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198A -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198A
KR20200008198A KR1020180082038A KR20180082038A KR20200008198A KR 20200008198 A KR20200008198 A KR 20200008198A KR 1020180082038 A KR1020180082038 A KR 1020180082038A KR 20180082038 A KR20180082038 A KR 20180082038A KR 20200008198 A KR20200008198 A KR 20200008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cture frame
touch screen
hockey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Priority to KR102018008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8198A/ko
Publication of KR2020000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32Hock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05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played on a table, the ball or other playing body being rolled or slid from one side of the table in more than one direction or having more than one entering position on this same side, e.g. shuffle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64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63F7/2409Apparatus for projecting the balls
    • A63F7/2436Hand-held or connected to a finger, e.g. cues, clubs,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63F7/2409Apparatus for projecting the balls
    • A63F7/2436Hand-held or connected to a finger, e.g. cues, clubs, sticks
    • A63F2007/2445Stick-shaped
    • A63F2007/2454Club, sti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63F2009/241Touch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어저 센서 및 카메라 센서를 활용하여 플레이어의 스틱 움직임을 인식하여 3D 인터랙티브 맵핑되어 에어하키 테이블 상판에 스틱의 움직임과 상호작용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는 다이나믹 에어하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제 채와 하키퍽을 사용하여 종래의 게임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채와 하키퍽의 이동과 접촉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블 바닥면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콘텐츠인 그림틀의 사진공간부에 촬영된 사진을 채우고, 채색공간에 색상을 표시한 후 그 그림틀 정보를 제어부를 통해 모니터부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진과 채식이된 그림틀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참여한 작품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어,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 모두 호기심을 갖게 하고 몰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 DYNAMIC AIR-HOCKEY USING A INTERACTIVE MAPPING TECHNOLOGY }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어저 센서 및 카메라 센서를 활용하여 플레이어의 스틱 움직임을 인식하여 3D 인터랙티브 맵핑되어 에어하키 테이블 상판에 스틱의 움직임과 상호작용하는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는 다이나믹 에어하키에 관한 것이다.
에어하키는 테이블과 하키퍽, 채로 구성된 게임장치이다. 전원에 의해 테이블 내부의 송풍장치가 가동되면 테이블 바닥 위에 타공된 미세한 구멍으로 공기가 배출되며, 배출 공기에 의해 테이블 위에 놓여진 하키퍽은 위로 미세하게 부양되어 테이블 바닥과 마찰하지 않으므로 채로 타격하면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테이블 양편에 사용자가 채를 쥐고 하키퍽을 타격하여 상대편 테이블에 형성된 구멍골대에 하키퍽을 넣으면 득점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하키 게임의 경우 공과 하키퍽의 이동을 사람의 눈으로만 추적하므로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없었으며, 게임의 진행이 단조로운 문제가 있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5377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상기한 기술의 경우 센서를 통해 퍽을 감지하여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동시에 주어 게임의 진행을 더욱 흥미롭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테이블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게임하는 사용자가 게임 중에 시각적효과를 느끼기 어렵고, 게임진행 자체에 흥미를 주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채와 하키퍽을 사용하여 종래의 게임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채와 하키퍽의 이동과 접촉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청각적 효과가 채와 하키퍽에서 발생하도록 한다.
