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798A -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 Google Patents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798A
KR20200013798A KR1020207002741A KR20207002741A KR20200013798A KR 20200013798 A KR20200013798 A KR 20200013798A KR 1020207002741 A KR1020207002741 A KR 1020207002741A KR 20207002741 A KR20207002741 A KR 20207002741A KR 20200013798 A KR20200013798 A KR 2020001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earbuds
role
wireless earbuds
ear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343B1 (ko
Inventor
스리람 하리하란
가네샤 아드카스달라 가나파디 바타
타드 제이. 드라이어
크리스토퍼 에스. 위베
애쉴리 엔. 사울스버리
두이 엔. 판
데이비드 제이. 쇼
로버트 디. 왓슨
오거스틴 프래츠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1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한 후에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wireless ear bud) 사이에서 역할 스와핑(role swapping)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한, 상태 정보는, 한 쌍의 무선의, 테더링되지 않은 이어버드 내의 버드들 사이에서 역할 스와핑을 수행하는 것과 연관된 것을 포함하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무선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primary role)에 있고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담당하며, 한 쌍 내의 다른 무선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secondary role)에 있다.

Description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SWAPPING ROLES BETWEEN UNTETHERED WIRELESSLY CONNECTED DEVICES}
본 기술은,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역할들을 스와핑(swapp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상태 정보를 조정하는(coordinating) 것에 관련된다.
개인용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귀 내에 또는 그 위에 착용되고 와이어에 의해 서로 테더링되는 한 쌍의 스피커로 설계된다. 또한 스피커들은 전형적으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오디오 디바이스에 와이어링된다.
일부 개인용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와이어에 의해 서로 테더링된 한 쌍의 스피커를 포함하며, 스피커들은 전용 역할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서 제시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분명할 것이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원리들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기구들 및 조합들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아래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 완전하게 명백해질 것이거나,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원리들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상태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기술하며, 이는 한 쌍의 무선의, 테더링되지 않은 이어버드(ear bud) 내의 버드들 사이에서 역할 스와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의 무선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primary role)에 있고 컴패니언 디바이스(companion device)(예를 들어, 스마트폰, 시계 등)와의 접속을 담당하며, 한 쌍 내의 다른 무선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secondary role)에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역할 스와핑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인식되지 않을(transparent to) 수 있다(즉, 역할 스와핑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알리지 않고 발생한다). 그러한 역할 스와핑은, 예를 들어,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사용중인 것(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 내)으로 결정되면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사용중이지 않은 것(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 외부)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또는 다른 그러한 조건들 때문에, 예를 들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낮아서 충전될 필요가 있으면서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충분한 전력을 가질 때, 필요하거나 유용할 수 있다.
스와핑을 실행하는 방법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 프로토콜(동기 또는 비동기)에 좌우될 수 있다. 음악 스트리밍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비동기 접속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면서,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 세션은 그대로 두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에서의 이러한 일시적 중지 동안,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우측 이어버드)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좌측 이어버드)는 상태 데이터를 교환하고 역할들을 스와핑하여,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좌측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을 맡도록 할 수 있다. 이차 역할이었던 무선 이어버드(좌측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을 인계받으면,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이제 일차 역할을 인계받은 무선 이어버드(좌측 이어버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재개한다.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좌측 이어버드)가, 그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을 맡고, 완전한 상태 정보를 갖고,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우측 이어버드)를 식별하기 위해 이전에 사용된 필요한 주소(들) 및/또는 식별자(들)을 채택했기 때문에, 일차 역할을 맡았음을,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역할 스와핑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음성 통신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동기 접속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데이터의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에 역할 스와핑을 수행한다. 데이터 전송이 인터럽트되지 않기 때문에,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스와핑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동기 및 비동기 세션들 둘 모두 하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통신할 것이며, 이 경우 각각의 세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비동기 세션 데이터의 전송은 일시적으로 중지될 것이지만, 동기 세션 데이터의 전송은 계속될 것이다. 다시, 스와핑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인식되지 않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은, 제1 무선 이어버드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이어버드로 오디오 신호들을 라우팅하고,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제2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링크를 생성함으로써,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역할들을 스와핑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제1 무선 이어버드는 그들의 무선 링크를 통해 제2 무선 이어버드와 오디오 신호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하기 위한 일차 역할을 맡는다.
제1 무선 이어버드, 제2 무선 이어버드, 및 컴패니언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은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고 역할 스와핑을 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역할들을 스와핑한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역할들을 스와핑하는 것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통해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전송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는 동안, 무선 이어버드들은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현재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어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현재 일차 역할인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재개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전송은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 동안 정지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역할 스와핑을 개시하기 전에 상태 데이터가 무선 이어버드들 사이에서 전송됨으로써, 역할 스와핑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이어버드들이 참조되지만, 본 개시내용은 헤드폰, 스피커, 다른 오디오 디바이스, 센서, 다른 착용형 감각 디바이스, 또는 또 다른 디바이스와의 설정된 통신 세션에서의 다른 페어링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언급된 장점들 및 다른 장점들과 특징들이 얻어질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간략하게 설명된 원리들의 더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는 그의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함으로써 이루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이 단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할 뿐이며, 따라서 그것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 것을 이해하면서, 본 명세서에서의 원리들은 첨부된 도면들의 사용을 통해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고 설명된다.
