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243A -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243A
KR20200009243A KR1020180083363A KR20180083363A KR20200009243A KR 20200009243 A KR20200009243 A KR 20200009243A KR 1020180083363 A KR1020180083363 A KR 1020180083363A KR 20180083363 A KR20180083363 A KR 20180083363A KR 20200009243 A KR20200009243 A KR 2020000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ortar
formulation
cemented carb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수
박성균
박홍서
서신석
박창환
이용무
장효진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한일시멘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한일시멘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243A/ko
Publication of KR2020000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4Air-en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사 64~71 중량부, 결합재 23~30 중량부, 속경재 1~4 중량부, 균열방지재 1~4 중량부, 유동화제 0.001~0.2 중량부, AE제 0.001~0.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모르타르 구성시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등의 최적 배합량을 설정하고 습식 또는 반건식 조건에서 마감시간 촉진과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Composition for rapid hardening floor mortar}
본 발명은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르타르 구성시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등의 배합량을 설정하고 습식 또는 반건식 조건에서 마감시간과 초기강도 발현을 촉진하고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하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르타르(mortar)는 시멘트, 석회, 모래를 섞어서 물에 갠 것으로서, 벽돌, 블록, 석재를 접합하는 데 사용된다.
모르타르 시장의 경쟁업체가 늘어남에 따라 가격 및 제품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바닥용 레미탈의 차별화가 우선시 되며, 그 일환으로 건설사 원가절감을 위하여 공기단축을 할 수 있는 속경(조강)형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그리고 레미탈(remitar)이란 건조 모르타르 제품으로 시멘트와 모래 및 성질 개선제를 공장에서 컴퓨터 등을 이용해 사전에 사용용도에 적합하도록 미리 혼합한 건축용 자재를 말한다. 작업자는 현장 등에서 사용 시 레미탈에 바로 물만 혼합하여 여러 용도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제품의 차별화에 있어 건설사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공정,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속경(조강), 속건형 바닥용 레미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바닥용 레미탈의 경우 타설 후 상부 바닥재 후속 공정까지 양생과 건조시간 등의 시간적인 제약을 많이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초기강도 증진을 위한 속경 및 속건성을 확보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바닥용 레미탈을 개발함으로써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65945호의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초기강도 증진을 위한 속경 및 속건성을 확보하여 공기를 단축 할 수 있는 바닥용 레미탈로는 제공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KR 10-1665945 B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르타르 구성시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등의 배합량을 설정하고 습식 또는 반건식 조건에서 마감시간 촉진과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을 적용하여 공기 단축 효과를 보인 개념도로서, (a)는 습식 구조에서 공기를 5일 단축한 예이고, (b)는 반건식 조건에서 공기를 12일 단축한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 제조시, 건조사 64~71 중량부, 결합재 23~30 중량부, 속경재 1~4 중량부, 균열방지재 1~4 중량부, 유동화제 0.001~0.2 중량부, AE제 0.001~0.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는, 반건식조건에 적용시 건조사 64~69 중량부, 결합재 23~30 중량부, 속경재 2~4 중량부, 균열방지재 2~4 중량부, 유동화제 0.001~0.2 중량부, AE제 0.001~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를 구성하고,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의 하부에는 단열 및 차음재(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는, 반건식조건에 적용시 지연제 0.001~0.08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는, 습식조건에 적용시 건조사 69~71 중량부, 결합재 23~26 중량부, 속경재 1~3 중량부, 균열방지재 2~4 중량부, 유동화제 0.001~0.2 중량부, AE제 0.001~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를 구성하고,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의 하부에는 기포 콘크리트(30)가 형성되고, 상기 기포 콘크리트(30) 하부에는 단열 및 차음재(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은 모르타르 구성시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등의 배합량을 설정하고 습식 또는 반건식 조건에서 마감시간 촉진과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을 적용하여 공기 단축 효과를 보인 개념도로서, (a)는 습식 구조에서 공기를 5일 단축한 예이고, (b)는 반건식 조건에서 공기를 12일 단축한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목업(Mock-up) 시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현장 타설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모르타르 구성시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등의 배합량을 설정하고 습식 또는 반건식 조건에서 마감시간 촉진과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공기를 단축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습식(기포) 조건 및 반건식 조건에서 적정 배합을 도출한 것이다.
