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693A - Flat knitting machine - Google Patents

Flat knit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693A
KR20200007693A KR1020190083253A KR20190083253A KR20200007693A KR 20200007693 A KR20200007693 A KR 20200007693A KR 1020190083253 A KR1020190083253 A KR 1020190083253A KR 20190083253 A KR20190083253 A KR 20190083253A KR 20200007693 A KR20200007693 A KR 2020000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titch
cam
knitting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6578B1 (en
Inventor
도루 니시무라
마사미쓰 이케나카
마사히로 시모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03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7233309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0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6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t knitting machine which, when an operation for inhibiting knock over of a stitch in a finger connection unit by a stitch inhibition plate is stopped, makes resistance that a needle loop received when the stitch inhibition plate moves smaller than existing methods to ensure knock over. A stitch inhibition groove (5a) of the stitch inhibition plate (5) is operated in a needle (4) supporting a stitch which becomes a finger connection unit (6a) in a finger unit (7) to be knitted for a finger unit (6) knitted previously in order to overlap between finger units (6, 7) knitt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fter finishing knitting of the next finger unit (7),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needle (4)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on unit (6a) to a releasing location by means of a return cam surface (16a) of a pressure cam (16), and moves the stitch inhibition plate (5). The releasing location is a side of a needle bed gap (2), rather than a location where the needle (4) is inserted into a needle bed (3) in forming the stitch, and the needle loop of the stitch in the finger connection unit (6a) reduces increase of resistance received when returning from the stitch inhibition groove (5a) to the needle bed gap (2), thereby definitely enabling knock over.

Description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Flat Knitting Machine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손가락부(발가락부)를 갖는 장갑이나 양말 등을 통모양의 편성포(編成布)로 편성하고, 손가락부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한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itch restraining plate for knitting gloves or socks having a finger portion (toe portion) into a cylindrical knitted fabric and overlapping the finger portions. It relates to a flat knitting machine.

종래의 오버랩을 시키면서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하는 장갑 편성기 등의 횡편기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측의 선단(先端)에 띠모양의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 참조). 특허문헌1에서는, 스티치 가압판이 스티치 억제판에 상당한다. 니들베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편침(編針)은, 니들 플레이트 사이의 니들홈에 수용되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선단의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시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침의 진퇴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구동된다.A flat knitting machine, such as a glove knitting machine, which sequentially knits a finger part while making a conventional overlap, has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nd a tip end of the needle bed gap side between the needle beds ( A band-shaped stitch restraining plate is provided in (former patent document 1, 2). In patent document 1, a stitch presser plate corresponds to a stitch restraint plate. The needle bed has needle plates that are installed side by side at a constant pitc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Knitting needles are accommodated in the needle grooves between the needle plates an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and the hooks at the ends are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to knit the knit fabric. Retraction of the knitting needle is driven by a cam mounted on a carriage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스티치 억제판은, 니들베드갭 측의 선단으로부터 니들베드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스티치 억제홈을 구비한다. 스티치 억제홈은, 길이방향의 일방측(一方側)에서 오버랩을 시키는 구간의 편침에 지지되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작용한다. 스티치 억제홈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스티치 억제판은 길이방향의 일방측에서 타방측(他方側)으로 이동된다.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어 스티치 억제홈으로 침입한다.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은,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의 바로 위의 침간(針幹)에 정지시켜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한다. 이 편침의 스티치 억제홈보다도 니들베드갭 측의 부분은, 다음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까지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 손가락부의 편성이 종료하면, 스티치 억제판을 길이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스티치 억제홈을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로부터 일방측으로 분리한다. 앞서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의 경사부를 지나 니들베드갭 측으로 되돌아가고, 니들베드갭 측에서 편성된 다음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포개진다. 2개의 손가락부에 계속되는 몸통부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2개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로서 녹오버되어, 오버랩이 이루어진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된다.The stitch restraining plate includes a stitch restraining groove at a position away from the tip end of the needle bed gap side to the needle bed side. The stitch restraint groove acts on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supported by the knitting needles in the section to be overlapp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operate the stitch restraint groove, the stitch restraint plate is moved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side.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are guided to move relative to the stitch restraint plate and invade into the stitch restraint grooves. The knitting needle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of the finger portions knitted previously stops the stitches on the needle bar just above the stitch restraint groove to suppress knock over. The portion on the needle bed gap side of the stitch restraint groove of the knitting needle is used to knit the next finger portion to the finger joint portion. When the knitting of the next finger portion is finished, the stitch restraint plate is mov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itch restraint groove is separated from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portion to one side.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of the finger portion knitted previously is returned to the needle bed gap side past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and knitt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and then superimposed on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of the finger portion. When knitting the knitted fabric of the trunk portion following the two finger portions, the stitches of the two finger joints are knocked over as a double stitch to form an overlapped finger joint.

