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568A - 네트워크에서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동작 역할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동작 역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568A
KR20200008568A KR1020197034389A KR20197034389A KR20200008568A KR 20200008568 A KR20200008568 A KR 20200008568A KR 1020197034389 A KR1020197034389 A KR 1020197034389A KR 20197034389 A KR20197034389 A KR 20197034389A KR 20200008568 A KR20200008568 A KR 2020000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role
iot
relay
loc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029B1 (ko
Inventor
수브라마니안 아난타라만
스리칸트 나타라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8/0279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17326A1/en
Publication of KR2020000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04L41/0886Fully automatic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30Decision processes by autonomous network management units using voting and bid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대한, 컴퓨터 저장 매체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할 수 있다. 동작 역할은 엔드포인트 역할과 중계 역할 사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동작 역할은 중계 역할이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시킬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는 자기 조직화 네트워크 (SON) 에 참여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SON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조정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동작 역할
본 출원은 2018 년 4 월 11 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DYNAMIC OPERATING ROLE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A NETWORK" 인 미국 특허 출원 제 15/951,135 호 및 2017 년 5 월 26 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EDGE DEVICES IN SELF-ORGANIZING NETWORKS (SON)” 인 인도 가특허 출원 제 201741018541 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양자 모두는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다. 선행 출원들의 개시는 본 특허 출원의 일부로 간주되고 본 특허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IoT) 은 전통적으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의도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인에이블먼트 (network enablement) 를 지칭한다. IoT 디바이스의 예는 카메라, 드론,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제품, 조명 시스템, 보안 시스템 컴포넌트, 스피커, 스마트 냉장고, 텔레비전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는 운영자가 어플라이언스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자동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마트”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 추가될 수도 있는 데이터 소비 또는 데이터 생성 디바이스이다. 로컬 네트워크는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AP) 를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를 로컬 네트워크에 추가한 결과로서 연결성을 향상시킬 기회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각각은 수개의 혁신적 양태들을 가지며, 이들 양태들 중 어떠한 단일 양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람직한 속성들을 유일하게 책임지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의 혁신적인 양태는 시스템,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제 1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제 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동작 역할은 엔드포인트 역할과 중계 역할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동작 역할은 릴레이 역할이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중계 역할을 선택하면,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을 통해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링크 및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엔드포인트 역할에서 중계 역할로 변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노드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자신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제 1 IoT 디바이스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에 응답하여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로컬 네트워크는 자기 조직화 네트워크 (self-organizing network: SON) 이다.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것은 SON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 2 IoT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중계 역할을 선택하기 위해 로컬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와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사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로컬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제 1 IoT 디바이스가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가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광고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에 대한 요청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중계 역할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로컬 네트워크의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 2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중앙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 1 통신 링크에 대한 제 1 링크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 노드와 중앙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 3 통신 링크에 대한 제 2 링크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링크 메트릭과 제 2 링크 메트릭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2 네트워크 노드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더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것이라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한 후에, 제 1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선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 2 액세스 포인트로 스티어링한 후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로컬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브리징하기 위해 제 1 IoT 디바이스의 중계 역할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중계 역할에서 엔드포인트 역할로 변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엔드 포인트로서 동작하도록 자신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 사이의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진단 측정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의 다른 혁신적 양태는 제 1 IoT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제 1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엔드 포인트로서 동작하도록 초기에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을 통해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링크 및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도 있다.
