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830A -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 Google Patents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830A
KR20200013830A KR1020180088925A KR20180088925A KR20200013830A KR 20200013830 A KR20200013830 A KR 20200013830A KR 1020180088925 A KR1020180088925 A KR 1020180088925A KR 20180088925 A KR20180088925 A KR 20180088925A KR 20200013830 A KR20200013830 A KR 20200013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virtual button
unit
information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김현집
Original Assignee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헬로팩토리 filed Critical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to KR102018008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3830A/ko
Priority to PCT/KR2018/010826 priority patent/WO2020027366A1/ko
Publication of KR2020001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기의 웹(Web)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가상버튼을 이용하여 니즈를 위한 요청과 요청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앱(App)의 설치가 필요없는 환경에서 요청 및 피드백을 수행 및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기로 가상버튼을 제공받기 위하여, 일회성 인식수단(예를 들어, QR코드)을 상기 단말기기로 인식하도록 하되, 상기 일회성 인식수단은 해당 인식수단을 표시하는 기기에서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여 해당 기기에 표시됨에 따라, 이전에 단말기기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였던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새로 생성된 인식수단을 통해 제공된 URL 경로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비정상 접근으로 판단하여 접근을 차단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처(예를 들면, 매장 등)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METHOD FOR CALLING AND FEEDBACK USING VIRTUAL BUTTON BY THE WEB}
본 발명은 단말기기의 웹(Web)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가상버튼을 이용하여 니즈를 위한 요청과 요청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앱(App)의 설치가 필요없는 환경에서 요청 및 피드백을 수행 및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기로 가상버튼을 제공받기 위하여, 일회성 인식수단(예를 들어, QR코드)을 상기 단말기기로 인식하도록 하되, 상기 일회성 인식수단은 해당 인식수단을 표시하는 기기에서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여 해당 기기에 표시됨에 따라, 이전에 단말기기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였던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새로 생성된 인식수단을 통해 제공된 URL 경로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비정상 접근으로 판단하여 접근을 차단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처(예를 들면, 매장 등)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당, 병원, 호텔 등의 장소에서 종업원 또는 관리자 등을 호출하거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호출벨을 사용하는 경우를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때, 호출벨의 동작 방식은 RF(AM 또는 FM) 전송 방식,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에 기반한 비콘(Beacon)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출벨을 이용하여 매장에서 직원을 호출하는 종래의 방식은 호출의 이유에 대하여 알리지 않고 단순히 호출 신호만 전달하므로 서비스 수행 단계가 여러 단계로 진행되게 된다.
예컨대, 고객이 직원을 호출하면 직원은 고객의 테이블에 도착하여 서비스 요청 사항에 대하여 먼저 설명을 듣게 된다.
이후, 직원은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다시 고객의 테이블에 접근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장에서 종래의 방식으로 직원을 호출할 경우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
또한, 위의 경우 고객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호출에 대해 직원의 대응이 없는 경우, 직원이 인지를 하였는지 혹은 인지를 하였지만 무시하는 것인지, 알 길이 없으므로 불만을 토로하지 못하고 답답해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고객의 호출을 직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객이 자신의 호출에 대해 직원이 인지를 하였는지 피드백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만, 이와 같이 전자적 주문을 제공하는 경우, 실제 주문을 위해 전자적으로 접속하였던 고객이, 나중에 고의적으로 매장 등의 사용처에 접속하여 장난주문을 하더라도, 직원은 요청의 신빙성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75145호에는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으로서, 매장코드를 사용자 기기에 전달하는 블루투스 신호기, 가상 버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가상 버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매장코드를 수신하면 서버에 상기 매장코드를 재전송하며, 서버로부터 상기 매장코드에 대응하는 가상 버튼을 수신하고, 상기 가상 버튼 중 일 버튼의 선택되면 테이블 번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요청 화면을 표시하고, 테이블 번호를 수신함에 따라 테이블 번호 및 버튼 선택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매장코드에 대응하는 가상 버튼을 검색하여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테이블 번호, 버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직원용 기기에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테이블 