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279A -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279A
KR20200011279A KR1020180086156A KR20180086156A KR20200011279A KR 20200011279 A KR20200011279 A KR 20200011279A KR 1020180086156 A KR1020180086156 A KR 1020180086156A KR 20180086156 A KR20180086156 A KR 20180086156A KR 20200011279 A KR20200011279 A KR 2020001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transverse
concrete
continuous transverse
reinforc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8008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1279A/ko
Publication of KR2020001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04C5/0618Closed cages with spiral- or coil-shaped stirrup r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 기둥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주철근 및 상기 주철근 중 어느 하나의 주철근과 이웃한 다른 주철근을 나선형을 따르며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속 횡방향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상기 주철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에 상기 주철근이 배근 및 결속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모듈화 된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Lateral reinforceme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pillar}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지진하중과 같은 반복하중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가 압축응력에 저항하고, 철근은 인장응력에 저항하도록 만든 구조물로서, 콘크리트는 단위 체적당 단가가 저렴한 재료인 반면, 인장 내력이 부족하여 단독으로 모멘트나 인장 응력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철근을 배열하여 시공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은 진동 및 충격에 대해 저항력이 크고, 차량 하중 등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이 적으며, 내화성이 우수하여 화재발생으로 콘크리트 부재가 가열되어도 콘크리트의 단열 작용에 의해 소정의 피복두께를 확보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내에 배근된 철근은 쉽게 가열되지 않아 큰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은 통상 띠철근 기둥(tied columns)과 나선철근 기둥(spirally reinforced columns)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이는 횡보강 철근을 띠 모양으로 하느냐, 나선모양으로 하느냐에 따른 구분으로, 현재 구조설계 기준 및 관련 문헌에서는 두 종류에 대한 장단점 및 특징을 다루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구조 세목들을 정하여 실제 시공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띠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파괴압축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가 심하게 균열 파손됨에 따라, 횡방향으로 구속시켜주는 띠철근과, 이러한 띠철근 사이로 큰 압축응력을 받는 콘크리트가 깨어져 나와 주철근(즉, 종방향 철근)이 좌굴되면서 기둥이 급작스럽게 붕괴되는 파괴모드를 가진다.
따라서, 띠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구조물 파괴 시 구속효과에 의한 연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으며, 기둥의 주철근에 대한 좌굴방지에도 효율적이지 못하고, 또한 띠철근의 배근을 위해서는 사전에 철근의 가공과 조립이 필요한데, 철근은 강재로 이루어져 있어 중량이 무겁고, 철근의 가공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시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나선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파괴압축하중 작용 시 기둥 외곽의 피복 콘크리트는 박락되더라도 연속적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나선철근과 주철근이 우리(cage)를 형성하여 내부의 콘크리트를 단단히 구속시켜주게 되므로, 연성을 크게 증가시켜 기둥의 갑작스런 파괴가 방지된다.
하지만, 압축된 콘크리트의 팽창력에 의해 나선철근이 항복에 이를 때까지는 기둥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파괴 압축하중 작용 시나 지진발생 시 기둥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는 반면, 사용되는 철근의 재료가 강재이므로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원형이 아닌 사각 콘크리트 기둥에 대해서는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시공 시의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의 콘크리트 기둥에 대응하도록 연속 횡방향 철근을 미리 가공한 후, 가공된 연속 횡방향 철근에 대한 주철근의 배근 및 결속을 통해 하나로 모듈화함으로써, 사각 형상의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연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는 사각 기둥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주철근 및 상기 주철근 중 어느 하나의 주철근과 이웃한 다른 주철근을 나선형을 따르며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속 횡방향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상기 주철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에 상기 주철근이 배근 및 결속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모듈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기둥 및 보 형태를 가지며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주철근이 콘크리트의 상부 및 하부에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마주보는 상기 주철근 사이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기둥 및 보의 역할에 따라 콘크리트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의 콘크리트는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의 콘크리트 모서리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는 서로 마주보며 돌출된 상기 주철근 사이에 대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부재는, 상기 주철근의 결속을 위한 방향이 일치되도록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주철근 사이에 대한 결속을 가이드 한다.
