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912A -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912A
KR20200009912A KR1020180084965A KR20180084965A KR20200009912A KR 20200009912 A KR20200009912 A KR 20200009912A KR 1020180084965 A KR1020180084965 A KR 1020180084965A KR 20180084965 A KR20180084965 A KR 20180084965A KR 20200009912 A KR20200009912 A KR 2020000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efrigerator
substrate
cas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덕
김태군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이승은
김태군
김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은, 김태군, 김종덕 filed Critical 이승은
Priority to KR102018008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912A/ko
Publication of KR2020000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수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설치에 따른 복잡도의 증가 및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는 제1면에 카메라가 실장되는 기판; 상기 카메라가 삽입되는 경통부와 상기 기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 상기 전방플레이트에서 신장되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기판을 덮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몰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Camera for shooting inside the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의 수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설치에 따른 복잡도의 증가 및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보관물을 저온상태로 보관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냉장고는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인 저온 보관에 집중했다면, 최근의 냉장고는 이러한 냉장고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의 냉장고는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접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 중 대표적인 것이 저장된 내용물을 냉장고의 문을 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냉장고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된다. 그리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냉장고의 외부에 설치된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능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내부 저장물의 확인을 위해 문을 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냉장고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외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냉장고에 많은 수의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각종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온 환경의 냉장고 내부를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방한 방습 기능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특히, 카메라에 방한 방습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냉장고의 생산 및 판매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2674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수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설치에 따른 복잡도의 증가 및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기 또는 김서림 증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습기 또는 김서림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는 제1면에 카메라가 실장되는 기판; 상기 카메라가 삽입되는 경통부와 상기 기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 상기 전방플레이트에서 신장되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기판을 덮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몰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내부의 영역을 복수의 저장영역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선반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영역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선반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반에 의해 분할되는 두 개의 저장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카메라의 수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설치에 따른 복잡도의 증가 및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습기 또는 김서림 증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습기 또는 김서림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의 예를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4는 카메라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2개의 선반당 하나의 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3개의 선반에 두 개의 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의 예를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는 케이스(10), 기판(30) 및 몰딩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는 카메라(40)가 구비되는 기판(30)과 몰딩층(60)이 내부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10)는 전방플레이트(11)와 전방플레이트(11)의 모서리에서 제1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13)에 의해 사각 또는 타원형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6)이 마련된다.
이 케이스(10)는 전방플레이트(11)에 경통부(15)가 형성되고, 경통부(15)에는 보호렌즈(17)가 마련된다. 이 경통부(15)는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카메라(4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경통부(15)는 전방플레이트(11)의 전면(front side)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통부(15)는 도 3에서와 같이 수용공간(16)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기판(30)의 결합시 카메라(40)가 삽입된다. 이 경통부(15)의 입구(15a) 부분은 카메라(30)의 삽입시 경통부(15)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카메라(40)의 바디(41)와 접촉할 수 있다.
경통부(15) 주변에는 경통부(15)의 외주연을 둘러싸는 형태로 삽입홈(19)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19)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경통부(15)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경통부(15)와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삽입홈(19)에는 경통부(15)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재, 예를 들어 열선(21)이 삽입된다. 열선(21)은 코일을 삽입홈(19)의 형상에 대응되게 권취한 코일 형태로 형성되며, 기판(30)에 연결되어 기판(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이 삽입홈(19)은 카메라(40)의 바디(41)에 의해 일부분 혹은 전부분이 덮이게 되며, 이를 통해, 열선(21)이 삽입홈(19)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의 바디(41)는 단열 및 절연 소재로 형성되어 열선(21)에서 발생된 열과 열선(21)에 흐르는 전류가 기판(3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의 바디(41)는 카메라 렌즈부(43)를 받치는 패드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1)의 배면인 제2면(11b)에는 기판(30)의 안착 및 결합을 위한 안착부(18)가 형성된다. 안착부(18)는 제2면(11b)에 기판(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마련된다. 이 안착부(18)의 단턱두께는 기판(3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안착부(18)의 단턱과 기판(30)의 둘레가 일치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18)에는 기판(30)을 전방플레이트(11)의 배면(11b)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20)가 형성된다. 