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518A - Electric roaster - Google Patents

Electric roa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518A
KR20200008518A KR1020190085118A KR20190085118A KR20200008518A KR 20200008518 A KR20200008518 A KR 20200008518A KR 1020190085118 A KR1020190085118 A KR 1020190085118A KR 20190085118 A KR20190085118 A KR 20190085118A KR 20200008518 A KR20200008518 A KR 2020000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lectric
electric fan
fan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현호
Original Assignee
강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호 filed Critical 강현호
Publication of KR2020000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5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oaster comprising: a frame providing a cooking space and having an electric motion fan accommodating part positioned at the distance from the at least one central axis and having an opening port at the top; a cooking plate positioned in the cooking space; a heater heating the cooking plate; an electric motion fan detachably mounted to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port and having a power connection terminal; and a power supply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frame at the position spac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n electric motion fan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Description

전기 로스터 {ELECTRIC ROASTER}Electric roaster {ELECTRIC ROASTER}

본 발명은 전기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oaster.

일반적으로 전기 로스터는 본체에 히터와 조리판을 구비하여, 전원을 인가해서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판에서 육류, 어패류, 야채류 등의 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기기이다.In general, an electric roaster is provided with a heater and a cooking plate in a main body, and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materials such as meat, seafood, and vegetables on the cooking plate by heating the heater by applying power.

종래의 전기 로스터는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8-0013754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전기 로스터는 전술한 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되는 것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전원공급부는 본체의 일측벽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Conventional electric roaster i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13754 by way of example. The electric roaster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또한, 조리판은 본체의 측벽들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조리 공간 내에 설치되고, 측벽들은 조리판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음식이 조리되는 공간의 최대화를 위해 조리판은 프레임 측벽들에 밀착할 정도로 최대한 크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he cooking plate is provided in the cooking space surrounded on all sides by the side walls of the main body, the side walls are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plate. In order to maximize the space where food is cooked, the cooking plate is generally formed to be as large as possib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idewalls.

이러한 구조의 전기 로스터는 측벽의 중앙에 전원공급부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를 포함한 전체 길이를 고려했을 때 조리판의 크기에 제한이 따른다. 조리판을 더 길게 하려면 전기 로스터의 전체 길이를 그만큼 길게 만들어야 하며, 이는 제품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용 및 보관에 불편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ic roaster of this structure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in the center of the side wall, the size of the cooking plate is limit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length including the power supply. In order to make the cooking plate longer, the overall length of the electric roaster must be made that long,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cost of the product but can also cause inconvenience in use and storage.

또한, 전원공급부의 위치와 본체 측벽 및 조리판의 구조로 인해 조리판의 손잡이는 없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리판의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있다. 손잡이 설치를 위해 조리판 테두리는 그만큼의 크기를 더 필요로 하며, 이는 조리되는 공간의 확보에 또 하나의 제약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는 본체 측벽들로 둘러싸이는 조리공간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리 시의 열에 의해 가열되기 쉽고 음식물이 묻는 경우가 많으며, 그로 인해 조리 도중에 조리판을 몸체로부터 들어 올리기 불편한 문제도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and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side wall and the cooking plate, there is no handle of the cooking plate or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both edges of the cooking plate using a separate member. In order to install the handle, the cooking plate rim needs more size, which may be another constraint on securing the space to be cooked.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located in the cooking space surrounded by the body sidewalls, the handle is easily heated by heat at the time of cooking, and the food is often buried,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lifting the cooking plate from the body during cooking.

또한, 종래의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경우, 전원공급부와 전동팬(공기순환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 인해 전원공급부와 전동팬(공기순환부)이 직접 전기적으로 접점되지 못하여 별도의 전기 연결 수단(결합판 및 연결핀과 그 설치구조 등)을 필요로 한다. 이는 부품 수를 증가시켜 제품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며 조립/분해가 번거로운 단점이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ir circulating electric roaster, the power supply and the electric fan (air circulation part) are not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electric fan (air circulation part). Means are required (such as coupling plates and connecting pins and their mounting structure). This increases the number of parts and increases the cost of the product, which is a cumbersome disadvantage of assembly / disassembly.

그리고, 전원공급부에 있어서 전동팬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는 전동팬 측의 대응 단자인 연결핀에 대해 대향한 상태로 접근되면서 접점되는 방식으로서 그 접점을 위한 구조(연결핀 및 결합판 등)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port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fan in the power supply unit is approache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is approached in a state opposite to the connection pin, which is a corresponding terminal on the electric fan side, such as a structure for the contact (connecting pin and coupling plate). There are complex drawbacks.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동팬의 전원연결단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핀의 형태로서 결합판의 하방으로 오픈된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동팬 장착 시에 소켓과 단자 핀이 서로 삽입 결합되도록 정렬시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동팬을 분리할 때 핀의 반대측을 먼저 들어올리면서 지렛대 작용으로 인해 핀 또는 연결 수단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fan is in the form of a pin protruding upwards is inserted into the socket op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his structure is cumbersome because the sockets and terminal pins must be aligned to be inserted into each other when the electric fan is mounted, and the pins or connecting means are damaged due to the lever lever lifting the opposite side first when removing the electric fan. It may become.