한편,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연속되는 단위 철근 간격이 25mm ~ 75mm 로 설정되어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상기 주철근의 형상에 대응하게 미리 가공되고, 가공 완료 후 모서리에 상기 주철근이 배근 및 결속된다.
또한, 상기 주철근은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을 형성하는 철근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사각의 콘크리트 기둥에 대응하도록 연속 횡방향 철근을 미리 가공한 후, 가공된 연속 횡방향 철근에 대한 주철근의 배근 및 결속을 통해 하나로 모듈화함으로써, 사각 형상의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연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된 연속 횡방향 철근과 주철근이 배근 및 결속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하나의 제품화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전 연속 횡방향 철근과 주철근의 배근 및 결속에 대한 현장 작업을 삭제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연속 횡방향 철근의 가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연속 횡방향 철근과 주철근의 결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대한 커플러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대한 기둥 및 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연속 횡방향 철근의 가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연속 횡방향 철근과 주철근의 결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나선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파괴 압축하중 작용 시 기둥 외곽의 피복 콘크리트는 박락 되더라도 연속적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나선철근과 주철근이 우리(cage)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의 콘크리트를 단단히 구속시켜주게 되므로, 연성을 크게 증가시켜 기둥의 갑작스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압축된 콘크리트의 팽창력에 의해 나선철근이 항복에 이를 때까지는 기둥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파괴 압축하중 작용 시나 지진발생 시 띠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비교하여 기둥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는 반면에, 사용되는 철근의 재료가 강재이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원형이 아닌 사각 형태의 콘크리트 기둥에 대해서는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는 주철근(10) 및 연속 횡방향 철근(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주철근(10)은 사각 기둥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러한 주철근(10)은 가공이 완료된 상태의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모서리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주철근(10)은 그 직경이 연속 횡방향 철근(20)을 형성하는 하나의 철근(20a)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구조적으로 주철근(10)이 모서리를 형성하여 중심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연속 횡방향 철근(20)이 연결되기 위한 소정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경우 사각 기둥의 형태로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직경이 커지게 되면 가공이 어려운 반면에, 주철근(10)은 별도의 가공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연속 횡방향 철근(2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커져도 무방하나, 보강 구조의 무게 증가 및 재료비 상승 등의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 해당하는 범위에 해당하도록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직경의 3.4 ~ 3.5% 증가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속 횡방향 철근(20)은 모서리를 형성하는 주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주철근(10)과 이웃한 다른 주철근(10')을 나선형을 따르며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속 횡방향 철근(20)은 주철근(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 주철근(10)이 배근 및 결속되어 하나의 모듈화된 상태로 구비된다.
연속 횡방향 철근(20)은 주철근(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미리 가공되어 마련되고, 가공 완료 후 모서리에 주철근(10)이 배근 및 결속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가공된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가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각 기둥 형상의 연속 횡방향 철근(20)을 가공하기 위해 사각 형상을 가진 성형틀(1)의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성형틀(1)을 장착한 상태에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20a)을 성형틀(1)의 일단부에 결속 또는 체결시켜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1)을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철근(20a)이 성형틀(1) 일면을 감싼 상태가 되면, 성형틀(1)을 타단부를 가압하여 전진시킨다.
이때, 성형틀(1)의 회전은 한번에 90 도씩 회전하게 되며, 성형틀(1)의 전진의 경우에는 한번에 기설정된 단위 철근 간격(S)의 1/4 에 해당하는 길이 만큼 전진하도록 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연속 횡방향 철근(20)을 가공함에 있어, 기설정된 단위 철근 간격(S)의 1/4 에 해당하는 길이로 이동하여야만 성형틀(1)의 길이 방향을 따르며 나선형의 형태로 동일한 단위 철근 간격(S)이 형성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속되는 각각 동일하게 단위 철근 간격(S)은 25mm ~ 75mm 범위로 기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25mm 이하의 간격을 가지게 되면, 타설 후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사이로 콘크리트에 포함된 굵은 골재 등이 통과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75 mm 이상의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경우에는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내구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어 25mm ~ 75mm 범의로 설정되어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위 철근 간격(S)은 50mm 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2의 (c)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1)의 회전 및 전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위 철근 간격(S)으로 철근(20a)이 권취된 형태의 연속 횡방향 철근(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도 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1)을 제거하여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형상 가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2의 (g) 내지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횡방향 철근(20)을 눕힌 상태로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주철근(10)을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모서리에 배근 및 결속하여 연속 횡방향 철근(20)과 주철근(10)이 모듈화 되도록 한다.
