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460A -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460A
KR20200008460A KR1020180082586A KR20180082586A KR20200008460A KR 20200008460 A KR20200008460 A KR 20200008460A KR 1020180082586 A KR1020180082586 A KR 1020180082586A KR 20180082586 A KR20180082586 A KR 20180082586A KR 20200008460 A KR20200008460 A KR 20200008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ir
supply fan
amount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834B1 (ko
Inventor
김일형
김창훈
손승길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082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8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모드 가동 시 각 세대별 누기량을 추정하여 레인지 후드를 통한 원활한 배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하도록 급기팬에서 공급되는 설정 급기 풍량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기 풍량 제어장치는, 레인지 후드를 통한 배기 풍량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키도록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팬; 상기 급기팬의 시운전모드 가동에 따른 상기 급기팬 모터의 회전수 변화량을 검출하는 급기팬 모터 회전수 검출부; 및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량을 입력받아 실내의 누기량을 추정하고,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air volume}
본 발명은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 시스템의 설치 후 시운전 모드에서 각 세대별 누기량을 추정하여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급기팬에서 공급되는 설정 급기 풍량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폐된 실내공간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나 먼지 등을 실내에서 제거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이 이용된다.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 주방에는 음식물 조리 시 발생하는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다. 그러나, 레인지 후드만을 가동시켜 배기하게 되면, 실내에 음압이 형성되어 레인지 후드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레인지 후드의 가동 시 레인지 후드를 통해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배기 풍량 만큼 환기 시스템의 급기팬을 통해 급기되는 실외공기로 보충하게 되면, 레인지 후드를 통한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간에는 레인지 후드를 통해 배기되는 배기 풍량에 대응하는 만큼의 필요 급기 풍량이 공급되어야 레인지 후드를 통해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져 실내 오염을 방지하고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실내 공간은 각 세대별 환경에 따라 누기량에 편차가 있다. 여기서, 누기량 이란 창문 틈새 등을 통하여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 또는 실내에서 실외로 유출되는 공기의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누기량은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조건에 따라서 각 세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누기량을 고려하지 않고 급기팬을 통한 급기 풍량을 각 세대별로 동일하게 설정하게 되면, 레인지 후드를 통한 원활한 배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72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모드 가동 시 각 세대별 누기량을 추정하여 레인지 후드를 통한 원활한 배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하도록 급기팬에서 공급되는 설정 급기 풍량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기 풍량 제어장치는, 레인지 후드를 통한 배기 풍량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키도록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팬; 상기 급기팬의 시운전모드 가동에 따른 상기 급기팬 모터의 회전수 변화량을 검출하는 급기팬 모터 회전수 검출부; 및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량을 입력받아 실내의 누기량을 추정하고,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실내가 평압 상태일 때의 급기팬 풍량과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 제1테이블이 저장된 제1테이블 저장부와, 상기 시운전모드의 가동에 따른 실내 차압 발생 시의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응하는 누기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 제2테이블이 저장된 제2테이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테이블 저장부에 입력된 급기팬 풍량 데이터를 상기 필요 급기 풍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테이블 저장부에 입력된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응하는 누기량 데이터를 상기 누기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요 급기 풍량과 상기 누기량을 입력받아 상기 설정 급기 풍량을 산정하는 설정 급기 풍량 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정된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상기 급기팬을 통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을 조절하는 급기팬 속도제어전압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레인지 후드의 단수를 입력받고,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은, 상기 레이지 후드의 단수에 대응하여 상이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급기 풍량 제어방법은, (a) 레인지 후드를 통한 배기 풍량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키는 급기팬 모터의 초기 회전수로 급기팬을 시운전 가동하는 단계; (b)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에 기초하여 누기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 단계는, 실내가 평압 상태일 때의 급기팬 풍량과 급기팬 모터 회전수가 입력된 제1테이블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급기팬을 시운전 가동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급기팬의 가동에 따른 실내 차압 발생 시의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응하는 누기량이 입력된 제2테이블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누기량을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급기팬의 시운전 가동 후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상기 급기팬을 통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레인지 후드의 단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은 상기 레이지 후드의 단수별로 상이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마련되며, 상기 레인지 후드의 단수별로 마련된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을 설정하고 상기 누기량을 추정하여 상기 설정 급기 풍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에 의하면,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모드 가동 시, 각 세대별 누기량을 추정하여 급기팬을 통하여 공급되는 설정 급기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누기량에 차이가 있는 각 세대별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레인지 후드를 통한 원활한 배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방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레인지 후드를 통해 실외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산정된 급기팬의 설정 급기 풍량에 대응하여 급기팬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VSP)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급기팬의 설정 급기 풍량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다.