이 개시에서 설명되는 요지의 하나 이상의 구현들의 상세들이 첨부 도면들 및 하기의 설명에 제시된다. 다른 피처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그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 도면들의 상대적인 치수들은 스케일 (scale) 대로 그려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 은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 는 IoT 디바이스가 동작 역할들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 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 있는 예시적인 IoT 디바이스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4 는 2 개의 IoT 디바이스들의 조정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 는 제 1 IoT 디바이스가 진단 측정들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 은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에서의 IoT 디바이스의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명칭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은 본 개시의 혁신적 양태들을 설명할 목적들을 위한 특정 구현들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적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예는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표준에 따른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통신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술된 구현들은 IEEE 802.11 표준, Bluetooth® 표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GSM/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인핸스드 데이터 GSM 환경 (EDGE), TETRA (Terrestrial Trunked Radio), 광대역-CDMA (W-CDMA), EV-DO (Evolution Data Optimized), 1xEV-DO, EV-DO Rev A, EV-DO Rev B, 고속 패킷 액세스 (HSP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HSDPA),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 진화된 고속 패킷 액세스 (HSPA+), 롱 텀 에볼루션 (LTE), AMPS 중 임의의 것과 같은 임의의 통신 표준에 따른 무선 주파수 (RF) 신호들, 또는 무선, 셀룰러 또는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 예컨대 3G, 4G 또는 5G 를 이용하는 시스템 또는 그의 추가적인 구현들, 기술 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기지의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정, 아파트, 사업, 또는 기타 지역의 로컬 네트워크는 서로와 또는 다른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는 로컬 디바이스가 업스트림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액세스 (예를 들어,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 를 제공할 수도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AP)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AP 들 중 하나는 루트 AP 로서 지칭될 것이며, 다른 AP 들은 다른 AP 들 각각과 루트 AP 사이의 논리적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자동 경로 또는 라우팅 선택을 행한다. 토폴로지를 관리하거나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집성하기 위해 둘 이상의 AP 들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는 로컬 네트워크는 자기 조직화 네트워크 (SON) 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채널 구성 또는 다른 구현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 둘 이상의 AP 사이에 SON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로컬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여러 유형의 디바이스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IoT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예는 모바일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또는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의 예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다른 전통적인 머신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라이언스, 센서 또는 다른 머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에서, IoT 디바이스는 이전에 네트워크-인에이블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는 데이터 소비 또는 데이터 생성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엔드 포인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는 AP 에 연결된 스테이션 (STA) 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STA 로 동작될 때,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서 엔드 포인트 역할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중계 역할에서,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AP 로서) 무선 연결성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트래픽을 및 로컬 네트워크로 업스트림 연결을 중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IoT 디바이스는 중계 역할이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 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하나의 동작 역할 (예를 들어, "엔드 포인트 역할") 에서,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서 엔드 포인트로 동작할 수도 있다. 다른 동작 역할 (예를 들어, "중계 역할") 에서,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 사이의 중계 노드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는 SON 에서 AP 또는 리피터로 동작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의 다른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중앙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로 또는 그들로부터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무선 커버리지를 최적화하거나 AP 들 사이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스티어링을 관리하기 위해 로컬 네트워크 내의 다른 AP 들 (또는 다른 IoT 디바이스들) 과 통신 및 조정하기 위해 SON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독립적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단독으로 동작 역할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IoT 디바이스는 중계 역할에서 동작하는 능력을 광고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IoT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 연관을 확립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에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릴레이 역할을 선택하도록 IoT 디바이스를 자극할 수도 있다. 무선 연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는 엔드 포인트 역할에서 중계 역할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능력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IoT 디바이스의 근접성은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들일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과 조정할 수도 있다. 어느 IoT 디바이스가 중계 역할을 사용할지의 선택은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 (또는 이동) 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에 근접한 경우, 해당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무선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역할로 변경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한 로케이션 전체에 걸쳐 이동함에 따라, 상이한 IoT 디바이스들이 중계 역할로 변경되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매끄러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에 근접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없는 (또는 IoT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IoT 디바이스는 전력을 보존하고 무선 간섭을 줄이기 위해 엔드 포인트 역할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IoT 디바이스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일시적으로 진단 역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진단 역할에서, IoT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로컬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진단 측정들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는 무선 환경에 관한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다른 디바이스에 관한 측정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진단 역할은 다른 디바이스들의 문제 해결 또는 유지 관리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단 정보 (예를 들어, 자동화된 진단 보고들) 는 업스트림 네트워크의 서버 (예를 들어, 클라우드의 서비스 공급자 호스트) 로 전송될 수 있다. 진단 정보는 다른 IoT 디바이스의 분석을 위해 또는 SON 네트워크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주제의 특정 구현들은 다음의 잠재적인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실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들이 전개되는 장소들에서 로컬 네트워크의 무선 커버리지가 확장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중계 노드로 동작하는 IoT 장치의 결과로서 더 나은 무선 커버리지 또는 서비스 품질을 누릴 수도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의 구성들을 관리하거나 적응시키고, 따라서 로컬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보다 완전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SON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의 다른 IoT 디바이스 또는 AP 의 진단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IOT 디바이스들의 SON 으로의 통합은 연결된 홈 내에서 SON 의 범위 및 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트래픽 분리 및 QoS (Quality of Service) 정책들이 이 서비스에 통합되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QoS 및 레이턴시 요건들에 따라 SON 네트워크 노드와 IOT 디바이스의 조합 간에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다.