본 발명은 종래 전기 로스터가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at least on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roast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전원공급부와 전동팬을 직접 연결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circulating electric roaster which can directly connect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electric fan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facilitate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제한된 전체 길이 내에서 조리판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roaster that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cooking plate within a limited overall length.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조리판에 형성된 손잡이를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시켜 손잡이가 뜨거워지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roaster capable of solving a problem such that the handle becomes hot by exposing the handle formed on the cooking plate to the outside of the fram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전동팬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 공간에 위치되는 조리판; 상기 조리판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전동팬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동팬;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이다.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roviding a cooking space, and provided with an electric fan receiv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at least one central axis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A cooking plate positioned in the cooking space; A heater for heating the cooking plate; An electric fan detachably mounted to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and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terminal; It is an electric roaster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detachably mounted to the fram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and having an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 수용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ic fan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적어도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제외하고 상기 전동팬 위를 덮는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fan includes a motor, a fa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tor, and a connection terminal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motor at an opposite side of the fan and hav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The cover covers at least the electric fan except for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원공급부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하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power supply is coupled, and the power supply is slidably mounted or detached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space. Do.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적어도 하나의 밑면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어 밀어 넣어짐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면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surface formed to face downward from at least one bottom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accommodation space. As it is positioned and pushed in, it slid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surfac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그 단부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이 상기 밑면의 단부 측에서부터 상기 단자면까지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단자면에 접촉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ity,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is formed to be higher toward the end sid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end end side of the bottom side The contact with the terminal surface while elastically compressed from to the terminal surfac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단자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underside of the power supply includes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the terminal surfac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면은 상기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은 상기 홈 내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면과 접촉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groove and the terminal surface is located in the groove, and an end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contacts the terminal surfac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설정 높이만큼 위로 돌출되되, 상기 모터의 상단부보다는 낮게 돌출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fan includes a motor, a fa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tor, and a connection terminal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motor at an opposite side of the fan and hav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upward by a set height, but protrudes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motor.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축선과 평행한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잘린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모서리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를 구비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wall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nd a pair of second sidewalls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first sidewalls, the center A corner portion cut away from an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s mounted to the corner portion, and the cooking plate is parallel to the pair of first sidewalls. Extending in a direction, the side having a avoiding part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2 측벽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전동팬은 상기 제1 측벽과 평행하게 장착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sidewall extends longer than the second sidewall, and the electric fan is moun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idewall.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로스터의 제한된 전체 길이 내에서 조리판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cooking plate within the limited overall length of the electric roaster.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로스터의 조리판에 형성된 손잡이를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시켜 손잡이가 뜨거워지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posing the handle formed on the cooking plate of the electric roaster to the outside of the fra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handle becomes hot.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와 전동팬을 직접 연결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electric fan of the air-circulating electric roast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위쪽 대각선 방향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조리판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에서 전동팬 수용부에 전동팬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로서 전동팬 수용부의 덮개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가 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동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가 히터 및 전동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동팬 전원연결단자와 전동팬 전원공급단자의 연결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upward diagonal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oking plate of the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fan is accommodated in the electric fan accommodation unit in the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to show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of the cover of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power supply unit of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frame.
7 shows a power supply of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electric fan of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unit of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heater and an electric fan.
1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an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and an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of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위쪽 대각선 방향의 분해조립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upward diagonal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는 프레임, 전원공급부(250), 조리판(320), 히터(420), 공기순환판(430), 기름받이(510) 및 전동팬(5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power supply 250, cooking plate 320, heater 420, air circulation plate 430, oil It includes the receiving 510 and the electric fan 520.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10)으로 구성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rame consists of an upper frame 100 and a lower frame 210.

상부 프레임(10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장측벽(110) 및 제2 장측벽(120)과 이들 장측벽보다 짧게 형성된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으로 구성된다.The upper frame 100 includes a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a second long side wall 120 facing each other, and a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a second short side wall 140 formed shorter than these long side walls.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00)은 세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고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1 장측벽(110) 및 제2 장측벽(120)과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으로 둘러싸인 조리 공간을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100)은 라운드 처리되지 않은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를 포함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upper frame 100 is rounded at three corners and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with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second long side wall 120 and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the second short side wall 140 are provided. The upper frame 100 includes a power supply accommodating part 150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t one corner portion which is not rounded.

제1 장측벽(110)과 제2 장측벽(120)에는 공기순환판(430)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안착되는 단턱부(190)가 형성되고, 제1 단측벽(130)과 제2 단측벽(140)에는 조리판(320)의 양단에 형성된 손잡이(370)가 위치되는 손잡이홈(200)이 형성된다.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second long side wall 120 are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190 in which the flange portion formed in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is seated, and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the second short side wall ( The handle groove 200 in which the handle 370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oking plate 320 is located is formed at 140.

하부 프레임(210)은 바닥면(230)과 바닥면(23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1 장측벽(110), 제2 장측벽(120),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의 하부와 결합하는 4개의 측벽(220)을 포함한다.The lower frame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bottom surface 230 to form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the second long side wall 120,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and the second end. Four sidewalls 220 that engage the bottom of the sidewalls 140.

하부 프레임(210)에는,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동팬(520)이 설치되는 전동팬 수용부(240)가 형성된다.4 and 5,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240 in which 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210.

전동팬 수용부(240)는 제2 장측벽(120)보다 제1 장측벽(110)에 더 가까이 위치되어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210) 측벽(2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수직벽(241)과 제2 수직벽(242)를 포함한다.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240 is formed closer to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than the second long side wall 120, and is longitudinally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0 of the lower frame 210. An elongated first vertical wall 241 and a second vertical wall 242 are included.

