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788A -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788A
KR20200009788A KR1020180084659A KR20180084659A KR20200009788A KR 20200009788 A KR20200009788 A KR 20200009788A KR 1020180084659 A KR1020180084659 A KR 1020180084659A KR 20180084659 A KR20180084659 A KR 20180084659A KR 20200009788 A KR20200009788 A KR 20200009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cid
trihydroxy
preventing
diabe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371B1 (ko
Inventor
우미희
최재수
민병선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 즉,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19α-히드록시 우르솔산(화합물 4),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s isolated from Agrimonia pilosa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유전적, 환경적 원인에 의해 인슐린 분비 감소 및 저항성 등과 같이 인슐린 분비에 문제가 있거나 인슐린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혈액 속의 포도당이 세포로 전달/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중에 지나치게 많아져 혈당의 수치가 정상인 보다 훨씬 높아지는 고혈당증(hyperglycemia) 증상을 보이는 대사성 질환으로, 당뇨병을 치료하지 않으면 당뇨병케톤산증, 고혈당성 혼수(Kitabachi, A. E. et al., Diabetes care, 32(7), 1335-1345, 2009), 심혈관질환, 고혈압, 뇌졸중, 만성신부전, 당뇨병성 궤양, 당뇨망막병(WHO, Diabetes Fact sheet No.312, 2013) 등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당뇨병은 합병증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4번째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당뇨병의 종류는 선천적인 유전적 요인에 의해 인슐린을 신체에서 조금 생산하거나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T1D)과 비만, 운동부족, 임신 후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되는 질환으로 신체에서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s),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및 기타 당뇨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약 10%를 차지하는데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며, 췌장 β 세포의 파괴성 병변에 의해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발생된다. 제2형 당뇨병은 주로 성인에서 발생하는데,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인슐린이 체내에서 분비 되지 않거나 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생긴다. 임신성 당뇨병은 이전에 당뇨 진단을 받은 적이 없으나 임신 중에 체내에서 충분한 양의 인슐린이 생산되지 않아 점차적으로 혈당 수치가 점차적으로 올라가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은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만성 합병증에 의한 실명, 말기 신부전증, 신경질환, 하지 절단 및 감염질환 등이 급증하게 된다. 특히 당뇨 합병증으로서 뇌혈관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질환 사망자의 약 3/4는 당뇨 합병증에 의한 사망자이며, 심혈관계 합병증에 의한 사망 위험도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10년 증가할 때마다 24%씩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당뇨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관상동맥 질환의 유병률이 2배나 높고 말초혈관질환에 대한 유병률은 약 3배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고보람 등, 대한내분비학회지, 21(5), 382-388, 2006; Schneider, S. H. et al., Metabolism, 37(10), 924-929, 1988), 당뇨병에서 이러한 죽상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고혈당, 지질대사이상, 고인슐린혈증, 고혈압, 혈액응고 기전의 변화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Aronoff, S. et al., Diabetes Care, 23(11), 1605-1611, 2000). 이러한 여러 합병증들은 개개인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사회적, 경제적인 손실 또한 매우 큰 실정이다.
당뇨병 관리의 가장 기본은 혈당을 조절하는 것으로, 운동요법이나 식사요법을 통해 혈당을 조절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물요법을 시작한다. 제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인슐린 주사로 관리되고(WHO, Diabetes Fact sheet No.312, 2013), 제2형 당뇨병은 경구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의 투약으로 관리된다(김동림, 건국대학교 병원 KRC, 2012). 그러나 기존 경구 혈당강하제의 경우, 지속적인 혈당의 정상화 유지라는 긍정적인 측면 이외에 장기 복용 시 저혈당 유발, 설사, 복부팽만감, 체중증가, 젖산혈중, 심장 독성, 간 독성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인슐린 분비 기능을 하는 췌장 β 세포가 비가역적으로 손상, 파괴되고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기 때문에 결국 약효가 떨어져 인슐린을 주사해야 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당뇨병 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슐린의 경우에는 매일 2~3회 피하주사해야 하기 때문에 주사에 대한 불편함, 거부감이 크며, 이 또한 저혈당 유발 가능성이 매우 큰 문제점을 지고 있다.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는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 및 인슐린 수용체 기질(insulin receptor substrates)의 탈인산화를 일으켜 인슐린의 신호전달 기전을 방해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시키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는 렙틴의 신호전달 과정에서도 렙틴 수용체 및 Jak에서 일어나는 인산화를 저해하고 렙틴 신호전달 기전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Malamas, M. S. et al., J. Med. Chem., 43(5), 995-1010, 2000).