그래서 표준기 조건에서 1일 강도 5MPa를 확보하기 위해서 결합재의 최적 중량부는 23~24 중량부로 구현하여 반건식 적용에 따른 응결시간을 확보하였다. 이때 미장마감은 4시간 내외이다.
또한 유동 손실(Flow Loss)을 개선하여 고층부 배관폐색에 대비 20분 손실(Loss)을 구현하였다.
또한 flow 160mm 이상 또는 손실(Loss)율 65% 이상을 확보하여, 현장에서 31층부 세대 타설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온도조건별 품질안정성 검토하였다. 즉, 10℃, 15℃, 20℃에서 4월~10월에는 1일 양생 후 후속공정을 진행하였고, 3월과 11월은 2일 양생 후 후속공정을 진행하여 온도조건별 품질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습식(기포) 조건에 대한 현장 적용을 수행하여, 현장강도 5MPa 이 2일 동안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일 후에는 후속공정이 가능함을 검증완료하였다.(11월에 현장 적용, 온도는 10℃ 조건)
또한 물성, 마감시간, 함수율 조건, 균열발생 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용 레미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별화에 있어 속경, 속건형 제품의 경우 건설사 요구조건에 맞춘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기존의 속경형 제품의 경우 동절기 조건에서의 빠른 양생(미장마감) 시간, 그에 수반한 빠른 함수율 저감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을 뿐 공기 단축을 위한 초기 강도발현에 있어서는 충분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에 속경/속건성은 물론이고 공기단축을 위한 조강형 바닥용 레미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표준기 조건에서 1일 강도 5MPa 이상의 제품개발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원가절감을 위한 표준공기 단축을 위하여, 1일 강도 5MPa 이상의 초속경(조강형) 바닥용 레미탈 제품을 개발하였다.
현장 타설에 적합한 작업성 확보를 바탕으로, 1일 강도 5MPa을 확보하여 타설 익일 후속공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습식(기포) 조건의 경우 바닥용 레미탈 양생기간 약 4일, 반건식 조건의 경우 약 11일(기포타설 제외 7일 + 바닥용 레미탈 양생 4일 단축)의 공기단축을 구현하였다.
도 1의 (a)는 습식 구조에서 공기를 5일 단축한 예로서, 모르타르 양생이 기존 5~7일 소요되던 것을 1일로 단축하여 공기가 5일 단축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의 (b)는 반건식 조건에서 공기를 12일 단축한 예로서, 기포 콘크리트(30) 공정이 제외되어 공기가 이에 소요되는 공기 7일이 단축되고, 모르타르 양생에서 5일을 단축하여, 공기가 총 12일 단축된 예를 보인 것이다.
한편 반건식 조건에서의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일 5MPa 이상의 결과를 반건식 조건에서 발현하기 위하여, 결합재, 유동화제 등의 배합량을 설정하고, 반건식 조건에서의 마감시간 촉진과 균열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속경재와 균열방지재의 적정 배합량을 구현하였다.
반건식 조건 기초 물성시험 배합 (단위 : 중량부)
구분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지연제 AE제 혼화재
P-1 75.0 25.0
P-2 75.0 20.0 2.0 3.0
배합1 74.0 20.0 3.0 2.0 0.1 1.0
배합2 74.0 20.0 3.0 3.0 0.1
배합3
(실시예)
69.0 25.0 3.0 3.0 0.1
배합4
(실시예)
64.0 30.0 3.0 3.0 0.1
배합5 72.0 25.0 3.0 0.1
배합6 67.0 25.0 5.0 3.0 0.1
배합7 69.0 25.0 3.0 3.0
배합8 69.0 25.0 3.0 3.0 0.2
배합9
(실시예)
69.0 25.0 3.0 3.0 0.1 0.01
배합10 67.0 25.0 5.0 3.0 0.1 0.05
여기서 P-1, P-2는 비교예이고, 배합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배합1~10에서 최적의 실시예는 배합3, 배합4, 배합9 이다.