제1 수직벽(241)과 제2 수직벽(242)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사이에 전동팬(520)이 수용되는 공간(243)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전동팬(520)을 위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vertical wall 241 and the second vertical wall 242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form a space 243 in which the electric fan 520 is accommodated. An opening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to allow the electric fan 520 to be inserted from above.

제1 수직벽(241)은 그 상부에 전동팬 수용공간(243)과 그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해 전동팬(520)의 팬 길이정도로 길게 형성된 관통홈을 포함한다. 그 관통홈을 통해 전동팬(52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공기순환판 하부의 공간으로 토출된다.The first vertical wall 241 includes a through groove formed on the top of the electric fan receiving space 243 and the outside of the electric fan 520 long enough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blown from the electric fan 520 through the through groove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low the air circulation plate.

제2 수직벽(242)의 상부에도 마찬가지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전동팬(520)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팬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A through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wall 242 as well,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fan 520 can flow into the fan.

제1 수직벽(241) 상부에는 전동팬 수용부(240)의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245)가 힌지(246)로 연결된다.A cover 245 fo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240 is connected to the hinge 246 on the first vertical wall 241.

덮개(245)는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그 상부 공간과 전동팬 수용공간(243) 사이를 연통시키기 제1 수직벽(241)의 관통홈과 대략 비슷한 길이 정도로 형성된 관통홈을 포함한다.The cover 245 includes a through groove formed to have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vertical wall 241 to communicate between the upper space and the electric fan receiving space 243 in the state of covering the opening.

전동팬(520)의 작동에 의해 공기순환판(430)의 제2 측면판(450)에 형성된 통기공(47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덮개(245)의 관통홈을 통해 전동팬(520)의 팬으로 유입될 수 있다.Air sucked from the vent hole 470 formed in the second side plate 45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fan 5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ver 245 of the electric fan 520. Can enter the fan.

덮개(245)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힌지(246) 반대측이 원호를 그리며 회전되어 열리고 닫히는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힌지 연결 없이 완전히 덮개(245)가 분리되어 열리는 구조일 수도 있다.The cover 245 is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246 opposite the hinge 246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as shown in FIG.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ver 245 may be completely opened without a hinge connection. .

전동팬(520)이 전동팬 수용부(2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팬(520)의 후술하는 한 쌍의 패킹은 하부 프레임(210) 바닥, 제1 수직벽(241), 제2 수직벽(242), 덮개(245) 등의 내면들에 맞닿는다. 이를 통해 전동팬(520)의 팬 양단이 밀폐되고 덮개(245) 및 제2 수직벽(242)과 제1 수직벽(241)의 관통홈들을 통해서만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240, a pair of packings described below of the electric fan 520 may include a bottom of the lower frame 210, a first vertical wall 241, and a second vertical wall. 242,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45 and the like. Through this, both ends of the fan of the electric fan 520 are sealed and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only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cover 245, the second vertical wall 242, and the first vertical wall 241.

한편, 전동팬(520)이 전동팬 수용부(2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팬(520)의 후술하는 전원연결부(1350)는 전동팬(520) 수용공간(243) 밖으로 노출된다. 특히,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공급부의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와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240, the power connection part 1350 described later of the electric fan 520 is exposed outside the electric fan 520 accommodating space 243. In particular, since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are installed to be exposed,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of the power supply unit is possible.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제1 장측벽(110)과 제1 단측벽(130)이 만나는 곳에서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장측벽(110) 및 제1 단측벽(13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되었다 함은 예시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하나의 피스로 일체 형성됨을 의미한다.The power supply receiving unit 150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where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first short side wall 130 meet each other, and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the first end of the upper frame 100. It is continuously integrally formed from the side wall 130. Here, continuously integrally formed means that integrally formed into one piece by injection molding.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상부 프레임(100)에만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210)에서 상부 프레임(100)을 분리할 때 전원공급부(250)를 프레임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accommodating part 150 is formed only in the upper frame 100 so that the power supply 250 does not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frame when the upper frame 10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 210.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underframe.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조리 공간과 수용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160)을 포함하고, 격벽(160)에는 전원공급부(250)와 히터(420)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홀(170)과 전원공급부(250)와 전동팬(520)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홀(180)을 포함한다. 격벽(160)은 제1장측벽의 단부 및 제1단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며 일체로 형성된다.The power supply accommodating part 150 includes a partition wall 160 that separates the cooking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partition wall 16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hole 170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250 and the heater 420.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180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the electric fan 520. The partition wall 160 connects an end portion of the first long side wall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nd side wall and is integrally formed.

전원공급부(250)는 전원공급부 수용부(150)에 결합되며,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히터 전원공급단자(270)를 가지는 히터 전원공급부(260)와 전동팬(52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를 가지는 전동팬 전원공급부(280)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is coupled to the power supply unit receiving unit 150, as shown in Figure 7, to supply power to the heater power supply unit 260 and the electric fan 520 having a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270. It includes an electric fan power supply unit 280 having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for.

전원공급부(250)에는 전동팬(520)으로의 전류 공급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전동팬 스위치(252)와 설정 온도에서 히터(420)로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히터(4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핀(253)이 포함된다. 온도감지핀(253)은 과열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5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420 to cut off the power to the heater 420 at the set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fan switch 252 for switching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fan 520 on / off Temperature sensing pin 253 is included. The temperature sensing pin 253 may be made to serve as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overheating.

