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253A -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253A
KR20200008253A KR1020180082155A KR20180082155A KR20200008253A KR 20200008253 A KR20200008253 A KR 20200008253A KR 1020180082155 A KR1020180082155 A KR 1020180082155A KR 20180082155 A KR20180082155 A KR 20180082155A KR 20200008253 A KR20200008253 A KR 20200008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ub
power
controll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근
임석대
성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핫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핫
Priority to KR102018008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8253A/ko
Publication of KR2020000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기(10)의 전원 공급으로 메인배터리(20)가 완충될 경우 잉여전원을 방출하지 아니하고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로 충전시켜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충전된 잉여전원을 전원소모기기(30)에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앨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전원공급기(10)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비상배터리(54)를 통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불량시에도 컨트롤러(40)를 정상으로 운영케 하여 컨트롤러(40)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MULTI HYBRID ELECTRIC ENERGY S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잉여전원을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에 충전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애고, 나아가 비상배터리로서 컨트롤러의 상시 동작을 가능케 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터네이터(Alternator), 태양광 또는 풍력발전기와 같은 전원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에 저장되면서 냉장기, 냉동기 또는 난방기와 같은 전원소모기기에서 소비되며, 잉여전원은 대부분 방출되어 버려지고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265호)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충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시스템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전원부(100), 충전유닛(200), 에너지 저장 유닛(300) 및 중앙 관리 장치(400)를 포함한다.
DC 전원부(100)는 에너지 저장 유닛(300)에 충전되는 충전 전압을 제공하거나 DC전원의 잉여전력을 다시 AC전원 쪽으로 환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C 전원부(100)는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한 발전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AC 전원을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시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에너지 저장 유닛(300)은 다수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 즉, 제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10), 제2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20),...,제N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30)으로 구성된다.
충전 유닛(200)은 DC 전원부(100)와 에너지 저장 유닛(300) 사이에 설치되며, 에너지 저장 유닛(300)을 충전 및 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충전 유닛(200)은 다수의 충전기 즉, 제1 충전기(210), 제2 충전기(220),...,제N 충전기(230)로 구성된다. 각 충전기는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 충전기(210)는 제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1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하며, 제N 충전기(230)는 제N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3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각 충전기는 충전 방전부와 충전 방전 제어부로 구성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N 충전기(230)는 제N 충전방전부(231)와 제N 충전 방전 제어부(233)를 포함한다. 제N 충전방전부(231)는 제N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30)의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한다. 제N 충전 방전 제어부(233)는 중앙 관리 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N 충전방전부(231)의 동작을 제어한다.
중앙 관리 장치(400)는 각각의 충전 방전 제어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관리 장치(400)는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입력전원 기준값과 입력전원 측정값을 각 충전기의 충전 방전 제어부로 전달하며, 각 충전기의 충전 방전 제어부는 중앙 관리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각 충전 방전 제어부와 중앙 관리 장치(40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호가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각 충전 방전 제어부는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잔존 용량, 충전 방전 전압, 충전 방전 전류,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400)로 전송한다. 중앙 관리 장치(400)는 각 충전 방전 제어부에서 전송한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상태를 판단한 후,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의 입력전압 기준값을 제어한다, 즉,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시스템은 중앙 관리 장치(400)의 제어로서 DC 전원부(100)의 전원을 제1 충전기(210), 제2 충전기(220)... 및 제N 충전기(230)를 통해 제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10), 제2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20)... 및 제3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30)으로/으로부터 충전 또는 방전하는 기술로만 제안되어 있을 뿐 잉여전원의 활용에 대하여는 전혀 언급이 없으며, 특히 DC 전원부(100)의 전원을 제1 충전기(210), 제2 충전기(220)... 및 제N 충전기(230)의 고장으로 제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10), 제2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20)... 및 제3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그룹(330)의 전원이 모두 방전될 경우 중앙 관리 장치(400)로의 전원의 공급을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265호 -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잉여전원을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에 충전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애고, 나아가 비상배터리로서 컨트롤러의 상시 동작을 가능케 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공급기의 전원 공급으로 메인배터리가 완충될 경우 잉여전원을 방출하지 아니하고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로 충전시킨 후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에 충전된 잉여전원을 전원소모기기에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앨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전원공급기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비상배터리를 통해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의 구동 불량시에도 컨트롤러를 정상으로 운영케 하여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케 할 수 있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기의 잉여전원을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로의 공급 또는 차단시 제1입력릴레이스위치, 제2입력릴레이스위치 및 제3입력릴레이스위치로서 간단히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한 