이 결합부(20)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홀 또는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에 기판(30)이 실장될 때 기판(30)은 결합부(20)와 결합부재에 의해 안착부(18)의 단턱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이를 통해, 몰딩층(60)이 형성될 때 몰딩액이 카메라(40)가 배치되는 기판(30)의 전면과 전방플레이트(11)의 제2면(11b)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안착부(18)와 기판(30)의 사이 즉, 단턱에는 기판(30)과 케이스(10)의 견고한 밀착을 위한 씰(seal)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몰딩층(60)이 형성된다. 몰딩층(60)은 액체 상태로 케이스(10)의 수용공간(16)에 채워지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화되어 고체 상태의 몰딩층(60)을 형성하게 된다.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는 몰딩층(60)은 기판(30)이 안착부(18)에 결합된 이후 투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케이스(10)의 수용공간을 외부와 격리하여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몰딩층(60)의 형성을 위해 케이스(10)의 측면플레이트(13)와 전방플레이트(11) 사이에는 수용공간(16)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14)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돌기(14)는 몰딩층(60)과 케이스(10)의 결합력을 높이고, 케이스(1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케이스(10)의 측면플레이트(13)는 일부가 단절되어 단자(25)가 끼워지는 단자 홈(23)이 마련된다. 이 홈(23)은 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판(30)은 카메라(40)와 카메라(40)의 기능 수행을 위한 회로가 형성된다. 기판(30)에는 제1면에 카메라(40)가 실장되고, 카메라(40)의 구동을 위한 회로가 제1면의 카메라 주변에 실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40)는 렌즈부(43)와 바디부(41)로 구성되며, 렌즈부(43)는 기판(30)과 케이스(10)의 결합시 경통부(15)에 삽입된다. 이때, 카메라의 바디부(41)는 경통부(15)와 삽입홈(19)을 폐쇄하는 역할과 삽입홈(19)에 삽입되는 열선(21)과 기판(30)을 절연 및 단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바디부(41)는 기판(30)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기판(30)과는 다른 재질의 절연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바디부(41)는 기판(30) 상에 코팅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판(30) 일부를 절삭하여 절삭부위에 절연체를 삽입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기판(30)에 실장되는 회로 소자들은 기판(30)의 제1면에 배치된다. 즉, 기판(30)과 케이스(10)의 결합시 회로 소자들은 기판(30)과 전방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회로소자들(31)은 몰딩층(60)이 형성시 몰딩액이 소자들 사이에 침투하여 열에 의한 소손, 접촉에 의한 소손, 몰딩액의 경화와 부피 변화에 따른 소손과 같은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단자(25)와 같이 부피가 큰 회로소자는 기판(30)의 배면인 제2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30)에는 케이스(10)와의 결합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통공(33)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통공(33)은 결합부(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통공(33)의 주변에는 보강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보강부(35)는 통공(33)과 기판(30)의 제2면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 보강부(35)는 기판(30)의 재질에 비해 단단한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부(35)는 결합부재가 결합부(20)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기판(30)에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부재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면, 보강부(35)가 기판(30)에 압력을 전달하여, 기판(30)과 안착부(18)가 견고하게 밀찰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몰딩층(60)의 형성시 몰딩액이 기판(30)과 전방플레이트(11)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씰 부재는 생략이 가능하다.
몰딩층(60)은 기판(30)이 결합된 케이스(10)의 수용공간에 형성되어 기판(30)을 외부 환경과 격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몰딩층(60)은 기판(30)에 수분, 냉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40)가 냉장고와 같은 저온 환경에서 동작할 때, 문열림 상태와 같이 저온환경과 고온환경을 반복적으로 접하게 될 때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온도의 변화등으로 인해 카메라(40)와 회로소자(31)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성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30)과 카메라(40)를 격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몰딩층(60)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액체상태로 수용공간(16)에 투입되어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몰딩층(60)으로 이용되는 합성수지는 온도 변화에 따른 체적 변화가 적고, 공기 유통이나 습기의 침투가 발생되지 않는 성분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몰딩층(60)은 열전도 특성이 있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이를 통해 회로소자(31)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몰딩층(60)의 경화를 위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나, 상온에서 경화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카메라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카메라(40)는 마스터 카메라(40a)와 슬레이브 카메라(40b: 40b1, 40b2)로 구성된다. 마스터 카메라(40a)는 슬레이브 카메라(40b)의 허브 역할을 하며,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이 실장된다. 슬레이브 카메라(40b)는 기능 실행을 위한 최소한의 회로만 구성되어 소형으로 제작되고, 마스터 카메라(40a)에 마련되는 단자를 통해 연결된다. 이를 통해, 냉장고의 제어부 또는 외부장치를 통해 마스터 카메라(40a)와만 연결되면 슬레이브 카메라(40b)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슬레이브 카메라(40b)에도 마스터 카메라(40a) 수준의 회로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카메라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스터 카메라(40a)와 슬레이브 카메라(40b)는 1:1 즉, 마스터 카메라(40a) 하나에 스레이브 카메라(40) 하나가 연결될 수도 있지만, 마스터 카메라(40a) 하나에 복수의 슬레이브 카메라(40b)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단자가 하나인 경우의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으나, 단자(2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단자에서 케이블(45)이 분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바에 의해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하나의 마스터 카메라(40a)가 슬레이브 카메라(40b)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단자의 증가, 부피의 증가가 발생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카메라(40a)가 슬레이브 카메라(40b)를 경유하여 다른 슬레이브 카메라(40b)와 연결된다. 즉, 마스터 카메라(40a)와 슬레이브 카메라(40b)들이 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스터 카메라(40a)와 다른 슬레이브 카메라(40b2) 사이에 위치하는 슬레이브 카메라(40b1)은 단순히 케이블(45)의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마스터 카메라(40a)는 슬레이브 카메라(40b)에 부여된 ID(Identification)를 통해 슬레이브 카메라(40b) 및 이들의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방식은 일례로 제시된 것일 뿐 동일한 효과 즉, 마스터 카메라(40a)의 부피 및 복잡도가 증가되지 않으면서도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70)는 카메라(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장고(70)는 본체(76)와 도어(7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76) 또는 도어(71)에는 복수의 카메라(40: 40a, 40b, 40bc)가 구비된다. 도 5에서는 도어(71)에 카메라(40)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76)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76)는 기능, 온도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영역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과 같은 보관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선반(73: 73a 내지 73d)이 마련된다. 아울러, 본체(76)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에는 개폐를 위한 도어(71)가 하나 이상 마련된다.
