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301A -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301A
KR20200009301A KR1020180083485A KR20180083485A KR20200009301A KR 20200009301 A KR20200009301 A KR 20200009301A KR 1020180083485 A KR1020180083485 A KR 1020180083485A KR 20180083485 A KR20180083485 A KR 20180083485A KR 20200009301 A KR20200009301 A KR 20200009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information
parking 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290B1 (ko
Inventor
강수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두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두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두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08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2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송신 신호화하여 출력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해석하여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주차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다세대 주택(연립 또는 빌라 등), 오피스텔 등의 대단위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게이트 장치가 설치된다. 게이트 장치는 공동 주택의 단지내, 빌딩 등에서 생활하지 않으면서 주차를 목적으로 진입하는 외부 차량을 차단하거나 또는 여러 물품 등을 판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입하려는 외부 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차단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종래의 게이트 장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경비 초소의 관리자가 진입하려는 차량의 운전자 신원을 먼저 확인한 후에 초소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의 조작을 통해 게이트 장치를 제어하여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종래의 게이트 장치는 입주민들의 차량 통행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하고, 경비 초소의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매번 차량의 운전자 신원을 확인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8088호(주차차단기를 자동 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7733호(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9056호(주차장 무정차 출입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송신 신호화하여 출력하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해석하여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주차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는 QR코드, 바코드, 및 주차장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숫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차 차단기는 차단기 바 및 차단기 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단기 바 및 차단기 바 구동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차량내에 구비되어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정보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내는 촬영정보 판독부; 상기 촬영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송신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송신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서버에게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차량내의 블랙박스 및 운전자의 스마트폰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주차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의 판단 신호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단기 바 제어부; 및 상기 차단기 바 제어부에서 생성된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제일 먼저 상기 주차장이 설치된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지를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차장이 설치된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이 아니면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인지 및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지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은, 차량내 정보처리장치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송신 정보화하여 주차 관제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송신 정보를 해석하여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한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촬영정보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주차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촬영정보 수신부; 촬영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내는 촬영보 판독부; 상기 촬영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혼합한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정보 생성부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해당 차량을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의 판단 신호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단기 바 제어부; 및 상기 차단기 바 제어부에서 생성된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은, 주차 관제 서버가, 차량내 정보처리장치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 바의 개방 및 폐쇄과정을 자동화하여 운영 관리함으로써 차량의 진출입을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서버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은, 주차 차단기(10),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 및 주차 관제 서버(30)를 포함한다.
주차 차단기(10)는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입차로측 및 출차로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주차 차단기(10)는 차단기 바(12), 및 차단기 바 구동부(1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단기 바(12)는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입차로측 및 출차로측에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원형 바 또는 사각 바의 형태로 길게 뻗어서 설치된다.
특히, 차단기 바(12)에는 주차장 식별정보가 인쇄된 표시부(12a)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차장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QR코드, 바코드, 주차장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숫자 등의 형태로 표시부(12a)에 인쇄될 수 있다.
차단기 바 구동부(14)는 차단기 바(12)를 상승(즉, 개방) 또는 하강(즉,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차단기 바 구동부(14)는 주차 관제 서버(3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차단기 바(1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차단기 바 구동부(14)는 차단기 바(12)의 일측과 연결되어 공동 주택, 빌딩 등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입차로측 및 출차로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박스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표시부(12a)를 차단기 바(12)에 설치시킨 이유는 주차장으로 진입하고자 하거나 주차장에서 빠져나갈려고 하는 차량의 내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부분이 차단기 바(12)이기 때문이다.
