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346A -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346A
KR20200013346A KR1020180088432A KR20180088432A KR20200013346A KR 20200013346 A KR20200013346 A KR 20200013346A KR 1020180088432 A KR1020180088432 A KR 1020180088432A KR 20180088432 A KR20180088432 A KR 20180088432A KR 20200013346 A KR20200013346 A KR 2020001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st agent
cock
supply pipe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754B1 (ko
Inventor
이경희
오미령
Original Assignee
건양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의료재단 filed Critical 건양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08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7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5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2039/0009Assemblies therefor design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e.g. contrast or saline injection, suction or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1Remote controllers for specific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액상의 조영제가 투명비닐 팩에 충진된 주입부재; 상기 주입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조영제가 공급관의 콕크를 통해 제1니들체, 제2니들체에서 누낭으로 분할 공급되는 제어밸브부재;
상기 공급관의 콕크와 연결되어 구동모터로부터 간헐구동력이 상기 콕크에 제공되고, 상기 콕크에 회전력 전달시 상기 공급관이 고정되게 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공급관의 콕크가 정,역회전되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회로부로부터 받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회로부에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조영제의 주입정보가 표시되어 시각 청각으로 확인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컨트롤부재; 를 포함하여 조영술에 의한 시술자의 피폭피해 없이 안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Contrast agent injection device for dacryocystography}
본 발명은 눈물길이 막히거나 좁아진 경우 그 문제 부분(눈물소관, 눈물주머니, 코눈물관 등)을 찾아내기 위하여 누낭 부위의 코 눈물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방사선 촬영하는 누낭 조영술을 시행하기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눈에서 만들어지는 눈물은 각막을 균일하게 덮고 있어서 보이는 물체가 찌 그러져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노폐물이나 이물질을 씻어 내리는 기능을 하며,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하며, 코로 배출된다.
그러나, 눈물이 코로 배출되지 못하고, 눈 바깥 외부로 흐르는 증상이 있는 데, 이는 눈물분비가 과다하게 되는 경우와, 눈물길이 막혀 문제가 되는 배출장애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눈물 분비 과다의 경우는, 대개 눈꺼풀의 이상, 속눈썹의 자극, 이물이 들어간 경우, 염증에 의한 결막염이나 각막염, 안구건조 증후군, 눈물배출로의 기능적, 해부학적 이상 등에 의한 원인으로 발생 되지만, 나이가 들음으로 인해 기능적으로 문제가 된 경우는 결막이 늘어져 눈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안면 마비와 같이 눈 주변의 근육마비로 인해 잘 안내려 가는 경우 등이 있다.
상기눈물 분비 과다는 눈이 건조한 경우에도 반사적으로 눈물이 많이 나올 수 있고, 알레르기를 포함한 각종 결막염이나 각막질환, 바람이 많이 불 때나 렌즈의 사용 등으로 자극이 많은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반면에, 배출장애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눈물이 코로 배출되는 길이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거나 막히는 경우에 생길 수 있다.
눈물길이 막혀 눈물이 계속해서 넘치면 일상생활에 지장은 물론 결막염 등 각종 염증질환과 시력약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눈물이 많이 나는 환자는(일명: 유루증(Epiphora)라 함) 눈물샘(nasolacrimal duct)이 막혔는지 여부를 색깔이 있는 액체를 눈물길에 집어 넣어 막힘 여부를 판단하거나, 조영제를 주입한 후 엑스레이선으로 막힌 부분을 확인하는 누낭조영술[淚囊造影術]검사가 요구된다.