통제를 기할 수 있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장 우선적으로 비상배터리의 충전을 비상입력릴레이스위치로서 가능케 하여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메인배터리보다 우선하여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전원소모기기에 공급토록 하는 반면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 중 어느 하나가 방전상태일 경우 전원소모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토록 제1출력릴레이스위치, 제2출력릴레이스위치 및 제3출력릴레이스위치로서 간단히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한 통제를 기할 수 있도록 한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배터리의 우선 충전 및 늦은 방전으로 비상배터리의 전원이 컨트롤러에 언제든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기의 전원을 충전하여 공급하는 메인배터리와, 상기 전원공급기 또는 메인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제1전원소모기기 및 제2전원소모기기와, 상기 전원공급기 또는 메인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소모기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배터리의 완충시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후 상기 전원소모기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토록 하는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배터리의 완충시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후 상기 메인배터리를 비롯하여 상기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의 구동 불량시 상기 컨트롤러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잉여전원을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에 충전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애고, 나아가 비상배터리로서 컨트롤러의 상시 동작을 가능케 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기의 전원 공급으로 메인배터리가 완충될 경우 잉여전원을 방출하지 아니하고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로 충전시킨 후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에 충전된 잉여전원을 전원소모기기에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앨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전원공급기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비상배터리를 통해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의 구동 불량시에도 컨트롤러를 정상으로 운영케 하여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기의 잉여전원을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로의 공급 또는 차단시 제1입력릴레이스위치, 제2입력릴레이스위치 및 제3입력릴레이스위치로서 간단히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한 통제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장 우선적으로 비상배터리의 충전을 비상입력릴레이스위치로서 가능케 하여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메인배터리보다 우선하여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전원소모기기에 공급토록 하는 반면 제1서브배터리, 제2서브배터리 및 제3서브배터리 중 어느 하나가 방전상태일 경우 전원소모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토록 제1출력릴레이스위치, 제2출력릴레이스위치 및 제3출력릴레이스위치로서 간단히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한 통제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상배터리의 우선 충전 및 늦은 방전으로 비상배터리의 전원이 컨트롤러에 언제든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러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충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기(10)의 전원을 충전하여 공급하는 메인배터리(20)와, 전원공급기(10) 또는 메인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전원소모기기(30)와, 전원공급기(10) 또는 메인배터리(20)를 제어하여 전원소모기기(3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기(10)는 얼터네이터, 태양광 또는 풍력발전기일 수 있고, 전원소모기기(30)는 냉장기, 냉동기 또는 난방기일 수 있으며, 전원공급기(10)의 전원을 메인배터리(20)에서 충전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공급기(10) 또는 메인배터리(20)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냉장기, 냉동기 또는 난방기와 같은 전원소모기기(30)를 컨트롤러(40)의 제어로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메인배터리(20)의 완충시 전원공급기(10)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후 전원소모기기(30)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토록 하는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서브배터리의 개수는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임]와,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메인배터리(20)의 완충시 전원공급기(10)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후 메인배터리(20)를 비롯하여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불량시 컨트롤러(40)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배터리(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원공급기(10)의 전원 공급으로 메인배터리(20)가 완충될 경우 잉여전원을 방출하지 아니하고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로 충전시켜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충전된 잉여전원을 전원소모기기(30)에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앨 수 있고, 특히 전원공급기(10)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비상배터리(54)를 통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불량시에도 컨트롤러(40)를 정상으로 운영케 하여 컨트롤러(40)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메인베터리(20)의 완충시 전원공급기(10)로부터 공급되는 잉여전원을 승압시켜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충전시키는 전원승압부(60)를 더 포함하여, 전원공급기(10)로부터 공급되는 잉여전원의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로의 충전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완충상태일 경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반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방전상태일 경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각각 접속된 제1입력릴레이스위치(71), 제2입력릴레이스위치(72) 및 제3입력릴레이스위치(73)를 포함한다.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을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로의 공급 또는 차단시 제1입력릴레이스위치(71), 제2입력릴레이스위치(72) 및 제3입력릴레이스위치(73)로서 간단히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한 통제를 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비상배터리(54)가 완충상태일 경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반면 비상배터리(54)가 방전상태일 경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우선하여 실현할 수 있도록 비상배터리(54)에 접속된 비상입력릴레이스위치(74)를 포함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비상배터리(54)의 충전을 비상입력릴레이스위치(74)로서 가능케 하여 컨트롤러(40)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완충상태일 경우 메인배터리(20)보다 우선하여 전원소모기기(30)로의 전원공급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방전상태일 경우 전원소모기기(3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각각 접속된 제1출력릴레이스위치(81), 제2출력릴레이스위치(82) 및 제3출력릴레이스위치(83)를 포함한다.