도 1 은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100) 는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광대역 네트워크 (120) 에 제공하는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미도시) 는 로컬 네트워크와 광대역 네트워크 (120) 사이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케이블, 광섬유, 전력선, 이더넷 또는 DSL (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광대역 네트워크 (12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로컬 네트워크에서의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때때로 중앙 AP (CAP), 또는 루트 AP 라고도 함) 는 로컬 네트워크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중앙 액세스 포인트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와 통합되거나 병치될 수도 있다. 로컬 네트워크에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로컬 네트워크의 각각의 AP 는 무선 커버리지에 대해 상이한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는 상이한 하드웨어 능력들 (예를 들어, 2.4GHz 또는 5GHz 지원, 이중 대역 단일 무선, 이중 대역 이중 동시 무선 (DBDC) 등) 을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 AP 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이용한다. 채널은 AP 와 무선 연관을 갖는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AP 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또는 범위) 를 지칭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IoT 디바이스는 채널을 이용하여 AP 와 (무선 연관을 통해) 통신한다.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IoT 디바이스에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는 제 1 AP (115) 로 간주될 (또는 제 1 AP (11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190) 는 IoT 디바이스의 예이며, 제 1 AP (115) 에 대한 무선 통신 링크 (192) 를 갖는다. (휴대폰과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초기에 제 1 AP (115) 에 대한 무선 통신 링크 (171) 를 가질 수도 있다.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는 또한 네트워크 (100) 내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유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는 데스크탑 컴퓨터 (160) 에 대한 이더넷 연결 (162) 을 가지며, 전력선 (150) 상의 전력선 통신 (PLC) 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들 (152, 154, 156, 158) (각각 스마트 전구, 커피 머신, 라디오, 토스터) 에 연결성을 제공한다. 제 2 AP (135) 는 전력선 (150) 을 통해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2 AP (135) 는 제 1 AP (115) 와 유사한 AP 구성들을 사용하여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추가하기 위한 레인지 익스텐더 (range extender: RE)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에서, 냉장고 (180) 는 IoT 디바이스의 예이며, 제 2 AP (135) 에 대한 무선 통신 링크 (182) 를 갖는다.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제 1 AP (115) 및 제 2 AP (135) 는 그들이 다른 디바이스들이 로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연결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로컬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은 상이한 구현현에서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포함할 수도 있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일부 연결성 옵션의 예로 제공된다. 도 1 에서, 세탁기 (190) 및 IoT 디바이스 (152, 154, 156, 158) 는 도 1 의 예에서 그들이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로컬 네트워크에서 엔드 포인트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에서, 세탁기 (190) 및 IoT 디바이스 (152, 154, 156, 158) 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그들의 동작 역할로서 엔드 포인트 역할을 갖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은 중계 역할을 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중계 역할에서, IoT 디바이스는 중계 노드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에서, 냉장고 (180) 는 초기에 엔드 포인트 역할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냉장고가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한 위치 (172) 로 이동할 수도 있다. 중계 역할에서, 냉장고 (180) 는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에 무선 통신 링크 (175) 를 확립할 수도 있다. 냉장고 (180) 는 2 AP (135) 에 대한 자신의 업스트림 무선 통신 링크 (182) 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로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로부터 트래픽을 반송할 수 있도록 자신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AP (135) 는 무선 통신 링크 (182) 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로 향하는 다운 스트림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냉장고 (180) 는 무선 통신 링크 (182) 로부터 무선 통신 링크 (175) 로 다운 스트림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및 냉장고 (180) 는 무선 통신 링크 (182) 를 이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냉장고 (180) 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냉장고 (180) 는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AP 로서 동작할 수 있는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냉장고 (180) 는 단일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링크 (182) 와 무선 통신 링크 (175) 사이를 교번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냉장고 (180) 는 PLC 인터페이스 (도시되지 않음) 를 사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조인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링크 (175) 에 대한 AP 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ON 프로토콜의 사용은 IoT 디바이스들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조정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전통적으로, SON 프로토콜은 다수의 AP 를 갖는 SON 의 자기 구성, 자기 관리, 자기 치유 또는 자기 교정 능력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SON 프로토콜은 IoT 디바이스와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AP (115, 135))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확장될 수도 있다. 냉장고 (180) 는 SON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 1 AP (115)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냉장고 (180) 는 냉장고 (180) 가 중계 역할을 선택할 수 있음을 제 1 AP (115)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제 1 AP (115)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냉장고 (180) 로 하여금 중계 역할로 변경하게 하기 위한 요청을 냉장고 (18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중앙 제어기는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 및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 역할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중앙 제어기는 능력 및 역할 선택에 관해 통신하기 위해 SON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SON 프로토콜은 단일 프로토콜 사양으로서 구현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ON 프로토콜은 다수의 AP 들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데몬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심지어 온-보딩 (on-boarding), 구성, 또는 자기 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AP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한 (가능하게는 상이한 프로토콜들로부터의) 수개의 통신 기법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SON 프로토콜은 IEEE 1905 표준 호환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는 IoT 디바이스가 동작 역할들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200) 는 도 1 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200) 는 네트워크 노드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제 1 AP (115), 제 2 AP (135)),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및 전력선 (150) 을 통해 커플링된 IoT 디바이스 (152, 154, 156, 158) 를 포함한다. 