 1020180089122 A KR1020180089122 A KR 1020180089122A KR 20180089122 A KR20180089122 A KR 20180089122A KR 20200013904 A KR20200013904 A KR 20200013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ontainer
hand pump
spring
r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주
최옥희
Original Assignee
신은주
최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주, 최옥희 filed Critical 신은주
Priority to KR102018008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3904A/ko
Priority to CN201810955585.0A priority patent/CN109027080A/zh
Priority to CN201821350252.7U priority patent/CN208997240U/zh
Publication of KR2020001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05B11/307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05B11/3002
    • B05B11/304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fibre-reinforced plastics, i.e.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such materials
    • F16F1/3665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22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출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샴푸통이나 세정제통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에 사용되는 핸드펌프를 별도로 일일이 분리 및 분해하지 않아도 전체 용기 자체를 플라스틱 재활용품으로 쉽게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에 필요한 충분한 탄성력을 가져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며,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링부; 상기 제1 링부와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2 링부; 및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복수의 나선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 및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HAND PUMP SPRING FOR PLASTIC CONTAINER AND HAND PUMP FOR PLASTIC CONTAINER HAVING THE SPRING}
본 발명은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출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샴푸통이나 세정제통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에 사용되는 핸드펌프를 별도로 일일이 분리 및 분해하지 않아도 전체 용기 자체를 플라스틱 재활용품으로 쉽게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에 필요한 충분한 탄성력을 가져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며,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젤리 상태의 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한 핸드펌프를 주둥이에 부착한 용기는 펌프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내용물을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로숀, 스킨, 향수, 샴푸 및 린스 등 각종 화장품 용기로서 가정 및 영업장소에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핸드펌프는 버튼을 누른 이후 원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프링은 철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 사용된 핸드펌프가 결합된 플라스틱 용기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핸드펌프를 별도로 분리하고, 이를 분해하여 철 재질의 스프링을 꺼내는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에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른 재질의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제작뿐만 아니라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0772(2012.06.1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6734(2005.03.0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004351(1992.06.29.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008016(1998.04.30.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상 또는 젤리 상태의 추출물이 수용되어 있는 샴푸통이나 세정제통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에 사용되는 핸드펌프를 별도로 일일이 분리 및 분해하지 않아도 전체 용기 자체를 플라스틱 재활용품으로 쉽게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을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펌프의 작동에 필요한 충분한 탄성력을 가져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며,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링부; 상기 제1 링부와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2 링부; 및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복수의 나선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 및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소정 직경을 가지며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1 링부와 제2 링부; 및 각각 일단부는 상기 제1 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링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나선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링부 및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각 단부들이 제1 링부와 제2 링부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180°의 간격을 갖고 2개로 구성되거나, 120°의 간격을 갖고 3개로 구성되거나, 90°의 간격을 갖고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대칭되게 쌍을 이루는 복수 쌍의 나선 탄성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다르면, 상기한 관점들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일 예로,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로서,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가진 토출관;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 내부에서 상기 토출관을 탄성지지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스프링을 갖는 연결관; 상기 토출관과 연결관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다른 예로,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로서,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갖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을 감싸고 상기 노즐헤드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스프링;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 상기 토출관과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는 연결관; 상기 토출관과 연결관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또 다른 예로,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로서,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갖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을 감싸고 상기 노즐헤드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스프링(제1 스프링);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 내부에서 상기 토출관을 탄성지지하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스프링(제2 스프링)을 갖는 연결관; 상기 토출관과 연결관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샴푸통이나 세정제통과 같이 액상 또는 젤리 형태의 내용물을 다 이용한 플라스틱 용기를 분리 수거하는데 있어 플라스틱 전체 플라스틱 용기 자체를 플라스틱 재활용품으로 바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펌프를 별도로 일일히 분리 및 분해할 필요가 없어 재활용을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스프링을 수지재질로 형성함에도 내용물을 추출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탄성력을 가져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증대시켜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은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상부 링부와 하부 링부 및 상기 상부 링부와 하부 링부 간을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나선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링부와 하부 링부 및 복수의 나선 탄성부 모두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10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직경을 가지며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상부 링부(제1 링부)(110)와 하부 링부(제2 링부)(120); 및 각각 일단부는 상기 상부 링부(11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링부(120)에 일체로 연결되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나선 탄성부(131 및 13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링부(110)와 하부 링부(120) 및 복수의 나선 탄성부(131 및 132)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도면부호 110에 대한 구성요소는 상부 링부라 통칭하고, 도면부호 120에 대한 구성요소는 하부 링부로 통칭한다.