도 1a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결합하는 예시적인 무선 이어버드를 도시한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된 2개의 무선 이어버드를 갖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c는 예시적인 이어버드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2a는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를 결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2b는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역할들을 스와핑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조정된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을 언제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조정된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차 역할로부터 이차 역할로의 비-조정된(uncoordinated)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을 언제 수행할지, 그리고 이차 역할로부터 일차 역할로의 비-조정된 버드 스와핑을 언제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진입할 모드를 결정하는 무선 이어버드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예시적인 가능한 시스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아래에 상세하게 논의된다. 특정 구현예들이 논의될지라도, 이것은 단지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행해짐이 이해되어야 한다. 관련 분야의 숙련자는 다른 컴포넌트들 및 구성들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a는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이어버드(165)를 도시한다. 무선 이어버드(165)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해(예를 들어, 블루투스®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175)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75)는 또한 다른 무선 이어버드와 무선으로 접속하여,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즉, 물리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5)는 임의의 무선 프로토콜 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165)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170)를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는 무선으로 접속된 컴패니언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75)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165)는 또한 프로세서(180), 메모리(185), 배터리(190), 마이크로폰(199), 및 하나 이상의 센서(195)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95)는 환경 및/또는 동작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무선 이어버드(165)가 귀에 위치하고/하거나 귀에서 제거될 때뿐만 아니라 무선 이어버드(165)가 귀 내에 놓이는지 귀 외부에 놓이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센서들(195)은 무선 이어버드가 사용자의 귀 내에 있을 때를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들)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은 광학 근접 센서, 압력 센서, 열 센서, 수분 센서 등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195)은 또한 모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등), 생체인식 센서, 및/또는 환경 데이터를 포착하도록 구성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이어버드(165)는 다른 무선 이어버드와 무선으로 접속되어,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물리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으로 접속된 무선 이어버드들 중 하나는 일차 역할을 맡고 무선으로 접속된 무선 이어버드들 중 하나는 이차 역할을 맡는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청취(또는 "스누프(snoop)")할 수 있도록) 접속 정보를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제공하고,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부터 귀-내부(in-ear)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및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귀-내부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165)는 또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의 역할들을 언제 스와핑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버드 스와핑 관리자(198)를 포함한다. 무선 이어버드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기술이 다른 헤드폰 디바이스, 다른 오디오 디바이스, 다른 착용형 감각 디바이스, 무선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주변기기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도 1b는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컴패니언 디바이스(115, 120, 125)와 무선으로 접속된 2개의 무선으로 접속된 착용형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들(165, 110)을 포함하는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이어버드(165)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기능하고, 무선 이어버드(110)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기능한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65)는 컴패니언 디바이스들(115, 120, 125) 중 임의의 것/전부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고 접속 정보를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10)에 제공하여, 무선 이어버드(110)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65)와 컴패니언 디바이스(115, 120, 125) 사이의 접속을 청취("스누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65)는 컴패니언 디바이스들(115, 120, 125)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10)로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이어버드들(165, 110)은, 무선 이어버드들(165, 110)이 사용자의 귀 내로 삽입 및/또는 그로부터 제거되는 때뿐만 아니라, 무선 이어버드들(165, 110)이 귀 내에 놓이고/놓이거나 귀 외부에 놓이는지 여부를, 센서들(195)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65)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10)로부터, 그것의 연관된 착용 상태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65)는 또한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10)로, 그것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65)는 자신의 착용 상태 및/또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10)의 착용 상태를, 그것이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컴패니언 디바이스들(115, 120, 125) 중 임의의 것/전부에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165)는 무선으로 접속된 컴패니언 디바이스들(115, 120, 125) 중 임의의 것/전부로부터, 컴패니언 디바이스들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 또는 컴패니언 디바이스들(115, 120, 125)의 변경된 거동들을 반영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c는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버드 케이스(1000)를 도시한다. 이어버드 케이스(1000)는 한 쌍의 무선 이어버드(1005, 1010)를 하우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어버드 케이스(1000) 내에 하우징되어 있는 동안 무선 이어버드들(1005, 1010)을 접속시킬 수 있다. 이어버드 케이스(1000)는 이어버드 케이스(1000) 내의 무선 이어버드들을 덮도록 닫히는 커버(10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버드 케이스(1000)는 또한 커버(1045)가 열리고/열리거나 닫히는 때를 검출하는 센서(105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이어버드들(1005, 1010)은, 커버(1045)가 열릴 때 자동으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려고 시도하도록 구성된다.
이어버드 케이스(1000)는 무선 이어버드들(1005, 1010)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1030) 및 배터리(1030)를 외부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충전 인터페이스(1035)를 포함한다. 이어버드 케이스(1000)는 또한 무선 이어버드들(1005, 1010)의 그리고/또는 이어버드 케이스(1000)의 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기(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버드 케이스(1000)는 또한 버튼과 같은 입력부(10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이어버드 케이스(1000)로 하여금, 무선 이어버드들(1005, 1010) 중 하나 이상을 알려진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시키려고 시도하는 것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발견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이어버드 케이스(1000)는 프로세서(1020), 통신 인터페이스(1050), 및 메모리(1025)를 포함한다.
도 2a는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를 결합하는 예시적인 방법(200)을 도시한다. 방법(200)은, 이어버드 케이스가 미리결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케이스 상에서 버튼이 눌러지는 것, 케이스가 열리는 것, 케이스가 처음으로 열리는 것 등)를 검출하는 단계(210)를 포함한다. 미리결정된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법(200)은, 이어버드 케이스가 케이스 내에 하우징된 무선 이어버드들 둘 모두의 펌웨어를 검사하는 단계(215) 및 가장 최근의 펌웨어 버전을 갖는 무선 이어버드를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할당하는 단계(220)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200)은, 이어버드 케이스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다른 무선 이어버드들에 대한 임의의 기존 접속들로부터 접속해제되게 하는 단계(225), 및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2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를 다른 무선 이어버드와 무선으로 접속하는 방법(200)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성공적으로 무선으로 접속할 때에만 계속될 것이다. 방법(200)은, 이어버드 케이스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성공적으로 무선으로 접속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235)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200)은, 이어버드 케이스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더 최근의 펌웨어 버전을 전송하게 하는 단계(240), 및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무선 접속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단계(245)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200)은, 이어버드 케이스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및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하여금 이전에 접속된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데이터를 소거하게 하는 단계(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200)은, 이어버드 케이스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무선으로 접속하고(255),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대한 주소 정보(예를 들어,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를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상에 저장하고(260),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대한 주소 정보(예를 들어, MAC 주소)를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상에 저장하게(265)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 내의 무선 이어버드들은 역할들을 스와핑하여, 일차 및 이차 역할들을 교환할 수 있다. 스와핑은 다양한 이벤트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고 스와핑은 각각의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거나, 단일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에 의해 비-조정 및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한 쌍의 무선 이어버드 중 하나의 이어버드는 또한 제3 이어버드로 대체됨으로써, 상이한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대체는 또한 역할 스와핑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조정된 버드 스와핑은 한 쌍의 무선 이어버드가 무선으로 링크될 때 발생할 수 있고 여러 이벤트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귀 내에 위치하면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귀 내에 있지 않은 경우, 무선 이어버드들의 스와핑 관리자(들) 중 하나 이상은, 귀 내에 있는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을 맡도록 그들의 역할들이 스와핑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무선 이어버드의 스와핑 관리자들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임계 레벨 미만으로 떨어질 때, 예를 들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1 퍼센트 미만으로 떨어질 때, 한 쌍의 무선 이어버드에 대한 역할들을 스와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물론, 배터리 임계 레벨은 임의의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들은 또한, 사용자가 무선 이어버드들이 역할들을 스와핑해야 한다고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명령어를,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때때로 조정된 스와핑은 일부 상황들에서, 예컨대 무선 이어버드들이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능동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안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 동안에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2b는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역할들을 스와핑하는 방법(299)을 도시한다. 방법(299)은 제1 무선 이어버드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단계(283)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이어버드는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링크에 관한 정보를 제2 무선 이어버드에 제공함으로써, 제2 무선 이어버드가 오디오 신호에 액세스("스누프")할 수 있고, 제2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버드 스와핑이 발생하는 경우에 접속을 인계받을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다.