전원공급단자(270)는 도 6의 A 방향으로 삽입되어 히터(420)의 히터 전원연결단자(4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히터 전원공급단자(270)는 소켓 형태이며 히터 전원연결단자(421)는 핀의 형태로서 히터 전원연결단자(421)가 히터 전원공급단자(27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ower supply terminal 270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A of FIG. 6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power connection terminal 421 of the heater 420.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270 is in the form of a socket, and the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421 is in the form of a pin, and the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421 is inserted into the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270. Electrically connected.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는 전동팬(520)의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와 각각의 하면과 상면이 서로 슬라이딩되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of the electric fan 520 by sliding and contacting each of the bottom and top surfaces thereof.

전원공급부(250)의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는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 측에 아래를 향하는 단자면(1500, 1501)을 포함한다.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of the power supply unit 250 include terminal surfaces 1500 and 1501 facing downward on the bottom side of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unit 280.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은 홈(1230, 1231)을 포함하고 단자면(1500, 1501)은 홈(1230, 1231) 안으로 설정 깊이만큼 들어가 위치하며,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의 끝단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하여 적어도 일부의 압축 상태가 풀리면서 홈(1230, 1231) 내로 삽입되며 단자면(300)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 시에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의 끝단이 단자면(1500, 1501)에 부딪힐 수 있으며, 이때, '찰칵'하는 소리가 발생하거나 또는 미미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unit 280 includes grooves 1230 and 1231, and the terminal faces 1500 and 1501 are located in the grooves 1230 and 1231 by a set depth, and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The end of the) is elastically compressible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s 1230 and 1231 while being at least partially compress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surface 300. At the time of contact, the ends of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may hit the terminal surfaces 1500 and 1501, and at this time, a 'click' sound may occur or a slight vibration may occur. Can detect that the contact was made properly.

전원공급부(250)는 전원의 온/오프 또는 강약을 조절하는 조절노브(254)를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노브부(251)를 포함하는데, 전동팬 전원공급부(280)는 노브부(251)로부터 조리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includes a knob unit 251 having an adjustment knob 254 for adjusting the power on / off or strength of the power and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unit 280 includes a knob unit ( 251 protrudes toward the cooking space.

전원공급부(250)는 전원공급부 수용부(150)에 위치되어 밀어 넣거나 빼냄으로써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250)의 히터 전원공급부(260)는 격벽(160)의 제1 연결홀(170)을 관통하여 후술하는 방열판(390) 체결부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히터 전원공급부(260)의 외면과 체결홈의 내벽면은 서로 마찰 결합되며 전원공급부(250)은 체결부와의 그 결합을 통해 방열판(390)에 의해 지지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is detachably configured to b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receiving unit 150 by being pushed in or pulled out. In detail, the heater power supply unit 260 of the power supply unit 250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170 of the partition wall 160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heat sink 39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er power supply unit 260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are friction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supported by the heat sink 390 through its coupling with the fastening unit.

조리판(320)은 조리 공간에 위치하며, 제1 장측벽(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일측에서 전원공급부(25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형상을 갖는 회피부(340)를 포함한다. 회피부(340)는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oking plate 320 is located in the cooking space,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ong side wall 110, and has a avoidance part 340 having an avoidance shape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power supply unit 250 on one side. Include. The avoiding part 34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late 46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피부(340)는 조리판(320)의 해당 모서리를 대각으로 절단하여 모따기 한 것과 같은 형태이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oiding part 340 is shaped like chamfering by cutting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cooking plate 320 diagonally.

조리판(320)은 장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장측모서리(350)와 단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단측모서리(360)를 포함하고, 한 쌍의 단측모서리(360) 각각에는 일체로 상방으로 연장되되 조리판(320)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더욱 연장 형성된 손잡이(370)를 포함한다.The cooking plate 320 includes a pair of long side edges 35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and a pair of short side edges 360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ort side wall, and a pair of short side edges. Each of the 360 includes an integrally extended upwardly but the handle 370 is further extended to be bent in the cooking plate 320 outward direction.

조리판(320)에는 중심부에 기름배출구멍(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조리판(320)의 조리면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의 기름 배출구멍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 시에 발생하는 기름이 조리면을 따라 기름배출구멍(330)으로 흐르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기름배출구멍(330)은 중앙에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기름배출구멍(330)의 개수 및 형상은 특정 개수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기름배출구멍(330)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oking plate 320 has an oil discharge hole 330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this case, the cooking surface of the cooking plate 3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edge to the oil discharge hole of the central portion, so that oil generated during cooking may easily flow to the oil discharge hole 330 along the cooking surface. . In the drawing, only one oil discharge hole 330 is shown in the center, but the number and shape of the oil discharge hole 330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or shape, but may be set as necessary. The oil discharge hole 330 may protrude downward.

또한, 조리판(320)의 하면에는 히터(420)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380)가 형성되고 히터(420)의 열이 히터(420)의 상부에 형성된 조리판(320)에 전달되고 하부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히터(420)의 하부를 덮으면서 설치되는 방열판(390)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heater mounting portion 380 on which the heater 42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plate 320, and heat of the heater 420 is transmitted to the cooking plate 3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er 420. The heat sink 390 may be installed while cove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er 420 so as not to be transmitted.

방열판(39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50)에 대응되는 모서리부에는 전원공급부(25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체결홈을 가지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히터 전원연결단자(421)는 체결홈 내에 배치된다.In the heat sink 390, a corn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have a fastening groove having a fastening groove. And the heater power connection terminal 421 is disposed in the fastening groove.