번호 및 버튼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직원용 기기 및 상기 테이블 번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호출벨을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앱(App)을 이용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고객이 상기 기술에 따른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하여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5145호(2018.07.0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기의 웹(Web)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가상버튼을 이용하여 니즈를 위한 요청과 요청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기로 가상버튼을 제공받기 위하여, 일회성 인식수단(예를 들어, QR코드)을 상기 단말기기로 인식하도록 하되, 상기 일회성 인식수단은 해당 인식수단을 표시하는 기기에서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여 해당 기기에 표시됨에 따라, 이전에 단말기기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였던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새로 생성된 인식수단을 통해 제공된 URL 경로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비정상 접근으로 판단하여 접근을 차단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처(예를 들면, 매장 등)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은,
일 예로서, 테이블기기(1)가 인식수단재생성부(15)를 통해 인식수단을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는,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
상기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에서 재생성된 인식수단을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리더부(21)를 통해 인식하는, 인식수단 인식 단계(S2);
상기 인식수단 인식 단계(S2)를 통해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을 인식하면, 해당 고객기기(2)에서 웹연동부(23)를 통해 웹(Web)이 실행되도록 하는, 웹 실행 단계(S3);
상기 웹 실행 단계(S3) 후, 고객기기(2)에서 웹이 실행되면, 테이블기기(1)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를 서버(3)로 전송하여 사용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정정보 전송 단계(S4);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및
상기 가상버튼 검색 단계(S5)에서 검색된 가상버튼을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가상버튼 제공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서, 테이블기기(1)가 인식수단재생성부(15)를 통해 인식수단을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는,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
상기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에서 재생성된 인식수단을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리더부(21)를 통해 인식하는, 인식수단 인식 단계(S2);
상기 인식수단 인식 단계(S2)를 통해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을 인식하면, 해당 고객기기(2)에서 웹연동부(23)를 통해 웹(Web)이 실행되도록 하는, 웹 실행 단계(S3);
상기 웹 실행 단계(S3) 후, 고객기기(2)에서 웹이 실행되면, 테이블기기(1)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를 서버(3)로 전송하여 사용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정정보 전송 단계(S4);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상기 가상버튼 검색 단계(S5)에서 검색된 가상버튼을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가상버튼 제공 단계(S6);
상기 가상버튼 제공 단계(S6)에서 가상버튼을 제공받은 고객기기(2)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기반으로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입력정보 생성 단계(S7);
상기 입력정보 생성 단계(S7)에서 입력정보가 생성되면, 고객기기(2)가 서버(3)로 입력정보를 전송하는, 입력정보 서버 전송 단계(S8);
상기 입력정보 서버 전송 단계(S8)를 통해 입력정보를 수신한 서버(3)가 상기 입력정보를 직원기기(4)로 전송하는, 입력정보 직원기기 전송 단계(S9);
상기 입력정보 직원기기 전송 단계(S9)를 통해 입력정보를 수신한 직원기기(4)가 직원의 조작에 의해, 입력정보에 따른 고객의 요청을 수락하는 수락신호를 생성하는, 수락신호 생성 단계(S10);
상기 수락신호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된 수락신호를 직원기기(4)가 서버(3)로 전송하는, 수락신호 서버 전송 단계(S11); 및
상기 수락신호 서버 전송 단계(S11)를 통해 수락신호를 수신한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상기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수락신호 고객기기 전송 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이블기기(1), 고객기기(2), 서버(3) 및 직원기기(4)를 포함하여,
상기 테이블기기(1)의 인식수단을 리딩한 고객기기(2)가 웹으로 접속하여 직원기기(4)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직원기기(4)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수락을 피드백하되,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테이블기기(1)가 일정주기마다 시간정보와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URL이 중복되지 않도록 재생성되고,