물론, 설치 환경에 따라 표시부(12a)는 차단기 바 구동부(14)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는 주차 차단기(10)의 전방에서 주차 차단기(10)의 주차장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송신 신호화하여 주차 관제 서버(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는 촬영부(22), 촬영정보 판독부(24), 정보 생성부(26), 및 통신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22)는 차량내에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22)는 차단기 바(12)의 표시부(12a)에 인쇄된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22)는 차량내의 블랙박스의 카메라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의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촬영정보 판독부(24)는 촬영부(22)에서 촬영한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즉, 인식)해 낸다. 다시 말해서, 촬영정보 판독부(24)는 촬영부(22)에서 촬영한 정보(즉, 화면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관심영역을 결정하고, 관심영역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즉, 인식)해 냄으로써 해당 주차장의 정보(예컨대, 주차장 위치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내야 되는 이유는 추후에 주차 관제 서버(30)에서 해당 차량을 입차 또는 출차시키려고 할 때 해당 주차장으로 입차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할려고 하는 차량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판독해 낸 주차장 식별정보가 해당 주차장에 대한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입차 또는 출차를 거부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26)는 촬영정보 판독부(24)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예컨대, 차량번호)를 혼합하여 송신 정보로서 생성한다.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는 정보 생성부(26)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정보 생성부(26)에서 생성된 송신 정보는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 및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28)는 정보 생성부(26)에서 생성된 송신 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30)에게로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부(28)는 유무선의 통신 방식을 통해 송신 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3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만약 촬영부(22)가 차량내의 블랙박스의 카메라라고 가정한다면 촬영정보 판독부(24), 정보 생성부(26), 및 통신부(28)는 블랙박스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만약, 촬영부(22)가 운전자의 스마트폰의 카메라라고 가정한다면 촬영정보 판독부(24), 정보 생성부(26), 및 통신부(28)는 운전자의 스마트폰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는 차량내의 블랙박스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물론, 운전자의 스마트폰 대신에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과 같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각종의 스마트 기기이어도 된다.
주차 관제 서버(30)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해석하여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송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서버의 내부 구성(3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차 관제 서버(30)의 일 예는, 저장부(32), 수신부(34), 판단부(36), 차단기 바 제어부(38), 및 통신부(40)를 포함한다.
저장부(32)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연립 또는 빌라 등), 오피스텔,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각종의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번호와 소유주 및 호실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32)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연립 또는 빌라 등), 오피스텔,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각종의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번호, 방문 일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2)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연립 또는 빌라 등), 오피스텔,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각종의 건물에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객으로부터의 방문 예약 정보(예컨대, 방문 예정 일시, 차량번호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부(34)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36)는 수신부(34)에 수신된 송신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즉, 판단부(36)는 송신 정보에 포함된 주차장 식별정보 및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36)는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해당 차량을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판단부(36)는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저장부(32)의 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오기 위해 입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해 있는 경우, 판단부(36)는 우선적으로 해당 차량이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지를 저장부(32)의 정보를 근거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차단기 개방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38)에게로 보낸다.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판단부(36)는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인지 또는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지를 저장부(32)의 정보를 근거로 판단한다.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또는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차단기 개방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38)에게로 보낸다. 만약,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및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 중에서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단부(36)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차단기 폐쇄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38)에게로 보낸다.
한편,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해 출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해 있는 경우에도 판단부(36)는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단기 바 제어부(38)는 판단부(36)로부터의 판단 신호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즉, 차단기 개방 신호, 차단기 폐쇄 신호 등)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40)는 차단기 바 제어부(38)에서 생성된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부(40)는 유무선의 통신 방식을 통해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에서는 저장부(32)와 판단부(36)를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저장부(32)가 판단부(36)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올려고 할 때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 및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빠져나갈려고 할 때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올려고 하는 경우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차장으로부터 빠져나갈려고 할 때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은 하기의 설명으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차량이 주차창 입구에 도착하면 즉,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오기 위해 입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하면(S10) 해당 차량내의 정보처리장치(20)의 촬영부(22)는 차단기 바(12)를 촬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차단기 바(12)의 표시부(12a)에 인쇄된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한다(S12).
이어, 정보처리장치(20)의 촬영정보 판독부(24)는 촬영부(22)에서 촬영한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또는 해독)해 낸다. 다시 말해서, 촬영정보 판독부(24)는 촬영부(22)에서 촬영한 정보(즉, 화면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관심영역을 결정하고, 관심영역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냄으로써 해당 주차장의 정보(예컨대, 주차장 위치 등)를 파악한다(S14).
그리고, 정보처리장치(20)의 정보 생성부(26)는 촬영정보 판독부(24)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예컨대, 차량번호)를 혼합하여 송신 정보로서 생성한다(S16). 즉, 정보 생성부(26)에서 생성된 송신 정보는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 및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정보 생성부(26)는 통신부(28)를 통해 송신 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30)에게로 송신한다(S18).