방열판(390)에는 기름배출구멍(33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410)이 형성된다.The through hole 410 is formed in the heat sink 390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il discharge hole 330.

히터(420)는 조리판(320)의 하부에 설치되고 히터 전원공급단자(27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조리판(320)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heater 420 is installed under the cooking plate 320 and serves to heat the cooking plate 320 as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270.

공기순환판(430)는 제1 측면판(440), 제2 측면판(450) 및 밑판(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밑판(460)은 하부를 형성하며, 양측에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이 형성된다.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440, a second side plate 450, and a bottom plate 460. 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460 forms a lower portion, and the first side plate 440 and the second side plate 450 are formed at both sides.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통기공(470)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side plate 440 and the second side plate 450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470 are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또한,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과 탈부착 되도록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밑판(46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plate 440 and the second side plate 45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46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plate 460. .

이때,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480)가 형성되어, 플랜지부(480)가 상부 프레임(110)의 단턱부(190)에 안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lange portion 480 is form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440 and the second side plate 450 so that the flange portion 480 may be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90 of the upper frame 110. have.

밑판(460)에는 배출공(490) 및 안착홀(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밑판(460)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배출공(490)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460 may have a discharge hole 490 and a seating hole 500. At this time, the base plate 460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form from the edge to the discharge hole 490 formed in the center.

배출공(49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320)의 기름배출공(330)으로 배출된 기름이 배출공(49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공(490)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이나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배출공(49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출공(490)의 위치는 아래에 위치한 기름받이(51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49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46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Oil discharged into the oil discharge hole 330 of the cooking plate 32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490.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490 may be a plurality,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square or other shapes. 1 is shown that the discharge hole 49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460 of the air circulation plate 430, bu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490 is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il sump 510 located below Can be set.

안착홀(500)은 밑판(46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 위치되며, 조리판(320)의 하측에 위치된 방열판(39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 또는 삽입된다. 복수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홀들(500)에 안착 또는 삽입되며 조리판(320)과 히터(420) 및 방열판(390) 조립체의 위치가 결정되며, 그와 같이 결정된 위치에서 전원공급부(250)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일부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홀(500)에 안착 또는 삽입되지 못하면 방열판(390)의 체결부 위치가 전원공급부(250)의 히터 전원공급부(260)의 위치와 어긋나게 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돌출부(400)와 안착홀들(500)은 그러한 측면에서 안전 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돌출부(400)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고무 소재일 수 있다.The seating holes 500 are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bottom plate 460, and the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400 formed on the heat dissipation plate 390 positioned below the cooking plate 320 are seated or inserted. The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400 are seated or inserted into the seating holes 500, and the positions of the cooking plate 320, the heater 420, and the heat sink 390 assembly are determined, and the power supply unit at the position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250). If a part of the fixed protrusion 400 is not seated or inserted into the seating hole 500,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heat sink 390 is displaced from the position of the heater power supply 260 of the power supply 250, thereby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I can't support it.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400 and the seating holes 500 serve as safety devices in that respect. The fixed protrusion 400 may be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방열판(390)에 안착홀(500)이 형성되고 밑판(460)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400)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hole 500 may be formed in the heat sink 390, and the fixing protrusion 400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460.

기름받이(510)는 하부 프레임(210) 바닥면(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조리판(320)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수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름받이(510)는 쟁반 모양이며 바닥면(230)의 상면에 탈부착 되어 폐유의 수거 및 세척 시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름받이(510)는 하부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oil tray 5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lower frame 210 to receive oil discharged from the cooking plate 320.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sump 510 is tray-shaped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230 to provide ease of collection and washing of waste oil.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sump 510 may be installed in a lower frame to be pulled out.

전동팬(520)은 전동팬 수용부(240)에 설치되고 팬(1330), 모터(1340), 위치유지부(1360, 1370, 1440), 및 전원연결부(1350)를 포함한다.The electric fan 520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240 and includes a fan 1330, a motor 1340, a position maintaining part 1360, 1370, and 1440, and a power connection part 1350.

팬(1330)은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임펠러 측판(1331)과 임펠러 측판(1331)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1332)가 형성된 구조이다. 임펠러 측판(1331)에는 중심부에 모터(1340)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팬축(미도시)이 형성된다.The fan 13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mpeller side plates 1331 and a plurality of blades 1332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mpeller side plates 1331 are spaced apart at set intervals. A fan shaft (not shown)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3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mpeller side plate 1331.

모터(1340)는 팬(1330)과 결합되어 팬(1330)으로 회전 토크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팬 축과 모터(1340)의 회전축이 일체가 되도록 팬(1330)의 일측에 설치된다.The motor 1340 is combined with the fan 1330 to supply rotational torque to the fan 1330,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an 1330 such that the fan shaft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340 are integrated.

위치유지부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패킹 프레임 및 패킹을 포함하고, 팬(1330) 또는 모터(1340)를 둘러싸며 전동팬 수용부(240) 내벽에 대하여 결정된 팬(1330) 및 모터(1340)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The positioning unit includes the packing frame and the packing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rrounds the fan 1330 or the motor 1340 and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electric fan receiver 240 and the motor 1330 and the motor ( 1340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패킹 프레임은 팬(1330)을 지지하도록 팬(1330)의 양단에 설치된다. 패킹 프레임은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을 포함하며, 모터(1340)는 제1 패킹프레임(1360) 측에 설치된다. 제1 패킹프레임(1360)에는 팬(1330)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가 형성된다.The packing frame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an 1330 to support the fan 1330. The packing frame includes a first packing frame 1360 and a second packing frame 1370, and the motor 1340 is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first packing frame 1360. The first packing frame 1360 has a power connector fixing member 1380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1330.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는 지지부 프레임(1390)의 고정부(1400)에 결합된다.The power connector fixing member 1380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1400 of the support frame 1390.