도 2 에서, 냉장고 (180) 및 세탁기 (190) 는 전력선 (150) 을 통해 (또는 제 1 AP (115) 또는 제 2 AP (135) (도시되지 않음) 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커플링될 수도 있다.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는 광대역 네트워크 (120) 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도 2 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네트워크 (200) 가 전개되는 로케이션을 통해 이동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 1 위치 (272) 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제 1 AP (115) 에 대한 무선 통신 링크 (273) 를 가질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제 2 위치 (274) 로 이동함에 따라, 무선 통신 링크 (273) 의 신호 강도가 감소할 수도 있다. 세탁기 (19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를 검출하고, 세탁기 (190) 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에 더 나은 무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세탁기 (190) 는 네트워크에서 엔드 포인트 역할에서 중계 역할로 변경될 수도 있다. 중계 역할에서, 세탁기 (19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에 대한 (AP 와 같은)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확립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세탁기 (190) 에 대한 무선 통신 링크 (275) 를 확립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세탁기 (19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또는 제 1 AP (115)) 로부터 무선 연결 요청 또는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결과로서 중계 역할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 의 예로 계속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그 로케이션을 통해 계속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제 2 위치 (274) 에서 제 3 위치 (276) 로 이동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무선 통신 링크 (275) 에 대한 신호 강도의 감소를 경험할 수도 있다. 냉장고 (18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의 요청을 수신하거나 존재를 검출하고 엔드 포인트 역할에서 중계 역할로 변경할 수도 있다. 중계 역할에서, 냉장고 (18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냉장고 (180) 에 대한 무선 통신 링크 (277) 를 확립할 수도 있는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확립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제 3 위치 (276) 에 있을 때, 세탁기 (190) 는 세탁기 (190) 가 중계 역할을 하는 것이 더 이상 유리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세탁기 (190) 는 전력을 보존하고 그 로케이션에서 무선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엔드 포인트 역할로 다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 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 있는 예시적인 IoT 디바이스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플로우챠트 (300) 는 블록 (310) 에서 시작한다. 블록 (310) 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중앙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초기에 엔드 포인트 역할을 위해 구성되고,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엔드 포인트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도 있다.
블록 (320) 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을 통해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중계 역할이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 시킬 것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중계 역할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중계 노드로서 작용하기 위한 그의 능력을 브로드캐스트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연관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제 2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블록 (340) 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제 1 IoT 디바이스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통신 링크 및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MAC (Media Access Control) 주소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IP) 주소에 기초하여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엔드 포인트 역할로서라기 보다는) 네트워크 노드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IoT 디바이스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 내기 위해 네트워크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SON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AP 의 구성들을 획득하여 제 1 IoT 디바이스가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을 복제하거나 모방할 수도 있다. 예로서, 제 1 IoT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에 이미 존재하는 다른 AP 와 동일한 SSID (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프레이즈 (passphrase) 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트래픽을 브리징하는 것은 상이한 트래픽 유형들의 분류, 또는 분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로컬 네트워크는 특정 유형의 트래픽이 특정 IoT 디바이스를 통해 또는 특정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 (VLAN) 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도록 트래픽 분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 레이턴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은 네트워크의 레인지 익스텐더 또는 다른 AP 를 통해서라기보다는 제 1 IoT 디바이스를 통해 라우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레인지 익스텐더로부터 더 낮은 링크 메트릭을 경험할 수도 있는 랩톱 또는 태블릿과 같은 데이터 디바이스들은 제 1 IoT 디바이스를 통해 연결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얼 수도 있다.
도 4 는 2 개의 IoT 디바이스들의 조정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400) 는 도 1 의 네트워크 (100) 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간결성을 위해, 네트워크 (100) 의 일부 요소가 제거된다. 네트워크 (400) 에서,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는 광대역 네트워크 (120) 를 로컬 네트워크의 PLC 서브넷에 커플링한다. PLC 서브넷은 냉장고 (180) 및 세탁기 (190) 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400) 에서, 냉장고 (180) 및 세탁기 (190) 는 중계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장치 (170) 에 대한 AP 로서 동작할 수 있다. 냉장고 (180) 와 세탁기 (190) 는 AP 들 간의 조정을 위한 SON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SON 프로토콜은 무선 구성, 채널 선택, 신호 강도 및 스티어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하여금 무선 연관을 제 1 AP 에서 제 2 AP 로 변경하게 하는 임의의 활동을 지칭한다. 스티어링은 또한 재연관 활동, 이동, 전이, 재배치, 천이, 스위치, 재포지셔닝, 핸드 오버 등으로 지칭될 수있다. 