주차 관제 서버(30)는 수신한 송신 정보를 해석한다(S20).
그리고 나서, 주차 관제 서버(30)는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해당 차량을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
예를 들어, 주차 관제 서버(30)의 판단부(36)는 우선적으로,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오기 위해 입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해 있는 차량이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이 아니면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인지 또는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예시한 판단 수순에 따라 판단한 결과,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및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 중에서 어느 하나에라도 속하는 경우에는 주차 관제 서버(30)의 판단부(36)는 차단기 개방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38)에게로 보내고, 차단기 바 제어부(38)는 차단기 개방 신호를 통신부(40)를 통해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전송한다(S24).
그에 따라, 차단기 바 구동부(14)는 차단기 바(12)를 상승시킴으로써, 해당 차량은 주차장으로 입차할 수 있게 된다(S26).
반대로,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및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 중에서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차 관제 서버(30)의 판단부(36)는 차단기 폐쇄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38)에게로 보내고, 차단기 바 제어부(38)는 차단기 폐쇄 신호를 통신부(40)를 통해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전송한다(S28).
그에 따라, 차단기 바 구동부(14)는 하강된 차단기 바(12)를 계속 유지시키게 되므로, 해당 차량은 주차장으로 입차할 수 없게 된다(S30). 이와 같이 차량이 주차장으로 입차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경비 초소 또는 그 이외의 장소에 있을 수 있는 관리자가 운전자 신원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에서 촬영 및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에서는 촬영만을 수행하여 촬영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30)에게로 보내고 주차 관제 서버(30)에서는 촬영정보를 근거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4 설명에서,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에서는 촬영만을 수행하여 촬영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30)에게로 보내고 주차 관제 서버(30)가 수신한 촬영정보를 근거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서버(30)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차 관제 서버(30)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는, 저장부(50), 촬영정보 수신부(52), 촬영정보 판독부(54), 정보 생성부(56), 판단부(58), 차단기 바 제어부(60), 및 통신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0)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연립 또는 빌라 등), 오피스텔,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각종의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번호와 소유주 및 호실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50)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연립 또는 빌라 등), 오피스텔,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각종의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번호, 방문 일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50)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연립 또는 빌라 등), 오피스텔,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각종의 건물에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객으로부터의 방문 예약 정보(예컨대, 방문 예정 일시, 차량번호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촬영정보 수신부(52)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로부터의 촬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는 앞서에서 설명하였듯이 예를 들어 차량내의 블랙박스의 카메라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의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카메라에서 촬영한 정보(즉, 차단기 바(12)의 표시부(12a)에 인쇄된 주차장 식별정보 포함)를 촬영정보 수신부(52)에서 수신할 수 있다.
촬영정보 판독부(54)는 촬영정보 수신부(52)에서 수신한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즉, 인식)해 낸다. 다시 말해서, 촬영정보 판독부(54)는 촬영정보 수신부(52)에서 수신한 정보(즉, 화면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관심영역을 결정하고, 관심영역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즉, 인식)해 냄으로써 해당 주차장의 정보(예컨대, 주차장 위치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내야 되는 이유는 해당 차량을 입차 또는 출차시키려고 할 때 해당 주차장으로 입차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할려고 하는 차량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판독해 낸 주차장 식별정보가 해당 주차장에 대한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입차 또는 출차를 거부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56)는 촬영정보 판독부(54)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예컨대, 차량번호)를 혼합한 정보를 생성한다.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는 정보 생성부(56)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정보 생성부(56)에서 생성된 정보는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 및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판단부(58)는 정보 생성부(56)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즉, 판단부(58)는 정보 생성부(56)로부터의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주차장 식별정보 및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58)는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해당 차량을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판단부(58)는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저장부(50)의 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오기 위해 입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해 있는 경우, 판단부(58)는 우선적으로 해당 차량이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지를 저장부(50)의 정보를 근거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차단기 개방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60)에게로 보낸다.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판단부(58)는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인지 또는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지를 저장부(50)의 정보를 근거로 판단한다.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또는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차단기 개방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60)에게로 보낸다. 만약,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및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 중에서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단부(58)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차단기 폐쇄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60)에게로 보낸다.
