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857A -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857A
KR20200061857A KR1020180147632A KR20180147632A KR20200061857A KR 20200061857 A KR20200061857 A KR 20200061857A KR 1020180147632 A KR1020180147632 A KR 1020180147632A KR 20180147632 A KR20180147632 A KR 20180147632A KR 20200061857 A KR20200061857 A KR 2020006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number
standby
sequence
wait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재
유보람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우재
김종호
유보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재, 김종호, 유보람 filed Critical 김우재
Priority to KR1020180147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857A/ko
Publication of KR2020006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로 대기순번이 발급되어 종이 순번표의 작성이 필요 없으며, 고객이 항상 표시장치를 보고 있을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는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은,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순번요청을 받는 순번요청모듈,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하는 순번결정모듈, 및 결정된 상기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Queue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queueing system}
본 발명은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로 대기순번이 발급되어 종이 순번표의 작성이 필요 없으며, 고객이 항상 표시장치를 보고 있을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는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 또는 관공서와 같이 고객이 대기할 필요가 있는 여러 기관에서 순번대기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순번대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순번대기 시스템(10)은 종이 번호표를 발행하는 순번기(11), 대기순번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14), 및 창구 직원이 다음 대기자로 대기순번을 변경하기 위한 호출기(13)가 포함된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4)에는 대기순번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종래의 순번대기 시스템(10)을 이용하면 대기자들은 항상 종이로 된 번호표를 뽑아야 했고, 계속 자신의 대기순번이 표시장치(14)에 디스플레이되는지를 주시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자신의 순번을 놓치는 경우 다시 대기표를 뽑아 기다려야 하므로 대기자들은 대기시간이 비교적 넉넉하게 남아있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표시장치(14) 근처에 머물며 상기 번호표에 기재된 자기의 대기순번을 확인해야 하므로 대기자들의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대기자가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순번요청을 할 수 있어서 종이 번호표의 발행으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대기순번이 되는지를 알려줄 수 있어서, 항상 표시장치를 주시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대기시간 동안 표시장치에서 벗어나 필요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대기자가 자신의 대기순번을 일정 정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대기자가 다소 먼 곳까지 벗어나 자신의 대기순번을 지킬 수 없는 경우에도 다시 대기표를 뽑아야 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은,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순번요청을 받는 순번요청모듈,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하는 순번결정모듈, 및 결정된 상기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요청모듈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순번요청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의 위치가 표시된 매장위치정보 및 소정 시점에서 상기 매장위치정보별로 상응하는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매장정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매장정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매장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장의 종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서 수행 가능한 업무의 종류별 평균 소요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결정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순번지연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순번을 소정 순번만큼 지연시키며, 상기 순번지연요청은, 근거리 통신을 통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태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의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지연시간정보 또는 요청지연순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방문기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상기 순번요청이 요청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문매장에 대한 방문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문매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문매장정보는, 상기 방문기록요청이 요청되는 시점에서의 각각의 방문매장별 대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된 순번대기 시스템으로 순번요청을 수행하는 순번모듈,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수신된 상기 대기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모듈은, 복수 개의 순번대기 시스템으로 각각 순번요청이 수행 가능하며, 상기 수신모듈은, 각각의 순번요청들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대기정보들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대기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모듈은, 제1순번대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1대기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2순번대기 시스템으로 순번요청을 수행할 때, 상기 제2순번대기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대기예상시간이 상기 제1대기정보에 상응하는 제1대기예상시간과 소정 범위 내에서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순번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은, 순번대기 시스템이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순번요청을 받는 단계,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의 위치가 표시된 매장위치정보 및 소정 시점에서 상기 매장위치정보별로 상응하는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매장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순번지연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순번을 소정 순번만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순번지연요청은, 근거리 통신을 통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태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의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방문기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상기 순번요청이 요청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문매장에 대한 방문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문매장정보는, 상기 방문기록요청이 요청되는 시점에서의 각각의 방문매장별 대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대기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순번요청을 할 수 있어서 종이 번호표의 발행으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대기순번이 되었는지 또는 자신의 차례가 거의 다되었는지를 알려줄 수 있어서, 항상 표시장치를 주시하고 