방법(299)은 또한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제2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285) 및 제1 무선 이어버드가 무선 접속을 통해 제2 무선 이어버드와 오디오 신호들을 공유하기 위한 일차 역할을 맡는 단계(287)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이어버드의 일차 역할을 광고할 수 있고, 무선 접속은 제2 무선 이어버드와 디바이스 주소를 공유하는 데 사용되어 후속 역할 스와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이어버드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단계(283) 및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제2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285)는 병렬로 또는 실질적으로 병렬로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제2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접속(285)은 제1 무선 이어버드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기(283) 전에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법(299)은 역할 스와핑을 개시할 수 있는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289)를 포함한다. 트리거링 이벤트들의 예들은, 일차 역할을 갖는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결정된 퍼센티지 미만으로(예를 들어, 1 퍼센트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착용된 상태(예를 들어, 귀-내부)에서 미착용된 상태(예를 들어, 귀-외부(out-of-ear))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링 이벤트가 검출된 후, 방법(299)은 역할 스와핑이 진행될 수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291)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들 중 하나 이상이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하고 있을 때,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스트리밍 오디오의 메타데이터를 검사하여 스트리밍 음악에서의 중단이 임계 기간 이내에 올 것임을 결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이어버드들은 스트리밍 음악에서의 중단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역할 스와핑이 발생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오디오 신호를 검사하고 (예를 들어, 오디오 버퍼 내의 신호의 진폭에 기초하여) 중단이 임계 기간 이내에 올 것임을 결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는 음악에서의 중단이 발생할 때 역할 스와핑이 발생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역할 스와핑이 진행될 수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291)는, 제1 무선 이어버드 또는 제2 무선 이어버드가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역할 스와핑을 수행하기 전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역할 스와핑이 진행될 수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291)는, 제1 무선 이어버드 또는 제2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자동 무선 접속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역할 스와핑을 수행하기 전에 자동 무선 접속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통한 특정 유형들의 데이터 교환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역할 스와핑이 진행될 수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291) 후, 방법(299)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통해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29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제2 프로토콜 하에서 설정된 무선 접속 링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을 유지하면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제1 프로토콜 하에서 설정된 무선 접속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비동기 무접속(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 링크(예를 들어, 음악 스트리밍, 볼륨 제어 명령들 등을 위한)와 같은 제1 프로토콜 및 동기 접속-지향(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SCO) 링크(예를 들어, 음성 통화를 위한)와 같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이어버드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프로토콜 및 제2 프로토콜을 통한 접속은 동시에 발생할 수 있거나 한 번에 하나만 설정될 수 있다. ACL 링크를 통한 데이터 흐름은 예를 들어, 상태 정보의 교환으로 인해 역할 스와핑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지만, SCO 링크를 통한 데이터 흐름은 역할 스와핑 프로세스 동안 계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기존 ACL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통해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하라는 요청 후, 방법(299)은 상태 정보를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로부터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로 전송하는 단계(295), 및 일차 역할을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에 재-할당하는 단계(297)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역할의 이어버드의 특성은 그것이 자신의 디바이스 주소(예를 들어, MAC 주소)를 광고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행해질 수 있으며, 그것은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로 구성되어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일차 역할을 이전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로 스와핑하는 것은, 이전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가 이전 일차 역할의 이어버드의 디바이스 주소(예를 들어, MAC 주소)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광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현재 일차 역할인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재개될 수 있다(298).
도 3은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조정된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을 언제 수행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한 쌍의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 중 하나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300)의 예를 도시한다. 조정된 스와핑은, 한 쌍 내의 이어버드들 둘 모두가 스와핑을 인식할 때에 달성된다(즉, 스와핑이 조정된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일차 역할의 이어버드가, 그것이 일차 역할에 있고 그것이 이차 역할의 다른 이어버드와 페어링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일차 역할의 이어버드는, 스와핑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고 스와핑을 막을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음을 결정한 후에, 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시적인 방법(300)은, 스와핑 관리자가 유휴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302) 및 그것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단계(304)를 포함한다. 그것이 일차 역할에 있지 않은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유휴 상태로 유지된다(302).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에 있는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306).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유휴 상태로 유지된다(302).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귀 외부에 있으면서(착용되지 않음)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308). 그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을 결정하여,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낮은지(예를 들어, 낮은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는 임계치 이하) 여부를 결정한다(310). 스와핑 관리자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하나 이상의 조건 - 예컨대 이어버드의 배터리가 예를 들어 1-퍼센트 전력에 있는 것, 또는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보다 임계 레벨 아래인 것, 예컨대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의 베터리 레벨보다 10 퍼센트 이상 아래의 배터리 레벨인 것 등 - 중 임의의 것을 충족하는 경우,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낮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와핑 관리자가 트리거링 이벤트들(308, 310) 중 어느 하나가 발생했다고 결정하는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무선 이어버드들이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려고 시도하고 있는지(312) 또는 무선 이어버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그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있는지(314)를 결정한다. 무선 이어버드들이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려고 시도하고 있지 않고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 중에 있지 않은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조정된 역할 스와핑을 수행한다(316).
유사하게, 때때로 각각의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들은, 그들의 배터리 레벨들이 떨어질 때 페어링된 무선 이어버드들의 역할들을 스와핑하는 것을 조정할 수 있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한 쌍 중 활성 마이크로폰을 갖는 유일한 무선 이어버드이면서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마이크로폰은 디스에이블되어서, 활성 마이크로폰을 갖는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전력을 더 빨리 소비하게 할 수 있다. 스와핑 관리자는 일차 역할을 선택적으로 스와핑할 수 있으며, 앞뒤로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여 한 쌍의 무선 이어버드에 걸친 배터리 수명의 소모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트리거링 이벤트가 검출된 후, 스와핑 관리자들은 스와핑 프로토콜을 따름으로써 역할 스와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조정된 스와핑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득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는, 이어버드들의 역할들을 스와핑하기 위해 대안적 시퀀스들이 수행될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방법(400)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및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다양한 서비스들 및 소프트웨어를 스와핑 관리자에 등록하는 단계(402)를 포함한다. 무선 이어버드들은, 역할들을 스와핑하기 전에 임의의 미결(outstanding) 트랜잭션들을 완료하고 턴오프되어야 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다른 이어버드를 발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오디오 관리자, 블루투스 제어기, 블루투스 스택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프로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한(404) 후, 방법(400)은 무선 이어버드 역할 스와핑을 개시하는 단계(406)를 포함한다. 때때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 요청을 개시하고,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스와핑 관리자는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이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스와핑 메시지를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전송한다.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스와핑 관리자는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에 대해 준비하기 위해 그것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스와핑 관리자는, 컴포넌트들로 하여금 스와핑 이전에 임의의 미결 트랜잭션들을 완료하고 가능하게는 셧다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스와핑 관리자는 통신 인터페이스(즉, 블루투스 제어기)로 하여금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위해 추가 대역폭을 할당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을 인계받을 것이고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인계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방법(400)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 접속을 통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40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SCO 링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을 유지하면서,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기존 ACL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데이터 교환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에서 보류된 후, 방법(400)은 무선 이어버드들 사이의 상태 전송을 조정하는 단계(410)를 포함한다. 각각의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는 각자의 페어링된 이어버드의 상태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만이 일차 역할의 이어버드로부터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접속에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알게 되어야 한다)(412). 스와핑 관리자들은 상태 정보가 성공적으로 스와핑되고 업데이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414).