유루증환자의 증세판단은 누낭 조영술에 의한 촬영을 통해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서 의료기관에서 선호하는 검사이지만, 과정에서 누출되는 방사능에 의한 피폭 피해를 염려하기 때문에 검사의료진들이 기피하고 있어서 안전하게 눈의 이상 여부를 확인 검사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48749호(이하 ‘선공개'라 함)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공개 된 기술구성은, 눈 질환의 진단 또는 치료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장치는 노출된 눈의 전방 부분 전체 주위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공동을 외장 내에 제공하기 위해서 눈의 안와 상에 안착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고글 외장, 유체 압력을 하나 이상의 공동에 인가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공동과 유체 연통되는 펌프로서, 고글 외장의 하나 이상의 공동 내의 유체 압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펌프, 그리고 안와 내압력, ICP, IOP, 또는 ICP와 IOP 사이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를 피드백 제어변수로서 프로세스하는 것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공동 내의 유체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로서, 그러한 제어는 펌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그러니 선공개의 기술구성은 그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조작하기에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서 잘 이용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엑스레이 검사를 통한 검진을 다시하게 되어 비용과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번호 10-2018-0048749호(2018. 05. 10 공개)
본 발명은 눈물 과다 분비 환자의 눈물길이 막히거나 좁아진 문제 부분을 찾아내기 위하여 조영제가 누낭부위의 코, 눈물관에 주입되게 하는 니들관 연결과, 조영제주입이 안정되게 제어되는 누낭조 영술을 시행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을 위해 준비 및 진행하는 진료자가 방사선 쵤영에 의한 피폭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영제의 투여를 자동적이며 원격조종으로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액상의 조영제가 투명비닐 팩에 충진된 주입부재; 상기 주입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조영제가 공급관의 콕크를 통해 제1니들체, 제2니들체에서 누낭으로 분할 공급되는 제어밸브부재; 상기 공급관의 콕크와 연결되어 구동모터로부터 간헐구동력이 상기 콕크에 제공되고, 상기 콕크에 회전력 전달시 상기 공급관이 고정되게 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공급관의 콕크가 정,역회전 되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회로부로부터 받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회로부에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조영제의 주입정보가 표시되어 시각 청각으로 확인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컨트롤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어밸브부재는, 상기 콕크가 설치되는 상기 공급홀 상부에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의 좌우 양측으로 제1, 제2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주입공과 제1, 제2배출공에는 조영제가 충진된 팩, 그리고, 조영제가 공급되는 제1니들체, 제2니들체가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콕크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콕크가 정,역회동 되게 하는 구동축과, 상기 컨트롤부재의 케이스 후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이 상기 구동축으로 출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밸브부재의 공급관 전면과 후면이 고정되게 한 브라켓으로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으로 상기 조영제가 상기 제어밸브부재의 공급관을 통하여 누낭으로 투여되는 량을 가감하는 제1설정버튼, 상기 조영제가 투여되는 량을 기준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비례적으로 가감하여 설정하는 제2설정버튼, 전원의 온/오프스위치, 상기 조영제가 누낭으로 주입되는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LED등이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제1, 제2설정버튼에 따라 조영제가 주입되는 제1,제2니들체와, 상기 팩의 조영제의 잔여량의 표시가 디지털화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동상태가 프로그램되어 회로적으로 구동되는 구동회로부가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어밸브부재는, 상기 공급홀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제1, 제2배출공에는 상기 제1니들체, 제2니들체의 결합구가 체결조임 되는 클램프가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콕크의 전면에 형성된 축홈으로 결합되는 사각단면 형상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콕크의 콕크리드 외면을 감싸는 삽입홈이 구비된 어댑터가 더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구동모터의 후면에 고정되어 그 길이가 상기 공급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관 후면 위치에 설치되는 경첩으로 절첩편이 연결되고, 상기 절첩편에는 상기 공급관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마개가 더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영제 주입위치에 근접되며 상기 제1, 제2니틀체의 시술높이에 맞춰지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는 상기 조영제가 충진된 팩을 걸게 하는 걸이편이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눈물 과다 분비 환자의 눈물길이 막힌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누낭 조영술에서 조영제가 누낭부위의 코, 눈물관에 주입되게 하는 니들관 연결과, 조영제주입이 안정되게 제어되는 예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을 위해 준비 및 진행하는 진료자 및 작업자 및 가족에 대해 방사선검사를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선 피폭 피해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영제 주입장치에 대한 사시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영제가 누낭에 주입되는 시술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급홀에서 제어되는 콕크상태에 따른 조영제주입방향 상태도인데, (a)는 차단상태, (b)는 제1니들체방향 공급 상태, (c)는 제2니들체방향 공급 상태, (d)는 제1,제2니들방향 동시 공급 상태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밸브부재와 구동모터의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어밸브부재와 구동모터의 결합상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영제 주입장치에 대한 사시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에 표현된 조영제 주입장치에 따르면 액상의 조영제가 충진되어 공급되는 주입부재(90)는, 투명이며 내수성 내열성이 좋으며 충격에 강한 소재로 된 비닐 팩(91)으로 되어 그 내부로 조영제가 충진된다.