있을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자가 원할 경우 이미 결정된 자신의 순번을 뒤로 미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자가 자신의 순번을 지킬 수 없는 경우에도 다시 대기표를 뽑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순번대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들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들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사용자(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소정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순번요청모듈(110), 순번결정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매장정보모듈(140) 및/또는 방문매장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상기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복수의 장치에 분산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통신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번요청모듈(11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접촉하기 위한 순번발급장치(순번기)에 포함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별개의 순번관리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순번요청모듈(110)은 상기 순번기와 상기 순번관리서버에 각각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폰,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한 소정의 단말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융기관이나 관공서 등을 자주 이용하는 고객에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장치는 NFC 등을 통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과 접촉식/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소정의 이동통신시스템(40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SMS/ MMS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번요청모듈(110), 순번결정모듈(120), 제어모듈(130) 및/또는 웹 모듈(14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특정 UI를 선택함으로써 순번요청을 받고, 대기순번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기순번을 종이 번호표에 출력하여 발행하는 종래의 순번기와는 달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100)의 순번요청모듈(110)은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순번요청을 받을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순번요청모듈(110)은 RFID 등과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구현 예에 따라, 지그비,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순번요청모듈(110)과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 MO(Mobile Oriented) 서비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MO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장치(예를 들어, MO 서버 등)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순번요청모듈(110)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NFC 통신 및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기자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소정의 UI를 선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또는 접촉)시키면 순번요청을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소정의 UI의 선택없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접근하거나 혹은 접촉하면 상기 순번요청모듈(11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순번요청을 받은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NFC 통신이라 함은, 근접 무선 통신 기술로서, 약 20cm 내외의 거리에서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NFC 통신은 자기장 유도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되는데, 주로 13.56MHz의 RF(Radio Frequency) 대역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424kbits/s 의 통신속도를 낼 수도 있다.
NFC 통신 기기는 이러한 NFC 통신기술을 이용하는 기기를 말하는데, 주로 3가지의 유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NFC 통신 기기는 비접촉식 카드와 같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RFID 태그 등의 리더기로 사용될 수 있는 리더 모드, 또는 둘 이상의 NFC 통신 기기 간의 통신이 가능한 P2P 모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FC 통신 기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NFC 포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 즉, 순번요청을 한 대기자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인 인식가능정보가 저장 또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인식가능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가능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할당된 휴대전화번호, USIM 카드의 식별번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기기번호 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식가능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인식가능정보는 상기 대기자의 이름, 주민번호, 휴대전화번호, 및/또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을 사용하는 기관에서 설정한 고유의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 순번요청을 수행함과 동시에 또는 순번요청 전후에 상기 인식가능정보를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수신된 상기 인식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를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 즉 사용자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별도의 대기자 인식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은행 서버 또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인식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대기자에 상응하는 사용자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수신된 상기 인식가능정보 자체로 상기 대기자에 상응하는 사용자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는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매장, 은행 서버 또는 통신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정보를 파악 및 생성하여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가능정보가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예를 들어, 기기 시리얼 넘버 등)인 경우,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이동통신서버(400)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기관(예를 들면, 은행)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대기자의 이름, 휴대전화번호, 또는 주민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이나 매장 등지에서는 미리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등록해둘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은행 서버(미도시)에서 상기 사용자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으로 파악된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은행에서 고객에게 상기 인식가능정보가 저장된 소정의 통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인식가능정보 자체가 상기 대기자에 상응하는 사용자정보일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사용자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 자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은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대기자를 나타낼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기자의 이름 중 적어도 