또한, 레인지 후드의 단수별로 마련된 제1테이블과 제2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인지 후드의 단수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설정하고 누기량을 추정하여 설정 급기 풍량을 산정함으로써, 레인지 후드의 단수 변경 시에도 레인지 후드를 통한 원활한 배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장치의 시운전모드 시작 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장치의 시운전모드 가동 후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장치의 제어부에 저장된 제1테이블과 제2테이블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급기 풍량 제어장치(1)는,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배기 풍량(Qe)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키도록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팬(20)과, 상기 급기팬(20)의 시운전모드 가동에 따른 상기 급기팬 모터의 회전수(RPM1) 변화량을 검출하는 급기팬 모터 회전수 검출부(110), 및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RPM1) 변화량을 입력받아 실내의 누기량(Qin_1)을 산정하고,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Qin_1)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Qs_set)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20)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장치(1)가 적용되는 환기 시스템과 그 주변 설비의 구성을 설명하면, 음식물을 조리하는 주방 등의 실내(10)와,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10) 측으로 공급하는 급기팬(20)과, 상기 급기팬(20)에 의해 송풍된 실외공기를 실내(10)의 천장을 통하여 급기하도록 마련된 급기구(21),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대(40)의 상측에 구비되어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등의 오염물질을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배기하는 레인지 후드(30)와, 상기 레인지 후드(30)와 실외를 연결하는 배기구(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방 등 실내(10)의 환기 시스템에서,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레인지 후드(30)를 통하여 실외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환기 시스템의 설치 시에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배기 풍량(Qe)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하도록 급기팬(20)을 통한 급기 풍량을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은 상기 배기 풍량(Qe)과 동일한 풍량으로 설정되거나, 상기 배기 풍량(Qe)보다 약간 많거나 적은 풍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이 배기 풍량(Qe)과 동일한 풍량으로 설정될 경우, 실내압력은 실외압력과 동등한 압력 상태가 되어 차압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이 배기 풍량(Qe)보다 적은 풍량으로 설정될 경우, 배기되는 풍량이 급기되는 풍량보다 많아져 차압이 형성되므로 실내(10)는 실내압력이 실외압력보다 낮은 음압 상태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을 배기 풍량(Qe)과 동일한 풍량으로 설정한 실시예를 예로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은 급기팬(20)과 급기구(21), 레인지 후드(30)와 배기구(31)가 설치된 위치에 따른 공기의 압력 손실 등을 보상하여 배기 풍량(Qe)보다 다소 많거나 적은 풍량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급기팬(20)을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고, 시운전모드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실내압력(P0)은 실외압력과 동등한 압력상태로서 차압이 발생하지 않는 평압 상태이고, 레인지 후드(30)는 설정된 배기 풍량(Qe)을 충족하도록 가동되며, 급기팬(20)은 상기 배기 풍량(Qe)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Qs_0)을 공급하도록 초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RPM0)로 가동된다. 이 경우에도, 실내(10)의 창문 틈새 등을 통한 초기 누기량(Qin_0)이 존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급기팬(20)과 레인지 후드(30)가 시운전 가동되면, 급기팬(20)을 통한 급기와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배기에 의한 실내공기의 유동에 따라 실내압력(P1)은 도 1에서의 초기 실내압력(P0)과 다른 압력(P1)으로 변동되어 차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기팬(20)의 모터 회전수(RPM1)와 누기량(Qin_1) 또한 변동하게 된다. 상기 급기팬(20)의 모터 회전수(RPM1)와 누기량(Qin_1)의 변동은 급기 및 배기에 따라 형성되는 차압에 의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변동된 급기팬(20)의 모터 회전수(RPM1)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누기량(Qin_1)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배기 풍량(Qe)은, 급기팬(20)에서 급기되는 풍량과 누기량(Qin_1)을 가감한 풍량이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 풍량(Qe)에서 상기 누기량(Qin_1)을 가감한 풍량 만큼의 풍량을 급기팬(20)을 통하여 실내(10)로 급기하게 되면,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급기 풍량 제어장치(1)는, 상기 급기팬(20)의 시운전모드 가동에 따른 상기 급기팬(20) 모터의 회전수 변화량을 검출하는 급기팬 모터 회전수 검출부(110), 및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량을 입력받아 실내의 누기량(Qin_1)을 산정하고,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Qin_1)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Qs_set)이 실내(10)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20)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검출부(110)는, 상기 급기팬(20)의 시운전 가동 후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RPM1)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제1테이블 