지지부 프레임(1390)은 고정부(1400)와 고정부(1400)로부터 팬(1330)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단자 지지부(1450)가 설치되는 지지부 설치판(1410)을 포함한다.The support part frame 1390 includes a fixing part 1400 and a supporting part mounting plate 1410 on which a connecting terminal support part 1450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1330 from the fixing part 1400 is installed.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 사이에는 팬(1330)을 사방으로 둘러싸되 패킹프레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하우징(1420)이 위치되며 하우징(1420)의 외벽에는 복수의 공기유입홀(14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 및 하우징(1420)은 하나의 피스로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A housing 14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cking frame 1360 and the second packing frame 1370 to surround the fan 1330 in all directions an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acking frame, and a plurality of air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420. Inlet hole 1430 is formed. Here, the first packing frame 1360, the second packing frame 1370 and the housing 142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one piece.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 각각에는 그 외주를 둘러싸며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1440)을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packing frame 1360 and the second packing frame 1370 includes at least one packing 1440 install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전원연결부는 모터(1340)에 대하여 팬(1330) 반대측에 위치하며 모터(1340) 측에서 팬(1330)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단자 지지부(1450)를 포함한다.The power connection unit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n 1330 with respect to the motor 1340 and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an 1330 on the motor 1340 side.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모터(1340)로부터 설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서 전동팬 전원공급단자 측(310, 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동팬 전원공급단자 측(310, 311)은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 자체이지만, 별도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연결 수단에 마련된 전기 단자일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includes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sides 310 and 311 at positions spaced from the motor 134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are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themselves, but in the case of including a separate connection means,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1540. 1550 may be an electrical terminal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ans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지지부 설치판(1410)에 설치되고, 연결단자 지지부(1450)가 설치된 지지부 프레임(1390)의 고정부(1400)가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에 설치된다. 지지부 프레임(1390)과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의 결합방식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였을 때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ounting plate 1410, and the fixing unit 1400 of the support frame frame 1390 o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power connection fixing member 1380. The coupling method of the support frame 1390 and the power connector fixing member 1380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hen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모터(1340)의 회전축(미도시)에 대해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연결단자 지지부(145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모터의 회전축이 있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is position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not shown) of the motor 1340, and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ar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to rotate the shaft of the motor. It is formed extending in the direction.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일측면으로부터 회전축이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단자 수용부(1470)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protrudes from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receiver 1470 having a receiving groove therein.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모터(1340)의 단자(1491)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모터단자 수용부(1480)와,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과 모터단자 수용부(1480)의 수용홈 사이를 연통시키며 연결하며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의 연장부(1460)를 수용하는 연결부(1490)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1450 may include a motor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480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 1149 of the motor 1340, an accommodating groove of the connecting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470, and a motor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480. The connecting portion 1490 communicates between the receiving grooves and includes an extension 1460 of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전원연결부는 팬(1330) 및 모터(1340)의 배열 방향으로 바라볼 때 그 단면의 외곽 형상이 팬(1330), 모터(1340), 또는 위치유지부의 대응하는 단면의 외곽 내에 위치한다. 즉, 전원연결부의 폭은 전동팬(520)의 다른 부분, 특히 위치유지부의 폭보다 작으며 그 단면 외곽을 벗어나지 않고 그 안쪽에 위치된다. When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is view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an 1330 and the motor 1340, the outlin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located in the outline of the corresponding cross section of the fan 1330, the motor 1340, or the position maintaining portion. That is, the width 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other portions of the electric fan 520, in particular, the position maintaining portion and is located inside the cross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outside of the section.

제1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의 제1 연결접촉면(1510)은 제1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의 제1 공급접촉면(1500)과 직접 접촉하고, 제2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50)의 제2 연결접촉면(1511)은 제2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1)의 제2 공급접촉면(1501)과 직접 접촉한다.The first connection contact surface 1510 of the first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 1540 directly contacts the first supply contact surface 1500 of the first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and the second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he second connection contact surface 1511 of the terminal 1550 directly contacts the second supply contact surface 1501 of the second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311.

연결접촉면(1510, 1511)이 놓이는 제1 평면(1520)은 공급접촉면(1500, 1501)이 놓이는 제2 평면(1530)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plane 1520 on which the connection contact surfaces 1510 and 1511 are placed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plane 1530 on which the supply contact surfaces 1500 and 1501 are placed.

전동팬(520)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부(250)도 조리기기에 대해 별도 피스의 고정수단에 의하지 않고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이며, 전원공급부(250) 또는 전동팬(520) 장착 시에, 연결접촉면(1510, 1511)은 공급접촉면(1500, 1501)에 대해 평행 이동하다가 접촉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connected to the electric fan 520 is also a detachable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out using a separate piece of fixing means for the cooking appliance, and when the power supply unit 250 or the electric fan 520 is mounted, The connection contact surfaces 1510 and 1511 move in parallel with and contact the supply contact surfaces 1500 and 1501.