아울러 테이블이 터치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콘텐츠인 그림틀의 사진공간부에 촬영된 사진을 채우고, 채색공간에 색상을 표시한 후 그 그림틀 정보를 제어부를 통해 모니터부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진과 채식이된 그림틀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참여한 작품을 테이블에 표시되어 게임의 배경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어,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 모두 호기심을 갖게 하고 게임에 몰입되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로서, 테이블 바닥면에 미세한 구멍이 타공되어 공기가 배출되며, 채를 이용해 2명의 사용자가 하키퍽을 상대방의 골대에 넣는 에어하키로,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기둥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일측의 기둥에는 테이블 위의 스틱과 퍽, 사용자의 손의 좌표를 인식하는 센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기둥의 상부 사이에는 프로젝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영상을 테이블 바닥면에 영사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정보를 받아 처리하고 상기 프로젝터부에서 영사되는 영상을 송출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스틱과 퍽의 충돌시에 충돌효과영상을 스틱과 퍽 주면에 영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와 프로젝터부는 제어부에 의해 테이블 바닥면이 터치스크린장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이블에는 사진촬영부가 마련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콘텐츠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와,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전달되는 가공된 콘텐츠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가공된 콘텐츠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진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진이 채워지도록 사진공간부를 갖는 그림틀을 제공하는 사진입력모듈부와, 상기 사진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의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모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진입력모듈부는 상기 그림틀에 채색공간을 더 형성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는 상기 그림틀의 채색공간에 색상을 표시하도록 채색표시모듈부가 더 마련됨과 아울러 색상을 터치하여 표시하도록 채색아이콘이 상기 터치시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는 사진공간부에 촬영된 사진이 배치되고, 상기 채색공간에 색상이 표시된 상기 그림틀이 움직이도록 이송모듈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장치의 사진촬영부로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촬영단계와, 촬영된 사진을 콘텐츠 제공부의 사진입력모듈부에서 제공되는 그림틀의 사진공간에 배치시키는 배치단계와,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그림틀의 채색공간에 색상을 표시하는 색상표시단계와, 사진과 색상이 표시된 그림틀이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에 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송되도록 하는 구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제 채와 하키퍽을 사용하여 종래의 게임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채와 하키퍽의 이동과 접촉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블 바닥면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콘텐츠인 그림틀의 사진공간부에 촬영된 사진을 채우고, 채색공간에 색상을 표시한 후 그 그림틀 정보를 제어부를 통해 모니터부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진과 채식이된 그림틀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참여한 작품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어,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 모두 호기심을 갖게 하고 몰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에어하키는 테이블(1), 골대(2), 채(3), 하키퍽(4), 센서부(5), 프로젝터부(6), 콘텐츠 제공시스템(10), 터치스크린장치(20)와 콘텐츠 제공부(30)와 제어부(40)와 모니터부(50)로 이루어진다.
테이블(1)은 게임이 진행되는 사각판형의 부분이며 양측에 기둥이 각각 형성된다.
골대(2)가 테이블의 양쪽편에 형성되며, 이때 사용자는 골대 뒤에 서서 하키퍽(4)이 자기쪽 골대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상대편 골대에 하키퍽(4)을 넣는 게임을 수행한다.
채(3)와 하키퍽(4)은 테이블 위에 거치되며, 채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하키퍽(4)과 충돌시켜 하키퍽(4)을 원하는 방향, 속도로 보낸다.
센서부(5)는 상기 일측의 기둥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테이블 위의 상기 채와 퍽, 사용자의 손의 좌표를 인식한다. 이때 센서부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채와 퍽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좌표를 제어부에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터부(6)는 상기 양 기둥의 상부 사이에는 형성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프로젝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영사 범위는 테이블 바닥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정보를 받아 처리하고 상기 프로젝터부에서 영사되는 영상을 송출하는 부분이다.
