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894A -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894A
KR20200009894A KR1020180084918A KR20180084918A KR20200009894A KR 20200009894 A KR20200009894 A KR 20200009894A KR 1020180084918 A KR1020180084918 A KR 1020180084918A KR 20180084918 A KR20180084918 A KR 20180084918A KR 20200009894 A KR20200009894 A KR 20200009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llet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f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862B1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8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주면에 안착단 및 장착단이 순차적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연결관몸체; 후방측 끝단의 내주면으로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면서 호스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이루어진 콜렛부; 상기 콜렛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홀더; 상기 연결관몸체의 안착단 내에 안착되는 패킹부재; 패킹부재를 지지함과 더불어 콜렛부의 가압 조작에 의한 이동시 걸림편이 위치된 콜렛부의 후방측 끝단 부위를 벌리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호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호스의 취출시 호스의 외면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피팅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히 취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fit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hose}
본 발명은 피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호스의 취출시 호스의 외면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피팅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히 취출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나 비데 등과 같이 물을 전달하도록 사용되는 호스는 피팅 장치에 의해 또 다른 호스 혹은, 장치(예컨대, 필터 등)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피팅 장치는 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원치않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과 더불어 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에 더하여 간편한 조작성도 만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피팅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5924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94982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460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157호, 등록특허 제10-1127284호, 공개특허 제10-2014-0040315호, 공개특허 제10-2017-0056944호 등 다양한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피팅 장치는 단순히 호스의 연결시 취출이 되지 않는 구조로 제공됨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면서 설계됨에 따라 호스를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호스의 표면 손상이 발생되거나 혹은, 피팅 장치가 손상되어 사용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종래 기술의 피팅 장치는 호스가 삽입되는 부위에 금속 링으로 이루어진 걸림링을 호스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호스의 취출시에는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파고들면서 상기 호스가 취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구성되지만, 호스의 취출시에는 더욱 큰 힘으로 강제적인 호스의 당김을 수행하거나 혹은, 호스와 피팅 장치 사이로 별도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걸림링을 기울인 상태로 호스를 취출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피팅 장치는 메인 몸체관 내에 오링을 게재하여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오링의 경우 피팅 장치 내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호스의 연결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호스의 연결시 이 호스와의 마찰로 인해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오링의 뒤틀림 현상으로 인한 틈새로 누수가 우려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5924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94982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460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157호 등록특허 제10-1127284호 공개특허 제10-2014-0040315호 공개특허 제10-2017-005694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호스의 취출시 호스의 외면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피팅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히 취출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따르면 호스가 삽입 결합되는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가 삽입되는 끝단측의 내주면에는 안착단 및 장착단이 순차적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연결관몸체; 호스가 통과되는 관체로 형성되고, 후방측 끝단의 내주면으로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면서 호스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전방측 끝단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확장 형성되어 이루어진 콜렛부; 상기 연결관몸체의 끝단측에 결합 고정되면서 상기 콜렛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홀더; 상기 연결관몸체의 안착단 내에 안착되는 패킹부재; 상기 연결관몸체 내의 장착단 내에 안착되면서 패킹부재를 지지함과 더불어 콜렛부의 가압 조작에 의한 이동시 걸림편이 위치된 콜렛부의 후방측 끝단 부위를 벌리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면인 패킹부재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패킹부재의 내주측 일부를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요입된 지지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렛부는 복수의 절개공에 의해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외측 혹은, 내측으로 휘면서 벌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인 상기 콜렛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콜렛부의 후방측 끝단 부위가 수용되는 안내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은 상기 콜렛부의 삽입 조작시 걸림편이 위치된 후방측 끝단 부위를 점차 벌리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콜렛부의 후방측 끝단 내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면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방측 내주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면서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 둘레측 부위에 접촉되어 받쳐주도록 이루어진 받침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콜렛부의 가압시 상기 콜렛부의 안내단을 벌려주는 가이드부재의 추가 제공에 의해 호스의 표면 손상 없이 원활한 연결이 수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호스의 분리 역시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호스의 연결이나 취출시 콜렛부가 해당 호스를 파지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강제적인 호스의 취출로 인한 콜렛부의 파손 발생이 방지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콜렛부가 호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취출 방향으로 당길 경우 상기 콜렛부의 안내단은 더욱 오므려지도록 동작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호스의 원치않는 분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가이드부재에 패킹부재의 일부를 감싸는 라운드 구조의 지지홈이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호스와 패킹부재 간의 연결시 상기 패킹부재가 뒤틀리는 등의 연결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누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콜렛부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항상 지지홀더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호스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강제적으로 콜렛부를 후퇴 이동시킨 후 별도의 락커(locker)를 상기 콜렛부와 지지홀더 사이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밟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밟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의 호스 연결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실시예의 설명시 전방 및 후방 등의 방향에 대한 