여기서, 주철근(10)과 연속 횡방향 철근(20)과의 결속은 주철근(10)의 하단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용접장치(1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연속 횡방향 철근(20)과 주철근(10)이 마주하는 지점에 용접을 실시하여 연속 횡방향 철근(20)과 주철근(10) 간의 확실한 결속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횡방향 철근(20)과 주철근(10) 사이의 결속 방식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결속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용접장치(100)가 결속을 위한 지점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눕혀진 상태의 횡방향 철근(2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레일(미도시)을 설치하여, 레일(미도시)을 따라 용접장치(100)가 이동하며 횡방향 철근(20)과 주철근(10)이 접하는 지점에 대한 용접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철근(10)과 횡방향 철근(20)이 하나로 모듈화 되게 되면, 그에 따른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게 현장으로의 효과적인 이송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 연속 주철근(10)과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배근 및 결속에 대한 현장 작업을 삭제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을 거쳐 주철근(10)이 결속된 연속 횡방향 철근(20)이 완성되면, 완성된 연속 횡방향 철근(20)을 현장으로 이동시켜 세로 방향으로 타설되도록 하고, 이후 사각 기둥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타설을 통하여 사각 기둥 또한 원형 기둥과 같이 기둥의 연성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대한 커플러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에 대한 기둥 및 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는 연속 횡방향 철근(20) 모서리에 주철근(10)이 배근 및 결속된 상태에서 콘크리트(30)가 타설되어 모듈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속 횡방향 철근(20)은 콘크리트(30)가 내부에 타설되어 하나의 제품화가 된 상태에서 주철근(10)이 콘크리트의 상부 및 하부에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이 서로 결속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콘크리트(30)가 타설된 연속 횡방향 철근(20)은 기둥 및 보의 형태를 가지며 복수로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보의 형태를 가진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경우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주철근(10)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화(프리캐스트 콘크리트)된 연속 횡방향 철근(20)에 대한 현장에서의 결합 만을 통해 구조물의 보 부분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콘트리트(30)의 타설 공정을 삭제하여 작업 공수 및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반복하중에 의해 기둥이 파괴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는 서로 마주보며 돌출된 주철근(10) 사이에 대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러 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러 부재(40)는 주철근(10) 사이에 대한 결속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커플러 부재(40)는 결속을 위한 주철근(10)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결속을 가이드 하며, 그에 따라 만일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콘크리트(30)가 타설된 연속 횡방향 철근(20)에 대한 결합이 수행됨에 있어 주철근(10) 사이의 방향이 어긋난 경우에도 압력에 의해 주철근(10)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이 어긋나 기둥 또는 보를 재배치해야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속 횡방향 철근(20)에 대한 결합(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30)가 타설된 연속 횡방향 철근(20)은 기둥 및 보의 역할에 따라 타설된 콘크리트(30)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콘크리트(30)의 경우,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연속 횡방향 철근(20)의 콘크리트(30')의 모서리에 걸림 위치되도록 각 모서리에 걸림 턱(32)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에 따라 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콘크리트(30)가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콘크리트(30')에 걸림 위치되어 초기 위치를 용이하게 임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플러 부재(40)를 통한 보 역할을 수행하는 연속 횡방향 철근(20)에 대한 주철근(10) 사이에 대한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때, 마주하는 보의 역할을 수행하는 콘크리트(30)와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콘크리트(30') 사이에는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조적인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각의 콘크리트 기둥에 대응하도록 연속 횡방향 철근을 미리 가공한 후, 가공된 연속 횡방향 철근에 대한 주철근의 배근 및 결속을 통해 하나로 모듈화함으로써, 사각 형상의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연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된 연속 횡방향 철근과 주철근이 배근 및 결속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하나의 제품화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전 연속 횡방향 철근과 주철근의 배근 및 결속에 대한 현장 작업을 삭제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성형틀 10 : 주철근