상기 비닐팩(91)에 충진된 조영제는 후술되는 제어밸브부재(100)의 주입구(120)에 비닐팩(91)에 거꾸로 연결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때 공급되는 것이며, 공급되는 상태에서 소모되는 조영제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94)이 비닐 팩의 겉면에 표시된다.
상기 주입부재(90)는 3방향으로 형성된 통로가 개폐되는 제어밸브부재(100)에 연결 또는 분리는 것으로 누낭조영술을 시작할 때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에 연결되어 환자의 누낭에 조영제를 일정량 주입되게 하여 X-RAY촬영을 하고, 이후에는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어밸브부재(100)는, 상기 비닐팩(91)의 조영제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110)으로, 상기 공급관(110)의 상측으로 비리팩(91)이 연결되는 주입구(120)가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조영제가 누낭으로 공급되게 하는 제1배출구(130)와 제2배출구(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구(130)와 제2배출구(140)에는 조영제를 누낭으로 공급하는 제1니들체(150), 제2니들체(160)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110) 내에는 조영제를 상기 제1니들체(150), 제2니들체(160)측으로 간헐 공급하기 위한 콕크(106)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콕크(106)에는 조영제를 상기 제1니들체(150), 제2니들체(160)측으로 간헐 공급되도록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재(200)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200)는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콕크(106)가 미리 입력된 구동프로그램에 의한 정,역회동력이 발생된다.
상기 구동부재(200)에는 조영제의 주입상태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해진 주입량을 설정된 시간과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300)가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부재(300)는, 상기 제1니들체(150), 제2니들체(160)를 통해 누낭으로 주입되는 조영제의 투여량 설정부(340)와, 상기 조영제 투여량 설정에 따라 현재 상기 팩(91)내의 조영제 잔여량이 전자음으로 표시하는 알람부(360)와, 상기 공급홀(113)에서 조영제가 통과되고 있는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밸브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50)와, 상기 콕크의 구동프로그램이 입력된 회로부(360)가, 소정크기로 형성되는 케이스(301)내에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회로부(360)에는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플러그(303)의 전원선(305)이 연결된 구성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영제가 누낭에 주입되는 시술상태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공급홀에서 제어되는 콕크 상태에 따른 조영제주입방향 상태도인데, (a)는 조영제 공급 차단상태, (b)는 제1니들체방향 공급상태, (c)는 제2니들체방향 공급상태, (d)는 제1, 제2니들방향 동시 공급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비닐 팩(91)으로부터 조영제가 공급되는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공급관(110)은 그 내부에 공급홀(113)이 도 3처럼 3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상측방향의 주입구(120)에는 주입공(121)이, 상기 공급관(110)의 양측의 제1배출구(130)에는 제1배출공(131), 제2배출구(140)에는 제2배출공(14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110)에 형성된 공급홀(113)으로는 공급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콕크(106)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콕크(106)의 3방향으로 공급홀(113)에 형성한 유로와 동일한 구조로 된 “T” 형상의 통공(107)이 형성되어 상기 컥크(106)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주입공(121), 제1배출공(131), 제2배출공(141)과 일치 및 