캐리지에는 가동캠을 포함하는 각종 캠이 탑재되고, 가동캠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바(control bar)를 통하여 캐리지의 외부로부터 작동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특허문헌3의 도1에 나타내는 가동캠은, 부호14의 스티치 캠과 부호16의 프레셔 캠을 포함한다. 특허문헌3의 도3은, 부호10F로 나타내는 앞쪽 니들베드의 선단측이며 편침으로서 부호S로 나타내는 래치니들(latch needle)의 하측에, 앞쪽 니들베드보다도 가늘게 빗금을 그어 스티치 억제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은, 래치니들의 뒤쪽에 니들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다.The carriage is equipped with various cams including a movable cam, and the movable cam is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rriage through a control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see Patent Document 3, for example). The movable cam shown in FIG. 1 of patent document 3 contains the stitch cam of 14 and the pressure cam of 16. As shown in FIG. Fig. 3 of Patent Literature 3 shows a stitch restraining plate with a thinner hatching than the front needle bed on the lower side of the latch needle indicated by the symbol S as the knitting needle, which is the tip side of the front needle bed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F. 3 also shows the needle plate behind the latch needle.

스티치 캠은,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스티치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티치값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하하는 정도를 변경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프레셔 캠은,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으로 지지하는 편침에 작용하도록 이동하고,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하하여, 스티치가 스티치 억제홈으로 침입하기 쉽게 한다. 스티치 억제판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으로 침입시킬 때에,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上面)과 니들 플레이트의 저면(底面) 또는 편침의 저면과의 사이는 슬라이딩한다.When the stitch cam is formed, the stitch cam can move to change the degree to which the knitting needle is lowered 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titch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he pressure cam moves to act on the knitting needle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portion by the hook, and the knitting needle is lowered to the needle bed side, so that the stitches easily enter the stitch restraint groove. When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filtrate the stitches into the stitch restraint groov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and the bottom face of the needle plate or the bottom face of the needle needle slide.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 제305337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053576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2674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1-2674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4407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44077

최근의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하는 횡편기에는, 가는 편사(編絲)를 사용하여 코팅장갑이나 정밀작업용 장갑의 편성 등 얇은 장갑을 편성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편사가 가늘어지면,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빼고 스티치 억제홈에 정지되어 있던 스티치를 경사부를 따라 니들베드갭 측으로 되돌릴 때에 문제가 생기기 쉬워진다. 가는 편사는,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과 니들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편침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간극에 말려들어 가 끼기 쉬워진다. 편사가 간극에 끼이면, 앞서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는 계속된다. 스티치는, 몸통부의 편성포의 편성의 진행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다음에 해제되어 녹오버된다. 이와 같은 녹오버의 지연을 동반하는 편성제품은, 불량이 되어 버린다.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flat knitting machines having a stitch restraint plate are required to be able to knit thin gloves, such as knitting gloves or gloves for precision work, using a thin knitting yarn. However, when the knitting yarn becomes thinner, a problem tends to occur when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is removed from the finger joint and the stitches stopped in the stitch restraint groove are returned to the needle bed gap side along the inclined portion. The thin knitting yarn is easily caught in the gap for slid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needle plat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knitting needle. When the knitting yarn is caught in the gap, the state where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portion are not released is continued. The stitch is pulled by the progression of the knitting fabric of the trunk portion, and then released and knocked over. The knitted product with such a delay of knockover becomes a defect.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은, 스티치 억제홈의 경사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端面)을 경사면으로 하여, 가는 편사이더라도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과 니들 플레이트 등의 저면과의 간극에 말려들어 가기 어렵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은, 스티치 억제판이 니들 플레이트 등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수용부재로 제한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과 니들 플레이트 등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렵게 하고 있다.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uses a cross section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titch restraint groove as an inclined surface, and is rolled up by a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and the bottom face such as a needle plate, even if thin. It is making it hard to go. Th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restrict | limits to a receiving member so that a stitch suppression plate may not move away from the bottom face, such as a needle plate, and makes it hard to produce a clearanc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a stitch restraint plate, and the bottom face, such as a needle plate.