연결접촉면(1510, 1511)이 공급접촉면(1500, 1501)과 접촉된 상태에서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이다.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are elastically compressed while the connection contact surfaces 1510 and 1511 are in contact with the supply contact surfaces 1500 and 1501.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일부가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수용홈에 수용되고 일단이 모터(134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모터(1340)의 단자(14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장부(1460)를 포함한다.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s so that a part thereof protrudes out of the accommodating grooves of the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470, and one end thereof is extended to the motor 1340 to form a terminal of the motor 1340. 1491 and an extension 1460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에 있어 측면과 연결되는 끝단부는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라운딩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250)를 수평으로 밀어 넣어 장착시킬 때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 밖으로 돌출되어 압축 전에는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게 되는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에 걸리지 않고 그 라운딩 부분에 의해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가 압축되면서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Since th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unit 280 is rounded 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ing unit 1470 is accommodated when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pushed and mounted horizontally.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are not caught by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which protrude out of the grooves and are protrud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unit 280. While being compressed it can be moved along the bottom of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280.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일단은 코일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 밖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고 타단은 연장부(1460)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 형태이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are protruded out of the receiving grooves of the coil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7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coil spring in which an extension 1460 is formed. to b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가 제2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50)보다 모터(1340)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욱 이격되어 있는데 이는 전원공급부(250) 가 전원공급부 수용부(240)에 삽입될 때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이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 1540 is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 155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tor 1340 side, which is the power supply unit 250. This is because is inser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when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receiving portion 240.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일단이 모터(1340)의 단자(14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모터(1340)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전원공급부(250)의 공급접촉면(1500, 1501)과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판 스프링 구조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모터(1340)의 단자(1491)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곡선적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벤딩부와 벤딩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벤딩부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공급접촉면(1500, 1501)과 접촉되는 타단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151 of the motor 1340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tor 1340 to supply the power supply 250. It may be a leaf spring structure formed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supply contact surfaces (1500, 1501). For example, the b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1491 of the motor 1340 and the end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are formed to receive elastic force by the bending portion and contact the supply contact surfaces 1500 and 1501. It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the other end.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연결접촉면(1510, 1511)이 놓이는 제1 평면(1520)과 제2 평면(1530)에는 각각 연결접촉면(1510, 1511)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부(910, 920)를 형성할 수 있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s 910, slidable on the first plane 1520 and the second plane 1530 on which the connection contact surfaces 1510 and 1511 are slidable, respectively. 920 may be formed.

가이드부(910, 920)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서 공급접촉면(1500, 1501)까지 이어지는 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동팬 장착 시에 연결접촉면(1510, 1511)이 가이드부(910, 920)를 따라 매끄럽게 공급접촉면(1500, 1501)까지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에의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guide parts 910 and 920 may be configured as grooves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the supply contact surfaces 1500 and 1501. Minimized physical impact on the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s 1540 and 1550 by allowing the connection contact surfaces 1510 and 1511 to slide smoothly along the guide portions 910 and 920 to the supply contact surfaces 1500 and 1501 when the electric fan is mounted. can do.

본 실시예에서 연결접촉면(1510, 1511)은 스프링의 끝단으로 되어 있으나, 전기적인 접촉을 더 확고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의 끝단에 금속판 또는 금속 구슬 등의 전기전도성 전극 부재(미 도시)를 부착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contact surfaces 1510 and 1511 are end portions of the spring, but in order to further secure electrical contact, an electrically conductive electrode member (not shown) such as a metal plate or a metal bead may be attach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pring. hav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50)는 전기 로스터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동팬(520) 측으로 치우쳐져 장착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power supply unit 150 is mounted biased toward the electric fan 520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electric roaster.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50)를 전동팬(52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또는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1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의 제1 연결접촉면(1510)과 제1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의 제1 공급접촉면(1500)이 직접 접촉하고, 제2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50)의 제2 연결접촉면(1511)이 제2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의 제2 공급접촉면(1501)과 직접 접촉하도록 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 1540 by forming the power supply unit 150 at a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lectric fan 520 or not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axis. The first connection contact surface 1510 of the first supply contact surface 1500 and the first supply contact surface 1500 of the first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the second connection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electric fan power connection terminal 1550 ( 1511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supply contact surface 1501 of the second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s 310 and 311.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터 전원공급단자(160)는 소켓 형태로 전원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구조는 히터와 전원공급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16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tructur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50 in the form of a socket,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ter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formed integrally Applicable t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전기 부위가 완전 분리되므로 히터부와 몸체부 등의 비 전기 부위를 전부 세척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circulating electric roas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wash non-electric parts such as a heater part and a body part because the electric parts are completely separated.

이상에서는 전동팬을 구비한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조는 전동팬이 없는 일반적인 전기 로스터 또는 전기 조리기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ir-circulating electric roaster having an electric fan as an example, but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general electric roaster or an electric cooker without an electric fa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100: 상부 프레임 110: 제1 장측벽
120: 제2 장측벽 130: 제1 단측벽
140: 제2 단측벽 150: 전원공급부 수용부
210: 하부 프레임 220: 측벽
240: 전동팬 수용부 250: 전원공급부
253: 온도감지핀 260: 히터 전원공급부
270: 히터 전원공급단자 280: 전동팬 전원공급부
310, 311: 전동팬 전원공급단자 320: 조리판
340: 회피부 420: 히터
421: 히터 전원연결단자 430: 공기순환판
440: 제1 측면판 450: 제2 측면판
460: 밑판 470: 통기공
480: 플랜지부 490: 배출공
500: 안착홀 510: 기름받이
520: 전동팬
100: upper frame 110: first long side wall
120: second long side wall 130: first short side wall
140: second end side wall 150: power supply unit receiving portion
210: lower frame 220: side wall
240: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250: power supply part
253: temperature detection pin 260: heater power supply
270: heater power supply terminal 280: electric fan power supply
310, 311: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320: cooking plate
340: evasion unit 420: heater
421: heater power connection terminal 430: air circulation plate
440: first side plate 450: second side plate
460: base 470: aeration
480: flange portion 490: discharge hole
500: seating hole 510: oil sump
520: electric fan