다음으로, 방법(400)은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 및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인계받는 단계(4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는 더 이른 상태 전송 동안에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의 디바이스 주소(예를 들어, MAC 주소)를 채택하고,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로부터의 디바이스 주소를 그것의 디바이스 주소로서 사용함으로써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설정한다. 이어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현재 일차 역할인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재개된다(417).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무선 이어버드들 중 단지 하나만이 자신의 역할을 스위칭하며 그것의 무선으로 접속되거나 이전에 무선으로 접속된 대응하는 무선 이어버드와 조정하지 않으면서 그렇게 하는, 비-조정된 버드 스와핑을 포함한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접속이 접속해제되면,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를 발견할 수 없다. 따라서,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여 일차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일차 역할의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가 고장나거나 분실되는 경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특정 상황들에서 비-조정된 스와핑만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귀-내부 상태를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후에,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스와핑 관리자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재-접속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상의 스와핑 관리자는 미리결정된 횟수 또는 미리결정된 지속시간 동안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재-접속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들(예를 들어, 귀-외부 상태로부터 귀-내부 상태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스와핑 관리자로 하여금 재시도를 건너뛰거나 재시도의 수/지속시간을 줄이고 비-조정된 스와핑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역할들을 스와핑하여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되면, 그것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인계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여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될 수 있다. 때때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설정하려고 시도하며, 일차 역할의 다른 무선 이어버드와의 무선 접속이 이미 존재한다는 오류 메시지를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무선 이어버드는 서로 무선으로 접속되고 또한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어서,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의 범위 밖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여전히 컴패니언 디바이스의 무선 접속 범위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접속은 손실될 수 있다.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고 일차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에 관한 정보를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제공하여,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오디오 신호들에 액세스할 수 있고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비-조정된 버드 스와핑 동안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인계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가 - 그리고 그것은 비-조정된 버드 스와핑 동안 다른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을 인계받았음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그것이 일차 역할에 있는 것처럼 동작함 -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재-접속하기에 충분히 근접하게 돌아오면,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접속을 재-설정하려고 시도할 수 있고, 다른 무선 이어버드(즉, 좌측 이어버드,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임)가 이미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접속되어 있다는 오류 메시지를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초기에 일차 역할인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여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일차 역할로부터 이차 역할로의 비-조정된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을 언제 수행할지 및 이차 역할로부터 일차 역할로의 비-조정된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을 언제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방법(500)을 도시한다.
방법(500)은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5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어버드는 그것의 상태를 일차 또는 이차 역할로서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무선 이어버드는 그것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무선 이어버드가 마지막에 그것의 할당된 디바이스 주소를 사용하여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유지하고 있었다면, 무선 이어버드는 그것이 일차 역할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지만, 무선 이어버드가 그것이 마지막에 다른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청취하고 있었다고 결정하면, 무선 이어버드는 그것이 이차 역할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에 있는 경우, 방법(500)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504)를 포함한다.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에 있고 이차 이어버드가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504), 스와핑 관리자는 유휴 상태로 복귀한다.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에 있고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방법(500)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스와핑하라는 명령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50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이어버드들이 이어버드 케이스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스와핑 관리자들은 무선 버드들이 그들의 역할들을 재구성하도록 요구할 수 있고 무선 이어버드들이 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법(500)은, 스와핑 관리자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508)를 포함한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그것이 무선 접속(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면 그것이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대해 페이징할(paging) 수 있다(510). 다음으로, 방법(500)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512)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려고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일차 역할의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일차 역할의 다른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 무선 접속이 이미 존재함을 나타내는 오류 메시지가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514). 오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여 이차 역할을 맡는다(516).
방법(500) 동안, 무선 이어버드가 이차 역할에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502),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가 또한 결정된다(518).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스와핑 관리자는 유휴 상태로 복귀한다.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방법(500)은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그것의 역할을 스와핑하라는 명령을 (예를 들어, 버드 케이스, 컴패니언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520)를 포함한다. 그것의 역할을 스와핑하라는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그것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522).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횟수 동안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대해 페이징한다(524).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미리결정된 횟수를 재시도한 후에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여 일차 역할을 맡는다(526).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기 전에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무선 접속을 재-설정하기 위한 재접속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스와핑하여 일차 역할을 맡고,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의 디바이스 주소를 사용하여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이전에 페어링된 무선 이어버드들 사이의 무선 접속이 무선 이어버드들 중 하나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재-접속하기 이전에 재-설정되게 되면, 무선 이어버드들은 그들의 역할들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이 먼저 설정되는 경우,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먼저 접속된 무선 버드를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 여길 수 있으며, 컴패니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오류 메시지를 발행함으로써, 다른 무선 이어버드로부터의 무선 접속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가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그것은 이차 역할로 복귀하고 다른 무선 이어버드와 무선 접속을 재-설정하기 위해 페이징할 수 있다.
이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좌측 이어버드, 현재는 일차 역할인 무선 이어버드)가 먼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경우, 그것은 그것의 상태를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서 유지할 수 있고,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의해 거부되기를 기다리고 이어버드들 사이의 무선 접속을 재-설정하기 전에 이전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예를 들어, 우측 이어버드)가 이차 역할로 전환될 것을 기다릴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자동 무선 이어버드 스와핑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고, 특정 무선 이어버드를 일차 역할의 지정된 무선 이어버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서 지정된 무선 이어버드가 항상 활성 마이크로폰을 가질 것이다. 지정되지 않은 무선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로 동작할 것이며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이 옵션을 선택하지 않는 한 마이크로폰을 인에이블하지 않을 것이다.