20 : 연속 횡방향 철근 20a : 철근
30 : 콘크리트 32 : 걸림 턱
100 : 용접장치

Claims (7)

  1. 사각 기둥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주철근; 및
    상기 주철근 중 어느 하나의 주철근과 이웃한 다른 주철근을 나선형을 따르며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속 횡방향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상기 주철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에 상기 주철근이 배근 및 결속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모듈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기둥 및 보 형태를 가지며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주철근이 콘크리트의 상부 및 하부에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마주보는 상기 주철근 사이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기둥 및 보의 역할에 따라 콘크리트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보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의 콘크리트는,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의 콘크리트 모서리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된 상기 주철근 사이에 대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부재는, 상기 주철근의 결속을 위한 방향이 일치되도록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주철근 사이에 대한 결속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연속되는 단위 철근 간격이 25mm ~ 75mm 로 설정되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은,
    상기 주철근의 형상에 대응하게 미리 가공되고, 가공 완료 후 모서리에 상기 주철근이 배근 및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철근은,
    상기 연속 횡방향 철근을 형성하는 철근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KR1020180086156A 2018-07-24 2018-07-24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KR20200011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56A KR20200011279A (ko) 2018-07-24 2018-07-24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56A KR20200011279A (ko) 2018-07-24 2018-07-24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79A true KR20200011279A (ko) 2020-02-03

Family

ID=6962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156A KR20200011279A (ko) 2018-07-24 2018-07-24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12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79B1 (ko) 2021-05-13 2021-09-30 한국철강산업(주) 사각 기둥 철근용 xy 철근 격자망 제조를 위한 철근 자동 배열 장치
KR102327190B1 (ko) 2021-05-13 2021-11-16 한국철강산업(주) 사각 기둥 철근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지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79B1 (ko) 2021-05-13 2021-09-30 한국철강산업(주) 사각 기둥 철근용 xy 철근 격자망 제조를 위한 철근 자동 배열 장치
KR102327190B1 (ko) 2021-05-13 2021-11-16 한국철강산업(주) 사각 기둥 철근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지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6236A1 (en) Joining device for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a dry joint
KR20200011279A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구조
US20080245022A1 (en) Framework System For Truss Deck Using Construction Mold Assembly
KR20070036807A (ko) 선조립 콘크리트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4001579A (ja) 箱桁橋の構築法
KR101946976B1 (ko) 이중복합 용접철근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방법
KR2005006591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결합된 강판 전단벽
JP2020200759A (ja) 床スラブ付鉄骨梁
KR100635137B1 (ko)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래티스바아데크형 피씨플레이트
KR101835179B1 (ko) 프리스트레스트 도입과 절곡스터럽을 이용한 거더교 콘크리트 데크
KR102089579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보강을 위한 철근 가공 장치 및 방법
JP7023066B2 (ja) 円柱状部材の構築方法
KR20190097757A (ko) 철판절곡 기둥구조체 및 철판절곡 기둥구조체의 제조방법
JPH06316985A (ja) 鉄筋鋼管コンクリート柱
JP4565315B2 (ja) 柱の配筋方法
KR101271227B1 (ko) 이동과 설치가 자유로운 프리텐션 방식의 부재 제작용 작업대와 이를 활용하여 프리텐션 방식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이들에 의해 제작된 프리텐션 방식의 부재
JP258811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を築造する方法
JPH08338104A (ja) 強化したコンクリート柱と、その強化方法
KR20090017083A (ko) 접합부에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5530403B2 (ja) 梁部材と鉛直部材との接合構造
JP200333631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構造
JPH02248582A (ja) 高層建造物における連層耐震壁構造
WO2006080799A1 (en) Framework system for truss deck using construction mold assembly
JP2023130087A (ja) ブロック、耐震壁及び方法
JPH05222766A (ja) 建築工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