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144A -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144A
KR20200010144A KR1020190121049A KR20190121049A KR20200010144A KR 20200010144 A KR20200010144 A KR 20200010144A KR 1020190121049 A KR1020190121049 A KR 1020190121049A KR 20190121049 A KR20190121049 A KR 20190121049A KR 20200010144 A KR20200010144 A KR 2020001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ng
spell
input
text
comp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544B1 (ko
Inventor
강경윤
김봉조
고경은
임진희
신혜진
유소영
이상범
박민호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5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2Orthographic correction, e.g. spell checking or vowe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일례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가상 키보드) 내에서, 입력된 텍스트의 전체 내용을 마침표 및/또는 줄 바꿈에 의해 식별되는 문장이나 또는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 단위와 같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리된 컴포징(composing) 단위로 맞춤법 검사의 결과를 표시하고 맞춤법 검사를 위한 컴포징 단위간의 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장문의 글에 대해서도 맞춤법 검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PELL CHECKING WITHIN INPUT INTERFACE OF MOBILE DEVICE}
아래의 설명은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75543호는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된 문장의 맞춤법을 검사하여 맞춤법이 틀린 단어에 대한 표시 및 보정 리스트를 출력하고 보정할 단어를 선택받아 수정하는,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어 단위의 표시, 선택, 보정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기존의 단어를 적절한 단어로 치환해나가는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맞춤법 검사 과정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맞춤법 검사 과정의 간략화를 위해, 입력된 전체 내용에 대해 맞춤법을 검사하여 자동으로 맞춤법이 교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종래기술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모바일 환경에서, 특히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에 텍스트의 입력을 위해 제공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일례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가상 키보드)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입력된 전체 내용과 교정된 결과를 모두 표시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일례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가상 키보드) 내에서, 입력된 텍스트의 전체 내용을 마침표 및/또는 줄 바꿈에 의해 식별되는 문장이나 또는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 단위와 같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리된 컴포징(composing) 단위로 맞춤법 검사의 결과를 표시하고 맞춤법 검사를 위한 컴포징 단위간의 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장문의 글에 대해서도 맞춤법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기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 검사 기능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되,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의 맞춤법 검사 결과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맞춤법 검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기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 검사 기능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되,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의 맞춤법 검사 결과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맞춤법 검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일례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가상 키보드) 내에서, 입력된 텍스트의 전체 내용을 마침표 및/또는 줄 바꿈에 의해 식별되는 문장이나 또는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 단위와 같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리된 컴포징(composing) 단위로 맞춤법 검사의 결과를 표시하고 맞춤법 검사를 위한 컴포징 단위간의 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장문의 글에 대해서도 맞춤법 검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에서 호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서비스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다양한 텍스트들에 대한 맞춤법 검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호출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맞춤법 검사 결과를 반영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가 완료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길이 이상의 문장을 처리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정할 내용이 없는 경우의 처리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은 이후 설명될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은 전자 기기에서의 맞춤법 검사를 위한 UX(user experien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되는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 검사 자체는 전자 기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수행되고 그 결과가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에 따라 전자 기기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검색 서비스, 메일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되는 개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호출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제1 화면(300)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기기가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메신저 서비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상 키보드(31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호출 및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가상 키보드(310)는 메신저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전용의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수의 서비스들에서 활용되는 공용의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이때, 이러한 가상 키보드(310) 내에서 가상 키보드(310)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위한 맞춤법 검사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제2 화면(400)은 도 3에서 설명한 가상 키보드(310)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 검사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기설정된 컴포징(composing)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 결과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컴포징 단위는 문장 단위, 또는 줄 바꿈 단위 등과 같이 다양하게 기설정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문장 단위로 컴포징 단위가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면(400)에서 입력된 텍스트는 텍스트 표시 영역(410)에 나타나 있다. 이때, 맞춤법 검사는 마지막 컴포징 단위에 대응하는 텍스트 "어제 저녁으로 먹은 김치찌게가 너무 짜서 소화가 안되서 고생 중이야."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맞춤법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된 결과 텍스트 "어제저녁으로 먹은 김치찌개가 너무 짜서 소화가 안되서 고생 중이야."가 결과 표시 영역(420)에 나타나 있다.