일부 컴패니언 디바이스들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일차 역할의 다른 무선 이어버드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동안에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려고 시도할 때,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오류 메시지를 반환하지 않을 것이다. 이 시나리오는 일차 역할의 2개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해 경쟁하게 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은, 일차 역할의 다수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해 경쟁하는 것을 초래하는 시나리오를 회피하기 위한 기술들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이어버드가 진입할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600)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다른 무선 이어버드에 이미 무선으로 접속된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 이어버드에 오류 메시지들을 제공하지 않는 때를 결정한다(602). 예를 들어,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 프로파일(예를 들어, 컴패니언 디바이스의 모바일 정보 디바이스 프로파일) 및 오류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도록 알려진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사할 수 있으며,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저장된 데이터에 리스팅되어 있는 경우,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오류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그러한 경고를 제공하는 경우, 방법(600)은, 위에서 설명된 조정된 및 비-조정된 버드 스와핑 방법들과 같은, 역할들을 스와핑할 때를 결정하기 위한 디폴트 프로토콜로 나간다.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로 무선으로 접속하려고 시도할 때 다른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로 이미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음을 그것에 경고하기 위한 오류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방법(600)은 무선 이어버드가 현재 일차 모드 또는 이차 모드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604)를 포함한다.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에 있을 때,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606)에 대해 페이징한다.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그것은 유휴의, 접속가능 모드로 진입한다(608). 유휴의, 접속가능 모드는,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가능하고 컴패니언 디바이스 상의 접속 시퀀스 - 자동 접속과 다름 - 를 개시함으로써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접속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접속을 개시하는 것은 일차 및 이차 역할들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응답이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무선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로 진입하고(610), 그것이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한다(612).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 무선 이어버드는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더 이상 무선으로 접속되지 않을 때까지 일차 역할로 유지될 것이다.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어버드는 유휴이며 접속가능하게 된다(608).
이어버드가 유휴의, 접속가능 모드에 있고(608),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614), 무선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로 진입할 수 있다(610).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616). 만약 그렇다면, 무선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로 진입할 수 있다(610). 무선 이어버드가 이차 역할로 접속되지 않는 경우, 무선 이어버드는 방법(600)이 미리결정된 타임아웃에 도달하지(618) 않는 한, 유휴의, 접속가능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608). 방법(600)이 타임아웃되면,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버드 스와핑을 수행할 수 있다(620).
방법(600)이 무선 이어버드가 이차 역할에 있다고 결정할 때(604), 또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고(620)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로 역할들을 변경한 후,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대해 페이징하고(622) 그것이 응답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624).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로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고(626), 무선 접속이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활성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628). 만약 그렇다면,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이차 역할로 유지된다(626).
이차 역할의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방법(600)은 카운터를 (임계 수까지) 증가시키고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대해 다시 페이징하는 루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발견되지 않고 임계 카운터 수에 도달되면,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비-조정된 스와핑을 수행하고(630) 유휴의, 접속가능 모드로 진입한다(608).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발견되지 않고 카운터가 증가되지 않는 경우, 이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는 타임아웃이 발생할(634) 때까지 유휴로 유지되고(632) 이어서 카운터를 증가시키며 다시 한번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에 대해 페이징하는 루프를 수행한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이어버드들은 우측-귀 구성 및 좌측-귀 구성을 갖는다. 우측-귀 구성을 갖는 무선 이어버드 및 좌측-귀 구성을 갖는 무선 이어버드는 상이한 타임아웃 주기들로 프로그램될 수 있어서, 그것들이 도 6에 기술된 것과 같은 프로세스를 거칠 때, 무선 이어버드들의 타임아웃 주기들은 중첩되지 않을 것이며(또는 연속적인 인스턴스들의 임계 수 동안 중첩되지 않을 것임), 이는 루프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이어버드들은 단순한 쌍으로 무선으로 접속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3개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가 역할 스와핑 프로토콜에 관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가 비활성이었다가 활성으로 되면서, 일차 또는 이차 역할의 활성 무선 이어버드를 대체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의 활성 이어버드로서 동작하려고 시도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것들은 충돌을 해결할 것이며, 이는 일차 역할의 무선 이어버드가 한 번에 단지 하나만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a 및 도 7b는, 예시적인 시스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또한 다른 시스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도 7a는 종래의 시스템 버스 컴퓨팅 시스템 아키텍처(700)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은 버스(705)를 사용하여 서로 전기적 통신 상태에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700)은 처리 유닛(CPU 또는 프로세서)(710)과, 판독 전용 메모리(ROM)(72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25)와 같은 시스템 메모리(715)를 비롯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710)에 결합시키는 시스템 버스(705)를 포함한다. 시스템(700)은 프로세서(710)와 직접 접속되거나, 그에 아주 근접하게 있거나, 그의 일부로서 통합되는 고속 메모리의 캐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700)은 프로세서(710)에 의한 신속한 액세스를 위해 데이터를 메모리(715) 및/또는 저장 디바이스(730)로부터 캐시(712)로 복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시는 데이터를 기다리는 동안 프로세서(710) 지연을 피하는 성능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모듈들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710)를 제어하거나 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시스템 메모리(715)는 또한 사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메모리(715)는 상이한 성능 특성들을 갖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들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 및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73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7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모듈 1(732), 모듈 2(734) 및 모듈 3(736)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이 실제의 프로세서 설계에 통합되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본질적으로 다수의 코어들 또는 프로세서들, 버스, 메모리 제어기, 캐시 등을 포함하는, 완전한 독립형(self-contained)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멀티-코어 프로세서는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70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입력 디바이스(745)는 말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제스처 또는 그래픽 입력을 위한 터치 감지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움직임 입력, 음성 등과 같은, 임의의 수의 입력 메커니즘들을 표현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735)는 또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다수의 출력 메커니즘들 중 하나 이상의 출력 메커니즘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다중 모드 시스템(multimodal system)들은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700)와 통신하기 위해 다수의 유형의 입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74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입력 및 시스템 출력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동작에 관한 어떠한 제약도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기본 특징부들은 향상된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장치들이 발전함에 따라 그들로 쉽게 대체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730)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또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컨대 자기 카세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 고체 상태 메모리 디바이스,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카트리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25), 판독 전용 메모리(ROM)(720),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730)는 프로세서(710)를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732, 734, 73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고려된다. 저장 디바이스(730)는 시스템 버스(705)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모듈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예컨대 프로세서(710), 버스(705), 디스플레이(735) 등과 관련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하고 기술된 방법을 실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칩세트 아키텍처를 갖는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750)을 도시한다. 컴퓨터 시스템(750)은 개시된 기술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일례이다. 시스템(750)은 식별된 계산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수의 물리적으로 그리고/또는 논리적으로 별개의 리소스들을 나타내는 프로세서(75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55)는, 프로세서(755)로의 입력 및 그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칩세트(76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칩세트(76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부(765)에 정보를 출력하고, 정보를 판독하며, 예를 들어, 자기 매체들 및 고체 상태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770)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칩세트(760)는 또한 RAM(775)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며 그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785)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브리지(780)가 칩세트(760)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785)은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 검출 및 처리 회로, 포인팅 디바이스, 예컨대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750)에 대한 입력들은, 기계에 의해 생성되었고/되었거나 사람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소스들 중 임의의 것에서 비롯될 수 있다.