그리고 AE제는 공기연행제(Air - Entrained admixtures)로서, 콘크리트용 계면활성제이며, 콘크리트 내부에 독립된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시공성을 개선하고 동결융해에 저항성을 높인다.
반건식 조건 기초 물성시험 결과(W/R, Flow, 재료분리, 블리딩, 미장마감시간)
구분 W/R Flow (mm, %) 재료분리 블리딩 미장마감시간
단위 % 초기 20분 Loss(%) 상태 20분 시간:분
P-1 19.5 210 191 91 양호 다량 발생 13:50
P-2 19.0 208 187 90 양호 다량 발생 8:30
배합1 17.7 214 156 73 양호 양호 5:50
배합2 17.7 212 155 73 양호 양호 4:55
배합3 17.5 225 152 68 양호 양호 4:35
배합4 17.0 215 145 67 양호 양호 4:20
배합5 17.0 210 143 68 발생 다량 발생 6:10
배합6 17.0 218 112 51 양호 양호 3:40
배합7 19.5 203 178 88 양호 양호 5:30
배합8 16.5 227 149 65 발생 양호 4:40
배합9 17.0 198 171 86 양호 양호 5:10
배합10 16.5 229 175 76 발생 양호 5:30
여기서 W/R은 물/레미탈(water/remitar) 비율이다.
반건식 조건 기초 물성시험 결과(압축강도, 응결시간, 부착강도, 길이변화)
구분 압축강도(MPa) 응결시간(시간:분) 부착강도 길이변화
단위 1일 3일 7일 28일 초결 종결 MPa, 28일 %
P-1 3.3 5.7 12.3 20.1 11:40 15:20 0.7 -0.034
P-2 3.0 5.3 10.5 18.2 7:20 10:40 0.9 -0.015
배합1 5.7 11.3 13.3 23.2 5:00 9:20 1.5 0.005
배합2 6.1 12.0 13.2 22.1 4:40 8:40 1.7 0.011
배합3 7.0 14.6 17.2 28.2 4:20 8:20 1.9 0.017
배합4 9.8 17.8 21.3 31.2 3:40 8:00 2.2 0.021
배합5 8.9 19.2 22.4 37.7 5:20 9:40 1.5 0.007
배합6 7.1 15.9 18.4 29.9 3:40 6:00 2.1 0.033
배합7 5.0 12.9 14.7 26.5 5:00 8:20 1.9 0.023
배합8 8.4 20.7 23.1 33.8 4:40 7:40 2.0 0.025
배합9 5.9 12.5 14.9 25.7 5:00 8:40 1.5 0.037
배합10 - 5.9 19.4 29.7 3:40 7:40 1.9 0.046
그래서 1:3 모르타르인 P-1의 경우 작업성에 있어 블리딩이 다량 발생되고 미장마감시간이 느리며, 1일 강도 5.0MPa 이상 확보치 못하였다.
균열방지재를 첨가한 일반바닥용 레미탈 P-2의 경우에도 목표로 한 작업성과 1일 강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배합 2~4의 실험결과 1일 현장강도 5.0MPa 이상 확보를 위한 결합재량 25% 이상에서 1일 강도 7.0MPa를 나타내어 현장 보정치를 감안할 때 25% 이상이어야 안정할 것이다.
배합 3, 5의 실험결과 속경재의 적정량은 약 3% 내외로 판단되며, 배합 제외시 블리딩 발생량이 커지고, 배합량 증가시 Loss가 증가되고, 강도는 증가되지 않는 경제적인 면에서 문제점이 발생된다.
배합 3, 7, 8의 실험결과 유동화제 배합 제외시 강도하락과 응결시간이 증가되었으며, 역으로 유동화제 배합량 증가시 강도는 상승하나, 플로우 Loss가 증가되어 현장 타설시 배관폐색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배합9에서 AE제 사용시 플로우 Loss 양호하나, 압착강도는 소폭 하락한다.