불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도3의 (a)에서는 상기 공급관(110)의 공급홀(113)에서 상기 콕크(106)의 통공(107)이 상기 주입공(121)과 불일치하는 상태이므로 조영제는 제1, 제2니들체(150,160)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b)와 같이 콕크(106)의 통공(107)이 상기 공급홀(113)의 주입공(121)및 제1배출공(131)과 일치하는 상태로 되면 조영제는 제1니들체(150)측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이루고, (c)와 같이 콕크(106)의 통공(107)이 상기 공급홀(113)의 주입공(121) 및 제2배출공(141)과 일치하는 상태로 되면 조영제는 제2니들체(160)측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이루며, 경우에 따라서는 (d)와 같이 콕크밸브(106)의 통공(107)이 상기 공급홀(113)의 주입공(121) 과 제1배출공(131) 및 제2배출공(141) 모두에 일치하는 경우, 조영제가 제1, 제2니들체(150,160)에 동시에 공급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급부재와 구동모터의 연결구조를 보인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비닐팩(91) 내에 충진 된 조영제가 누낭의 2곳으로 십입되는 상기 제1, 제2니들체(150,160)를 통하여 공급될 때, 조영제가 분배되는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공급관(110)은 밸브형상이며 상측에 주입구(120)가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제1배출구(130)와 제2배출구(140)가 형성되어 각각의 주입구(120), 제1배출구(130), 제2배출구(140)에는 내부에 각각의 주입공 (121), 제1배출공(131), 제2배출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110)의 공급홀(113)과 연결된 구성으로 3방향 구조로 된 밸브이며, 공급홀(131)에 의해 상기 주입구(120)와 제1, 제2배출구(150,160)는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홀(113)은 조영제가 이동되는 통로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상기 공급홀(11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콕크(106)가 설치된다.
상기 콕크(106)에는 조영제를 제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주입공 (121), 제1배출공(131), 제2배출공(131)과 일치되게 “T”형상의 통공(10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콕크(106)는 상기 공급홀(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상태에 따라 “T”형상의 통공(107)이 상기 공급홀(113)의 상기 주입공 (121), 제1배출공(131), 제2배출공(131)과 일치되는 위치에 따라 조영제의 공급방향이 제어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콕크(106)는 공급홀(113)내에서 화전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부재(200)에 연결되는 것이고, 정,역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콕크리드(105)와 축홀(108)이 형성된다.
상기 콕크리드(105)는 상기 공급홀(113)외부로 노출된 외경면에서 3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하되 상기 공급관(110)의 주입공(121), 제1배출공(131),제2배출공(131)이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한, 상기 공급홀(113)에 결합된 콕크(106)의 노출된 외경면 중앙위치에 사각단면 형상의 구동축이 삽입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축홀(108)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콕크(106)측으로 정, 역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는 구동부재(200)는, 상기 제어밸브부재(100)의 콕크(106)에 구동력이 발생 되는 구동모터(210)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10)에는 발생 된 구동력이 출력되게 하는 구동축(211)이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부재(100)가 구동력 전달시 유동되지 않게 하기 위한 브라켓(23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230)은 후술하는 컨트롤부재(300)의 케이스(301) 후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0)에 설치 고정된다.