상기 상부 링부(110)와 하부 링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스프링의 동작 안정성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 링부(110)의 직경이 하부 링부(120)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131 및 132)는 그 단부들이 연결되는 간격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131 및 13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의 간격을 갖고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0°의 간격을 갖고 3개의 나선 탄성부(131 내지 13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시 예의 또 다른 변형 예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90°의 간격을 갖고 4개(131 내지 134)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60°의 간격을 갖는 6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등간격을 갖지 않고 복수의 나선 탄성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131 및 132, 131 내지 133, 131 내지 134)에 있어, 나선 탄성부 각각은 일단부에서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두께)을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선 탄성부 각각은 일단부에서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선 탄성부(131 및 132, 131 내지 133, 131 내지 134)를 구성함으로써 스프링에서 탄성 작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피로 한계를 감소시킴으로써 원활한 동작의 확보와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각 링부의 직경을 달리하거나 나선 탄성부(131 및 132, 131 내지 133, 131 내지 134)의 직경(두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스프링이 플라스틱 재질(즉, 수지재)로 형성됨으로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아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 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의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스틱 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은, 도 7 및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직경을 가지며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상부 링부(110)와 하부 링부(120); 및 각각 일단부는 상기 상부 링부(11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링부(120)에 일체로 연결되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 쌍의 나선 탄성부(141 내지 14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링부(110)와 하부 링부(120) 및 복수 쌍의 나선 탄성부(141 내지 144)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링부(110)와 하부 링부(12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서 스프링의 동작 안정성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 링부(110)의 직경이 하부 링부(120)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 상의 나선 탄성부(141 내지 144)에서 각 쌍의 나선 탄성부(141 내지 144))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동일 지점에 연결되되 나선 방향은 반대 방향이 되도록 이루어지며, 각 쌍의 나선 탄성부(141 내지 144)가 일단부에서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과정에서 각 쌍의 나선 탄성부(141 내지 144)의 중접 부위(도 5에서 "A"부)는 일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두 쌍의 나선 탄성부(141 내지 144)가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에 대한 일 실시 형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는, 도 9의 일 실시 형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20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노즐헤드(210); 상기 노즐(201)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가진 토출관(220);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230); 내부에 상기한 본 발명의 스프링(100)을 가진 연결관(240); 상기 토출관(220)과 연결관(240)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는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같이, 노즐헤드(210)와 토출관(220) 사이에도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100)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는,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210); 상기 노즐헤드의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갖는 토출관(220); 상기 토출관(220)을 감싸고 상기 노즐헤드(210)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한 본 발명의 스프링;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230); 상기 토출관(220)과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는 연결관(240); 상기 토출관(220)과 연결관(240)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는 상기한 복수의 나선 탄성부를 갖는 스프링이 도 9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같이 연결관,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같이 노즐헤드와 토출관 사이 모두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는,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210); 상기 노즐헤드(210)의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갖는 토출관(220); 상기 토출관(220)을 감싸고 상기 노즐헤드(210)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한 본 발명의 스프링(제1 스프링);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230); 내부에 상기 토출관(220)을 탄성지지하는 상기한 본 발명의 스프링(제2 스프링)을 갖는 연결관(240); 상기 토출관(220)과 연결관(240)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에 의하면, 샴푸통이나 세정제통과 같이 액상 또는 젤리 형태의 내용물을 다 이용한 플라스틱 용기를 분리 수거하는데 있어 플라스틱 전체 플라스틱 용기 자체를 플라스틱 재활용품으로 바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펌프를 별도로 일일히 분리 및 분해할 필요가 없어 재활용을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을 수지재질로 형성함에도 내용물을 추출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탄성력을 가져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증대시켜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핸드펌프용 스프링 110: 상부 링부
120: 하부 링부 131, 132, 133, 134: 나선 탄성부
141, 142, 143, 144: 나선 탄성부 210: 노즐헤드
220: 토출관 230: 인출관
240: 연결관 250: 하우징

Claims (9)

  1. 제1 링부;
    상기 제1 링부와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2 링부; 및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복수의 나선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 및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2. 소정 직경을 가지며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1 링부와 제2 링부; 및
    각각 일단부는 상기 제1 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링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나선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링부 및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부와 제2 링부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각 단부들이 제1 링부와 제2 링부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180°의 간격을 갖고 2개로 구성되거나, 120°의 간격을 갖고 3개로 구성되거나, 90°의 간격을 갖고 4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선 탄성부는 대칭되게 쌍을 이루는 복수 쌍의 나선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7.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로서,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가진 토출관;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