배합10에서 지연제 사용시 초기 플로우 증가되고 응결시간이 빨라지나, 초기 강도 발현이 지연되어 1일강도 측정이 불가하고 양생 7일 정도가 경과되어야 강도가 회복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배합4의 경우 높은 결합재량으로 충분한 압축강도 결과를 나타내나, 결합재량 증가로 인한 점성증가와 플로우 Loss에 의해 작업성 저하 우려가 있다.
길이변화 시험결과 P-1, 2의 경우 수축으로 인한 균열발생 우려가 크고, 대체적으로 균열방지재 사용량 증가와 속경재 사용으로 초기 팽창량이 높고, 장기적으로 수축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Plain 1, 2의 경우 반건식 구조에서 미장마감시간 확보가 불가하였고, 초기 블리딩의 강제 제거 후에야 미장마감 작업이 가능했다.
한편 습식(기포) 조건에서의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표인 1일 5MPa 이상의 결과를 습식(기포) 조건에서 발현하기 위하여, 결합재, 유동화제 등의 배합량을 설정하고, 기포조건에서 작업성 증진과 균열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속경재와 균열방지재의 적정 배합량을 구현하였다.
기포조건 기초 물성시험 배합 (단위 : 중량부)
구분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AE제 혼화재
P-1 75.0 25.0
P-2 75.0 20.0 2.0 3.0
배합1 72.0 25.0 1.0 3.0
배합2
(실시예)
71.0 25.0 1.0 3.0 0.1
배합3
(실시예)
70.0 25.0 2.0 3.0 0.1
배합4 69.0 25.0 3.0 3.0 0.1
배합5
(실시예)
70.0 25.0 2.0 3.0 0.1 0.01
여기서 P-1, 2는 비교예이고, 배합1~5는 실시예이며, 배합2, 3, 5가 최적의 실시예이다.
기포조건 기초 물성시험 결과(W/R, Flow, 재료분리, 블리딩, 미장마감시간)
구분 W/R Flow (mm, %) 재료분리 블리딩 미장마감시간
단위 (%) 초기 20분 Loss(%) 상태 20분 시간:분
P-1 19.5 212 188 89 양호 다량 발생 8:20
P-2 19.5 208 184 88 양호 다량 발생 4:50
배합1 19.0 211 161 75 양호 양호 3:50
배합2
(실시예)
17.0 212 159 75 양호 양호 3:30
배합3
(실시예)
17.0 215 155 72 양호 양호 3:10
배합4 17.0 215 141 66 양호 양호 2:30
배합5
(실시예)
17.0 205 161 78 양호 양호 3:00
반건식 조건 기초 물성시험 결과(압축강도, 응결시간, 부착강도, 길이변화)
구분 압축강도(MPa) 응결시간 (시간:분) 부착강도 길이변화
단위 1일 3일 7일 28일 초결 종결 MPa, 28일 %
P-1 2.4 6.6 12.1 20.6 10:20 14:00 1.0 -0.030
P-2 3.1 5.8 10.1 18.1 7:20 10:40 1.0 -0.012
배합1 4.8 9.7 13.9 21.5 5:00 9:00 1.5 0.010
배합2 7.0 14.6 17.2 28.2 4:40 8:20 1.5 0.013
배합3 7.9 16.7 19.8 28.9 4:00 8:00 1.9 0.019
배합4 8.3 16.3 19.1 27.5 3:40 8:00 1.7 0.029
배합5 6.8 14.0 16.7 26.4 5:20 8:40 1.7 0.024
그래서 Plain 1의 경우 미장마감시간 확보가 불가하였고, 1일 강도 확보가 불가하였다.
Plain 2의 경우 길이변화에 있어 수축이 발생되고, 1일 강도 확보가 불가하였다.
배합1의 경우 단위수량 증가로 인해 1일강도 목표치에 미치지 못하였다.
배합2, 3, 4 시험결과 속경재 증가에 따라 Loss율 높아지고, 1일 강도와 팽창률이 증가되며, 미장마감시간이 단축되었다.