상기 구동부재(200)의 구동모터(210)는 상기 컨트롤부재(300) 내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 되며, 그 구동력은 상기 구동모터(210)에 구비된 구동축(211)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구동축(211)은 상기 콕크(106)와의 결합과 구동력 전달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구동축의 단면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콕크(105)의 전면에 형성하는 축홀(108)과 결합시 안정된 결합과 효율적인 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동축(211)에는 상기 콕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콕크(106)의 회전력 형성을 위하여 상기 콕크리드(105)가 삽입되는 척홈(215)이 3방향으로 형성된 어댑터(21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211)에 의한 회전력이 콕크(106)에 전달될 때, 상기 공급관(110)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상기 브라켓(230)은 상기 컨트롤부재(300)의 케이스(301)에 고정된 구동모터(210) 후면으로 나사체결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브라켓(230)은 구동모터(2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관(110) 방향으로 그 길이가 연장되게 하며, 그 끝단에 절첩편(231)과 연결되게 하되 경첩(233)으로 연결되며, 상기 절첩편(231)의 표면으로는 상기 공급관(110)의 후면에 결합되어 공급관(110)이 유동되지 않게 하는 고정마개(235)가 형성되게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어밸브부재와 구동모터의 결합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눈물샘에서의 눈물분비과다 현상을 보이는 환자에 대하여 확실한 원인을 진단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누낭조영술은 환자의 누낭으로 조영제의 정해진 량이 제1니들체와 제2니들체를 통해 일정하게 투여되어야 하므로, 컨트롤부재(300)에서 조영제의 공급과 제어상태 및 순서가 회로적으로 입력 된 구동프로그램이 구동회로부(310)에 설정되며, 상기 구동회로부(360)에 전원코드(305)를 연결한 상태로 케이스(301)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301)의 후면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부재(200)의 구동모터(210)와, 상기 케이스(301)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설정부(340) 및 디스플레이부(350)와 전기적 신호로 동작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01)의 저면으로는 상기 제1,제2니틀체의 시술높이조절과, 상기 컨트롤부재(300)의 관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지지대(312)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301)의 상면으로는 조영제가 충진된 비닐팩(91)을 걸어 둘수 있는 걸이편(370)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부재(300)의 전면으로 전원공급이 연결 및 차단되게 하는 온오프스위치(320), 조영제의 투여량을 버튼으로 설정 및 선택하는 설정부(340), 조영제의 투영량 설정과, 그 진행상태 및 종료, 점검상태를 전자음으로 일리는 일람부(360)가 구비되고, 상기 설정부(340)의 버튼으로 조영제의 투여량을 선택할 때, 제1니들체 방향 또는 제2니들체 방향이 표시되며, 설정된 투여량의 진행 상태와 잔여 시간 및 조영제의 잔여량이 연산되어 그래픽화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5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누낭조영술을 하기 위해 컨트롤부재(300)의 걸이대(370)에 조영제가 충진된 비닐팩(91)을 걸고, 제어밸브부재(100)의 주입구(120)와 연결되게 장착한다. (도2)
또한, 상기 공급관(110)의 제1배출구(130)와 제2배출구(140)에 제1니들체(150)의 클램프(151)와 제2니들체(160)의 클램프(161)를 결합시켜서 상기 제1니들체(150)와 제2니들체(160)의 니들(153,163)을 조영술검사 환자의 누낭에 각각 삽입되게 한다.
이때, 제어밸브부재(100)의 공급관(110)에 설치된 콕크(106)는 도 3의 (a)와 같이 주입구(120)의 주입공(121)을 가로막은 상태이므로 조영제는 제1, 제2니들체(1500,160)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콘트롤부재(300)의 플러그(303)를 콘센트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온오프스위치(320)를 “온”위치로 눌러 구동회로부(31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301)의 설정부(340)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조영제의 공급순서 설정과 투여량을 설정하면 상기 구동회로부(310)에서 시작음이 형성되어 알람부(360)를 통해 울리게 된다.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200)의 구동모터(210)에 구비된 구동축(211)과 어댑터(214)가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에 맞물린 공급관(110)의 콕크(160)가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콕크(160)가 회전되면 콕크(160)에 천공된 “T”형상의 통공(170)은 도3의 (b) 또는 (c)의 상태로 회전되어 주입공(121)과 일치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때 컨트롤부재(300)의 디스플레이부(350)에는 프로그램의 설정으로 선택한 조영제의 주입방향과, 주입될 량과 소요시간 등이 그래픽상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121)과 일치된 제1밸브공(130) 또는 제2밸브공(140)으로 조영제가 통과되는 과정에서는 LED등(녹색)이 점등되므로 점등된 빛에 의해 조영제의 투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 판단하게 된다.