저장부(210), 제2테이블 저장부(220), 누기량 추정부(230), 및 설정 급기 풍량 산정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테이블 저장부(210)에는 실내 차압이 0 Pa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압 상태일 때의 급기팬 풍량과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 제1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2테이블 저장부(2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 차압 발생 시의 급기팬 모터 회전수와, 이에 대응하는 누기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 제2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1테이블과 제2테이블은, 실험실 조건 하에서 실험한 결과 데이터로서, 상기 제어부(200)의 제1테이블 저장부(210)와 제2테이블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 시 누기량의 추정 및 설정 급기 풍량의 산정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도 4에는 레인지 후드(30)의 단수(段數)가 1단인 경우의 제1테이블과 제2테이블의 데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제1테이블을 참조하면,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모드의 가동 시작 시점에서 급기팬 풍량이 100 cmh, 급기팬 모터 회전수가 1000 RPM인 경우, 시운전모드 가동 후 검출된 급기팬 모터 회전수가 1120 RPM이라면, 제2테이블에서와 같이 변동된 급기팬 모터 회전수 1120 RPM에 대응하는 누기량은 50 cmh로 읽어 추정된다. 이때 실내와 실외의 차압은 -30 Pa인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은 제1테이블에 입력된 배기팬 풍량인 100 cmh로 설정된다.
상기 누기량 추정부(230)는 상기 제2테이블 저장부(220)에 입력된 급기팬 모터 회전수인 1120 RPM에 대응하는 누기량 데이터인 50 cmh를 상기 누기량으로 추정한다.
상기 설정 급기 풍량 산정부(240)는,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인 100 cmh와, 상기 누기량 추정부(230)에서 추정된 누기량인 50 cmh를 입력받아 필요 급기 풍량(100 cmh)에서 누기량(50 cmh)을 뺀 값인 50 cmh를 설정 급기 풍량(Qs_set)으로 산정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설정 급기 풍량 산정부(240)에서 산정된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상기 급기팬(20)을 통해 실내(10)로 급기되도록 급기팬 속도제어전압 조절부(31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급기팬 속도제어전압 조절부(310)는 상기 급기팬(20)의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VSP; Voltage to Contol Speed)을 조절함으로써, 급기팬(20)을 통하여 설정 급기 풍량이 급기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속도제어전압(VSP)은 0~5 Volt의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정된 급기팬(20)의 설정 급기 풍량에 대응하여 급기팬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VSP)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하기 위하여 급기팬(20)에서 실제로 급기되어야 할 설정 급기 풍량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레인지(30)의 단수가 다단(多段)으로 설정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레인지 후드 단수 입력부(120)로부터 레인지 후드(20)의 단수를 입력받고,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은, 상기 레이지 후드(20)의 단수에 대응한 상이한 실험 데이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후드 단수 입력부(120)는, 레인지 후드(20)와 통신에 의한 연동으로 레인지 후드(20)의 단수를 입력받거나, 또는 사람이 레인지 후드(20)의 단수를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레인지 후드(30)의 단수별로 마련된 제1테이블과 제2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인지 후드(30)의 단수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설정하고 누기량을 추정하여 설정 급기 풍량을 산정함으로써, 레인지 후드(20)의 단수 변경 시에도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원활한 배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200)는 실내 평수 입력부(120)로부터 상기 급기팬(20)을 통한 급기와 상기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배기가 이루어지는 상기 실내(10)의 평수(면적 또는 체적)를 입력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테이블 저장부(210)에 입력된 급기팬 풍량과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제2테이블 저장부(220)에 입력된 급기팬 모터 회전수와 누기량에 대한 데이터는, 실내(10) 평수별로 상이한 실험 데이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풍량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급기 풍량 제어방법은,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배기 풍량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키는 급기팬 모터의 초기 회전수로 급기팬(20)을 시운전 가동하는 단계, 상기 급기팬(20) 모터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급기팬(20) 모터 회전수 변화에 기초하여 누기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실내(10)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20)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레인지 후드(30)를 가동하고, 레인지 후드(30)가 가동되는 단수를 입력한다(S1). 상기 레인지 후드(30)의 단수를 다단으로 선택 가능한 사양인 경우, 1단부터 n단 중 해당 단수를 입력하고, 각 단수별로 후술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단수에 대응하는 설정 급기 풍량을 단수별로 세팅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급기팬(20)을 통한 급기와 상기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10) 공간의 평수(면적 또는 체적)를 입력한다(S2). 다만, 이러한 S2 단계는 제1테이블과 제2테이블의 데이터가 실내 평수를 반영하여 작성된 경우에만 수행된다.