칩세트(760)는 또한, 상이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790)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그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유선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을 위한,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개인 영역 네트워크들을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GUI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고 그리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의 일부 응용들은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순서화된 데이터세트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755)에 의해 기계 자체로 생성되어 저장소(770 또는 775)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기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785)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755)를 사용하여 이러한 입력들을 해석함으로써 브라우징 기능들과 같은 적절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들(700, 750)이 하나 초과의 프로세서(710)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더 큰 처리 능력을 제공하도록 함께 네트워킹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그룹 또는 클러스터의 일부일 수 있음이 인지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에서, 한 쌍의 무선 이어버드에서 역할들을 스와핑하기 위한 방법은, (i)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에,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제1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ii)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제2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추가적인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단계; (iii) 제1 무선 이어버드를 일차 역할에 할당하는 단계; 및 (iv) 검출된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역할 스와핑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역할 스와핑은, (v)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것; (vi) 상태 정보를 제1 무선 이어버드로부터 제2 무선 이어버드로 전송하는 것; (vii) 설정된 무선 접속에서 제1 무선 이어버드를 제2 무선 이어버드로 대체하는 것; (viii) 제2 무선 이어버드를 일차 역할에 할당하는 것; 및 (ix)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무선 이어버드에 전송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제1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접속은 제1 통신 프로토콜 및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설정된 무선 접속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것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면서 제1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제2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추가적인 무선 접속을 생성하는 단계는 디바이스 주소들을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무선 이어버드에 일차 역할을 할당하는 단계는, 제2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제1 무선 이어버드와 연관된 디바이스 주소를 사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적어도 제1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결정된 값 미만인 것을 검출함으로써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적어도 제1 이어버드의 착용된 상태로부터 미착용된 상태로의 상태 변화를 결정함으로써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이어버드의 착용된 상태로부터 미착용된 상태로의 상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무선 이어버드가 귀에서 제거됨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한 후, 제1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스트리밍 음악에서 중단이 올 것이라는 신호를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설정된 무선 접속을 통해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기 전에 중단을 기다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오디오 신호를 검사하여 스트리밍 음악에서의 중단이 올 것임을 결정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한 후, 제1 무선 이어버드 또는 제2 무선 이어버드가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역할 스와핑을 개시하기 전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한 후, 제1 무선 이어버드 또는 제2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자동 무선 접속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역할 스와핑을 개시하기 전에 자동 무선 접속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로 하여금: (i)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설정하고 -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는 일차 역할을 맡음 -; (ii)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와 제2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 사이의 추가적인 무선 접속을 생성하고; (iii)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역할 스와핑을 개시하고; (iv)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와 컴패니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을 통해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고; (v) 상태 정보를 제2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며, 상태 정보는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설정된 무선 접속에서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를 대체하기 위해 제2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 주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접속은 제1 통신 프로토콜 및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명령어들의 실행은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로 하여금,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계속 전송하도록 허용하면서, 제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게 하는 데 추가로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링 이벤트는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결정된 퍼센티지 미만으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낮은 배터리 이벤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오디오 디바이스는 귀-내부 검출 센서를 갖는 이어버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트리거링 이벤트는 귀-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이어버드는: (i) 컴패니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ii)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이어버드와 연관된 디바이스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 - 통신 인터페이스는,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일차 역할로 구성된 다른 무선 이어버드에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Iii) 통신 인터페이스로 하여금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중지하게 하고;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다른 무선 이어버드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차 역할을 맡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하여금, 무선 이어버드가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일차 역할을 맡았음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디바이스 주소를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전달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이어버드가 일차 역할을 맡았을 때, 컴패니언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추가적인 무선 이어버드를 검출하고; 추가적인 무선 이어버드와 오디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고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로 하여금: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것을 요청하고; 상태 정보를 무선 이어버드로부터 추가적인 무선 이어버드로 전송하고 - 상태 정보는 추가적인 무선 이어버드로 하여금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하게 하고 일차 역할을 맡게 함 -;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추가적인 무선 이어버드에 전송하도록 컴패니언 디바이스에 요청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패니언 디바이스와 무선 이어버드 사이의 통신은 제1 통신 프로토콜 및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컴패니언 디바이스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면서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것을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링 이벤트는: 무선 이어버드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결정된 값 미만일 때를 검출하는 것, 또는 무선 이어버드가 착용된 상태에서 미착용된 상태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일부 경우들에서, 본 기술은 디바이스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방법에서의 단계들 또는 루틴들,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개별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매체, 및 메모리는 비트 스트림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 또는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언급 시에,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에너지, 반송파 신호들, 전자기파들, 및 신호들 그 자체와 같은 매체들을 분명하게 배제한다.
전술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저장된 또는 달리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이용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명령어들은,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처리 디바이스로 하여금 특정 기능 또는 기능들의 그룹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달리 그것을 구성하는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컴퓨터 리소스들의 부분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이진수들, 중간 포맷 명령어들, 예컨대 어셈블리 언어, 펌웨어, 또는 소스 코드일 수 있다. 명령어들, 사용되는 정보, 및/또는 기술된 예들에 따른 방법들 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은,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들, 플래시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가 제공된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들, 네트워킹된 저장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시내용들에 따라 방법들을 구현하는 디바이스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폼 팩터들 중 임의의 것을 취할 수 있다. 그러한 폼 팩터들의 전형적인 예들은 랩톱들, 스마트 폰들, 소형 폼 팩터 개인용 컴퓨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은 또한 주변기기들 또는 애드인 카드(add-in card)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기능은 또한, 추가 예로서, 회로 기판 상에서, 단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상이한 프로세스들 또는 상이한 칩들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들, 그러한 명령어들을 전달하기 위한 매체들, 그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리소스들, 및 그러한 컴퓨팅 리소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른 구조물들은 이러한 개시내용들에서 기술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양한 예들 및 다른 정보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의 양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 예들을 사용하여 매우 다양한 구현예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러한 예들에서의 특정 특징들 또는 장치들에 기초하여 청구범위의 제한이 암시되지 않아야 한다. 비록 일부 주제가 구조적 특징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의 예들에 대해 특정한 언어로 기술되었을지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주제는 반드시 이러한 기술된 특징들 또는 동작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 식별되는 것들 이외의 컴포넌트들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상이하게 분배될 수 있다. 오히려, 기술된 특징들 및 단계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의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컴포넌트들의 예들로서 개시된다.