조영제가 설정된 량으로 주입되면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알람부(360)에서 설정된 량으로 주영제가 누낭에 투여되었음을 알람음으로 알리고, 이어서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환되어 구동축(211)과 어댑터(214)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211)과 어댑터(214)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축홀(108)과 콕크리드(105)에 역방향 회전력이 전달되어 콕크(105)는 공급관(110)의 공급홀(113)에서 역방향 회전되어 “T”형상의 통공(170)은 지금까지 폐쇄상태로 있던 밸브공과 연결되고, 지금까지 연결되었던 밸브공은 폐쇄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5)에서 프로그램의 설정으로 인해 새롭게 연결된 조영제의 주입방향과, 주입될 량과 소요시간 등이 그래픽상태로 표시되며, 조영제가 새롭게 연결된 밸브공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LED등(녹색)이 다시 점등되고 조영제의 공급이 새로운 밸브공을 통과하고 있음을 알리는 알람음이 알람부(360)를 통해 발생된다.
누낭조영술을 진행함에 있어 반드시 요구되는 누낭부위로의 조영제의 투여가 설정된 량으로 모두 투여되면 상기 콘트롤부재(300)의 구동회로부(310)에서는 투여 완료에 대한 알람음이 발생되고, LED등이 적색등으로 전환되고, 디스플레이부(350)에서도 조영제의 투여 완료상태를 그래픽상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90 : 주입부재 100 : 제어밸브부재 105 : 콕크리드
106 : 콕크 110 : 공급관 113 : 공급홀
120 : 주입구 130 : 제1배출구 140 : 제2배출구
150 : 제1니들체 151 : 클램프 160 : 제2니들체
161 : 클램프 200 : 구동부재 210 : 구동모터
214 : 어댑터 230 : 브라켓 233 : 경첩
300 : 콘트롤부재 310 : 구동회로부 320 : 온오프스위치
340 : 설정부 350 : 디스플레이부 360 : 알람부
370 : 걸이대

Claims (8)

  1. 액상의 조영제가 투명비닐 팩에 충진 된 주입부재;
    상기 주입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조영제가 공급관의 콕크를 통해 제1니들체, 제2니들체에서 누낭으로 분할 공급되는 제어밸브부재;
    상기 공급관의 콕크와 연결되어 구동모터로부터 간헐구동력이 상기 콕크에 제공되고, 상기 콕크에 회전력 전달시 상기 공급관이 고정되게 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공급관의 콕크가 정,역회전되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회로부로부터 받는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회로부에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조영제의 주입정보가 표시되어 시각 청각으로 확인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컨트롤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부재는,
    상기 공급홀 상부에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의 좌우 양측으로 제1, 제2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콕크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주입공과 제1, 제2배출공에는 조영제가 충진된 팩, 그리고, 조영제가 공급되는 제1니들체, 제2니들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콕크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콕크가 정,역회동되게 하는 구동축과, 상기 컨트롤부재의 케이스 후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이 상기 구동축으로 출력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밸브부재의 공급관 전면과 후면이 고정되게 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으로 상기 조영제가 상기 제어밸브부재의 공급관을 통하여 누낭으로 투여되는 량을 가감하는 제1설정버튼, 상기 조영제가 투여되는 량을 기준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비례적으로 가감하여 설정하는 제2설정버튼, 전원의 온/오프스위치, 상기 조영제가 누낭으로 주입되는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LED등이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제1, 제2설정버튼에 따라 조영제가 주입되는 제1, 제2니들체와, 상기 팩의 조영제의 잔여량의 표시가 디지털화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동상태가 프로그램되어 회로적으로 구동되는 구동회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부재는,
    상기 공급홀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제1, 제2배출공에는 상기 제1니들체, 제2니들체의 결합구가 체결조임되는 클램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콕크의 전면에 형성된 축홈으로 결합되는 사각단면 형상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콕크의 콕크리드 외면을 감싸는 삽입홈이 구비된 어댑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구동모터의 후면에 고정되어 그 길이가 상기 공급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관 후면 위치에 설치되는 경첩으로 절첩편이 연결되고,