또한, 맞춤법 검사 결과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맞춤법의 종류에 따라 다른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제2 화면(400)에서 결과 텍스트는 띄어쓰기에 대한 변경을 해당 텍스트의 굵기를 조절하여 표시(어제 저녁 → 어제저녁)하고, 잘못된 맞춤법에 대한 변경을 해당 텍스트에 대한 밑줄을 통해 표시(김치찌게 → 김치찌개)하고, 추천 표현이 존재하는 텍스트를 해당 텍스트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여 표시(고성 중이야. → 고생 중이야.)하는 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추천 표현은 맞춤법 검사 기능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교정 패턴을 학습하여 교정 확률이 높은 단어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맞춤법 변경에 따른 표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자 색상 및/또는 글자 크기를 변경하여 띄어쓰기, 맞춤법 및/또는 추천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제1 점선박스(411)는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점선박스(411)에서 커서의 위치는 현재 선택된 컴포징 단위의 끝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점선박스(430)는 맞춤법에 대한 변경이 밑줄을 통해 표시됨을, 제3 점선박스(440)는 띄어쓰기에 대한 변경이 텍스트의 굵기를 조절하여 표시됨을, 제4 점선박스(450)는 추천 표현이 존재하는 텍스트를 기울기를 조절하여 표시함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2 내지 제4 점선 박스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4 점선박스(450) 영역을 선택하면 추천 표현 기능을 이용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표시(예를 들어, 밑줄, 굵은 글씨, 기울임체, 특정 색상 등)할지를 선택하는 메뉴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5 점선박스(460)는 다음 컴포징 단위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마지막 컴포징 단위부터 맞춤법 검사를 시작하기 때문에 다음 컴포징 단위는 현재 컴포징 단위의 이전 컴포징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첫 번째 컴포징 단위부터 맞춤법 검사가 진행된다면, 다음 컴포징 단위는 현재 컴포징 단위의 다음 컴포징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5 점선박스(460)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 맞춤법 검사 결과는 텍스트 표시 영역(410)의 텍스트에 반영되지 않고 검사 대상이 되는 컴포징 단위만 변경 될 수 있다. 이 때 대상이 되는 컴포징 단위를 나타내기 위해서 커서 위치도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제6 점선박스(470)는 맞춤법 검사 결과를 적용하기 위한 교정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제6 점선박스(470)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일례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정된 영역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 결과 표시 영역(420)의 맞춤법 검사 결과가 텍스트 표시 영역(410)의 텍스트에 반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정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하나의 컴포징 단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맞춤법 검사 결과가 동시에 적용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검사 결과를 반영할 부분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결과 표시 영역(420)의 검사 결과를 선택(일 예로, 검사 결과 영역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교정 버튼을 선택하거나, 교정 버튼 선택 후 부분 적용 내지는 일괄 적용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툴바 영역(480)은 결과 표시 영역(420)의 텍스트를 편집, 저장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툴바 영역(480)에는 결과 표시 영역(420)에 표시된 텍스트를 복사하기 위한 기능, 툴바 영역(480)에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키보드를 불러오기 위한 기능, 입력하는 언어를 변경하기 위한 기능 등과 같이 텍스트의 편집 및/또는 저장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맞춤법 검사 결과를 반영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제3 화면(500)은 도 4의 제2 화면(400)에서 사용자가 제6 점선박스(470)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에 따라 도 4의 결과 표시 영역(420)의 맞춤법 검사 결과가 텍스트 표시 영역(410)의 텍스트에 반영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어제 저녁"의 띄어쓰기가 변경되어 "어제저녁"으로 변경되었으며, 기존의 "김치찌게"가 "김치찌개"로 변경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7 점선박스(510)는 커서의 위치가 다음 컴포징 단위의 끝부분(현재 컴포징 단위의 앞부분)으로 이동하였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결과 표시 영역(420)의 내용은 다음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 결과로 변경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결과 표시 영역(420)에는 다음 컴포징 단위에 대응하는 텍스트 "좀 걸어야될거같어"에 대한 맞춤법 검사 결과인 "좀 걸어야 될 거 같아."