상기 고객기기(2)와 서버(3)는 시간정보를 공유하여 상호 간의 시간이 동일하도록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기의 웹(Web)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가상버튼을 이용하여 니즈를 위한 요청과 요청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어서, 별도의 앱(App)의 설치가 필요없는 환경에서 요청 및 피드백을 수행 및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성 인식수단(예를 들어, QR코드)을 상기 단말기기로 인식하도록 하되, 상기 일회성 인식수단은 해당 인식수단을 표시하는 기기에서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여 해당 기기에 표시됨에 따라, 이전에 단말기기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였던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새로 생성된 인식수단을 통해 제공된 URL 경로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비정상 접근으로 판단하여 접근을 차단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처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의 테이블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의 고객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의 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서 호출 및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프로그램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말’이라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된 용어로서, ‘장치’ 또는 ‘서버’로 표현될 수 있으며 대체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기의 웹(Web)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가상버튼을 이용하여 니즈를 위한 요청과 요청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앱(App)의 설치가 필요없는 환경에서 요청 및 피드백을 수행 및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기로 가상버튼을 제공받기 위하여, 일회성 인식수단(예를 들어, QR코드)을 상기 단말기기로 인식하도록 하되, 상기 일회성 인식수단은 해당 인식수단을 표시하는 기기에서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여 해당 기기에 표시됨에 따라, 이전에 단말기기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였던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새로 생성된 인식수단을 통해 제공된 URL 경로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비정상 접근으로 판단하여 접근을 차단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처(예를 들면, 매장 등)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서, 일반적으로 인식수단의 경우, 1회 접근 후, 해당 경로를 통해 재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장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경우, 전자적 요청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없어서, 이에 대한 피드백을 진행하게 됨에 따라, 만약 상기 전자적 요청이 고의적인 장난에 의한 것인 경우, 피드백에 따른 손실을 그대로 짊어지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착안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테이블기기(1), 고객기기(2), 서버(3) 및 직원기기(4)를 포함한다.
테이블기기(1)는, 본 발명의 사용처, 특히 매장의 경우 테이블에 직접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6)를 구성하고 통신을 위한 통신구성을 구비한 기기를 의미한다.
고객기기(2)는, 통신이 가능한 모든 스마트단말기를 의미하고, 직원기기(4) 역시, 통신이 가능한 모든 스마트단말기를 비롯하여 스마트워치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테이블기기(1)는 주요하게 인식수단을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고,
고객기기(2)는 테이블기기(1)의 인식수단을 리딩(reading)하는 기능과, 리딩 후 사용처의 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직원기기(4)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서버(3)는 고객기기(2)와 직접 통신하는 것 외에도 고객기기(2)와 직원기기(4)의 연결을 담당하며,
직원기기(4)는 고객기기(2)를 통한 고객의 요청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의 테이블기기, 고객기기 및 서버의 각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하면, 테이블기기(1)는, 시간정보공유부(11)와; 시간정보비교부(12)와; 시간정보매칭부(13)와; 리얼타임클락(14);과 인식수단재생성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간정보공유부(11)는,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시간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시간정보는 리얼타임클락(14, RTC)을 기반으로 한다.
시간정보비교부(12)는, 시간정보공유부(11)를 통해 공유된 서버(3)의 시간정보와 테이블기기(1)의 리얼타임클락(1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른지를 비교하는 기능을 한다.
시간정보매칭부(13)는, 시간정보비교부(12)를 통해 비교된 결과, 시간정보공유부(11)를 통해 공유된 서버(3)의 시간정보와 테이블기기(1)의 리얼타임클락(1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르다면, 리얼타임클락(14)에 기반하여 표준시인 테이블기기(1)와 서버(3) 중 어느 하나의 시간정보에 맞춰 동일해지도록 매칭하는 기능을 한다.
인식수단재생성부(15)는, 테이블기기(1)의 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되는 인식수단을 리얼타임클락(14)에 기반하여 일정주기마다, 사용처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버(3)에 접근하기 위한 인식수단에 포함된 정보인 URL이 종래의 것과 중복되지 않도록 변경되어 재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중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테이블기기(1)에 이력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이력정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기기(1)는 상기 이력정보저장부 혹은 별도의 저장부를 통해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설정정보는 매장식별코드, 테이블 섹션정보, 테이블 번호정보, 코유확인 코드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URL은 상술된 설정정보와 리얼타임클락(14)에 기반한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재생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URL을 포함하도록 인식수단을 코드로 생성하는 로직을 사용해 소정의 코드로 제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코드의 개념은, QR코드, NFC태그 등일 수 있는데, 이러한 QR코드나 NFC태그는 포함하는 정보의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적합할 수 있다.