일부, 상기 대기자의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일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할당된 휴대전화번호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대기자에 할당된 고유식별번호(예를 들어, 고객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대기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하여 순번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대기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시행하고,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UI를 통해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매장 및/또는 매장에서 수행할 업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순번요청모듈(110)로 순번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순번요청모듈(11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순번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이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에 의해 결정된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다양한 통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130)은 바로 전까지 대기했던 일정 수의 대기자의 평균 대기시간과 결정된 상기 대기순번을 이용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현 에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30)은 대기자가 순번요청을 요청한 매장의 종류(예컨대, 음식점, 은행, 관공서 등)나, 해당 매장에서의 업무 종류(예컨대, 주문할 음식 메뉴 종류, 예금/출금 업무, 매표, 진료 등)별 평균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이러한 평균 소요시간에 기초하여 대기자의 대기예상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대기자는 순번요청을 요청할 때 자신이 수행할 업무 종류를 선택하여 순번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이처럼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에 의해 결정된 대기자의 대기순번과, 산출된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정보는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상기 대기자 보다 빠른 대기순번을 받은 이전 대기자가 줄어들 때마다,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30)은 갱신된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예상시간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갱신된 대기순번과 갱신된 대기예상시간을 상기 대기정보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상기 대기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웹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가입한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시스템(400)을 통해 SMS나 MMS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매장정보모듈(140)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이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의 위치가 표시된 매장위치정보와, 특정 시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장별로 상응하는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장정보모듈(14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매장정보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기 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장정보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문매장모듈(15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방문기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순번요청이 요청된 이력이 있는(즉, 대기자가 방문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문매장에 대한 방문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방문매장정보에는 현재 시점(예컨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방문기록요청을 수행한 시점)에서, 각각의 방문매장별 대기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문매장정보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기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대기자는 상기 매장정보 및/또는 상기 방문매장정보를 요청하여 열람하고, 상기 매장정보 및/또는 상기 방문매장정보에 나타난 매장들 중 자신이 방문하고자 원하는 매장에 순번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대기자는 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순번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매장의 관리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하지 않더라도 매장에 예약을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예약이 특정 시간을 지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한 순번요청은 대기자가 대기정보를 보고 방문이 가능한 경우 순번을 지정받을 수 있는 차이가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이처럼 대기자가 직접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순번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는, 상기 대기자가 한 번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방문매장에 한해서만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 반드시 대기자가 방문한 이력이 없더라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순번요청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대기자가 상기 매장정보를 요청할 때, 대기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매장에 대한 매장정보만 대기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자가 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순번요청을 요청할 수 있으려면 매장의 관리자에 의해 해당 대기자가 VIP로 별도 지정되어야만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매장의 관리자는 자신의 매장의 단골고객이나 특정 VIP에게 일반 고객에 비해 편의를 제공하기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자는 특정 고객들을 VIP로 지정할 수 있으며, VIP로 지정된 고객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에 직접 방문하기 전,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미리 순번요청을 수행하여 대기순번을 미리 지정받을 수 있다.
한편, 대기자는 자신의 대기순번을 뒤로 미루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기자가 대기시간 동안 다른 일을 하기 위하여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하였는데, 자신의 순번이 될 때까지 다시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 돌아오기에 시간이 부족한 경우 대기자는 자신의 대기순위를 뒤로 미루어 시간을 벌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기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순번지연요청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 순번지연요청을 보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에서 일정 번호만큼 지연된 지연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이 지연순번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번호 혹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번호만큼 대기순번을 뒤로 미루어 지연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이미 대기순번이 결정된 상태인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순번요청모듈(110)과 다시 태그되는 경우, 이를 순번지연요청으로 판단하고, 지연순번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대기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입력정보에 따라 지연순번을 순번이 지연된 지연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는 예컨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을 통해 입력되는 요청지연시간정보 또는 요청지연순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요청지연시간정보 