스티어링은 반드시 디바이스의 물리적 또는 지리적 이동을 수반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4 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세탁기 (190) 로부터 냉장고 (180) 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세탁기 (190) 와 냉장고 (180) 가 위치한 집을 통과해 걷는 조작자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세탁기 (190) 로부터 냉장고 (180) 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세탁기 (190) 및 냉장고 (180) 는 각 IoT 장치가 제공할 무선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통신하기 위해 SON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19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냉장고 (180) 의 무선 커버리지 영역에 조인하기에 충분히 가깝게 이동할 때 무선 커버리지 영역이 (491 에서 492 로) 감소하도록 그의 AP 에 대한 신호 전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유사하게, 냉장고 (180) 는 그의 AP 에 대한 신호 전력을 증가시켜 무선 커버리지 영역이 (481 에서 482 로) 증가할 수도 있다. 세탁기 (190) 및 냉장고 (180) 는 (세탁기 (190) 에 대한) 이전의 무선 통신 링크 (471) 를 드롭 (drop) 하고 (냉장고 (180) 에 대한) 새로운 무선 통신 링크 (472) 를 확립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를 스티어링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환경 주위를 이동함에 따라, IoT 딛바이스와 연관된 AP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를 가장 잘 서비스하기 위해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수정할 수도 있다. SON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통신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메시징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ON 프로토콜은 이용할 각각의 AP (또는 AP 로서 작용하는 IoT 디바이스) 에 대한 무선 채널 또는 전력 레벨에 대해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세탁기 (190) 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할 때, 세탁기 (190) 는 임의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세탁기 (190) 의 커버리지 영역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세탁기의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세탁기 (190) 의 근처에 없거나 세탁기 (190) 의 커버리지 영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세탁기 (190) 는 그의 AP 인터페이스를 저전력 모드로 변경하고 네트워크의 엔드 포인트로 되돌아갈수도 있다. 세탁기 (190) 는 커버리지 영역을 재인에이블하고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다시 변경하기 전에 중계 노드로서 서빙하기 위한 그의 이용가능성을 주기적으로 알리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의 무선 연관 요청을 기다릴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기 위한 결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이동에 부가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IoT 디바이스는 서비스 메트릭들의 추정된 품질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로컬 네트워크의 제 2 액세스 포인트로 스티어링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제 2 액세스 포인트는 (도 4 의 예와 같은) 제 2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거나 다른 액세스 포인트 (도시되지 않음) 일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중앙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 1 통신 링크에 대한 제 1 링크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또한 제 2 액세스 포인트와 중앙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 3 통신 링크에 대한 제 2 링크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가 제 1 링크 메트릭과 제 2 링크 메트릭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제 2 액세스 포인트가 더 높은 서비스 품질 (예를 들어, 더 낮은 레이턴시, 더 큰 처리량 등) 을 제공할 것이라고 결정하면, 제 1 IoT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 2 액세스 포인트로 스티어링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를 통해 (QoS 요건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일부 유형의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특정 라우팅이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는 그 IoT 디바이스에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를 사용하여 고유한 특징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 는 제 1 IoT 디바이스가 진단 측정들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500) 는 도 1 의 네트워크 (100) 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간결성을 위해, 네트워크 (100) 의 일부 요소가 제거된다. 네트워크 (500) 에서,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는 전력선 (150) 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의 PLC 서브넷과 커플링된다. 네트워크 (500) 는 제 1 AP (115) 와 제 2 AP (135) 를 포함한다. 제 1 AP (115) 는 보안 카메라 (595) 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제 2 AP (135) 는 냉장고 (180) 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부 IoT 디바이스 (예를 들어, 보안 카메라 595) 는 일반적인 고객 사용을 위해 또는 제품 진단을 위해 광대역 네트워크 (예를 들어, "클라우드") 로부터 액세스가능한 능력들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환경에 관한 또는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디바이스에 관한 측정을 수행해야 할 이유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5 의 예에서, 보안 카메라 (595) 는 냉장고 (180) 의 무선 범위 (580) 내에 있을 수도 있다. 냉장고 (180) 는 보안 카메라 (595) 의 원격 액세스 또는 진단 측정 (525) 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180) 는 냉장고 (180) 의 동작을 중계 노드가 되도록 변경하고 무선 범위 (580) 를 이용하여 보안 카메라 (595) 에 대한 연결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보안 카메라 (595) 가 냉장고 (180) 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는 동안, 냉장고 (180) 는 보안 카메라 (595) 에 대한 진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에서, 냉장고 (180) 는 단순히 보안 카메라 (595) 에 대한 진단 정보를 얻기 위해 무선 환경을 스캔하고 관찰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보안 시스템 회사 또는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제공자는 보안 카메라 (595) 를 유지 또는 문제 해결하기 위해 원격 액세스 또는 진단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가 가정과 기업에 전개됨에 따라 네트워크 운영자는 이러한 진단 기능을 위해 제 1 IoT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2 IoT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를 더 잘 이해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서 진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진단 역할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는 또한 네트워크에 대한 엔드 포인트 역할 또는 중계 역할을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제 1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서 그의 동작 역할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IoT 디바이스는 그렇지 않으면 엔드 포인트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네트워크 에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 은 예시적인 로컬 네트워크에서의 IoT 디바이스의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600) 는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IoT 디바이스 (680)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를 포함한다. 610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에 대한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한다. 초기에, IoT 디바이스 (680) 는 네트워크 (600) 에서 엔드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다. 612 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는 또한 초기에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에 대한 통신 링크를 가질 수도 있다.