이때 제어부는 스틱과 퍽의 충돌시에 충돌효과영상을 스틱과 퍽 주면에 영사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와 프로젝터부는 제어부에 의해 테이블 바닥면이 터치스크린장치(20)와 모니터부(5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장치(20)는 터치스크린(21)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이나 접촉에 따른 정전기를 인식하는 통상의 터치스크린(21)이며, 이러한 터치스크린(21)은 터치스크링장치(20)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기한 터치스크린(21)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터치하도록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상기 터치스크린장치(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사용자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터치스크린장치(2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얼굴이나 신체를 촬영하도록 사잔촬영부(22)가 마련된다. 이때, 사진촬영부(22)를 작동시키도록 터치스크린(20)에 촬영아이콘을 마련하거나 터치스크린장치(20)에 작동버튼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진촬영부(22)는 터치스크린(2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30)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컴퓨터이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30)는 상기 터치스크린(21)에 콘텐츠정보가 표시되도록 콘텐츠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30)는 상기 사진촬영부(22)에서 촬영된 사진이 채워지도록 사진공간부(311a)를 갖는 그림틀(311)을 제공하는 사진입력모듈부(31)와, 상기 사진촬영부(22)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20)의 터치스크린(21)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모듈부(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진촬영부(22)에서 촬영된 사진은 상기 콘텐츠 제공부(30)에 전달되어, 상기 터치스크린(21)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사진입력모듈부(31)는 상기 그림틀(311)에 채색공간(311b)을 더 형성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30)에는 상기 그림틀(311)의 채색공간(311b)에 색상을 표시하도록 채색표시모듈부(33)가 더 마련됨과 아울러 사용자가 표시된 색상을 터치하여 채색공간(311b)에 표시하도록 채색아이콘이 상기 터치시크린에 표시되도록 한다.
다르게는 상기 그림틀(311)의 사진공간부(311a)에 사진이 배치되면,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사전에 입력된 색상정보를 채색공간(311b)에 표시한 후 그 정보를 제어부(40)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30)에서 전달되는 가공된 콘텐츠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1)에 표시된 촬영된 사진을 터치한 후 상기 그림틀(311)의 사진공간부(311a)를 터치하여 사진공간부(311a)에 촬영된 사진이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그림틀(311)의 채색공간(311b)에 색상의 표시가 완료되면, 상기 콘텐츠 제공부(30)가 사진이 배치되고 색상이 표시된 그림틀정보를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40)는 상기 모니터부(50)에 그 그림틀정보를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서, 촬영된 사용자사진과 사용자가 채색한 색상이 표시된 그림틀을 모니터부(50)를 통해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다르게는 촬영된 사진을 터치스크린(21)을 통해 터치하여 그림틀(311)로 이동시키지 않고 사진이 촬영되면 콘텐츠 제공부(30)에서 자동으로 그림틀(311)의 사진공간부(311a)로 촬영된 사진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모니터부(5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가공된 콘텐츠정보인 그림틀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콘텐츠 제공부(30)에는 사진공간부(311a)에 촬영된 사진이 배치되고, 상기 채색공간(311b)에 색상이 표시된 상기 그림틀(311)이 움직이도록 이송모듈부(34)가 더 마련된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30)에서 제공되는 사진과 색상이 표시된 그림틀정보와 그림틀정보의 이송정보를 제어부(40)에 전달하여 상기 모니터부(50)를 통해 그림틀이 이송되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모션터치 및 사용자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면 터치스크린장치(20)의 사진촬영부로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촬영단계(S1)와, 촬영된 사진을 콘텐츠 제공부(30)의 사진입력모듈부(31)에서 제공되는 그림틀의 사진공간에 배치시키는 배치단계(S2)와, 상기 콘텐츠 제공부(30)에서 제공되는 상기 그림틀(311)의 채색공간(311Bb)에 색상을 표시하는 색상표시단계(S3)와, 사진과 색상이 표시된 그림틀이 모니터부(50)에 디스플레이에 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송되도록 하는 구현단계(S4)로 이루어진다.