한편,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해 출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해 있는 경우에도 판단부(58)는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단기 바 제어부(60)는 판단부(58)로부터의 판단 신호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즉, 차단기 개방 신호, 차단기 폐쇄 신호 등)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62)는 차단기 바 제어부(60)에서 생성된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부(62)는 유무선의 통신 방식을 통해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에서는 저장부(50)와 판단부(58)를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저장부(50)가 판단부(58)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결국, 상술한 도 4에서와 같은 주차 관제 서버(30)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는 주차 차단기(10)의 전방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한다. 그리고, 주차 관제 서버(30)는 정보처리장치(20)로부터의 촬영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 차단기(10)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주차 차단기(10)에게로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4의 주차 관제 서버(30)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올려고 할 때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 및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빠져나갈려고 할 때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올려고 하는 경우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차장으로부터 빠져나갈려고 할 때의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은 하기의 설명으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차량이 주차창 입구에 도착하면 즉,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오기 위해 입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하면 해당 차량내의 정보처리장치(20)의 촬영부(22)는 차단기 바(12)를 촬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차단기 바(12)의 표시부(12a)에 인쇄된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한다.
그리고, 차량내의 정보처리장치(20)는 촬영한 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3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주차 관제 서버(30)의 촬영정보 수신부(52)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20)로부터의 촬영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주차 관제 서버(30)의 촬영정보 판독부(54)는 촬영정보 수신부(52)에서 수신한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즉, 인식)해 낸다. 다시 말해서, 촬영정보 판독부(54)는 촬영정보 수신부(52)에서 수신한 정보(즉, 화면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관심영역을 결정하고, 관심영역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냄으로써 해당 주차장의 정보(예컨대, 주차장 위치 등)를 파악한다.
그리고, 주차 관제 서버(30)의 정보 생성부(66)는 촬영정보 판독부(54)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예컨대, 차량번호)를 혼합한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정보 생성부(56)에서 생성된 송신 정보는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 및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주차 관제서버(30)의 판단부(58)는 정보 생성부(56)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한다.
그리고 나서, 주차 관제 서버(30)의 판단부(58)는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해당 차량을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우선적으로,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오기 위해 입차로측의 주차 차단기(10)의 차단기 바(12)의 전방에 정차해 있는 차량이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이 아니면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인지 또는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예시한 판단 수순에 따라 판단한 결과,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및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 중에서 어느 하나에라도 속하는 경우에는 판단부(58)는 차단기 개방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60)에게로 보내고, 주차 관제 서버(30)의 차단기 바 제어부(60)는 차단기 개방 신호를 통신부(62)를 통해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차단기 바 구동부(14)는 차단기 바(12)를 상승시킴으로써, 해당 차량은 주차장으로 입차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해당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 및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 중에서 어느 하나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단부(58)는 차단기 폐쇄 신호를 차단기 바 제어부(60)에게로 보내고, 주차 관제 서버(30)의 차단기 바 제어부(60)는 차단기 폐쇄 신호를 통신부(62)를 통해 차단기 바 구동부(14)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차단기 바 구동부(14)는 하강된 차단기 바(12)를 계속 유지시키게 되므로, 해당 차량은 주차장으로 입차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주차장으로 입차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경비 초소 또는 그 이외의 장소에 있을 수 있는 관리자가 운전자 신원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주차 차단기 12 : 차단기 바
14 : 차단기 바 구동부 20 : 차량내 정보처리장치
22 : 촬영부 24 : 촬영정보 판독부
26 : 정보 생성부 28 : 통신부
30 : 주차 관제 서버 32 : 저장부
34 : 수신부 36 : 판단부
38 : 차단기 바 제어부 40 : 통신부
52 : 촬영정보 수신부 52 : 촬영정보 수신부
54 : 촬영정보 판독부 56 : 정보 생성부
58 : 판단부 60 : 차단기 바 제어부
62 : 통신부

Claims (13)

  1.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송신 신호화하여 출력하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해석하여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주차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는 QR코드, 바코드, 및 주차장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숫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차 차단기는 차단기 바 및 차단기 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단기 바 및 차단기 바 구동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차량내에 구비되어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정보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내는 촬영정보 판독부;
    상기 촬영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송신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송신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서버에게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차량내의 블랙박스 및 운전자의 스마트폰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의 판단 신호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단기 바 제어부; 및
    상기 차단기 바 제어부에서 생성된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제일 먼저 상기 주차장이 설치된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인지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차장이 설치된 건물의 입주자의 차량이 아니면 해당 건물에 방문한 적이 있는 방문객의 차량인지 및 해당 건물에 방문하고자 방문 예약한 방문객의 차량인지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9. 차량내 정보처리장치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송신 정보화하여 주차 관제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송신 정보를 해석하여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정보에서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방법.