618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중계 노드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버튼,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API, 제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구성 유틸리티는 IoT 디바이스 (680) 가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IoT 디바이스 (68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를 검출할 때마다 "온 디맨드 (on-demand)” 특징으로서 중계 노드를 위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채널 로딩, 간섭,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서의 하나 이상의 AP 들과 연관된 링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실시간으로 ("선택” 또는 "온-디맨드” 로서)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ON 프로토콜은 무선 환경의 변화, 이용률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응답하여 서비스를 동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620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네트워크에 대한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로서의 그의 능력을 광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680) 는 IoT 디바이스 (680) 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또는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IoT 디바이스 (680) 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안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비콘 메시지) 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정보 엘리먼트 (IE) 를 사용하여 중계 또는 리피터 능력을 광고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IoT 디바이스 (680) 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가 IE 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630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또한 IoT 디바이스 (680) 가 로컬 네트워크와 연관된 SON 프로토콜에 조인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640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로부터 무선 연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650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IoT 디바이스 (680) 가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사이의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그 동작 역할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680) 는 IoT 디바이스 (680) 에서 AP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로부터 무선 연관을 수락할 수도 있다. 660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가 IoT 디바이스 (680) 를 중계 노드로서 이용하고 있다는 표시를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표시는 SON 프로토콜 메시지일 수도 있거나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메시지일 수도 있다. 671 및 672 에서, IoT 디바이스 (680)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70) 로부터 중앙 액세스 포인트 (110) 로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 (700) 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전자 디바이스 (700) 는 IoT 디바이스 (예를 들어, 냉장고 (180), 세탁기 (190), 또는 IoT 디바이스 (680)) 일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700) 는 (가능하게는 다중 프로세서, 다중 코어, 다중 노드를 포함하거나 다중 스레딩을 구현하는 등의) 프로세서 (702) 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 (700) 는 메모리 (706) 를 포함한다.  메모리 (706) 는 시스템 메모리 또는 머신 판독 가능 매체의 후술되는 가능한 실현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700) 는 또한 버스 (701) (예를 들어, PCI, ISA, PCI-Express, HyperTransport®, InfiniBand®, NuBus, AHB, AXI 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인터페이스, Bluetooth® 인터페이스, WiMAX 인터페이스, ZigBee® 인터페이스, 무선 범용 직렬 버스, USB 인터페이스 등) 또는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이더넷 인터페이스 등) 일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자 디바이스 (700) 는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704) 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 (700) 를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에 커플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 (706) 는 상술한 다양한 구현을 지원하는 기능성을 포함한다. 메모리 (706) 는 본 개시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706) 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 (180), 세탁기 (190), 또는 IoT 디바이스 (680) 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 (706) 는 상기 도 1 내지 도 7 에 설명 된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700) 는 또한 다른 컴포넌트들 (70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컴포넌트들 (708) 은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생성 또는 데이터 소비 컴포넌트 (예를 들어, 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출력 컴포넌트 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700) 는 SON 구성 유닛 (710) 및 브리징 유닛 (7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SON 구성 유닛 (710) 은 네트워크의 다른 AP 와 통신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 (700) 에 의해 사용되는 SON 프로토콜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SON 구성 유닛 (710) 은 SON 프로토콜을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4) 에 대한 구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브리징 유닛 (720) 은 둘 이상의 통신 링크 사이의 트래픽의 브리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리징 유닛 (720) 은 로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 (700) 를 사용하여 통신 링크를 갖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트래픽을 브리징할 수도 있다.