1 : 테이블 2 : 골대
3 : 채 4 : 하키퍽
5 : 센서부 6 : 프로젝터부
10 : 콘텐츠 제공시스템 20 : 터치스크린장치
30 : 콘텐츠 제공부 40 : 제어부
50 : 모니터부
21 : 터치스크린 22 : 사진촬영부
31 : 사진입력모듈부 311 : 그림틀
311a : 사진공간부 311b : 채색공간
32 : 표시모듈부 33 : 채색모듈부
34 : 이송모듈부
S1 : 사진촬영단계 S2 : 배치단계
S3 : 색상표시단계 S4 : 구현단계

Claims (2)

  1. 테이블 바닥면에 미세한 구멍이 타공되어 공기가 배출되며, 채를 이용해 2명의 사용자가 하키퍽을 상대방의 골대에 넣는 에어하키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기둥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 위에는 2개의 채와 하키퍽이 거치되며,
    상기 테이블의 양측 중앙부에는 골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의 기둥에는 테이블 위의 상기 채와 퍽, 사용자의 손의 좌표를 인식하는 센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기둥의 상부 사이에는 프로젝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부는 영상을 테이블 바닥면에 영사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정보를 받아 처리하고 상기 프로젝터부에서 영사되는 영상을 송출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스틱과 퍽의 충돌시에 충돌효과영상을 스틱과 퍽 주면에 영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와 프로젝터부는 제어부에 의해 테이블 바닥면이 터치스크린장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는 사진촬영부가 마련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콘텐츠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전달되는 가공된 콘텐츠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어부에서 가공된 콘텐츠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부로 이루어지며,
    이때 모니터부는 터치스크린 내에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진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진이 채워지도록 사진공간부를 갖는 그림틀을 제공하는 사진입력모듈부와,
    상기 사진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의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모듈부로 이루어며,
    상기 사진입력모듈부는 상기 그림틀에 채색공간을 더 형성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는 상기 그림틀의 채색공간에 색상을 표시하도록 채색표시모듈부가 더 마련됨과 아울러 색상을 터치하여 표시하도록 채색아이콘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는 사진공간부에 촬영된 사진이 배치되고, 상기 채색공간에 색상이 표시된 상기 그림틀이 움직이도록 이송모듈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터치 및 사용자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0180082038A 2018-07-16 2018-07-16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KR20200008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038A KR20200008198A (ko) 2018-07-16 2018-07-16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038A KR20200008198A (ko) 2018-07-16 2018-07-16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198A true KR20200008198A (ko) 2020-01-28

Family

ID=6937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038A KR20200008198A (ko) 2018-07-16 2018-07-16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81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856B1 (ko) * 2021-03-11 2021-07-05 서영철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지훈련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22075885A1 (en) * 2020-10-05 2022-04-14 Limited Liability Company "Universal Terminal Systems" Device for playing air hockey
KR20220105068A (ko) 2021-01-19 2022-07-26 정웅희 1 인용 에어하키 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885A1 (en) * 2020-10-05 2022-04-14 Limited Liability Company "Universal Terminal Systems" Device for playing air hockey
KR20220105068A (ko) 2021-01-19 2022-07-26 정웅희 1 인용 에어하키 로봇
KR102272856B1 (ko) * 2021-03-11 2021-07-05 서영철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지훈련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05B2 (en) Augmented reality video game systems
US97893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common pointing input to control 3D viewpoint and object targeting
Oda et al. Developing an augmented reality racing game
US5913727A (en) Interactive movement and contact simulation game
US20140168100A1 (en) Video-game controller assemblies designed for progressive control of actionable-objects displayed on touchscreens: expanding the method and breadth of touch-input delivery
JP2000033184A (ja) 全身動作入力型のゲ―ム及びイベント装置
US20090104988A1 (en) Three-dimensional game piece
JP5800484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H07185131A (ja) テレビ遊戯システム
JP6534198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処理方法、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021296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1847745B1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head mounted display utilized in room scale virtual reality system
JPH117543A (ja) 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装置
US20130065682A1 (en) Game system, portable game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apable of changing game processing in consideration of position of operation apparatus to be operated
JPH07200162A (ja) 仮想現実体験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ゲーム装置
KR20140043522A (ko) 투명 양면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8198A (ko) 인터랙티브 맵핑 기술을 융합한 다이나믹 에어하키
TW201219092A (en) Game system, controller device, and game process method
US20110070953A1 (en)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90104993A1 (en) Electronic game controller with motion-sensing capability
JP2012181616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システム
JP6726322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305599B2 (ja) プログラム
US10981060B1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room scale virtual reality system
Olwal et al. Consigalo: multi-user face-to-face interaction on immaterial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