기재는 도면상 왼쪽이 전방임과 더불어 오른쪽이 후방임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밟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밟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연결관몸체(100)와 콜렛부(200) 및 지지홀더(300)를 갖는 일반적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의 구조에 가이드부재(400)를 추가로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부재(400)에 의해 상기 콜렛부(200)의 가압 조작시 콜렛부(200)의 끝단이 벌어지면서 호스(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호스(10)의 외면 손상 없는 분리가 가능함과 더불어 조립 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관몸체(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의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연결관몸체(100)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한 부위는 호스(10)가 삽입 결합되는 관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관몸체(100)가 수평한 일자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양측 끝단으로 서로 다른 호스가 각각 결합되면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관몸체(100)는 절곡형의 관체 혹은,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통에 일체로 형성되는 관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몸체(100)의 내주면에는 호스(10)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턱(1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몸체(100) 중 끝단측의 내주면에는 중앙측의 내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을 갖는 안착단(120) 및 상기 안착단(120)에 비해 확장된 내경을 갖는 장착단(130)이 내측 부위로부터 외측 부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확장되면서 단턱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단(120)에는 패킹부재(500)가 제공되면서 호스(10)의 외주면과 연결관몸체(100)의 내주면 간 틈새를 통한 물의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패킹부재(500)는 상기 연결관몸체(100)의 안착단(120) 내에 안착되는 오링으로 형성되며, 그의 내경은 상기 연결관몸체(10))의 내측 부위가 이루는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단(120)의 내경은 상기 패킹부재(500)의 외경 및 내경을 고려한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단(130)의 내경은 후술될 가이드부재(400)의 외경을 고려한 크기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콜렛부(200)는 호스(10)의 구속을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콜렛부(200)는 내부로 호스(10)가 통과되도록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몸체단(210)과 안내단(220) 및 플랜지단(230)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단(210)은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전방측 부위로부터 후방측 끝단까지 절개된 복수의 절개공(211)에 의해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외측 혹은, 내측으로 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단(220)은 상기 몸체단(210)의 후방측 끝단 부위를 이루면서 콜렛부(200)를 연결관몸체(100) 내부로 가압하여 삽입할 경우 호스(10)의 파지를 해제하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며, 후방으로 갈수록 내주면이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안내단(220)의 내주면 중 상기 경사가 시작되기 직전의 부위에는 걸림편(221)이 돌출 형성되면서 호스(10)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클램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편(221)은 호스(10)의 삽입 방향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호스(10)가 그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콜렛부(200)를 강제적으로 당기면 상기 걸림편(221)이 상기 호스(10)의 외주면으로 파고들면서 상기 호스(10)를 견고히 파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단(230)은 상기 몸체단(210)의 전방측 끝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콜렛부(200)가 연결관몸체(100) 내로 과도하게 삽입됨을 방지하는 부위이며, 상기 몸체단(210)의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외향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홀더(300)는 상기 콜렛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지지홀더(300)는 그의 후면 내주측 부위가 상기 연결관몸체(100)의 끝단 내주면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콜렛부(200)를 이루는 안내단(220)의 외주면에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22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더(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22)에 걸려 콜렛부(200)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10)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300)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후술될 가이드부재(400)의 전면 둘레측 부위에 접촉되어 받쳐주도록 이루어진 받침턱(320)이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받침턱(320)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콜렛부(200)가 외측(전방측)으로의 당김 발생시 상기 콜렛부(200)의 걸림돌기(222)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점차적으로 가압되면서 안내단(220)이 오므려지도록 함으로써 호스의 파지가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콜렛부(200)의 가압 조작시 콜렛부(200)에 의한 호스(10)의 파지가 해제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연결관몸체(100) 내의 장착단(130) 내에 안착되면서 패킹부재(500)를 받쳐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패킹부재(500)의 지지를 위한 지지홈(410) 및 상기 콜렛부(200)의 안내를 위한 안내홈(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홈(410)은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후면인 패킹부재(500)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상기 패킹부재(500)의 내주측 일부를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요입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20)은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전면인 상기 콜렛부(200)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콜렛부(200)의 후방측 끝단 부위가 수용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안내홈(420)은 상기 콜렛부(200)의 삽입 조작시 걸림편(221)이 위치된 후방측 끝단 부위를 점차 벌리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부재(400)의 전방측 내주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면서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콜렛부(200)를 통과하여 가이드부재(400) 내로 수용되는 호스(10)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6과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호스(10)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우선적으로 콜렛부(200)를 가압하여 연결관몸체(100) 내로 삽입시킨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호스(10)를 콜렛부(20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콜렛부(200)를 연결관몸체(100) 내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호스(10)를 밀어넣음으로써 호스(1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콜렛부(200)를 가압하게 될 경우 상기 콜렛부(200)를 이루는 안내단(220)은 가이드부재(400)의 안내홈(420)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안내홈(420) 내의 경사에 의해 점차 벌어진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호스(10)를 상기 콜렛부(200) 내로 삽입하여 연결관몸체(100) 내에 이르기까지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호스(10)는 상기 연결관몸체(100) 내의 제한턱(110)이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삽입되며,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렇게 호스(10)를 삽입하는 도중에도 상기 콜렛부(200)는 가압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호스(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콜렛부(200)를 취출 방향으로 당겨서 이동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콜렛부(200)의 안내단(220)이 가이드부재(400)의 안내홈(42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어 오므려지며, 이로써 상기 안내단(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편(221)이 호스(10)의 외주면을 쐐기 형태로 파고들어 파지하면서 호스(10)와 안내단(220)이 함께 후퇴 이동된다.