    상기 절첩편에는 상기 공급관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마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영제 주입위치에 근접되며 상기 제1, 제2니틀체의 시술높이에 맞춰지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는 상기 조영제가 충진 된 팩을 걸게 하는 걸이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낭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KR1020180088432A 2018-07-30 2018-07-30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KR10217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32A KR102172754B1 (ko) 2018-07-30 2018-07-30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32A KR102172754B1 (ko) 2018-07-30 2018-07-30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46A true KR20200013346A (ko) 2020-02-07
KR102172754B1 KR102172754B1 (ko) 2020-11-02

Family

ID=6957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32A KR102172754B1 (ko) 2018-07-30 2018-07-30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1469A (zh) * 2021-04-15 2021-07-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泪道推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916A (ko) * 1999-08-27 2002-07-31 아머샴 헬스 에이에스 연속 주입에 의한 중력 분리 용액 투여
US20090275829A1 (en) * 2008-04-30 2009-11-05 Mahesh Agarwal Contrast media injector kit
JP5981442B2 (ja) * 2010-11-24 2016-08-31 アシス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造影剤注入シリンジの入口弁システム
KR20180048749A (ko) 2015-08-27 2018-05-10 에퀴녹스 인크. 눈-관련된 체내 압력 식별 및 수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916A (ko) * 1999-08-27 2002-07-31 아머샴 헬스 에이에스 연속 주입에 의한 중력 분리 용액 투여
US20090275829A1 (en) * 2008-04-30 2009-11-05 Mahesh Agarwal Contrast media injector kit
JP5981442B2 (ja) * 2010-11-24 2016-08-31 アシス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造影剤注入シリンジの入口弁システム
KR20180048749A (ko) 2015-08-27 2018-05-10 에퀴녹스 인크. 눈-관련된 체내 압력 식별 및 수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1469A (zh) * 2021-04-15 2021-07-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泪道推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754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827B2 (ja) 埋込型薬物送達ポンプを補充する道具
JP2019150689A (ja) ポンプ装置の駆動部分に連結されるポンプ部分
US10799629B2 (en) Ear cleaning devices and methods
JP2016534798A (ja) 眼科用潤滑システム、ならびに関連付けられた器具、システム、および方法
BRPI0718311B1 (pt) "método de preparação de um dispositivo de entrega de lente intraocular".
CN104080395B (zh) 泪管阻力测量系统
US10406032B2 (en) Liquid loss detection during laser eye surgery
US1084267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or treating lipid transport deficiency in ocular tear films, and related components and devices
CA2515615A1 (en) Surgical apparatus
BR112017013697B1 (pt) Peça de mão cirúrgica com sensor de pressão integrado
BR112014006139B1 (pt) dispositivo para remoção de tecidos
US4626239A (en) Colonic lavaging machine
BR112021004614A2 (pt) aparelho de pinça
CN113784693A (zh) 医疗眼科设备
WO2018039729A1 (en) Ultrasound apparatus and system
KR20200013346A (ko) 누낭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장치
JP2632139B2 (ja) 持続式注点眼装置
JP3961304B2 (ja) 灌流吸引装置
CN205586350U (zh) 一种智能腔道给药装置
Hurwitz The lacrimal drainage system
CN216985387U (zh) 一种具有可视性操作的耵聍冲洗器
CN214484804U (zh) 一种眼科手术填充粘弹剂及灌注液的注射针头
CN216985377U (zh) 折叠式巩膜交联装置和巩膜交联设备
CN219000858U (zh) 一种无线可视眼内激光治疗仪
CN116139007A (zh) 一种眼科用眼部泪道清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