배합 4의 경우 미장마감시간이 빨라 작업자가 미장 작업시기를 놓칠 우려가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과배합이다.
AE제 사용시 물성은 양호하나 압축강도가 소폭 하락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목업(Mock-up) 시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습식 및 반건식 구조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배합을 설정하여 목업(Mock-Up)을 진행하였다. 진행항목은 기존 물성시험 외에 미장 작업성과 마감시간, 길이변화, 함수율, 부착강도, 균열유발 등 전반적인 내구성 테스트까지 진행하였다.
Mock-Up 배합 (단위 : 중량부)
구분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혼화재 유동화제
기포조건 Plain 75.0 20.0 2.0 3.0
기포조건 배합1 70.0 25.0 2.0 3.0 0.1
반건식조건 Plain 75.0 20.0 2.0 3.0
반건식조건 배합2 69.0 25.0 3.0 3.0 0.1
Mock-Up 물성시험 결과
구분 W/R Flow (mm, %) 단위
용중
작업성 미장
마감
압축강도(MPa) 부착강도
조건 % 초기 20분 g/l 상태 시간:분 1일 3일 7일 28일 56일
기포
P
19.0 212 188
(88)
2,144 양호 3:40 2.9 5.6 7.6 14.4 0.8
기포
배합1
18.0 221 170
(78)
2,167 양호 2:50 7.3 13.3 16.8 27.4 1.4
반건식
P
19.0 205 179
(87)
2,140 양호 8:30 3.1 5.4 7.2 14.2 0.5
반건식
배합2
17.5 206 161
(78)
2,170 양호 5:00 6.9 13.3 16.2 26.9 1.4
Mock-Up 함수율 및 균열유발 결과
구분 함수율(%) 균열유발(개수,mm)
조건 28일 35일 42일 56일 28일 42일 56일
기포 P-1 Full Full 13.6 9.1 없음 없음 1개 (0.2mm)
기포 배합1 13.6 11.2 9.0 6.2 없음 없음 없음
반건식 P-2 Full Full Full 11.0 없음 없음 없음
반건식 배합2 Full Full 10.8 7.9 없음 없음 없음
그래서 하지면 기포조건의 배합1은 P-1 대비 마감시간 약 1시간 빠르고, 1일 압축강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함수율 감소가 빨라 속건성을 나타내며, 부착강도 및 길이 변화도 안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포 조건 P-1의 경우 수축률 증가로 56일에 균열이 1개 유발되었다.
반건식조건의 배합2는 1일 압축강도는 기준을 만족하고, 부착강도와 길이변화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함수율 변화는 배합1과 마찬가지로 속건성을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현장 타설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러한 현장타설은 습식(기포)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아파트 고층부위 현장타설을 실시한 것이다.
- 타설량 : 약 200톤(28세대)
- 타설장소 : H산업개발 공동주택 현장 21~31층 타설
- 온도조건 : 외기(6~12℃), 세대내 (9~14℃)
현장타설 배합 (단위 : 중량부)
구 분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혼화재 유동화제
Plain 75.0 20.0 2.0 3.0
배합 70.0 25.0 2.0 3.0 0.1
현장타설 결과
구분 플로우 단위용중 미장작업성 배관
폐색
미장
마감
압축강도(MPa)
단위 mm g/l 상태 여부 시간:분 1일 2일 3일 7일 28일
Plain 205 2,135 양호 없음 4:30 0.4 1.7 3.0 4.4 7.9
배합 185 2,170 양호 없음 3:20 3.3 11.1 13.8 21.3 30.0
현장타설 함수율 및 균열유발 결과
구분 함수율(%) 균열길이(m/세대)
조건 2주 4주 6주 9주 2주 4주 6주 9주
Plain Full 9.4 6.7 4.9 - - 2.5 14.0
배합 13.5 6.5 5.2 4.5 - 0.5 8.0 10.5
그래서 배합 조성물의 초기 작업성은 양호하였고, 고층부위 타설시 배관폐색이 없었으며, 마감시간 Plain 대비 약 1시간 빠르게 진행되었다.