한편, 인식수단은 블루투스를 적용할 수도 있으나, 블루투스를 이용한 URL 비콘의 경우에는, 구글의 Eddystone URL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URL이 포함된 블루투스 신호를 고객기기에서 수신하여 브라우저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적용 기술의 경우에도 URL의 값을 특정 룰에 의해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블루투스 적용의 경우, 1회 연결시 지속적인 연결이 가능하므로, 웹 연결시 시간적인 제한을 두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사용처에 지속적으로 위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재생성된 인식수단을 리딩하여 다시 접속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인식수단재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인식수단은, 디스플레이부(16)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하면, 고객기기(2)는, 인식수단리더부(21);와 통신부(22);와 웹연동부(23);와, 가상버튼 수신 및 표시부(24);와, 입력정보 생성 및 전송부(25);와, 수락신호 수신 및 표시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식수단리더부(21)는, 테이블기기(1)의 인식수단을 인식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통신부(22)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부(22)는 Wi-Fi, 블루투스, NFC, 지그비, QR코드, LTE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의미한다.
웹연동부(23)는, 스마트단말기의 웹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가상버튼 수신 및 표시부(24)는, 고객기기(2)가 웹(Web)을 구동하게 되면 활성화되는 기능으로서, 테이블기기(1)의 인식수단을 리딩하면, 웹이 구동됨에 따라 사용처를 식별하게 되고, 서버(3)로 식별된 사용처정보를 전송하여 서버(3)로부터 수신된 가상버튼정보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즉, 고객기기(2)는 웹을 기반으로 식별된 사용처별로 가상버튼을 서버(3)에서 제공받는 것이다.
입력정보 생성 및 전송부(25)는, 가상버튼 수신 및 표시부(24)를 통해 표시된 고객기기(2)의 사용자가 가상버튼을 조작하면 이를 요청을 위한 입력정보로 생성하고, 서버(3)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고객기기(3)는 인식수단의 리딩을 통해 설정정보를 함께 수신하였으므로, 테이블정보도 함께 서버(3)로 전송하도록 한다.
수락신호 수신 및 표시부(26)는, 입력정보 생성 및 전송부(25)에서 전송된 입력정보를 수신한 직원기기(4)로부터 입력정보의 요청에 따른 수락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고객기기(2)의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하면, 서버(3)는, 시간정보공유부(31)와; 시간정보비교부(32)와; 시간정보매칭부(33)와; 리얼타임클락(34);과 리딩판단부(35);와 가상버튼 검색 및 전송부(36);와 비정상접근 판단 및 차단부(37);와 입력정보 수신 및 전송부(38);와 수락신호 수신 및 전송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간정보공유부(31)는,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시간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시간정보는 리얼타임클락(34, RTC)을 기반으로 한다.
시간정보비교부(32)는, 시간정보공유부(31)를 통해 공유된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리얼타임클락(3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른지를 비교하는 기능을 한다.
시간정보매칭부(33)는, 시간정보비교부(32)를 통해 비교된 결과, 시간정보공유부(31)를 통해 공유된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리얼타임클락(3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르다면, 리얼타임클락(34)에 기반하여 표준시인 테이블기기(1)와 서버(3) 중 어느 하나의 시간정보에 맞춰 동일해지도록 매칭하는 기능을 한다.
리딩판단부(35)는, 고객기기(2)가 테이블기기(1)를 인식하여 사용처 식별을 위한 설정정보를 서버(3)로 전송하면, 고객기기(2)의 리딩이 수행되었음을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리딩판단부(35)에서 판단이 이루어지면, 서버(3)는 가상버튼 검색 및 전송부(36)를 통해 고객기기(2)로 전송할 가상버튼정보를 검색하여 고객기기(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버는 사용처별 가상버튼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가상버튼정보가 사용처별로 구분되는 이유는, 사용처의 종류, 서비스 형태, 메뉴 등의 별로 다른 가상버튼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비정상접근 판단 및 차단부(37)는,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을 인식하면서 획득된 설정정보와 URL정보를 기반으로, 만약 획득된 URL정보가 이전에 접속했었던 URL정보와 동일하다면, 해당 고객기기(2)의 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입력정보 수신 및 전송부(38)는, 인식수단을 인식하여 가상버튼을 획득한 고객기기(2)에서 전송된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직원기기(4)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수락신호 수신 및 전송부(39)는, 직원기기(4)에서 전송된 수락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직원기기(4)는 입력신호 수신 및 표시부와 수락신호 생성 및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에서 호출 및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1.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는, 테이블기기(1)가 인식수단재생성부(15)를 통해 인식수단을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는 단계이다.