가 표시되어 있다. 이때, 표현 " 걸어야 될 같아. "는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모두 변경되었기 때문에 텍스트의 굵기가 변경되고 동시에 밑줄이 추가된 모습을 나타낸다. 만약, 글자 색상의 변경을 통해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모두 변경되는 경우에는 맞춤법이 변경된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법이 변경된 표현을 붉은 색 글자로, 띄어쓰기가 변경된 표현을 파란 색 글자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모두 변경된 표현은 붉은 색 글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가 완료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제4 화면(600)은 두 번째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가 완료됨에 따라 기존 텍스트가 변경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8 점선박스(610)는 두 번째 컴포징 단위가 완료되면서 커서가 두 번째 컴포징 단위의 앞쪽으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 이상 맞춤법 검사를 진행할 컴포징 단위가 없기 때문에 결과 표시 영역(420)에 텍스트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컴포징 단위로 맞춤법 검사 결과를 살펴보고 변경된 맞춤법 검사 결과를 적용(일례로, 도 4의 제6 점선박스(470)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다른 컴포징 단위로 이동(일례로, 제5 점선박스(460)는 다음 컴포징 단위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서 장문의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 검사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작은 화면에서도 장문의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길이 이상의 문장을 처리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의 제5 화면(700)은 텍스트 표시 영역(410)이 포함하는 일정 길이 이상의 문장(하나의 컴포징 단위)을 결과 표시 영역(420)에 표시할 때, 텍스트의 하단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만큼 텍스트의 일부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제6 화면(800)은 텍스트 표시 영역(410)이 포함하는 문장(하나의 컴포징 단위)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일례로, 1024 이상)인 경우, 텍스트 대신 검사할 내용이 너무 많음을 알리는 정보를 결과 표시 영역(420)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정할 내용이 없는 경우의 처리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제7 화면(900)은 현재 검사하고자 하는 컴포징 단위에 대해 수정할 사항이 없는 경우, 해당 컴포징 단위의 텍스트를 결과 표시 영역(420)에 그대로 표시하고, 제9 점선박스(910)에서와 같이 수정할 내용이 없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은 일례로 앞서 설명한 서명자의 단말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10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1010 내지 103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텍스트의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 키보드의 예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 있다.
단계(10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텍스트가 입력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10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기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 검사 기능을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맞춤법 검사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던 영역이 맞춤법 검사를 위한 영역으로 변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맞춤법 검사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기설정된 입력은 별도의 가상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음성 입력과 같은 다른 형태의 입력 역시 고려될 수 있다.
단계(10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입력된 텍스트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컴포징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입력된 텍스트를 마침표 및 줄 바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식별되는 문장 단위 또는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 단위로서의 컴포징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는 문장 단위로 컴포징 단위가 분리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문장을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의 단위(일례로, 하나 이상의 단어)로 분리하여 입력된 텍스트를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것 역시 고려될 수 있다.