또는 요청지연순번정보는 상기 순번지연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요청지연시간정보는 현재 시점(예컨대, 대기자가 순번지연요청을 보내는 시점)으로부터 대기자가 미루기 원하는 지연시간(예컨대, 30분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상기 지연시간에 정확히 대응되는 지연순번을 결정하기 사실상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상기 지연시간만큼 대기시간이 미루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지연순번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회당 평균 대기시간을 통계적으로 결정한 후 상기 지연시간을 회당 평균 대기시간으로 나누어 상기 지연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요청지연순번정보는, 대기자가 현재 자신의 대기순번으로부터 미루기 원하는 순번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대기자의 순번이 5순위인 경우, 대기자가 10순위의 순번으로 미루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입력정보에 요청지연순번정보를 5로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예상 대기시간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대기자는 계속해서 순번대기 시스템(100) 앞에서 대기할 필요 없이 다른 장소에 다녀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아오는데 까지 충분한 시간이 남지 않아 자신의 대기순번을 지킬 수 없는 경우에도 자신의 대기 순위를 뒤로 미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시 대기표를 뽑아야 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대기자의 지연순번을 결정하고 나면, 결정된 지연순번을 대기자의 대기순번으로 재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상기 대기자의 원래 대기순번 보다 후순위에 있던 대기자들의 대기순번도 재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기자의 재배정되기 전의 원래 대기순번의 바로 다음 순위에 있던 대기자부터 상기 지연순번을 배정받았었던 대기자까지의 대기순번을 모두 한 순위씩 앞당길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기순번 100번을 배정받은 대기자A가 순번지연을 요청하여 110번으로 대기순번을 재배정받았다고 하면, 상기 순번결정모듈(120)은 대기순번 101번부터 대기순번 110까지의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모두 한 순위씩 앞으로 당길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30)은 대기자가 순번이 되거나 대기자의 순번이 다가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소정의 정보 및/또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대기자의 순번이 되었음을 알려주거나 대기자의 순번이 다가옴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자의 순번까지 대기인이 3명 남은 경우 소정의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대기자에게 대기자의 순번이 되었거나 대기자의 순번이 곧 도래함을 알려줄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은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대기인이 3명 남았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400)을 통해 또는 SMS 또는 MMS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푸시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메시지 수신 설정에 따라 진동을 하거나 소리를 내거나 램프를 깜빡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알림 정보가 도착했음을 대기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상기 알림 정보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자의 사용자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단순히 '몇 번 고객님'으로 대기자를 호칭하거나 '고객님'으로 호칭하는 것보다 대기자의 '홍길동 고객님'과 같이 사용자정보(예를 들어, 이름 등)으로 호칭하는 경우, 고객에게 훨씬 친근하고 커스터마이(customizing)징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을 위해 제작된 통신장치이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단순히 알림 신호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여 대기자에게 순번이 되었거나 곧 순번이 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대기 요청을 받고, 순번이 되거나 되었을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알려줄 수 있으므로, 대기자는 항상 표시장치(300)를 주시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때에도 사용자정보를 이용해 순번이 되었거나 곧 순번이 됨을 알려줄 수 있으므로, 대기자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10)은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 순번요청을 수행하는 순번모듈(211),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212), 및 수신된 상기 대기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순번모듈(211)은 복수 개의 순번대기 시스템(100)들로 각각 순번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수신모듈(212)은 순번요청된 상기 복수 개의 순번대기 시스템(100)들로부터 각 순번요청에 상응하는 대기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3)은 수신된 복수 개의 대기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 개의 순번요청을 수행한다고 함은, 대기자가 어느 한 시점에서 동시에 복수 개의 매장(순번대기 시스템(100))들로 순번요청을 하는 경우는 물론, 어느 하나의 매장에 이미 순번요청을 수행하여 대기순번이 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매장에 순번요청을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즉, 대기자는 복수 개의 매장별로 복수 개의 대기순번을 지정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자는 은행에서 업무를 마친 후 근처 음식점에서 식사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대기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10)을 통해 전술한 매장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매장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매장별 위치정보와 대기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대기자는 이러한 대기정보들을 확인하고, 은행과 음식점에 순번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매장(예컨대, 은행)에 구비된 제1순번대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1대기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즉, 제1대기순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매장(예컨대, 음식점)에 구비된 제2순번대기 시스템으로 제2순번요청을 수행할 때, 상기 순번모듈(211)은 각 대기정보에 포함된 대기예상시간이 일정 범위 내에서 겹치는 경우, 상기 제2순번요청을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은행에서의 대기예상시간이 현재로부터 10분 이후이고, 상기 음식점에서의 대기예상시간은 5분인 경우, 은행에서 대기자의 순번이 돌아오기 전(또는 은행에서 업무를 마치기 전)에 음식점에서의 순번이 먼저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대기예상시간이 겹치는 경우에는 상기 순번모듈(211)이 제2순번요청(즉, 나중에 수행되는 순번요청)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순번요청을 받는 순번요청모듈;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하는 순번결정모듈; 및
    결정된 상기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요청모듈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순번요청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의 위치가 표시된 매장위치정보 및 소정 시점에서 상기 매장위치정보별로 상응하는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매장정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매장정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매장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장의 종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서 수행 가능한 업무의 종류별 평균 소요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결정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순번지연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순번을 소정 순번만큼 지연시키며,
    상기 순번지연요청은,