2. 인식수단 인식 단계(S2)
인식수단 인식 단계(S2)는, 상기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에서 재생성된 인식수단을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리더부(21)를 통해 인식하는 단계이다.
3. 웹 실행 단계(S3)
웹 실행 단계(S3)는, 상기 인식수단 인식 단계(S2)를 통해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을 인식하면, 해당 고객기기(2)에서 웹연동부(23)를 통해 웹(Web)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4. 설정정보 전송 단계(S4)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는, 상기 웹 실행 단계(S3) 후, 고객기기(2)에서 웹이 실행되면, 테이블기기(1)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를 서버(3)로 전송하여 사용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5.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가상버튼 검색 단계(S5)는,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단계이다.
6. 가상버튼 제공 단계(S6)
가상버튼 제공 단계(S6)는, 상기 가상버튼 검색 단계(S5)에서 검색된 가상버튼을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7. 입력정보 생성 단계(S7)
입력정보 생성 단계(S7)는, 상기 가상버튼 제공 단계(S6)에서 가상버튼을 제공받은 고객기기(2)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기반으로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8. 입력정보 서버 전송 단계(S8)
입력정보 서버 전송 단계(S8)는, 상기 입력정보 생성 단계(S7)에서 입력정보가 생성되면, 고객기기(2)가 서버(3)로 입력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9. 입력정보 직원기기 전송 단계(S9)
입력정보 직원기기 전송 단계(S9)는, 상기 입력정보 서버 전송 단계(S8)를 통해 입력정보를 수신한 서버(3)가 상기 입력정보를 직원기기(4)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10. 수락신호 생성 단계(S10)
수락신호 생성 단계(S10)는, 상기 입력정보 직원기기 전송 단계(S9)를 통해 입력정보를 수신한 직원기기(4)가 직원의 조작에 의해, 입력정보에 따른 고객의 요청을 수락하는 수락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11. 수락신호 서버 전송 단계(S11)
수락신호 서버 전송 단계(S11)는, 상기 수락신호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된 수락신호를 직원기기(4)가 서버(3)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12. 수락신호 고객기기 전송 단계(S12)
수락신호 고객기기 전송 단계(S12)는, 상기 수락신호 서버 전송 단계(S11)를 통해 수락신호를 수신한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상기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고객기기(2)는 이의 화면에 직원의 수락이 있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입력신호에 따른 요청이 주문, 별도의 요청, 지시 등일 경우, 직원은 이에 따른 피드백인 수락을 제공함과 동시에, 고객인 고객기기(2)를 통해 직원이 요청을 받아들여 피드백이 있을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내지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테이블기기
11 : 시간정보공유부
12 : 시간정보비교부
13 : 시간정보매칭부
14 : 리얼타임클락
15 : 인식수단재생성부
16 : 디스플레이부
2 : 고객기기
21 : 인식수단리더부
22 : 통신부
23 : 웹연동부
24 : 가상버튼 수신 및 표시부
25 : 입력정보 생성 및 전송부
26 : 수락신호 수신 및 표시부
3 : 서버
31 : 시간정보공유부
32 : 시간정보비교부
33 : 시간정보매칭부
34 : 리얼타임클락
35 : 리딩판단부
36 : 가상버튼 검색 및 전송부
37 : 비정상접근 판단 및 차단부
38 : 입력정보 수신 및 전송부
39 : 수락신호 수신 및 전송부
4 : 직원기기

Claims (6)

  1. 테이블기기(1)가 인식수단재생성부(15)를 통해 인식수단을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는,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
    상기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에서 재생성된 인식수단을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리더부(21)를 통해 인식하는, 인식수단 인식 단계(S2);
    상기 인식수단 인식 단계(S2)를 통해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을 인식하면, 해당 고객기기(2)에서 웹연동부(23)를 통해 웹(Web)이 실행되도록 하는, 웹 실행 단계(S3);
    상기 웹 실행 단계(S3) 후, 고객기기(2)에서 웹이 실행되면, 테이블기기(1)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를 서버(3)로 전송하여 사용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정정보 전송 단계(S4);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및
    상기 가상버튼 검색 단계(S5)에서 검색된 가상버튼을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가상버튼 제공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2. 테이블기기(1)가 인식수단재생성부(15)를 통해 인식수단을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는,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