다음으로, 급기팬(20)을 시운전 가동한다(S3). 이 경우 실내(10)가 평압 상태일 때의 급기팬 풍량과 급기팬 모터 회전수가 입력된 제1테이블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급기팬(20)을 시운전 가동한다.
상기 급기팬(20)의 시운전 가동 후, 급기팬 모터 회전수를 검출한다(S4).
상기 변동된 급기팬 모터 회전수(RPM1)가 검출되면,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RPM1)에 대응하는 누기량(Qin_1)이 입력된 제2테이블의 데이터에 따라 누기량을 추정한다(S5).
상기 누기량이 추정되면, 상기 제1테이블에 입력된 급기팬 풍량인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을 가감한 풍량으로 설정 급기 풍량(Qs_set)을 산정한다(S6).
상기 설정 급기 풍량(Qs_set)이 산정되면, 상기 설정 급기 풍량(Qs_set) 만큼의 풍량이 상기 급기팬(20)을 통해 실내(10)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20)의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VSP)을 조절하고(S7),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S1 내지 S7 단계는, 레인지 후드(30)의 단수를 변경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급기 풍량의 제어는, 환기 시스템을 설치하고 시운전모드로 가동할 때, 각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누기량을 개별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누기량을 반영하여 설정 급기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각 세대의 실내 환경 조건에 맞추어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할 수 있도록 급기팬(20)에서의 실제 급기 풍량인 설정 급기 풍량을 최적으로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 시에 1회 세팅된 설정 급기 풍량은 향후 환기 시스템의 구동 중 변동 없이 세팅된 값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환기 시스템의 시운전모드 가동 시, 각 세대별 누기량을 추정하여 급기팬(20)을 통한 설정 급기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누기량에 차이가 있는 각 세대별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레인지 후드(30)를 통한 원활한 배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방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레인지 후드(30)를 통해 실외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급기 풍량 제어장치 10 : 실내
20 : 급기팬 21 : 급기구
30 : 레인지 후드 31 : 배기구
40 : 조리대 110 : 급기팬 모터 회전수 검출부
120 : 후드 단수 입력부 130 : 실내 평수 입력부
200 : 제어부 210 : 제1테이블 저장부
220 : 제2테이블 저장부 230 : 누기량 추정부
240 : 설정 급기 풍량 산정부 310 : 급기팬 속도제어전압 조절부
320 : 급기팬 모터

Claims (11)

  1. 레인지 후드를 통한 배기 풍량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키도록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팬;
    상기 급기팬의 시운전모드 가동에 따른 상기 급기팬 모터의 회전수 변화량을 검출하는 급기팬 모터 회전수 검출부; 및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량을 입력받아 실내의 누기량을 추정하고,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가 평압 상태일 때의 급기팬 풍량과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 제1테이블이 저장된 제1테이블 저장부와, 상기 시운전모드의 가동에 따른 실내 차압 발생 시의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응하는 누기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 제2테이블이 저장된 제2테이블 저장부를 포함하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테이블 저장부에 입력된 급기팬 풍량 데이터를 상기 필요 급기 풍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테이블 저장부에 입력된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응하는 누기량 데이터를 상기 누기량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요 급기 풍량과 상기 누기량을 입력받아 상기 설정 급기 풍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정된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상기 급기팬을 통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을 조절하는 급기팬 속도제어전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레인지 후드의 단수를 입력받고,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은, 상기 레이지 후드의 단수에 대응하여 상이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풍량 제어장치.