Claims (1)

  1. 제1항에 따른 방법.
KR1020207002741A 2016-04-22 2017-04-21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KR102228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36,714 US10142750B2 (en) 2016-04-22 2016-04-22 Swapping roles between untethered wirelessly connected devices
US15/136,714 2016-04-22
PCT/US2017/028835 WO2017184976A1 (en) 2016-04-22 2017-04-21 Swapping roles between untethered wirelessly connected devic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652A Division KR102073171B1 (ko) 2016-04-22 2017-04-21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798A true KR20200013798A (ko) 2020-02-07
KR102228343B1 KR102228343B1 (ko) 2021-03-15

Family

ID=6009050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978A KR102015487B1 (ko) 2016-04-22 2017-04-21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KR1020197024652A KR102073171B1 (ko) 2016-04-22 2017-04-21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KR1020207002741A KR102228343B1 (ko) 2016-04-22 2017-04-21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978A KR102015487B1 (ko) 2016-04-22 2017-04-21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KR1020197024652A KR102073171B1 (ko) 2016-04-22 2017-04-21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142750B2 (ko)
EP (2) EP3329662B1 (ko)
JP (2) JP6656358B2 (ko)
KR (3) KR102015487B1 (ko)
CN (3) CN112968986B (ko)
AU (2) AU2017252452B2 (ko)
WO (1) WO2017184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2750B2 (en) 2016-04-22 2018-11-27 Apple Inc. Swapping roles between untethered wirelessly connected devices
US11544104B2 (en) * 2017-03-22 2023-01-03 Bragi GmbH Load sharing between wireless earpieces
CN116246374A (zh) 2017-06-01 2023-06-09 开利公司 Bluetooth™低功耗数据传输通信系统和方法
USD890696S1 (en) 2017-07-21 2020-07-21 Google Llc Earbud charging case
USD867326S1 (en) 2017-07-21 2019-11-19 Google Llc Wireless earbuds
USD844586S1 (en) 2017-08-04 2019-04-0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96781S1 (en) 2017-08-04 2020-09-22 Google Llc Audio assembly
CN107894881A (zh) * 2017-10-18 2018-04-10 恒玄科技(上海)有限公司 蓝牙耳机的主从连接切换、通话监听和麦克切换的方法
US10085216B1 (en) 2017-11-09 2018-09-25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Balanc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CN109388364A (zh) * 2018-01-10 2019-02-2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音频设备的语音信息采集上报控制方法及系统
US10917930B2 (en) 2018-04-19 2021-02-09 Qualcomm Incorporated 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ource using relayed communication
CN108769849A (zh) * 2018-04-26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式设备的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8848163B (zh) * 2018-06-15 2022-04-05 歌尔科技有限公司 Tws耳机的升级方法及tws耳机
CN108833542B (zh) * 2018-06-15 2022-04-12 歌尔科技有限公司 Tws耳机的升级方法及tws耳机
CN108810698B (zh) * 2018-06-15 2020-07-0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tws耳机、充电盒及其升级方法、存储介质
CN109040935B (zh) * 2018-06-20 2021-06-29 恒玄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入耳检测方法及检测系统
CN109068206B (zh) * 2018-07-02 2020-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主从耳机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9040887B (zh) * 2018-07-02 2020-05-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主从耳机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9041142A (zh) * 2018-07-27 2018-1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主耳机切换方法及相关设备
US11025084B2 (en) 2018-10-23 2021-06-01 Google Llc Dynamic adjustment of charging voltage supplied from a first device to a second device
US10631363B1 (en) * 2018-10-23 2020-04-21 Google Llc Two stage role switch for fully wireless earbuds
US11191024B2 (en) * 2018-11-08 2021-11-30 Google Llc Method for power-saving for wirelessly paired devices
CN113170261B (zh) 2018-11-27 2022-06-07 谷歌有限责任公司 自动切换活动麦克风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EP3892007A1 (en) * 2018-12-06 2021-10-13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device connection handover
US11202334B2 (en) 2018-12-12 2021-12-14 Google Llc Detecting conditions to trigger role switch
CN113196800B (zh) 2018-12-13 2023-06-23 谷歌有限责任公司 无线头戴式耳机的混合麦克风
CN109660906B (zh) * 2019-03-12 2019-06-25 恒玄科技(上海)有限公司 无线蓝牙耳机、无线蓝牙耳机主从切换优化方法
CN110225500B (zh) * 2019-04-30 2022-04-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0213752A (zh) * 2019-04-30 2019-09-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0139256A (zh) * 2019-04-30 2019-08-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蓝牙通信控制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20220159782A1 (en) * 2019-06-20 2022-05-19 Google Llc Seamless Role Switch for True Wireless Ear Buds
CN110446192A (zh) * 2019-06-26 2019-11-12 惠州迪芬尼声学科技股份有限公司 从属耳机与音源设备配对连线的方法
KR20210020541A (ko) 2019-08-16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34200A (ko)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통신 링크 관리 방법
CN110602592B (zh) * 2019-09-30 2021-05-0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组件
EP4084493A4 (en) * 2019-12-25 2023-01-11 Sony Group Corporation AUDIO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 AUDIO DEVICE
CN111132110B (zh) * 2019-12-26 2023-06-16 重庆物奇科技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设备主从角色切换系统及方法
USD922986S1 (en) * 2020-03-06 2021-06-22 Shenzhen Nearbyexpress Technology Development Company Limited Earphones
US11374623B2 (en) * 2020-05-27 2022-06-28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ed isochronous stream swapping
CN112437370B (zh) * 2020-08-11 2023-02-24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链路切换方法、系统、tws耳机对、芯片及介质
US11974107B2 (en) * 2020-08-11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udio sharing using the same
CN111988695B (zh) * 2020-08-24 2022-11-22 歌尔科技有限公司 无线耳机的耳机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202218438A (zh) * 2020-10-20 2022-05-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音訊播放裝置及相關的控制方法
US11438688B2 (en) 2020-12-02 2022-09-06 Amazon Technologies, Inc. Sharing audio from a source device
EP4256804A1 (en) 2020-12-02 2023-10-11 Amazon Technologies, Inc. Sharing audio from a source device
US11589150B2 (en) * 2021-01-07 2023-02-21 Apple Inc. Wireless listening device
US11785372B2 (en) 2021-01-07 2023-10-10 Apple Inc. Wireless listening device
KR20220102448A (ko) * 2021-01-13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장치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3225636A (zh) * 2021-01-21 2021-08-06 深圳市芯中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操作性强的tws耳机
US11604675B2 (en) 2021-03-04 2023-03-14 Vocollect, Inc. Enabling workers to swap between mobile devices