    상기 인식수단 재생성 단계(S1)에서 재생성된 인식수단을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리더부(21)를 통해 인식하는, 인식수단 인식 단계(S2);
    상기 인식수단 인식 단계(S2)를 통해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을 인식하면, 해당 고객기기(2)에서 웹연동부(23)를 통해 웹(Web)이 실행되도록 하는, 웹 실행 단계(S3);
    상기 웹 실행 단계(S3) 후, 고객기기(2)에서 웹이 실행되면, 테이블기기(1)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를 서버(3)로 전송하여 사용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정정보 전송 단계(S4);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상기 설정정보 전송 단계(S4)를 통해 서버(3)가 사용처를 식별하면, 사용처에 대응되는 가상버튼을 서버(3)가 검색하는, 가상버튼 검색 단계(S5);
    상기 가상버튼 검색 단계(S5)에서 검색된 가상버튼을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가상버튼 제공 단계(S6);
    상기 가상버튼 제공 단계(S6)에서 가상버튼을 제공받은 고객기기(2)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기반으로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입력정보 생성 단계(S7);
    상기 입력정보 생성 단계(S7)에서 입력정보가 생성되면, 고객기기(2)가 서버(3)로 입력정보를 전송하는, 입력정보 서버 전송 단계(S8);
    상기 입력정보 서버 전송 단계(S8)를 통해 입력정보를 수신한 서버(3)가 상기 입력정보를 직원기기(4)로 전송하는, 입력정보 직원기기 전송 단계(S9);
    상기 입력정보 직원기기 전송 단계(S9)를 통해 입력정보를 수신한 직원기기(4)가 직원의 조작에 의해, 입력정보에 따른 고객의 요청을 수락하는 수락신호를 생성하는, 수락신호 생성 단계(S10);
    상기 수락신호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된 수락신호를 직원기기(4)가 서버(3)로 전송하는, 수락신호 서버 전송 단계(S11); 및
    상기 수락신호 서버 전송 단계(S11)를 통해 수락신호를 수신한 서버(3)가 고객기기(2)로 상기 수락신호를 수신하는, 수락신호 고객기기 전송 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3. 테이블기기(1), 고객기기(2), 서버(3) 및 직원기기(4)를 포함하여,
    상기 테이블기기(1)의 인식수단을 리딩한 고객기기(2)가 웹으로 접속하여 직원기기(4)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직원기기(4)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수락을 피드백하되,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테이블기기(1)가 일정주기마다 시간정보와 설정정보에 기반하여 URL이 중복되지 않도록 재생성되고,
    상기 고객기기(2)와 서버(3)는,
    시간정보를 공유하여 상호 간의 시간이 동일하도록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테이블기기(1)는,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시간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기산정보공유부(11);
    상기 시간정보공유부(11)를 통해 공유된 서버(3)의 시간정보와 테이블기기(1)의 리얼타임클락(1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른지를 비교하는 시간정보비교부(12);
    상기 시간정보비교부(12)를 통해 비교된 결과, 시간정보공유부(11)를 통해 공유된 서버(3)의 시간정보와 테이블기기(1)의 리얼타임클락(1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르다면, 리얼타임클락(14)에 기반하여 표준시인 테이블기기(1)와 서버(3) 중 어느 하나의 시간정보에 맞춰 동일해지도록 매칭하는 시간정보매칭부(13);
    인식수단을 일정주기마다 재생성하는 인식수단재생성부(15); 및
    가상버튼과 인식수단을 비롯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고객기기(2)는,
    인식수단을 인식하는 인식수단리더부(21);
    웹 구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웹연동부(23);
    고객기기(2)가 테이블기기(1)의 인식수단을 인식하면, 서버(3)로부터 수신된 가상버튼정보 표시하는 가상버튼 수신 및 표시부(24);
    상기 가상버튼 수신 및 표시부(24)를 통해 표시된 고객기기(2)의 사용자가 가상버튼을 조작하면, 입력정보를 생성하고 서버(30로 전송하는 입력정보 생성 및 전송부(25); 및
    상기 입력정보 생성 및 전송부(25)에서 전송된 입력정보를 수신한 직원기기(4)가 생성하여 전송한 수락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수락신호 수신 및 표시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서버(3)는,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시간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시간정보공유부(31);
    상기 시간정보공유부(31)를 통해 공유된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리얼타임클락(3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른지를 비교하는 시간정보비교부(32);
    상기 시간정보비교부(32)를 통해 비교된 결과, 시간정보공유부(31)를 통해 공유된 테이블기기(1)의 시간정보와 서버(3)의 리얼타임클락(34)에 의한 시간정보가 다르다면, 리얼타임클락(34)에 기반하여 표준시인 테이블기기(1)와 서버(3) 중 어느 하나의 시간정보에 맞춰 동일해지도록 매칭하는 시간정보매칭부(33);