비록, 현재까지의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최근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생물학적 기능 및 질환 유발 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새로운 약물 개발의 타겟이 되고 있다(Thareja, S. et al., Med. Res. Rev., 32(3), 459-517, 2012). 특히,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 유전자를 제거한 쥐에서는 인슐린 내성이 제거되어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비만이 저해되는 현상이 보고되었고(Elchebly, M. et al., Science, 283(5407), 1544-1548, 1999),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를 저해하는 물질들이 항당뇨 효과를 보이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Klaman, L. D. et al., Mol. Cell. Biol., 20(15), 5479-5489, 2000).
현재까지 임상에 들어간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를 비롯한 각종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의 저해제는 대부분 합성 화합물로서 낮은 생체이용률, 독성 및 부작용으로 인해 임상시험에서 탈락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 유래의 저해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Johnson, T. O. et al., Nat. Rev. Drug. Discov., 1(9), 696-709, 2002).
짚신나물(Agrimonia pilosa)은 다년생 숙근초로 장미과에 속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서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야산의 길가, 들판 등에 흔히 자라며, 선학초, 용아, 용아초, 황아초, 황용초, 지선초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민간요법, 녹즙 등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고, 폐암, 간암, 식도암, 종양, 통증제거, 지형, 지사, 토혈, 혈토, 자궁출혈, 열기 등의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 성분으로는 아그리모닌(agrimonin), 아그리모노라이드(agrimonolide), 탄닌(tannin), 스테롤(sterol), 유기산, 사포닌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등, 향약대사전, 영림사, 636-637, 1998; Jung, M. et al., Molecules, 12(9), 2130-2139, 2007; Miyamoto, K. et al., Jpn. J. Pharmacol., 43(2), 187-195, 1987; Jung, C. H. et al., Immunol. Invest., 39(2), 159-170, 2010; Shin, W. J. et al., Microbiol. Immunol., 54(1), 11-19, 2010).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의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79391호에는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중 메틸 2-하이드록실 트리코사노에이트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616811호에는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15795호에는 짚신나물 분획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도오스 환원 효소를 억제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이 당뇨병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이전 보고는 아직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9391호,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017년 09월 1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616811호,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016년 04월 25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15795호, 짚신나물 분획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도오스 환원 효소를 억제용 조성물, 2018년 02월 14일, 공개.