단계(105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되,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의 맞춤법 검사 결과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맞춤법 검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1050)에 대해서는 이후 도 11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의 단계들(1110 내지 1150)은 앞서 설명한 단계(1050)에 포함되어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1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분리된 컴포징 단위 중 제1 컴포징 단위가 포함하는 텍스트에 대한 맞춤법 검사를 통해 제1 컴포징 단위가 포함하는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맞춤법에 따라 수정된 제1 맞춤법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맞춤법의 검사 결과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200)가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 장치(200)는 맞춤법 사전 등과 같은 데이터를 미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에 설치되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이러한 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는 데이터의 검색, 추출, 갱신 등의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별도의 서버를 통해 맞춤법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서버(150)와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맞춤법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 장치(200)는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을 사용자 피드백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한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 결과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수신된 맞춤법 검사 결과를 이후 단계(1120)에서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하는 결과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단계(11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맞춤법 검사 결과를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하는 결과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는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을 통해, 결과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맞춤법 검사 결과를 편집하기 위한 기능 및 제1 맞춤법 검사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도 4의 툴바 영역(480)을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1120)에서 제1 컴포징 단위가 포함하는 텍스트의 길이가 기설정된 제1 길이 이상인 경우, 제1 맞춤법 검사 결과가 포함하는 텍스트의 하단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제2 길이의 텍스트를 결과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컴포징 단위가 포함하는 텍스트의 길이가 기설정된 제1 길이 이상인 경우, 텍스트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결과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컴포징 단위에 대한 단계(1110)의 처리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11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맞춤법 검사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드백은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제5 점선박스(460)는 다음 컴포징 단위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6 점선박스(470)는 맞춤법 검사 결과를 적용하기 위한 교정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단계(11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수신된 피드백에 따라 제1 맞춤법 검사 결과의 수정을 제1 컴포징 단위가 포함하는 텍스트에 반영하거나 또는 제1 컴포징 단위를 스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통해 설명한 제6 점선박스(470)는 맞춤법 검사 결과를 적용하기 위한 교정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에 따라 수정의 반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수정을 텍스트에 반영할 수 있다. 반면, 제5 점선박스(460)는 다음 컴포징 단위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에 따라 수정의 스킵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제1 컴포징 단위의 맞춤법 교정을 스킵하고 다음 컴포징 단위(제2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의 진행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115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맞춤법 검사가 진행되지 않은 컴포징 단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맞춤법 검사가 진행되지 않은 컴포징 단위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1110)이 다음 컴포징 단위(제2 컴포징 단위)에 대해 재수행됨에 따라 다음 컴포징 단위에 대해 단계(1110) 내지 단계(1140)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1110) 내지 단계(1140)는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맞춤법 검사의 결과로서 수정이 요구되지 않는 컴포징 단위에 대해서는 단계(1120) 내지 단계(1140)의 반복 수행이 스킵될 수도 있다. 맞춤법 검사가 진행되지 않은 컴포징 단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11의 과정은 종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컴포징 단위는 입력된 텍스트에서의 순서상 제2 컴포징 단위의 다음 컴포징 단위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입력된 텍스트를 하단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컴포징 단위로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의 상단으로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컴포징 단위를 처리하는 것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일례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가상 키보드) 내에서, 입력된 텍스트의 전체 내용을 마침표 및/또는 줄 바꿈에 의해 식별되는 문장이나 또는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 단위와 같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리된 컴포징(composing) 단위로 맞춤법 검사의 결과를 표시하고 맞춤법 검사를 위한 컴포징 단위간의 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도 장문의 글에 대해서도 맞춤법 검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에서 호출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서비스와 연관하여 입력되는 다양한 텍스트들에 대한 맞춤법 검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기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해 컴포징 단위로 맞춤법 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영역 및 다음 컴포징 단위의 맞춤법 검사를 시작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맞춤법 검사 결과를 적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맞춤법 검사 기능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되,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을 통해 상기 결과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의 맞춤법 검사 결과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맞춤법 검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마침표 및 줄 바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식별되는 문장 단위 또는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 단위로서의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하는 텍스트 표시 영역을 통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중 맞춤법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현재 컴포징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커서를 상기 현재 컴포징 단위와 연관된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맞춤법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제1 컴포징 단위가 제2 컴포징 단위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커서의 위치를 상기 제1 컴포징 단위와 관련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컴포징 단위와 관련된 위치로 변경시키는,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법 검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을 상기 사용자 피드백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 결과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하는 결과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맞춤법 검사 지원 방법.