    고객기기(2)가 테이블기기(1)를 인식하여 사용처 식별을 위한 설정정보를 서버(3)로 전송하면, 고객기기(2)의 인식이 수행되었음을 판단하는 리딩판단부(35);
    상기 리딩판단부(35)를 통해 인식수단의 인식이 판단되면, 가상버튼정보를 검색하여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가상버튼 검색 및 전송부(36);
    상기 고객기기(2)가 인식수단을 인식하여 획득된 URL을 기반으로 이전에 접속하였던 URL인 경우, 해당 고객기기(20의 접근을 차단하는 비정상접근 판단 및 차단부(37);
    인식수단을 인식하여 가상버튼을 획득한 고객기기(2)에서 전송된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직원기기(4)로 전송하는 입력정보 수신 및 전송부(38); 및
    직원기기(4)에서 전송된 수락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고객기기(2)로 전송하는 수락신호 수신 및 전송부(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KR1020180088925A 2018-07-31 2018-07-31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KR20200013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25A KR20200013830A (ko) 2018-07-31 2018-07-31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PCT/KR2018/010826 WO2020027366A1 (ko) 2018-07-31 2018-09-14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25A KR20200013830A (ko) 2018-07-31 2018-07-31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30A true KR20200013830A (ko) 2020-02-10

Family

ID=6962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925A KR20200013830A (ko) 2018-07-31 2018-07-31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38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45B1 (ko) 2017-09-08 2018-07-05 (주) 헬로팩토리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45B1 (ko) 2017-09-08 2018-07-05 (주) 헬로팩토리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4650B (zh) 一种区块链网络的事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697511B2 (en) Method for securing transactions, transaction device, bank server,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s
EP2538641A1 (en) Secure ta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20210240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 information discovery with multiple senses
CN103116852A (zh) 店铺信息提示系统及服务器装置
CN111076741B (zh) 导航状态获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3000545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30012188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958726B2 (en) Method of synchronizing device list in a smart network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hereof
KR20170124194A (ko) 여행정보 제공서비스방법 및 프로그램
US9571635B2 (en) Automatic account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KR20200013830A (ko)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방법
US20190295065A1 (en) Affiliated store labeling method, affiliated store labeling device, and affiliated store labeling system for wireless lan fingerprint
KR20200013831A (ko)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시스템
KR20200013836A (ko)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및 피드백 장치세트
KR20200013833A (ko) 웹 기반의 가상버튼을 이용한 호출 장치
US202102088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70133869A (ko)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50034680A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안내시스템
KR101675216B1 (ko) 비콘 연동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1857A (ko)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1651327B2 (en) Delivery director
KR102125184B1 (ko) 위치기반 가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14113A (ko) 매장 qr코드 기반의 이벤트 쿠폰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1332928B1 (ko) 멀티 태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