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680A -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680A
KR20200008680A KR1020180082198A KR20180082198A KR20200008680A KR 20200008680 A KR20200008680 A KR 20200008680A KR 1020180082198 A KR1020180082198 A KR 1020180082198A KR 20180082198 A KR20180082198 A KR 20180082198A KR 20200008680 A KR20200008680 A KR 2020000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dioxide gas
raw material
present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782B1 (ko
Inventor
김종락
송경주
Original Assignee
(주)푸르고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르고팜 filed Critical (주)푸르고팜
Priority to KR102018008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7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279Features relating to reactor vessels
    • B01J2219/00331Details of the reactor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할 때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제1 직경을 가진 제1 부분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홀을 지니며, 상기 제1 부분에 걸리는 일측을 지니는 제3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염소는 식약청에 등록된 식품첨가물이며 농수산식품부에서 식품 표면의 세척, 소독 목적으로 등록된 유기적 취급물질로 친환경적이다.
이산화염소는 곰팡이에서 세균,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산화 살균제로서 광범위한 효력을 갖고 있으며, 미생물 살균 메커니즘은 미생물의 보호막을 뚫고 들어가 산화력에 의한 세포의 효소작용을 방해하여 미생물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살균력은 넓은 PH 범위에서 유효하며 염소에 비해 2.5배 이상 살균력이 강하고 THM(trihalomethane)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유럽이나 미국에서 환경 친화적 그린(Green) 살균제로 각광 받고 있다. UN 산하 세계보건기구(WHO) 및 식량농업기구(FAO)는 이산화염소를 살균제로 추천하고 있다.
최근에 이와 같은 이산화염소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11-0095118 (공개일 : 2013년 3월 29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쉽게 제2 바디를 부러뜨리거나 깨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할 때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제1 직경을 가진 제1 부분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홀을 지니며, 상기 제1 부분에 걸리는 일측을 지니는 제3 바디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3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바디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제1 원료물질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의 일측 맞은 편 타측은, 상기 제1 원료물질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홀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삽입 홀이 형성된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를 둘러싸는 외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 사이에 상기 제1 원료물질이 저장되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벤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바디 및 제3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3 바디를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제2 바디를 부러뜨리거나 깰 수 있으면서도 제1 원료물질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내경부 및 외경부를 포함하는 제3 바디를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제2 바디를 부러뜨리거나 깰 수 있으면서도 제1 원료물질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제3 바디의 변형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제1 바디(100), 제2 바디(200), 제3 바디(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하염소 가스 생성장치는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할 때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한다. 이 때 제1 원료물질은 액체, 겔, 파우더, 또는 고체 형태의 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제2 원료물질은 액상의 산성기 공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산성기 공급물질은 구연산(C6H8O7), 초산(CH3COOH), 젖산(CH3CHOHCO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디(100)는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바디(100)는 제1 원료물질의 외부 누출을 막고 기상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투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바디(100)의 재질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나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제1 직경을 가진 제1 부분(210)과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제1 부분(210)과 연결된 제2 부분(230)을 포함한다. 이 때 제2 바디(200)는 유리 앰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바디(300)는 제1 바디(100) 내부에 배치되고, 제2 부분(230)이 삽입되는 삽입 홀(310)을 지니며, 제1 부분(210)에 걸리는 일측을 지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디(300)의 삽입 홀(310)에 제2 바디(200)의 제2 부분(230)이 삽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 바디(100)를 휘었을 때 제2 바디(200)의 제1 부분(210)과 제2 부분(230)의 경계 영역에 힘이 집중되어 제2 바디(200)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서로 섞이면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는 제1 바디(100)를 투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디(300)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바디(1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33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돌출부(330)들 사이에 제1 원료물질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다르게 돌출부(330)가 없는 경우 제3 바디(300)의 외측면과 제1 바디(10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돌출부(330)가 있는 경우보다 크므로 사용자가 돌출부(330)가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바디(100)를 많이 휘어야 제3 바디(300)의 외측면과 제1 바디(100)의 내측면이 서로 닿으면서 제2 바디(200)가 부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돌출부(330)가 있기 때문에 돌출부(330)와 제1 바디(10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작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바디(100)를 덜 휘더라도 제2 바디(200)를 쉽게 부러뜨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돌출부(330)가 없는 대신에 제3 바디(300)의 외경이 커진 상태이다. 도 2의 비교예의 경우 본 발명의 돌출부(330)와 마찬가지로 제3 바디(300)의 외측면과 제1 바디(10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 바디(100)를 크게 휘지 않더라도 제2 바디(200)를 부러뜨릴 수 있다.
하지만 제3 바디(300)의 외경 증가로 인하여 제1 바디(100)의 제1 원료물질이 저장될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이산화염소 가스가 충분하게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 돌출부(330) 사이에 제1 원료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비교예에 비하여 이산화염소 가스가 충분하게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디(300)의 일측 맞은 편 타측은, 제1 원료물질이 제1 바디(1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1 바디(100)의 일측 홀(110)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1 바디(100) 내부에 제2 바디(200) 및 제3 바디(300)가 배치된 후 제1 원료물질이 제1 바디(100)에 주입되고, 이후 제3 바디(300)의 타측을 열 압착시킴으로써 제1 바디(100)의 일측 홀(110)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1 바디(100)의 일측 홀(110)을 막음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 같이 별도의 캡을 이용하여 제1 바디(100)의 일측 홀(110)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디(300)는 삽입 홀(310)이 형성된 내경부(350)와, 내경부(350)를 둘러싸는 외경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경부(350)와 외경부(370)는 제3 바디(300)의 타측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경부(350)와 외경부(370) 사이에 제1 원료물질이 저장되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제3 바디(300)의 외측면과 제1 바디(10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서도 제1 원료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100)는 벤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 바디(200) 및 제3 바디(300)는 제1 바디(100)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사용자가 휠 수 있을 정도의 가요성(flexibility)을 지니고, 제2 바디(200)는 부러지거나 깨져야 하므로 제1 바디(100)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바디(300)는 제2 바디(200)를 부러뜨리거나 깨는 힘을 전달해야 하므로 제1 바디(100)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3 바디(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
일측 홀(110)
제2 바디(200)
제1 부분(210)
제2 부분(230)
제3 바디(300)
삽입 홀(310)
돌출부(330)
내경부(350)
외경부(370)