고보람 등, 당뇨병성 말초혈관질환과 Ankle-Brachial Index의 상관관계 대한내분비학회지, 21(5), 382-388, 2006. 김동림, 제2형 당뇨병의 약물 치료, 건국대학교 병원 KRC, 2012. 정보섭 등, 향약대사전, 영림사, 636-637, 1998. Aronoff, S. et al., Pioglitazone hydrochloride monotherapy improves glycemic control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6-month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se-response study. The Pioglitazone 001 Study Group, Diabetes Care, 23(11), 1605-1611, 2000. Cui, L.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rom Morus root bark, Bioorg. Med. Chem. Lett., 16(5), 1426-1429, 2006. Elchebly, M. et al.,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obesity resistance in mice lacking th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gene, Science, 283(5407), 1544-1548, 1999. Johnson, T. O.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or diabetes, Nat. Rev. Drug. Discov., 1(9), 696-709, 2002. Jung, C. H. et al.,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inflammation by suppression of iNOS and ROS production, Immunol. Invest., 39(2), 159-170, 2010. Jung, M. et al.,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by flavonoids from Agrimonia pilosa, Molecules, 12(9), 2130-2139, 2007. Kitabachi, A. E. et al.,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s, Diabetes care, 32(7), 1335-1345, 2009. Klaman, L. D. et al., Increased energy expenditure, decreased adiposity, and tissue-specific insulin sensitivity in protein-tyrosine phosphatase 1B-deficient mice, Mol. Cell. Biol., 20(15), 5479-5489, 2000. Malamas, M. S. et al., New azolidinediones as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with antihyperglycemic properties, J. Med. Chem., 43(5), 995-1010, 2000. Miyamoto, K. et al., Antitumor effect of agrimoniin, a tannin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transplantable rodent tumors, Jpn. J. Pharmacol., 43(2), 187-195, 1987. Schneider, S. H. et al., Impaired fibrinolytic response to exercise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Effect of exercise and physical training, Metabolism, 37(10), 924-929, 1988. Shin, W. J. et al., Broad-spectrum antiviral effect of Agrimonia pilosa extract on influenza viruses, Microbiol. Immunol., 54(1), 11-19, 2010. Thareja, S.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a molecular level legitimate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Med. Res. Rev., 32(3), 459-517, 2012. WHO, Diabetes Fact sheet No.312,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19α-히드록시 우르솔산(화합물 4),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짚신나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P-18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라비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안정화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시간, 투여경로, 약물의 흡수, 분포 및 배설률, 사용되는 다른 약물의 종류 및 처방자의 판단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일 내지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 즉, 상기 화학식 1의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19α-히드록시 우르솔산(화합물 4),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가공한 식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제, 보조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전체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짚신나물(Agrimonia pilosa)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짚신나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짚신나물 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하기 화학식 2의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은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 즉,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19α-히드록시 우르솔산(화합물 4),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의 분리>
건조된 짚신나물(A. pilosa) 지상부 5.8㎏을 80% 에탄올(3회×4ℓ)로 실온에서 추출하고, 상기 과정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2.5㎏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1.5ℓ의 물에 현탁하고, 디클로로메탄(1ℓ×7회), 에틸아세테이트(1ℓ×7회) 및 n-부탄올(1ℓ×5회)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800.1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63.9g) 및 n-부탄올 분획물(500.5g)과 마지막으로 물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 분획물 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n-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100:0:0 → 100:100:100)의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15개의 소분획물(A~O)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C(3.1g)를 n-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3:1, 2:1, 1:1, 1:2)의 용출 조건으로 오픈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7개의 소분획물(C1~C7)을 얻었다. 또한, 상기 소분획물 중 C3(340.3㎎)을 메탄올:물(6:1)의 용출 조건으로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화합물 2(10.3㎎, 1β,2α,19α-trihydroxy-3-oxours-12-en-28-oic acid,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를 얻었으며, 상기 소분획물 중 C6(412.1㎎)을 아세토니트릴:물(4:1)을 용매로 사용하여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서 화합물 1(3.4㎎, 1β,3β,19α-trihydroxy-2-oxours-12-en-28-oic acid,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 및 화합물 6(4.9㎎, 18α-oleanolic acid, 18α-올레아놀산)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E(2.6g)를 아세토니트릴:물(1:1, 2:1, 4:1, 6:1, 10:1)의 조건으로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5개의 소분획물(E1~E5)을 얻었다. 또한, 상기 소분획물 중 E4(821㎎)를 아세토니트릴:물(7:1)의 용출 조건으로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화합물 5(35.1㎎, 3-O-acetyl pomolic acid, 3-O-아세틸 포몰린산)를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G(3.2g)를 아세토니트릴:물(2:1, 4:1, 6:1, 8:1, 10:1)의 조건으로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6개의 소분획물(G1~G6)을 얻었다. 또한, 상기 소분획물 중 G6(1.1g)을 메탄올:물(8:1)의 용출 조건으로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화합물 3(6.9㎎, 2β-hydroxy pomolic acid, 2β-히드록시 포몰린산) 및 화합물 4(4.3㎎, 19α-hydroxy ursolic acid, 19α-히드록시 우르솔산)를 얻었다.