배합 조성물은 압축강도 2일에 11.1 MPa로 목표치였던 현장강도 5MPa를 만족하였다. 1일 양생 후 경보행 및 가벼운 자재 운반이 가능하며, 2일 양생 후 후속공정 진행 가능하였다. Plain 조성물의 경우 1일 양생 후 경보행이 불가능하였고 약 7일 양생 후 후속공정이 가능하였다.
함수율 감소속도는 Plain 대비 빠르게 나타났다. 초기 속건으로 인해 균열발생 시기가 빠르게 나타났다.
이처럼 본 발명은 모르타르 구성시 건조사, 결합재, 속경재, 균열방지재, 유동화제 등의 배합량을 설정하고 습식 또는 반건식 조건에서 마감시간 촉진과 1일강도 5MPa 이상을 발현하고,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공기를 단축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
20 : 기포 콘크리트
30 : 단열 및 차음재

Claims (4)

  1.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 제조시, 건조사 64~71 중량부, 결합재 23~30 중량부, 속경재 1~4 중량부, 균열방지재 1~4 중량부, 유동화제 0.001~0.2 중량부, AE제 0.001~0.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는,
    반건식조건에 적용시 건조사 64~69 중량부, 결합재 23~30 중량부, 속경재 2~4 중량부, 균열방지재 2~4 중량부, 유동화제 0.001~0.2 중량부, AE제 0.001~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를 구성하고,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의 하부에는 단열 및 차음재(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는,
    반건식조건에 적용시 지연제 0.001~0.08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는,
    습식조건에 적용시 건조사 69~71 중량부, 결합재 23~26 중량부, 속경재 1~3 중량부, 균열방지재 2~4 중량부, 유동화제 0.001~0.2 중량부, AE제 0.001~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를 구성하고, 상기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10)의 하부에는 기포 콘크리트(30)가 형성되고, 상기 기포 콘크리트(30) 하부에는 단열 및 차음재(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KR1020180083363A 2018-07-18 2018-07-18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KR20200009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63A KR20200009243A (ko) 2018-07-18 2018-07-18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63A KR20200009243A (ko) 2018-07-18 2018-07-18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43A true KR20200009243A (ko) 2020-01-30

Family

ID=6932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363A KR20200009243A (ko) 2018-07-18 2018-07-18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2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45B1 (ko) 2016-03-17 2016-10-14 주식회사 한미그린텍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45B1 (ko) 2016-03-17 2016-10-14 주식회사 한미그린텍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3014B1 (en) Concrete composition with reduced shrinkage
KR10181472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수축저감형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 공법
US8409711B2 (en) Heat resistant phosphate cement
KR100873391B1 (ko)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720504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유지 보수 공법
KR101352903B1 (ko) 유동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주입 보수공법,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처리 공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처리 공법
KR101073892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속경형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US20080011200A1 (en) Sprayable and pumpable phosphate cement
KR101891567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JP4709677B2 (ja) プレミクス高靭性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材料及び高靭性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
KR101034228B1 (ko)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101489653B1 (ko) 속경성 폴리머 개질 방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로 보수공법
KR19980065526A (ko) 다기능성 고성능몰탈의 조성물
JP2022069599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
KR100867250B1 (ko) 비소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JP2016023103A (ja) 補修補強用速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補強方法
KR100215140B1 (ko) 박막형 시멘트계 자기평탄성 몰탈 조성물
KR100292186B1 (ko) 내균열성및/또는자동수평성을갖는모르타르조성물
CZ307741B6 (cs) Způsob pro přípravu betonu s využitím recyklátu z inertního stavebně demoličního odpadu
KR20200009243A (ko) 초속경 바닥용 모르타르의 조성물
CN115572126A (zh) 一种用于机场跑道抢修的超早强uhpc预混料
JP2701028B2 (ja) セメント系セルフレベリング材
CN108484036B (zh) 一种早强抗冻融喷射材料及其制备方法
JP4762654B2 (ja) ひび割れ防止方法
JP2016223066A (ja) コンクリート床状構造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