  7. (a) 레인지 후드를 통한 배기 풍량에 대응하는 필요 급기 풍량을 충족시키는 급기팬 모터의 초기 회전수로 급기팬을 시운전 가동하는 단계;
    (b)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에 기초하여 누기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필요 급기 풍량에서 상기 누기량을 가감한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급기 풍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기 풍량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실내가 평압 상태일 때의 급기팬 풍량과 급기팬 모터 회전수가 입력된 제1테이블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급기팬을 시운전 가동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급기팬의 가동에 따른 실내 차압 발생 시의 급기팬 모터 회전수에 대응하는 누기량이 입력된 제2테이블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누기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풍량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급기팬의 시운전 가동 후 상기 급기팬 모터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풍량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설정 급기 풍량 만큼의 풍량이 상기 급기팬을 통해 실내로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팬의 모터에 인가되는 속도제어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풍량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레인지 후드의 단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은 상기 레이지 후드의 단수별로 상이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마련되며,
    상기 레인지 후드의 단수별로 마련된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필요 급기 풍량을 설정하고 상기 누기량을 추정하여 상기 설정 급기 풍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풍량 제어방법.
KR1020180082586A 2018-07-16 2018-07-16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 KR10224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86A KR102241834B1 (ko) 2018-07-16 2018-07-16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86A KR102241834B1 (ko) 2018-07-16 2018-07-16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60A true KR20200008460A (ko) 2020-01-28
KR102241834B1 KR102241834B1 (ko) 2021-05-03

Family

ID=6937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586A KR102241834B1 (ko) 2018-07-16 2018-07-16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0696A (zh) * 2021-12-15 2022-03-0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控制方法和装置
CN113074392B (zh) * 2020-01-06 2022-05-1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楼宇集中式排烟系统中的室内吸油烟机实际风量计算方法
CN114659248A (zh) * 2022-03-28 2022-06-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与抽油烟机的互联控制方法与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582A (ja) * 1993-05-18 1994-11-25 Matsushita Seiko Co Ltd 風量一定制御給排形換気システム
KR100577204B1 (ko) 2004-05-21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력조절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량 조절방법
KR100634783B1 (ko) * 2005-06-27 200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10073073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제어 회로, 환기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75614A (ko) * 2011-12-27 201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및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582A (ja) * 1993-05-18 1994-11-25 Matsushita Seiko Co Ltd 風量一定制御給排形換気システム
KR100577204B1 (ko) 2004-05-21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력조절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량 조절방법
KR100634783B1 (ko) * 2005-06-27 200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10073073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제어 회로, 환기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75614A (ko) * 2011-12-27 201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및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4392B (zh) * 2020-01-06 2022-05-1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楼宇集中式排烟系统中的室内吸油烟机实际风量计算方法
CN114110696A (zh) * 2021-12-15 2022-03-0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控制方法和装置
CN114659248A (zh) * 2022-03-28 2022-06-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与抽油烟机的互联控制方法与装置
CN114659248B (zh) * 2022-03-28 2023-11-1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与抽油烟机的互联控制方法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834B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319B1 (ko) 빌딩, 환기 시스템 및 회수 장치 제어
KR102241834B1 (ko) 급기 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 풍량 제어방법
KR102248316B1 (ko) 급기풍량 제어장치 및 급기풍량 제어방법
US7275533B2 (en) Pressure controller for a mechanical draft system
EP2613100B1 (en) Air conditioner
US825167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distribution system
KR102128654B1 (ko) 음압형 특수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KR101050412B1 (ko) 에너지 절약형 주방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6394B1 (ko) 누기량 예측 및 실내풍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BE1019200A5 (nl) Werkwijze voor het inregelen van een centraal ventilatiesysteem, inregelsysteem en centraal ventilatiesysteem met een dergelijk inregelsysteem.
JP2012241969A (ja) 空気調和機の風量調整装置
JP2007263548A (ja) 換気システム
KR102582890B1 (ko) 주방후드와 환기장치의 연동 제어 장치 및 연동 제어 방법
WO2020053946A1 (ja) 換気装置および換気制御方法
KR102333933B1 (ko) 환기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JP6656054B2 (ja) 換気装置、及び算出方法
KR100577204B1 (ko) 압력조절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량 조절방법
JP3088587B2 (ja) 風量一定制御給排形換気システム
JP4130788B2 (ja) 換気装置
KR20110073073A (ko) 제어 회로, 환기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10780B1 (ko) Bldc모터의 정풍량 제어방법
CN220567319U (zh) 抽吸器单元
KR102234193B1 (ko) 가마룸 공조 장치
JP2014115056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2473104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