<실시예 2. PTP1B 저해 활성 확인>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에 의해 기질인 p-니트로페닐 인산염(p-nitrophenyl phosphate, p-NPP)이 p-니트로페놀(p-nitrophenol, p-NP)로 변화되면서 노란색을 나타내므로, 405㎚에서 흡광도 변화를 통해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Cui, L. et al., Bioorg. Med. Chem. Lett., 16(5), 1426-1429, 2006).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TP1B, human, recombinant)는 BIOMOL® International LP(Plymouth Meeting, PA)에서 구입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최종 부피 200㎕)에 50㎕의 2mM p-NPP와 100㎕의 PTP1B(0.05~0.1㎍)가 포함된 완충액((50mM citrate, pH 6.0), 0.1M NaCl, 1mM EDTA 및 1mM dithiothreitol(DTT))을 더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6을 각각 처리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37℃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한 다음 30㎕의 10M NaOH를 처리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최종 생성된 p-니트로페놀 양을 흡광도(OD) 405㎚에서 측정하고 각 화합물의 PTP1B 저해 활성을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Inhibition ratio (%) = [1-(Sample OD-Blank 2 OD) / (Control OD-Blank 1 OD)] × 100
조건 PTP1B IC50(μM)
화합물 1 13.2 ± 0.1
화합물 2 15.0 ± 0.4
화합물 3 5.9 ± 0.3
화합물 4 57.5 ± 2.8
화합물 5 74.9 ± 0.8
화합물 6 10.5 ± 0.2
양성대조군(우르솔산) 6.6 ± 0.4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6은 PTP1B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 20g을 각각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4.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 20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을 섞어 과립으로 제조하였으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변형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 제제예 5. 건강기능성 음료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짚신나물 유래 화합물 1g, 구연산 0.1g, 프락토올리고당 100g, 정제수 900g을 섞어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교반, 가열, 여과, 살균, 냉장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19α-히드록시 우르솔산(화합물 4),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투여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19α-히드록시 우르솔산(화합물 4),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04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짚신나물(Agrimonia pilosa)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짚신나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짚신나물 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하기 화학식 2의 1β,3β,19α-트리히드록시-2-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1), 1β,2α,19α-트리히드록시-3-옥소우르스-12-엔-28-오익산(화합물 2), 2β-히드록시 포몰린산(화합물 3), 3-O-아세틸 포몰린산(화합물 5) 및 18α-올레아놀산(화합물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화학식 2]
    Figure pat00005
KR1020180084659A 2018-07-20 2018-07-20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9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59A KR102095371B1 (ko) 2018-07-20 2018-07-20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59A KR102095371B1 (ko) 2018-07-20 2018-07-20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88A true KR20200009788A (ko) 2020-01-30
KR102095371B1 KR102095371B1 (ko) 2020-03-31

Family

ID=6932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659A KR102095371B1 (ko) 2018-07-20 2018-07-20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811B1 (ko) 2012-12-27 2016-04-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6851A (ko) * 2015-02-06 2016-08-1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5795A (ko) 2016-08-04 2018-02-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짚신나물 분획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도오스 환원 효소를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811B1 (ko) 2012-12-27 2016-04-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6851A (ko) * 2015-02-06 2016-08-1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9391B1 (ko) 2015-02-06 2017-09-1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5795A (ko) 2016-08-04 2018-02-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짚신나물 분획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도오스 환원 효소를 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β-Hydroxy-2-oxopomolic Acid Isolated from Agrimonia pilosa Extract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Cells, Biol. Pharm. Bull., 35(5), 643-649(2012.) 1부.* *
Aronoff, S. et al., Pioglitazone hydrochloride monotherapy improves glycemic control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6-month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se-response study. The Pioglitazone 001 Study Group, Diabetes Care, 23(11), 1605-1611, 2000.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Agrimonia pilosa, Natural Product Sciences, 11(4), 196-198(2005.) 1부.* *
Cui, L.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rom Morus root bark, Bioorg. Med. Chem. Lett., 16(5), 1426-1429, 2006.