CN113194371B (zh) * 2021-04-23 2023-07-14 深圳市傲声智能有限公司 无线耳机的寻回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EP4185070B1 (en) * 2021-11-01 2024-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power consumption balancing in wireless earbuds
WO2023250359A1 (en) * 2022-06-24 2023-12-28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charging playback device batteries
WO2024048812A1 (ko) * 2022-08-31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버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3725A1 (en) * 2006-03-24 2007-09-27 Neumann John 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streaming multi-channel content
WO2009126614A1 (en) * 2008-04-07 2009-10-15 Koss Corporation Wireless earphone that transitions between wireless networks
US20130316642A1 (en) * 2012-05-26 2013-11-28 Adam E. Newham Smart battery wear leveling for audio devices
US20140298309A1 (en) * 2013-03-26 2014-10-02 Gn Netcom A/S Headset Firmware Update From Headset Base Uni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313A (ja) * 2002-09-26 2004-04-15 Mitsumi Electric Co Ltd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JP4074274B2 (ja) * 2004-08-06 2008-04-09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と通信可能な外部リモート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と外部リモート装置とを備えたシステム
US20060072525A1 (en) 2004-09-23 2006-04-06 Jason Hillyard Method and system for role management for complex bluetooth® devices
KR100800103B1 (ko) 2007-02-01 2008-01-31 디지아나 주식회사 헤드셋
US8155335B2 (en) 2007-03-14 2012-04-10 Phillip Rutschman Headset having wirelessly linked earpieces
US7881746B2 (en) * 2007-05-10 2011-02-01 Broadcom Corporation Shared processing between wireless interface devices of a host device
US8208917B2 (en) 2007-10-29 2012-06-26 Bose Corporation Wireless and dockable audio interposer device
US8180078B2 (en) * 2007-12-13 2012-05-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multiple individual wireless earbuds for a common audio source
JP2009152666A (ja) * 2007-12-18 2009-07-09 Toshiba Corp 音響出力制御装置、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出力制御方法
US20090197532A1 (en) * 2008-01-31 2009-08-06 Broadcom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normalization for devices within a distributed network
US20100020982A1 (en) 2008-07-28 2010-01-28 Plantronics, Inc. Donned/doffed multimedia file playback control
US20100020998A1 (en) * 2008-07-28 2010-01-28 Plantronics, Inc. Headset wearing mode based operation
EP2476263B1 (en) * 2009-09-10 2014-04-23 Koss Corporation Synchronizing wireless earphones
CN101695189B (zh) * 2009-10-23 2012-06-2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通过耳机进行数据同步的方法及相应耳机、移动终端
US9781514B2 (en) 2010-03-25 2017-10-03 K&E Holdings, LLC Stereo audio headphone apparatus
US20110286615A1 (en) * 2010-05-18 2011-11-24 Robert Olodort Wireless stereo headsets and methods
US8396424B2 (en) * 2011-05-26 2013-03-1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ole management of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s
US8947202B2 (en) * 2011-10-20 2015-02-03 Apple Inc. Accessing a vehicle using portable devices
EP2887753B1 (en) * 2012-09-24 2020-04-2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685905B (zh) * 2012-09-28 2018-09-18 西门子(中国)有限公司 动态助听器系统和用于配置该助听器系统的方法
US20140254818A1 (en) 2013-03-07 2014-09-11 Plastoform Industr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al modes in a bluetooth earphone
US9942661B2 (en) 2013-05-14 2018-04-10 Logitech Europ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rtable audio devices
WO2015018456A1 (en) * 2013-08-09 2015-02-12 Phonak Ag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CN103825635B (zh) * 2014-03-11 2016-04-06 宁波翼动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蓝牙耳机共享音频的方法
JP6387698B2 (ja) * 2014-06-16 2018-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KR20160022645A (ko) * 2014-08-20 201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204539449U (zh) * 2014-12-31 2015-08-05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立体声耳机
US9560597B2 (en) * 2015-02-09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status indication within a Wi-Fi Beacon
US9462109B1 (en) * 2015-12-07 2016-10-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ansferring control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0142750B2 (en) 2016-04-22 2018-11-27 Apple Inc. Swapping roles between untethered wirelessly connected devices
CN206042295U (zh) * 2016-08-31 2017-03-22 杭州纳雄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耳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3725A1 (en) * 2006-03-24 2007-09-27 Neumann John 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streaming multi-channel content
KR20080114753A (ko) * 2006-03-24 2008-12-3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멀티-채널 컨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9126614A1 (en) * 2008-04-07 2009-10-15 Koss Corporation Wireless earphone that transitions between wireless networks
US20130316642A1 (en) * 2012-05-26 2013-11-28 Adam E. Newham Smart battery wear leveling for audio devices
US20140298309A1 (en) * 2013-03-26 2014-10-02 Gn Netcom A/S Headset Firmware Update From Headset Bas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82641B2 (ja) 2021-12-17
KR102015487B1 (ko) 2019-08-29
EP4009617A1 (en) 2022-06-08
EP3329662A1 (en) 2018-06-06
AU2019202292B2 (en) 2021-04-08
CN112968986B (zh) 2023-07-18
JP2018526914A (ja) 2018-09-13
US11297453B2 (en) 2022-04-05
KR102228343B1 (ko) 2021-03-15
CN107950014B (zh) 2021-02-26
CN112968986A (zh) 2021-06-15
US20200404439A1 (en) 2020-12-24
US20190052984A1 (en) 2019-02-14
KR102073171B1 (ko) 2020-02-05
US10771908B2 (en) 2020-09-08
AU2019202292A1 (en) 2019-04-18
AU2017252452B2 (en) 2019-01-03
AU2017252452A1 (en) 2018-03-15
EP3329662B1 (en) 2022-03-30
CN116668571A (zh) 2023-08-29
US20220232333A1 (en) 2022-07-21
US20170311105A1 (en) 2017-10-26
JP2020108150A (ja) 2020-07-09
KR20180029081A (ko) 2018-03-19
KR20190101501A (ko) 2019-08-30
CN107950014A (zh) 2018-04-20
WO2017184976A1 (en) 2017-10-26
JP6656358B2 (ja) 2020-03-04
US10142750B2 (en) 2018-11-27
EP3329662A4 (en)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171B1 (ko) 테더링되지 않은 무선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역할 스와핑
JP7274527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状態に基づいたコンパニオン通信デバイスの動作の変更
KR102444343B1 (ko) 무선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KR20220043681A (ko) 링크를 운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