도어(71)는 본체(76)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도어(71)는 본체(76)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에 돌출되어 보관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거치대(72)가 마련된다. 아울러, 도어(7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6) 내부의 저장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의 카메라(40)가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40)는 냉장고의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 또는 외부장치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40)는 도어(71)와 같이 냉장고 본체(76)의 내부를 촬영하기 용이하고, 선반(73)별 저장영역(75: 75a 내지 75d)의 끝 부분까지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특히, 카메라(40)는 두 개의 선반(73)에 해당하는 저장영역(75)을 하나의 카메라(40)가 촬영하도록 배치된다. 즉, 카메라(40)는 선반(73)과 나란한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40)는 선반(73) 수의 1/2로 구성되어 선반(73) 2개당 하나가 설치된다. 여기서, 선반(73)이 홀 수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카메라(40)가 2개의 저장영역(75)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 선반(73) 별로 카메라(4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제1카메라(40a)는 제1선반(73a)와 제2선반(73b)의 저장영역인 제1저장영역(75a) 제2저장영역(75b)를 촬영하도록 제1선반(73a)과 나란(라인 C)한 위치의 도어(71)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카메라(40b)는 제3선반(73c)와 제4선반(74d)의 저장영역인 제3저장영역(75c)와 제4저장영역(75d)를 촬영하도록 제3선반(73c)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나란하다는 의미는 카메라(40)의 화각(a)의 중심이 선반(73)의 연장선(c)과 일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선반(73)에 대해서는 하나의 카메라(40)로 두 개의 선반을 촬영하기 곤란할 수 있다. 이때는 제3카메라(40bc)를 추가하여 두 개의 카메라(40)가 3개의 저장영역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냉장고(7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부와 온도 및 기능 조절을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은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되고 냉장고의 상태정보와 기능제어 권한을 외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수단은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영역(75)별 영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을 외부장치 또는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냉장고(70)의 외부 표면 예를 들어, 도어(71)의 외측면에는 표시장치가 구비되어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냉장고의 내부영상이나, 기능 제어를 위한 각종 메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7은 선반과 카메라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6은 2개의 선반당 하나의 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3개의 선반에 두 개의 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70)에는 냉장고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40)가 복수로 마련된다. 이러한 카메라(40: 40aa, 40ab)는 하나의 카메라(40)가 2개의 저장영역(75aa, 75ab 또는 75ac, 75ad)을 촬영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1카메라(40aa)는 제1선반(73a)의 연장선(c) 상에 배치되며, 제1카메라(40aa)의 화각은 제1저장영역(75aa)와 제2저장영역(75ab)를 촬영할 수 있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카메라(40ab)도 제3선반(73c)의 연장선에 배치되어 제3저장영역(75ac)과 제4저장영역(75ad)를 촬영할 수 있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40aa, 40ab)가 두 개의 저장영역(75aa-75ab, 75ac-75ad)를 촬영하면, 제어수단은 이러한 영상을 전달받아 영역별로 분리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영역별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영역별 영상은 냉장고(70) 내부의 물체 인식을 위한 영상으로 활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의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분할된 영역별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카메라는 세로 방향의 화면 비율이 가로 방향의 화면비율보다 큰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기존 카메라를 90도 회전시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하 2칸의 저장영역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횡비가 4:3, 16:9와 같은 카메라를 90도 회전시켜 3:4, 9:16의 카메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경계로 분할하여, 3:2, 9:8의 영역별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두 개의 선반 당 하나의 카메라가 배치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카메라(40ba, 40bb)가 어느 한 영역(B)을 중첩하여 촬영하도록 카메라(40ba, 40bb)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카메라(40ba)는 제1선반(73a)의 연장선에 배치되어, 제1영역(A)과 제2영역(B)를 촬영하게하고, 제2카메라(40bb)는 제2선반(73b)의 연장선에 배치되어 제2영역(B)과 제3영역(C)을 촬영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카메라(40ba, 40bb)에 의해 제2영역(B)이 중복 촬영될 수 있으며, 제어수단에서 이 중복영역의 영상을 처리하여 각 영역별 영상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수단은 제1카메라(40ba)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할하여 제1영역(A)와 제2영역(B)에 대한 영역별 영상을 산출하고, 제2카메라(40bb)에서 촬영된 영상 중 제2영역(B)의 영상을 삭제하여 제3영역(C)의 영역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1카메라(40ba)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제2영역(B)의 영상을 제거하여 제1영역(A)의 영상을 생성하고, 제2카메라(40bb)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제2영역(B)과 제3영역(C)의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의 선택은 제1 및 제2카메라(40ba, 40bb)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더 나은 화질 또는 저장물의 구분이 용이한 영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영상의 촬영 과정에서 카메라(40)에 구비되거나, 냉장고 내부에 설치되는 플래쉬를 통해 조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케이스 11: 전방플레이트