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메인배터리(20)보다 우선하여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로부터의 전원을 전원소모기기(30)에 공급토록 하는 반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방전상태일 경우 전원소모기기(3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토록 제1출력릴레이스위치(81), 제2출력릴레이스위치(82) 및 제3출력릴레이스위치(83)로서 간단히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배터리(20)의 충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보다 신속하고도 정확한 통제를 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불량시 컨트롤러(40)에 비상전원을 우선 공급하도록 하는 반면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정상시 컨트롤러(40)로의 비상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비상배터리(54)에 접속된 비상출력릴레이스위치(84)를 포함하여, 비상배터리(54)의 우선 충전 및 늦은 방전으로 비상배터리(54)의 전원이 컨트롤러(40)에 언제든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러(40)의 최소한의 제어 동작을 상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을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충전케 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없애고, 나아가 비상배터리(54)로서 컨트롤러(40)의 상시 동작을 가능케 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방전을 통한 전원소모기기로의 전원공급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전원공급기 20 : 메인배터리
30 : 전원소모기기 40 : 컨트롤러
51 : 제1서브배터리 52 : 제2서브배터리
53 : 제3서브배터리 54 : 비상배터리
60 : 전원승압부 71 : 제1입력릴레이스위치
72 : 제2입력릴레이스위치 73 : 제3입력릴레이스위치
74 : 비상입력릴레이스위치 81 : 제1출력릴레이스위치
82 : 제2출력릴레이스위치 83 : 제3출력릴레이스위치
84 : 비상출력릴레이스위치

Claims (8)

  1. 전원공급기(10)의 전원을 충전하여 공급하는 메인배터리(20)와, 상기 전원공급기(10) 또는 메인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전원소모기기(30)와, 상기 전원공급기(10) 또는 메인배터리(20)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소모기기(3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완충시 상기 전원공급기(10)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후 상기 전원소모기기(30)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토록 하는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와,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완충시 상기 전원공급기(10)로부터 잉여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 후 상기 메인배터리(20)를 비롯하여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불량시 상기 컨트롤러(40)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배터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베터리(20)의 완충시 상기 전원공급기(10)로부터 공급되는 잉여전원을 승압시켜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충전시키는 전원승압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기(10)는 얼터네이터, 태양광 또는 풍력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소모기기(30)는 냉장기, 냉동기 또는 난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완충상태일 경우 상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반면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방전상태일 경우 상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각각 접속된 제1입력릴레이스위치(71), 제2입력릴레이스위치(72) 및 제3입력릴레이스위치(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상배터리(54)가 완충상태일 경우 상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반면 상기 비상배터리(54)가 방전상태일 경우 상기 전원공급기(10)로부터의 잉여전원의 공급을 우선하여 실현할 수 있도록 비상배터리(54)에 접속된 비상입력릴레이스위치(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완충상태일 경우 상기 메인배터리(20)보다 우선하여 상기 전원소모기기(30)로의 전원공급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 중 어느 하나가 방전상태일 경우 상기 전원소모기기(3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에 각각 접속된 제1출력릴레이스위치(81), 제2출력릴레이스위치(82) 및 제3출력릴레이스위치(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불량시 상기 컨트롤러(40)에 비상전원을 우선 공급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제1서브배터리(51), 제2서브배터리(52) 및 제3서브배터리(53)의 구동 정상시 상기 컨트롤러(40)로의 비상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비상배터리(54)에 접속된 비상출력릴레이스위치(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20180082155A 2018-07-16 2018-07-16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20200008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55A KR20200008253A (ko) 2018-07-16 2018-07-16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55A KR20200008253A (ko) 2018-07-16 2018-07-16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253A true KR20200008253A (ko) 2020-01-28

Family

ID=6937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55A KR20200008253A (ko) 2018-07-16 2018-07-16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82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867A (ko) * 2021-01-27 2022-08-04 ㈜브레이크 더 룰스 Ai를 이용한 작업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65B1 (ko) 2011-11-11 2013-05-08 (주)인텍에프에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65B1 (ko) 2011-11-11 2013-05-08 (주)인텍에프에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867A (ko) * 2021-01-27 2022-08-04 ㈜브레이크 더 룰스 Ai를 이용한 작업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95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4954335B2 (ja) 急速充電装置
US6781343B1 (en) Hybrid power supply device
CN103051019A (zh) 一种电池组间串并联切换控制系统及其充放电控制方法
CN104641533A (zh) 用于控制电池的装置和方法
KR102437708B1 (ko) 연료전지차량의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JP2020031529A (ja) 電気自動車給電システム及びその給電方法
JP6586290B2 (ja) 蓄電制御装置及び輸送機器、並びに、蓄電制御方法
JP2002218654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10800271B2 (en) Supply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170088689A (ko) Ldc의 전력효율 개선을 위해 병렬 구성을 이용한 제어방법 및 장치
KR20200008253A (ko) 멀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1590835B1 (ko) 유무선 이중화 통신을 이용한 상호 전력 공급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
KR2018013617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01177995A (ja) ハイブリッド電源システム
JP2015070637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9071922A (ja) 直流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215396B1 (ko) 방전전류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그리드 무정전전원장치
KR20110004192A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JP6404547B2 (ja) 充電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7006572B2 (ja) 車両用充電制御システム
JP2014023412A (ja) 給電システム
US11355789B2 (en) Bypass circuit at a rechargeable battery
KR20200145802A (ko) 무순단 전원 공급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3018601A1 (ja) 蓄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