이때, 상기 콜렛부(200)의 후퇴 이동은 안내단(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2)가 지지홀더(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20)에 부딪힐 때까지 이루어지며, 이렇게 걸림돌기(222)가 걸림턱(310)에 부딪힐 경우 콜렛부(200)는 더는 후퇴 이동되지 못하면서 해당 위치로 유지된다.
특히, 지지홀더(300)의 내주면(받침턱이 형성된 부위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호스(10)의 당김에 따른 안내단(220)의 전방 이동시에는 상기 콜렛부(200)의 걸림돌기(222)가 상기 지지홀더(300)의 내주면이 이루는 경사에 의해 점차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안내단(220)의 걸림편(221)이 호스(10)의 외주면에 더욱 깊게 파고들어서 상기 호스(10)는 더욱 견고히 파지되며, 이로 인해 원치않는 호스(10)의 이탈은 방지된다.
만일, 상기한 상태에서 호스(1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렛부(200)를 가압한 상태로 호스(10)를 취출하면 된다. 즉, 콜렛부(200)의 가압을 통해 안내단(220)이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콜렛부(200)의 걸림편(221)이 호스(10)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10)를 분리함에 따라 상기 호스(10)의 표면 손상뿐 아니라 상기 콜렛부(200)의 걸림편(221)에 대한 파손 발생 역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콜렛부(200)의 가압시 상기 콜렛부(200)의 안내단(220)을 벌려주는 가이드부재(4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호스(10)의 표면 손상 없이 원활한 연결이 수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호스(10)의 분리 역시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호스(10)의 연결이나 취출시 콜렛부(200)가 해당 호스(10)를 파지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강제적인 호스(10)의 취출로 인한 콜렛부(200)의 파손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콜렛부(200)가 호스(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호스(10)를 취출 방향으로 당길 경우 상기 콜렛부(200)의 안내단(220)은 더욱 오므려지도록 동작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호스(10)의 원치않는 분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가이드부재(400)에 패킹부재(500)의 일부를 감싸는 라운드 구조의 지지홈(410)이 추가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호스(10)와 패킹부재(500) 간의 연결시 상기 패킹부재(500)가 호스(10)와의 마찰로 뒤틀리는 등의 연결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누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는 콜렛부(20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항상 지지홀더(3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호스(10)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강제적으로 콜렛부(200)를 후퇴 이동시킨 후 별도의 락커(locker)를 상기 콜렛부(200)와 지지홀더(300) 사이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10. 호스 100. 연결관몸체
110. 제한턱 120. 안착단
130. 장착단 200. 콜렛부
210. 몸체단 211. 절개공
220. 안내단 221. 걸림편
222. 걸림돌기 230. 플랜지단
300. 지지홀더 310. 걸림턱
320. 받침턱 400. 가이드부재
410. 지지홈 420. 안내홈

Claims (5)

  1. 호스가 삽입 결합되는 관체로 형성되며, 끝단측의 내주면에는 안착단 및 장착단이 순차적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연결관몸체;
    호스가 통과되는 관체로 형성되고, 후방측 끝단의 내주면으로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면서 호스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전방측 끝단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확장 형성되어 이루어진 콜렛부;
    상기 연결관몸체의 끝단측에 결합 고정되면서 상기 콜렛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홀더;
    상기 연결관몸체의 안착단 내에 안착되는 패킹부재;
    상기 연결관몸체 내의 장착단 내에 안착되면서 패킹부재를 지지함과 더불어 콜렛부의 가압 조작에 의한 이동시 걸림편이 위치된 콜렛부의 후방측 끝단 부위를 벌리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면인 패킹부재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패킹부재의 내주측 일부를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요입된 지지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부는 복수의 절개공에 의해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외측 혹은, 내측으로 휘면서 벌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인 상기 콜렛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콜렛부의 후방측 끝단 부위가 수용되는 안내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은 상기 콜렛부의 삽입 조작시 걸림편이 위치된 후방측 끝단 부위를 점차 벌리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부의 후방측 끝단 내주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면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방측 내주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면서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 둘레측 부위에 접촉되어 받쳐주도록 이루어진 받침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장치.