  11.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한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내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촬영정보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주차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촬영정보 수신부;
    촬영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해 내는 촬영보 판독부;
    상기 촬영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된 주차장 식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혼합한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정보 생성부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를 근거로 해당 차량을 주차장으로 입차시켜야 할 차량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의 판단 신호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단기 바 제어부; 및
    상기 차단기 바 제어부에서 생성된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13. 주차 관제 서버가, 차량내 정보처리장치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설치된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서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촬영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주차장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판독한 주차장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 차단기의 전방에 있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입차 또는 출차시켜야 할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관제 서버가, 상기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차단기 바 제어신호를 상기 주차 차단기에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 방법.
KR1020180083485A 2018-07-18 2018-07-18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594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85A KR102594290B1 (ko) 2018-07-18 2018-07-18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85A KR102594290B1 (ko) 2018-07-18 2018-07-18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301A true KR20200009301A (ko) 2020-01-30
KR102594290B1 KR102594290B1 (ko) 2023-10-26

Family

ID=6932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85A KR102594290B1 (ko) 2018-07-18 2018-07-18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2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088B1 (ko) 1999-03-31 2002-05-24 박양우 주차차단기를 자동 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079056A (ko) 2004-02-04 2005-08-09 주식회사 케이아이티에스 주차장 무정차 출입장치
KR20080111611A (ko) * 2007-06-19 2008-12-24 최호림 네트워크를 통한 주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90017733A (ko) 2007-08-16 2009-02-19 최옥재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1207464B1 (ko)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큐알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주차관제시스템
KR20180011599A (ko) * 2016-07-25 2018-02-02 (주)코맥스시큐리티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088B1 (ko) 1999-03-31 2002-05-24 박양우 주차차단기를 자동 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079056A (ko) 2004-02-04 2005-08-09 주식회사 케이아이티에스 주차장 무정차 출입장치
KR20080111611A (ko) * 2007-06-19 2008-12-24 최호림 네트워크를 통한 주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90017733A (ko) 2007-08-16 2009-02-19 최옥재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1207464B1 (ko)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큐알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주차관제시스템
KR20180011599A (ko) * 2016-07-25 2018-02-02 (주)코맥스시큐리티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290B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2476B1 (en) Smart barrier system
US11321982B2 (en) Livestock bio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0781697B1 (ko)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WI653608B (zh) 用於授予進出的安全控制系統及其安全控制方法
KR20090017733A (ko)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297169B1 (ko) 차량 번호판 및 차종 인식, rfid 센서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101668360B1 (ko) Ic 카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목적층 자동 식별 방법 및 시스템
CN114999141A (zh) 电瓶车停放管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JP6175416B2 (ja) 集合住宅居住者の安否確認支援システム
US2012023614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entral station video alarm verification using an on site user video system
KR20200009301A (ko)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716B1 (ko) Rf-card 기반의 출입통제시스템
CN107527505A (zh) 一种小区车辆监管方法及装置
KR101915109B1 (ko) 주차 방문자 확인 방법
KR102230250B1 (ko) 임대주택의 불법전대 모니터링시스템 및 방법
KR101414960B1 (ko) 자동출입통제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KR101233922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아파트 방문자 관리방법
TWM560675U (zh) 停車場資訊顯示裝置與停車場管理系統
US20210400469A1 (en) Interactive local information interface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CN112669105A (zh) 转租检测方法、设备及介质
KR101171909B1 (ko) 주차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80367B1 (ko) 공동주택의 방문자 출입통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80062491A (ko) Cctv를 이용한 원룸의 주차관리 시스템
KR102408808B1 (ko)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