    내부에 상기 토출관을 탄성지지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스프링을 갖는 연결관;
    상기 토출관과 연결관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8.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로서,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갖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을 감싸고 상기 노즐헤드를 탄성 지지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스프링;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
    상기 토출관과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는 연결관;
    상기 토출관과 연결관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9.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로서,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헤드;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분사구를 갖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을 감싸고 상기 노즐헤드를 탄성 지지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스프링;
    상기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인출관;
    내부에서 상기 토출관을 탄성지지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스프링을 갖는 연결관;
    상기 토출관과 연결관의 일부를 감싸며, 플라스틱 용기의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KR1020180089122A 2018-07-31 2018-07-31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KR20200013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22A KR20200013904A (ko) 2018-07-31 2018-07-31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CN201810955585.0A CN109027080A (zh) 2018-07-31 2018-08-21 塑料容器手动泵用弹簧以及包括此弹簧的塑料容器手动泵
CN201821350252.7U CN208997240U (zh) 2018-07-31 2018-08-21 塑料容器手动泵用弹簧以及包括此弹簧的塑料容器手动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22A KR20200013904A (ko) 2018-07-31 2018-07-31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320A Division KR20200080209A (ko) 2020-06-26 2020-06-26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04A true KR20200013904A (ko) 2020-02-10

Family

ID=6462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122A KR20200013904A (ko) 2018-07-31 2018-07-31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13904A (ko)
CN (2) CN109027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21A (ko) * 2021-07-20 2023-01-27 신은주 친환경 플라스틱 핸드 펌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904A (ko) * 2018-07-31 2020-02-10 신은주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KR102186036B1 (ko) * 2019-12-12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116648B1 (ko) * 2020-01-22 2020-05-28 강민구 펌프 용기
CN114151485A (zh) * 2020-09-07 2022-03-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树脂制弹簧
US11660627B2 (en) 2020-12-15 2023-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cyclable pump dispenser
EP4206487A4 (en) * 2020-12-17 2023-11-08 Yuyao Caiyun Cosmetics Packaging Co., Ltd. PLASTIC SPRING, PUMP CORE, EMULSION PUMP AND PRESS PACKAGING CONTAINER
FR3118006A1 (fr) * 2020-12-18 2022-06-24 Qualipac Dispositif de distribution pour produit fluide et conteneur pour produit fluide
CN113619920A (zh) * 2021-08-09 2021-11-09 上海洁诺德塑胶制品有限公司 塑料弹性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016U (ko) 1996-07-30 1998-04-30 강만기 액체추출용 핸드펌프의 용기구조
KR200376734Y1 (ko) 2004-11-26 2005-03-08 김병삼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200460772Y1 (ko) 2009-11-05 2012-06-1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펌프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052A (ja) * 1996-08-28 1998-03-17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器
KR200286798Y1 (ko) * 2002-04-22 2002-08-24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CN2644354Y (zh) * 2003-09-17 2004-09-29 丁要武 小出量乳液泵
CN201235987Y (zh) * 2008-07-01 2009-05-13 昆山希安思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弹簧与开关用球的一体化装置
KR101233080B1 (ko) * 2011-09-20 2013-02-14 (주)연우 스프레이 펌프
KR101290829B1 (ko) * 2011-10-17 2013-08-07 김정수 펌프 디스펜서
US20160097434A1 (en) * 2014-10-03 2016-04-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onded helical compression spring
CN204896181U (zh) * 2015-07-29 2015-12-23 珠海市华迅塑料泵业有限公司 一种塑料弹簧真空泵
CN107606366A (zh) * 2017-09-21 2018-01-19 中石化广州工程有限公司 一种缓冲水击力的90°弯头
KR20200013904A (ko) * 2018-07-31 2020-02-10 신은주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016U (ko) 1996-07-30 1998-04-30 강만기 액체추출용 핸드펌프의 용기구조
KR200376734Y1 (ko) 2004-11-26 2005-03-08 김병삼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200460772Y1 (ko) 2009-11-05 2012-06-1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펌프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21A (ko) * 2021-07-20 2023-01-27 신은주 친환경 플라스틱 핸드 펌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997240U (zh) 2019-06-18
CN109027080A (zh)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904A (ko)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KR20200080209A (ko)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Hathout et al. GLÀFF, a large versatile French lexicon
KR20160098712A (ko) 화장품 이액용기
KR20220025398A (ko) 플라스틱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KR20220025399A (ko) 플라스틱 날개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KR20220025400A (ko) 플라스틱 틈새 및 날개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CN105344154A (zh) 一种可快速拆卸的过滤器
WO2023065554A1 (zh) 液体泵用弹性件、液体泵及化妆品容器
KR102600913B1 (ko) 친환경 플라스틱 핸드 펌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용기
Soni Leprosy of the tongue.
KR101352541B1 (ko) 펌핑시 소리가 나는 토출 펌프
US10751740B2 (en) Eco pump assembly
KR101197994B1 (ko) 하이드로포밍용 펀치
KR100830410B1 (ko) 보조 캡
KR200445007Y1 (ko) 스타일러스 펜
CN204159122U (zh) 一种可快速拆卸的过滤器
CN213711710U (zh) 具有挡片的塑料弹簧
JP2012076779A (ja) 合成樹脂製容器
Chochola et al. Epidemiology of ischemic diseases of the lower extremities
de Gasquet Conflicts around gender in pluralizing religious fields: The case of contemporary French synagogues
Laporte Light verb constructions in second-language varieties of English: a corpus-based investigation of nativization in Hong Kong English
KR200218858Y1 (ko) 식품엑기스 추출기
Garner et al. Beneficial effects of vitamin C on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邓欣怡 A Comparison of English and Chinese Happiness Metaph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