Claims (11)

조리 공간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전동팬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 공간에 위치되는 조리판;
상기 조리판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전동팬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동팬;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
A frame providing a cooking space and having an electric fan accommodating portion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at least one central axis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 cooking plate positioned in the cooking space;
A heater for heating the cooking plate;
An electric fan detachably mounted to the electric fan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and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terminal;
A power supply unit detachably mounted to the fram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an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Containing,
Electric roa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 수용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 fan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Electric roas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적어도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제외하고 상기 전동팬 위를 덮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ic fan includes a motor, a fa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tor, and a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coupled to the motor at an opposite side of the fan and hav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The cover covers at least the electric fan except for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Electric roa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원공급부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coupled,
The power supply can be mounted or detached in a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Electric roas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적어도 하나의 밑면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어 밀어 넣어짐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면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ectric fan power supply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surface formed to face downward from at least on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slid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as the power supply unit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pushed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surface.
Electric roas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그 단부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이 상기 밑면의 단부 측에서부터 상기 단자면까지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단자면에 접촉하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is formed to be higher toward the end side thereof so that the end of the power connecto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surface while being elastically compressed from the end side of the bottom surface to the terminal surface,
Electric roas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단자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the terminal surface,
Electric roas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면은 상기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은 상기 홈 내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면과 접촉하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groove and the terminal surface is located in the groove,
An end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o contact the terminal surface,
Electric roa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설정 높이만큼 위로 돌출되되, 상기 모터의 상단부보다는 낮게 돌출된,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 fan includes a motor, a fa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tor, and a connection terminal supporter coupled to the motor at an opposite side of the fan and hav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protrudes upward by a set height, protruding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motor,
Electric roa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축선과 평행한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잘린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모서리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를 구비하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wall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nd a pair of second sidewalls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first sidewalls, the fram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rner portion cut to form an angle with
The power supply unit is mounted to the corner portion,
The cooking plate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first sidewalls and includes a avoiding part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power supply part at one side.
Electric roast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2 측벽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전동팬은 상기 제1 측벽과 평행하게 장착되는,
전기 로스터.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idewall extends longer than the second sidewall,
The electric fan is moun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ide wall,
Electric roaster.
KR1020190085118A 2018-07-16 2019-07-15 Electric roaster KR2020000851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83 2018-07-16
KR20180082383 2018-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518A true KR20200008518A (en) 2020-01-28

Family

ID=6571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118A KR20200008518A (en) 2018-07-16 2019-07-15 Electric roas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80633B1 (en)
KR (1) KR2020000851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8274A1 (en) 2020-07-28 2022-01-28 Ali Group S R L FRY-TOP EQUIPMENT WITH DEVICE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IN CORRESPONDENCE WITH A PORTION OF THE WORKTOP
KR102626447B1 (en) * 2023-07-19 2024-01-17 유영길 Electric grill with easy separation of fa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4701B2 (en) * 1997-05-22 2003-02-1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Electric cooking board
JP3671885B2 (en) * 2001-09-04 2005-07-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ic cooker
WO2015141597A1 (en) * 2014-03-17 2015-09-24 株式会社リコー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
EP3491980A4 (en) * 2016-07-28 2020-07-29 Khang, Hyunho Air circulation-type electric roa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8274A1 (en) 2020-07-28 2022-01-28 Ali Group S R L FRY-TOP EQUIPMENT WITH DEVICE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IN CORRESPONDENCE WITH A PORTION OF THE WORKTOP
KR102626447B1 (en) * 2023-07-19 2024-01-17 유영길 Electric grill with easy separation of f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11024A (en) 2020-01-23
JP6480633B1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245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aster oven with digital control assembly
KR102417482B1 (en) Cooking apparatus
KR20200008518A (en) Electric roaster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2319351B1 (en) Electric roaster
CN217937965U (en) Cooking utensil
CN109152500B (en) Cooking device with glass cooking bowl and handle structure thereof
CN214906080U (en) Cooking utensil
CN212186155U (en) Cooking utensil
CN113907619A (en) Base subassembly and cooking device
CN211155324U (en) Cooking utensil
KR20090121787A (en) Electric hob
GB1564972A (en) Portable electric hot plate
JP2007101062A (en) Heating cooking device
CN220158062U (en) Liquid heating appliance
CN111329333A (en) Portable heating container
KR20200008353A (en) Electric fan and air-circulated electric roaster including the same
KR20200008350A (en) Electric fan and air-circulated electric roaster including the same
CN216602442U (en) Cooking utensil
CN219895343U (en) Pot body and cooking utensil
CN214510735U (en) Cooking machine
CN216754244U (en) Heating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CN212650725U (en) Cooking utensil
CN114246451B (en) Cooking utensil
CN216364780U (en) Base subassembly and cook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