Claims (5)

  1.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할 때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고, 제1 직경을 가진 제1 부분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홀을 지니며, 상기 제1 부분에 걸리는 일측을 지니는 제3 바디
    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바디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제1 원료물질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의 일측 맞은 편 타측은,
    상기 제1 원료물질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홀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삽입 홀이 형성된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를 둘러싸는 외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 사이에 상기 제1 원료물질이 저장되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벤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바디 및 제3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KR1020180082198A 2018-07-16 2018-07-16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KR102125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98A KR102125782B1 (ko) 2018-07-16 2018-07-16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98A KR102125782B1 (ko) 2018-07-16 2018-07-16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680A true KR20200008680A (ko) 2020-01-29
KR102125782B1 KR102125782B1 (ko) 2020-06-23

Family

ID=693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98A KR102125782B1 (ko) 2018-07-16 2018-07-16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82A (ko) 2019-12-18 2021-06-28 오미영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KR20210113783A (ko) * 2020-03-09 2021-09-17 김경태 살균 스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118A (ko) 2010-02-18 2011-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460003B1 (ko) * 2013-04-16 2014-11-12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KR101688058B1 (ko) * 2015-06-19 2016-12-21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118A (ko) 2010-02-18 2011-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460003B1 (ko) * 2013-04-16 2014-11-12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KR101688058B1 (ko) * 2015-06-19 2016-12-21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82A (ko) 2019-12-18 2021-06-28 오미영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KR20210113783A (ko) * 2020-03-09 2021-09-17 김경태 살균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782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058B1 (ko)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US7517568B2 (en) Packaging for dilute hypochlorite
Yan et al. New clinical applications of electrolyzed water: a review
ES2240425T3 (es) Composiciones de acido peroxicarboxilico y su uso contra esporas microbianas.
KR20200008680A (ko)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WO2010080438A3 (en) Sporicidal hand sanitizing lotion
EA200800521A1 (ru) Мембранная стерилизация
US20190151486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cused Gas Phase Application Of Biocide
WO2010039388A3 (en) Self-contained biological indicator
TW200602093A (en) Sterilization/disinfection cycle control
DE69317668T2 (de) Methoden zur erzeugung von restdesinfektionsmittel während der ozonisierung von wasser
WO2005094439A2 (en) Method for diluting hypochlorite
NO20082799L (no) Kalsiumkarbonat barrierefimer og anvendelser derav
ATE485842T1 (de) Viruzides desinfektionsmittel
MX2012003735A (es) Composicon microbicida sinergica que comprende 2,2-dibromomalonamida y un biocida oxidante.
CN104981158A (zh) 消毒剂
MX2021003024A (es) Tapa de desinfeccion de barril de jeringa plegable.
WO2009065823A3 (de) Biozides textilbehandlungsmittel
Botondi et al. The Use of Ozone Technology: An Eco–Friendly Method for the Sanitization of the Dairy Supply Chain
KR101557811B1 (ko)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JPH05237365A (ja) 塩素系ガス発生器具及び該器具の使用方法
KR20190057036A (ko) 친환경 고농도 액상 살균소독제의 저장용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460003B1 (ko)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Raval et al. Reprocessing and reuse of urological armamentarium: How correct are we!
Bowler Infection, infection control, and disinfectants in a challenging infection 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