KR1020180084918A 2018-07-20 2018-07-2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212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18A KR102121862B1 (ko) 2018-07-20 2018-07-2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18A KR102121862B1 (ko) 2018-07-20 2018-07-2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94A true KR20200009894A (ko) 2020-01-30
KR102121862B1 KR102121862B1 (ko) 2020-06-11

Family

ID=6932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18A KR102121862B1 (ko) 2018-07-20 2018-07-2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086A (ko) * 2020-05-26 2021-12-03 (주)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CN114763865A (zh) * 2021-01-13 2022-07-19 畅浩系统株式会社 软管连接用接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085B1 (ko) * 2020-06-30 2022-04-14 (주)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2598545B1 (ko) 2021-09-24 2023-11-06 주식회사 성화기전 케이블 및 에어 호스 동시 연결형 블럭 구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243Y1 (ko) 1997-04-17 1999-10-15 이중호 호스연결용 컨넥터
KR200194982Y1 (ko) 2000-03-10 2000-09-01 이중호 호스연결용 컨넥터
KR20100007460U (ko) 2009-01-14 2010-07-22 김인 호스 연결용 피팅
KR20110004771A (ko) * 2009-07-08 2011-01-14 (주)스톰테크 튜브 커플링
KR20110007157U (ko) 2011-05-30 2011-07-19 김기래 호스 연결용 피팅
KR101127284B1 (ko) 2010-01-22 2012-03-29 주식회사 이앤에이메디칼 호스 연결구
KR20140040315A (ko) 2012-09-24 2014-04-03 (주)워피온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20150004551U (ko) * 2014-06-12 2015-12-23 홍승지 배관 피팅 장치
KR20170056944A (ko) 2015-11-16 2017-05-24 최병철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243Y1 (ko) 1997-04-17 1999-10-15 이중호 호스연결용 컨넥터
KR200194982Y1 (ko) 2000-03-10 2000-09-01 이중호 호스연결용 컨넥터
KR20100007460U (ko) 2009-01-14 2010-07-22 김인 호스 연결용 피팅
KR20110004771A (ko) * 2009-07-08 2011-01-14 (주)스톰테크 튜브 커플링
KR101127284B1 (ko) 2010-01-22 2012-03-29 주식회사 이앤에이메디칼 호스 연결구
KR20110007157U (ko) 2011-05-30 2011-07-19 김기래 호스 연결용 피팅
KR20140040315A (ko) 2012-09-24 2014-04-03 (주)워피온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20150004551U (ko) * 2014-06-12 2015-12-23 홍승지 배관 피팅 장치
KR20170056944A (ko) 2015-11-16 2017-05-24 최병철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086A (ko) * 2020-05-26 2021-12-03 (주)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CN114763865A (zh) * 2021-01-13 2022-07-19 畅浩系统株式会社 软管连接用接头装置
CN114763865B (zh) * 2021-01-13 2024-01-16 畅浩系统株式会社 软管连接用接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62B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9894A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2146782B1 (ko) 퀵 커넥터
CN101608654B (zh) 用于保持销钉的夹子
JP5687152B2 (ja) 配管継手
JP6016786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8779880B (zh) 推入式连接配合装置、布置和方法
HU225768B1 (en) Push-fit tube couplings
JPH08505205A (ja) 滑動カラーの迅速な接続
JPWO2013031272A1 (ja) コネクタ
US20110012339A1 (en)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and Disconnection Tool
CN102620078B (zh) 一种插入自锁式快速连接管接头及其配套的卸管工具
KR102215988B1 (ko) 호스 연결용 버튼형 피팅 장치
CA2978207A1 (en) Pullhead device and method for use
KR102467065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JP6131120B2 (ja) コネクタ
KR102386085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JP2012255491A (ja) ロックリング拡径方法及び拡径装置
KR20040062712A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KR101899410B1 (ko)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KR102250122B1 (ko) 원터치 고압 커넥터
US7232167B2 (en) Cam-action pipe puller
KR102051781B1 (ko) 메인 열쇠 걸이장치 및 사용방법
US5040289A (en) Extraction tool
KR20190002702U (ko) 호스 연결용 커넥터
JP5920987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