이들 기능성들 중 임의의 하나는 프로세서 (702) 와 같은 하드웨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기능성은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로, 프로세서 (702) 에서 구현된 로직에서, 주변 장치 또는 카드상의 코프로세서 등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현들은 더 적거나 도 7 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비디오 카드, 오디오 카드, 추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주변 디바이스들 등)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702) 및 메모리 (706) 는 버스 (701)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버스 (701) 에 커플링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메모리 (706) 는 프로세서 (702) 에 직접 커플링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 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프로세스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대체가능성은 일반적으로 기능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으며, 상기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프로세스들에서 예시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에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범용 싱글- 또는 멀티-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특정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은, 주어진 기능에 특정한 회로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있어서, 설명된 기능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들 및 이들의 그 구조적 균등물들을 포함하여, 하드웨어, 디지털 전자 회로부,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구현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저장 매체 상에서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으로 저장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될 수 있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학 디스크 (optical disc),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상기의 조합들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코드들 및 명령들 중 하나 또는 그 임의의 조합 또는 그 세트로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으며, 이 매체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구현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다른 구현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나타낸 구현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 원리들 및 신규한 피처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부가적으로, 당업자는, 용어들 "상위" 및 "하위" 가 종종 도면들을 설명하는 것의 용이를 위해 사용되고 적절히 배향된 페이지 상에서의 도면의 배향에 대응하는 상대적 포지션들을 표시하며 그리고 구현될 때 임의의 디바이스의 적절한 배향을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별도의 구현들의 컨텍스트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정 피처들은 또한 단일 구현에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단일 구현의 컨텍스트에 있어서 설명된 다양한 피처들은 또한, 다중의 구현들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피처들이 특정 조합들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설명되고 심지어 그와 같이 초기에 청구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피처들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그 조합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으며, 청구된 조합은 하위조합 또는 하위조합의 변동예로 유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도면들에 있어서 특정 순서로 도시되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거나 또는 도시된 모든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추가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을 플로우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되지 않은 다른 동작들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 동작들이 도시된 동작들 중 임의의 동작들 이전에, 그 이후에, 그와 동시에, 또는 그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상황들에 있어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에서 설명된 구현들에 있어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구현들에서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하며,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의 소프트웨어 제품들로 패키징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다른 구현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청구항들에 기재된 액션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한 결과들을 여전히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0)

  1. 제 1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제 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동작 역할은 엔드포인트 역할과 중계 역할 사이에서 선택되며, 상기 동작 역할은 상기 중계 역할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을 통해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링크 및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트래픽을 브리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상기 엔드포인트 역할에서 상기 중계 역할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픽을 브리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자기 조직화 네트워크 (SON) 이고,
    상기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단계는 S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 2 IoT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사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광고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무선 연관에 대한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 2 IoT 디바이스인,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중앙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상기 제 1 통신 링크에 대한 제 1 링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중앙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 3 통신 링크에 대한 제 2 링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링크 메트릭과 상기 제 2 링크 메트릭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더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한 후: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선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한 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트래픽을 브리징하기 위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기 중계 역할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기 동작 역할을 상기 중계 역할에서 상기 엔드포인트 역할로 변경하는 단계; 및
    제 1 IoT 디바이스를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엔드포인트로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상기 제 1 통신 링크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무선 연결을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 사이의 상기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진단 측정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 1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되고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제 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게 하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작 역할은 엔드포인트 역할과 중계 역할 사이에서 선택되며, 상기 동작 역할은 상기 중계 역할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동작 역할을 선택하게 하며; 및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을 통해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게 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링크 및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트래픽을 브리징하게 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상기 엔드포인트 역할에서 상기 중계 역할로 변경하게 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게 하며; 및
    상기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픽을 브리징하게 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자기 조직화 네트워크 (SON) 이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S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 2 IoT 디바이스와 통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사이를 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광고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게 하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무선 연관에 대한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하도록 결정하게 하고;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스티어링하게 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 사이의 상기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고;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진단 측정들을 획득하게 하는, 제 1 IoT 디바이스.
  22.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 1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제 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게 하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작 역할은 엔드포인트 역할과 중계 역할 사이에서 선택되며, 상기 동작 역할은 상기 중계 역할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동작 역할을 선택하게 하며; 및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을 통해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게 하고; 및
    상기 제 1 통신 링크 및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트래픽을 브리징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상기 엔드포인트 역할에서 상기 중계 역할로 변경하게 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게 하며; 및
    상기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픽을 브리징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사이를 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광고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게 하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무선 연관에 대한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 사이의 상기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고;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진단 측정들을 획득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시스템으로서,