Elchebly, M. et al.,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obesity resistance in mice lacking th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gene, Science, 283(5407), 1544-1548, 1999.
Johnson, T. O.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or diabetes, Nat. Rev. Drug. Discov., 1(9), 696-709, 2002.
Jung, C. H. et al.,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inflammation by suppression of iNOS and ROS production, Immunol. Invest., 39(2), 159-170, 2010.
Jung, M. et al.,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by flavonoids from Agrimonia pilosa, Molecules, 12(9), 2130-2139, 2007.
Kitabachi, A. E. et al.,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s, Diabetes care, 32(7), 1335-1345, 2009.
Klaman, L. D. et al., Increased energy expenditure, decreased adiposity, and tissue-specific insulin sensitivity in protein-tyrosine phosphatase 1B-deficient mice, Mol. Cell. Biol., 20(15), 5479-5489, 2000.
Malamas, M. S. et al., New azolidinediones as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with antihyperglycemic properties, J. Med. Chem., 43(5), 995-1010, 2000.
Miyamoto, K. et al., Antitumor effect of agrimoniin, a tannin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transplantable rodent tumors, Jpn. J. Pharmacol., 43(2), 187-195, 1987.
Oleanane triterpenes with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y activity from aerial parts of Lantana camara collected in Indonesia and Japan, Phytochemistry, 144, 106-112(2017.) 1부.* *
Schneider, S. H. et al., Impaired fibrinolytic response to exercise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Effect of exercise and physical training, Metabolism, 37(10), 924-929, 1988.
Shin, W. J. et al., Broad-spectrum antiviral effect of Agrimonia pilosa extract on influenza viruses, Microbiol. Immunol., 54(1), 11-19, 2010.
Thareja, S.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a molecular level legitimate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Med. Res. Rev., 32(3), 459-517, 2012.
WHO, Diabetes Fact sheet No.312, 2013.
고보람 등, 당뇨병성 말초혈관질환과 Ankle-Brachial Index의 상관관계 대한내분비학회지, 21(5), 382-388, 2006.
김동림, 제2형 당뇨병의 약물 치료, 건국대학교 병원 KRC, 2012.
정보섭 등, 향약대사전, 영림사, 636-637, 199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71B1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mar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Artocarpus heterophyllus Lam.(Jack Fruit) leaf extracts: remarkable attenuations of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KR101793153B1 (ko)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682697B1 (ko)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KR101908772B1 (ko) 상지 열수추출물과 oxyresveratr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9459B1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KR102066966B1 (ko)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48404B1 (ko) 아네모네 리불라리스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9391B1 (ko)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5371B1 (ko)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7520548A (ja) 糖尿病性合併症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0747640B1 (ko) 연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02058B1 (ko) 청국장 발효 울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커큐미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3849A (ko) 김네마 실베스트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6207A (ko) 노린재나무 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3556B1 (ko) 대사질환에 대한 약리활성이 강화된 소나무 수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8131B1 (ko)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1158A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18986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low temperature water extract of hibiscus manihot for anti-obesity
KR100867370B1 (ko) 고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5-메틸소포라플라바논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합병증 또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2314A (ko) 김네마 실베스트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43341B1 (ko) 혼합 생약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