13: 측면플레이트 15: 경통부
17: 보호렌즈 18: 안축부
19: 삽입홈 20: 결합부
21: 열선 30: 기판
31: 회로소자 33: 통공
35: 보강부 41: 바디부
43: 렌즈부 60: 몰딩층

Claims (9)

  1. 제1면에 카메라가 실장되는 기판;
    상기 카메라가 삽입되는 경통부와 상기 기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 상기 전방플레이트에서 신장되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기판을 덮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몰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촬영용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외주연을 감싸되 상기 카메라의 외주연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촬영용 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는
    상기 경통부의 외주연에 상기 열선이 삽입되는 환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촬영용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함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촬영용 카메라.
  5. 내부의 영역을 복수의 저장영역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선반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영역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선반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반에 의해 분할되는 두 개의 저장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 2개당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 3개당 2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2대의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저장영역 중 어느 하나를 중첩하여 촬영하며,
    중첩하여 촬영된 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에 기재된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180084965A 2018-07-20 2018-07-20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00009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65A KR20200009912A (ko) 2018-07-20 2018-07-20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65A KR20200009912A (ko) 2018-07-20 2018-07-20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12A true KR20200009912A (ko) 2020-01-30

Family

ID=6932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65A KR20200009912A (ko) 2018-07-20 2018-07-20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9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776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KR102640418B1 (ko) * 2022-08-23 2024-02-27 현대에이치티 주식회사 스마트 기능을 갖는 미니 월패드가 포함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748A (ja) 2011-04-15 2012-11-15 Lg Electronics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748A (ja) 2011-04-15 2012-11-15 Lg Electronics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776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KR102640418B1 (ko) * 2022-08-23 2024-02-27 현대에이치티 주식회사 스마트 기능을 갖는 미니 월패드가 포함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9912A (ko) 냉장고 내부 촬영용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4460203B (zh) 荧光发光装置以及具备该荧光发光装置的投影仪
JP6210989B2 (ja) 赤外監視カメラ用の熱分離デバイス
CN105187693B (zh) 监控摄像机
US20180345804A1 (en) Charging socket for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CN103024252B (zh) 具有成像传感器封装的摄像设备
EP3109834A1 (en) Mobile terminal for sharing image with nearby blackbox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483736A (zh) 拍摄装置
CN103843331B (zh) 图像拾取装置和图像拾取方法
US9282227B2 (en) Camera module
WO2016208223A1 (ja) 室外機
US10972658B2 (en) Image capture eyewear with auto-send
EP2635017B1 (en) Monitoring camera
JP7091061B2 (ja) 撮像装置
CN101620367B (zh) 具有绝热构造的投影器
CN106998414B (zh) 图像传感器模块及包括该图像传感器模块的相机模块
CN106973202A (zh) 一种摄像模组及除霜方法
CN109557743A (zh) 一种航空相机焦面温度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430276A (zh) 成像装置和电子装置
CN206807621U (zh) 电子装置
JP2020537409A (ja) 自動車用の駆動ビデオレコーダ
EP3598511B1 (en) Power source for an electronical device
EP2362628A1 (en) Single use digital camera
CN206629156U (zh) 一种摄像模块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