    제 1 IoT 디바이스와 로컬 네트워크의 제 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수단;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동작 역할은 엔드포인트 역할과 중계 역할 사이에서 선택되며, 상기 동작 역할은 상기 중계 역할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향상시킬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장치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되는, 상기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연관을 통해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통신 링크 및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트래픽을 브리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한 때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동작 역할을 상기 엔드포인트 역할에서 상기 중계 역할로 변경하는 수단;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사이의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수단; 및
    상기 중계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픽을 브리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역할을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중계 역할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사이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97034389A 2017-05-26 2018-04-17 네트워크에서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동작 역할 KR102632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741018541 2017-05-26
IN201741018541 2017-05-26
US15/951,135 2018-04-11
US15/951,135 US11368363B2 (en) 2017-05-26 2018-04-11 Dynamic operating role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a network
PCT/US2018/027910 WO2018217326A1 (en) 2017-05-26 2018-04-17 Dynamic operating role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a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568A true KR20200008568A (ko) 2020-01-28
KR102632029B1 KR102632029B1 (ko) 2024-01-31

Family

ID=6440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389A KR102632029B1 (ko) 2017-05-26 2018-04-17 네트워크에서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동작 역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68363B2 (ko)
EP (1) EP3632142A1 (ko)
KR (1) KR102632029B1 (ko)
CN (2) CN110651490B (ko)
AU (2) AU2018272736B2 (ko)
BR (1) BR1120190245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2934B2 (ja) * 2018-10-22 2022-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70692B2 (en) * 2019-11-20 2024-01-09 Arris Enterprises Llc Dynamic port forwarding
CN111526512A (zh) * 2020-03-31 2020-08-11 杭州博联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Wi-Fi数据包的网关桥接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165715B (zh) * 2020-09-25 2021-1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设备的检测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11564274B2 (en) * 2021-02-04 2023-01-2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data communication radio link aggregation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EP4210282A4 (en) * 2021-02-10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OVISIONING DEVICE IN AN EDGE COMPUTING NETWOR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73A (ko) * 2005-07-07 2011-01-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무선 사설 네트워크의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250545A1 (en) * 2009-07-17 2012-10-04 France Telecom Selection of dynamic relay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s in a mobile network
KR20120112601A (ko) * 2009-12-18 2012-10-1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홉 네트워크들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
KR20130093584A (ko) * 2010-06-04 2013-08-22 보오드 오브 리젠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64960B1 (en) * 2014-05-06 2016-02-16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ng access node candidates for handover of wireles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5138B2 (en) * 2008-08-25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Relay architecture framework
WO2010121205A1 (en) * 2009-04-16 2010-10-21 Nearverse, Inc. Method and apapratus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using short range and wide range communication links
US9351143B2 (en) * 2010-06-0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homed peer-to-peer network
EP2907341B1 (en) 2012-09-25 2020-07-15 Parallel Wireless Inc. Heterogeneous self-organizing network for access and backhaul
US9210536B2 (en) * 2013-05-21 2015-12-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50023336A1 (en) * 2013-07-16 2015-01-22 Qualcomm Connected Experiences, Inc. Communicating a headless onboardee device local wireless network scan to an onboarder device via a peer-to-peer protocol to assist an onboarding process
US9596622B2 (en) * 2014-01-31 2017-03-14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esh networking of access points for load balancing
US10623504B2 (en) * 2014-04-25 2020-04-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lient devices
US20150339917A1 (en) * 2014-05-21 2015-11-26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commands on a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broadcasted event notifications
US20160036908A1 (en) * 2014-08-01 2016-02-04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advertisement by host devices and discovery by embedded devices
US9642040B2 (en) * 2014-09-19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le access points
KR102296184B1 (ko) * 2014-10-01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US20160128043A1 (en) * 2014-10-30 2016-05-0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obile ad hoc internet of things (iot) gateway
US10149335B2 (en) * 2014-11-10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vity module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GB2532229A (en) 2014-11-12 2016-05-18 Ibm Management of a computing system with dynamic change of roles
US9942944B2 (en) * 2014-12-29 2018-04-10 Intel IP Corporation Network-initiated discovery and path selection procedures for multi-hop underlay networks
WO2016182597A1 (en) * 2015-05-14 2016-11-17 Intel IP Corporation Ue-to-network relay initiation and configuration
WO2016184531A1 (en) * 2015-05-19 2016-1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nectivity management mechanism for multi-hop capillary networks
US10038609B2 (en) * 2015-06-19 2018-07-31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traffic analysis
US20170013228A1 (en) * 2015-07-02 2017-01-12 Signalscape, Inc. Field Interviewer
US10412064B2 (en) * 2016-01-11 2019-09-10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ecure communication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10477540B2 (en) 2016-03-11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Relay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and 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US20180184422A1 (en) * 2016-12-28 2018-06-28 Intel Corporation Multi-channel time synchronized mesh network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73A (ko) * 2005-07-07 2011-01-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무선 사설 네트워크의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250545A1 (en) * 2009-07-17 2012-10-04 France Telecom Selection of dynamic relay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s in a mobile network
KR20120112601A (ko) * 2009-12-18 2012-10-1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홉 네트워크들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
KR20130093584A (ko) * 2010-06-04 2013-08-22 보오드 오브 리젠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릴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64960B1 (en) * 2014-05-06 2016-02-16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ng access node candidates for handover of wirel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16173A (zh) 2023-04-25
KR102632029B1 (ko) 2024-01-31
AU2018272736B2 (en) 2023-01-12
AU2018272736A1 (en) 2019-10-31
US11368363B2 (en) 2022-06-21
CN110651490A (zh) 2020-01-03
US20220376977A1 (en) 2022-11-24
BR112019024573A2 (pt) 2020-06-09
EP3632142A1 (en) 2020-04-08
CN110651490B (zh) 2022-11-22
AU2023201868A1 (en) 2023-04-27
US20180343165A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029B1 (ko) 네트워크에서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동작 역할
EP3941106B1 (en) Cloud-based control of a wi-fi network
US10554733B2 (en) Controlling clients in distributed Wi-Fi networks
KR101566577B1 (ko) 지원/조정된 홈 내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47440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network device
US11445386B2 (en) Distributed Wi-Fi network visualization and troubleshooting
TW201842799A (zh) 具有多個存取點的網路中的通道選擇約束
KR20180022699A (ko) 백홀 네트워크들에서의 트래픽 플로우 이전
US10420155B2 (en) Distributed Wi-Fi setup systems and methods
US120351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virtual access point
WO2018217326A1 (en) Dynamic operating role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