    근거리 통신을 통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태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의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지연시간정보 또는 요청지연순번정보를 포함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방문기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상기 순번요청이 요청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문매장에 대한 방문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문매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문매장정보는,
    상기 방문기록요청이 요청되는 시점에서의 각각의 방문매장별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8.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된 순번대기 시스템으로 순번요청을 수행하는 순번모듈;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결정된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수신된 상기 대기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모듈은,
    복수 개의 순번대기 시스템으로 각각 순번요청이 수행 가능하며,
    상기 수신모듈은,
    각각의 순번요청들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대기정보들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대기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모듈은,
    제1순번대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제1대기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2순번대기 시스템으로 순번요청을 수행할 때,
    상기 제2순번대기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대기예상시간이 상기 제1대기정보에 상응하는 제1대기예상시간과 소정 범위 내에서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순번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11. 순번대기 시스템이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순번요청을 받는 단계;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대기순번 및 상기 대기순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대기예상시간이 포함된 대기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의 위치가 표시된 매장위치정보 및 소정 시점에서 상기 매장위치정보별로 상응하는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매장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순번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대기순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순번지연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자의 순번을 소정 순번만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순번지연요청은,
    근거리 통신을 통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태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의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순번대기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방문기록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상기 순번요청이 요청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문매장에 대한 방문매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문매장정보는,
    상기 방문기록요청이 요청되는 시점에서의 각각의 방문매장별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순번대기 시스템 제공방법.
  15.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47632A 2018-11-26 2018-11-26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200061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32A KR20200061857A (ko) 2018-11-26 2018-11-26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32A KR20200061857A (ko) 2018-11-26 2018-11-26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857A true KR20200061857A (ko) 2020-06-03

Family

ID=7108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632A KR20200061857A (ko) 2018-11-26 2018-11-26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8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2303A (zh) * 2020-09-30 2020-12-25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信息管理方法及装置
WO2022169064A1 (ko) * 2021-02-08 2022-08-11 주식회사 픽넘버 위치 추적 기능을 구비한 대기 번호표 발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2303A (zh) * 2020-09-30 2020-12-25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信息管理方法及装置
CN112132303B (zh) * 2020-09-30 2023-08-29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信息管理方法及装置
WO2022169064A1 (ko) * 2021-02-08 2022-08-11 주식회사 픽넘버 위치 추적 기능을 구비한 대기 번호표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4390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픽넘버 위치 추적 기능을 구비한 대기 번호표 발행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046B2 (en) Computerized optimization of customer service queue based on customer device detection
EP3720044B1 (en) Electronic certificate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20200061857A (ko) 순번대기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36168B1 (ko)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5086529A1 (en) Method, system &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849310B1 (ko) 실시간 숙박 시설 예약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행하기 위한 숙박업체 단말 및 서버
KR101178473B1 (ko) Nfc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결제 제공방법, nfc 단말기, 및 rf 결제장치
KR101216023B1 (ko) 순번대기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89435B1 (ko)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KR101505995B1 (ko) Nfc 지능형 순번 대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번호표 발급방법.
KR20160104266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JP5965530B1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順番管理プログラム
KR101779859B1 (ko) 휴대 기기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예약 분실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1434A (ko) 스마트폰과 큐알코드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예약과 대기순번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70903A (ko) 순번대기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677234B1 (ko) 대기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20480B1 (ko) 비접촉 금융 거래를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4010150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KR20150107000A (ko)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한 대기자 관리 시스템, 순번 관리 서버, 및 대기자 관리 방법
KR2013010273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US10833731B1 (en) Managing resource or service utilization within a location
KR20170104792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1954653B1 (ko) 비콘으로 형성된 영역을 활용한 관리 시스템
KR101509454B1 (ko) 사용자 단말 및 대기번호 발급 서버
KR101540611B1 (ko)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