  6.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기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해 컴포징 단위로 맞춤법 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영역 및 다음 컴포징 단위의 맞춤법 검사를 시작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맞춤법 검사 결과를 적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맞춤법 검사 기능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되,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을 통해 상기 결과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의 맞춤법 검사 결과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맞춤법 검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컴퓨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마침표 및 줄 바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식별되는 문장 단위 또는 맞춤법의 적용을 위한 의미 단위로서의 컴포징 단위로 분리하는, 컴퓨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하는 텍스트 표시 영역을 통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중 맞춤법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현재 컴포징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커서를 상기 현재 컴포징 단위와 연관된 위치에 위치시키는 과정
    을 더 처리하는 컴퓨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분리된 컴포징 단위 각각을 상기 사용자 피드백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전송한 컴포징 단위에 대한 맞춤법 검사 결과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활성화된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하는 결과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
    을 더 처리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190121049A 2019-09-30 2019-09-30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5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49A KR102158544B1 (ko) 2019-09-30 2019-09-30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49A KR102158544B1 (ko) 2019-09-30 2019-09-30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714A Division KR102074764B1 (ko) 2018-07-20 2018-07-20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144A true KR20200010144A (ko) 2020-01-30
KR102158544B1 KR102158544B1 (ko) 2020-09-22

Family

ID=6932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49A KR102158544B1 (ko) 2019-09-30 2019-09-30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4980A1 (zh) * 2020-03-19 2021-09-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快捷互享方法、装置及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543A (ko) * 2004-01-15 2005-07-21 주식회사 팬택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10507A (ko) * 2006-07-27 2008-01-31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상에서 맞춤법 및 자동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20100046043A (ko) * 2007-08-27 2010-05-04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키패드 텍스트 입력의 명확화
KR20150131838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18598B1 (ko) * 2016-08-09 2018-03-02 주식회사 에버트란 자동 번역 엔진 서버 및 자동 번역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543A (ko) * 2004-01-15 2005-07-21 주식회사 팬택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10507A (ko) * 2006-07-27 2008-01-31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상에서 맞춤법 및 자동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0820899B1 (ko) * 2006-07-27 2008-04-10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상에서 맞춤법 및 자동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20100046043A (ko) * 2007-08-27 2010-05-04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키패드 텍스트 입력의 명확화
KR20150131838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18598B1 (ko) * 2016-08-09 2018-03-02 주식회사 에버트란 자동 번역 엔진 서버 및 자동 번역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4980A1 (zh) * 2020-03-19 2021-09-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快捷互享方法、装置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544B1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7652B2 (en) Keyboard automatic language identification and reconfiguration
US10656909B2 (en) Learning intended user actions
JP5421239B2 (ja) 複数モードの入力メソッドエディタ
TWI510965B (zh) 輸入方法編輯器整合
US20140289641A1 (en) Adaptive User Interface
KR101554292B1 (ko) 입력 방식 편집기 사용자 프로파일
RU2675152C2 (ru) Быстрые задачи для экранных клавиатур
US20120324391A1 (en) Predictive word completion
KR101633842B1 (ko) 연속적인 제스쳐 입력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키보드들
JP2016519349A (ja) 複数言語モデルに基づくテキスト予測
KR102087807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20042826A (ja) パーソナルアシスタントモジュールとの会話への選択可能アプリケーションリンクの組込み
KR102188564B1 (ko) 어체 변환이 가능한 기계 번역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8846A (ko) 단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74764B1 (ko)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557818B2 (en) Contextually-specific automatic separators
KR102158544B1 (ko)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20525933A (ja) グラフィカルキーボード内からの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へのアクセス
KR101582155B1 (ko) 문자 수정이 용이한 문자 입력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US9176948B2 (en) Client/server-based statistical phrase distribution display and associated text entry technique
KR102280535B1 (ko) 장문 번역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2912A (ko) 앱 사용 패턴과 대화 분석을 통한 앱 기능 바로가기 추천 방법 및 장치
US20220374611A1 (en) Split keyboard with different languages as input
CN110891120B (zh) 界面内容展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084597B1 (ko)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