그러나 니들 플레이트는, 니들베드의 기판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니들베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판상부재(板狀部材)이다. 편침은, 니들 플레이트 사이의 니들홈에 수용되어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하는 복수의 침상부재(針狀部材)이다. 이들 부재는 상호 간에 슬라이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밀착시킬 수 없어, 가는 편사가 말려들어 가는 간극이 생겨 버린다. 스티치 억제홈에 정지되어 있던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경사부를 따라 니들베드갭 측으로 되돌릴 때에, 스티치의 니들루프(needle loop)는 편침의 침간으로부터 훅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니들루프는, 훅을 닫은 상태의 래치 위를 지난다. 래치 위를 지나는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래치의 경사에 따라 증대한다. 니들루프는, 이동에 대한 둘레의 길이의 증대로 저항을 받고, 저항이 크면 원활한 이동이 곤란해진다. 특허문헌1과 같은 스티치 억제홈의 형상에 대한 대책이나 특허문헌2와 같은 스티치 억제판의 수용부재에 의한 대책은, 니들루프가 받는 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들의 대책만으로는, 가는 편사가 이동할 때에 저항을 받는 경우에, 간극으로 말려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생각된다.However, the needle plate is a plurality of plate-like members which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ubstrate of the needle bed to form the needle bed. The knitting needles are a plurality of needle-like members accommodated in the needle grooves between the needle plates and advancing with respect to the needle bed gap. Since these members need to slide with each other, they can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a gap in which the thin knitting yarns are rolled up occurs. When returning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portions stationary in the stitch restraint grooves to the needle bed gap side along the inclined portion, the needle loops of the stitches are moved from the needle needles to the tip side of the hook. The moving needle loop passes over the latch with the hook closed.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art passing on the latch increases with the inclination of the latch. The needle loop is resisted by increasing the circumferential length with respect to movement, and when the resistance is large, smooth movement becomes difficult. The countermeasure against the shape of the stitch restraint groove like patent document 1 and the countermeasure by the accommodating member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like patent document 2 do not reduce the resistance which the needle loop receives. Therefore, only these measures are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prevent the rolling into the gap when the thin knitting yarn is subjected to resistance when it moves.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치 억제판에 의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의 녹오버를 억제하는 작용을 정지시킬 때에, 스티치 억제판의 이동에 수반하여 니들루프가 받는 저항을 작게 하여, 녹오버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esistance received by the needle loop with movement of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when stopping the action of suppressing the knockover of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by the stitch restraint plate, thereby ensuring knocko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편침(編針)에 형성되고, 선침결과에 따라 출몰하는 구동 버트(驅動 butt)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편성캠(knitting cam)으로,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진퇴하도록 구동하면서, 복수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통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일방측(一方側)에서 인접하여 편성하는 손가락부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한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구비하고,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single needl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nd the drive butt oozing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prior needle is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knitting cam mounted on a carriage, which is driven to advance and retreat to a needle bed gap between needle beds, in order to knit a tubular knitted fabric having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A stitch restraining plate for overlapping between the finger portions knitted adjacently on one side in the direction;

스티치 억제판에 형성하는 스티치 억제홈으로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편침의 침간(針幹)에 정지시켜 지지하고, 다음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가 포함되는 최종 코스까지 편성하는 사이에, 지지하는 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While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of the finger portion knitted previously with the stitch restraint groove formed in the stitch restraint plate is stopped and supported by the needle needle of the knitting needle, the next finger portion is knitted to the final course including the finger joint.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which suppresses the knock over of the stitch to be made,

캐리지에 탑재되고, 스티치 억제판에 의하여 녹오버를 억제하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침간에 지지하는 편침의 버트에 작용하고, 스티치 억제판이 스티치를 억제하고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갭 측의 해제위치로 편침을 되돌리는 캠면을 갖는 귀환캠(return cam)을 구비하는It is mounted on the carriage and acts on the butt of the needle which supports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part which suppresses knockover by the stitch restraint on a needle, and knits to the release position of the needle bed gap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stitch restraint plate suppresses stitch. With a return cam having a cam surface for return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이다.It is a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트는, 상기 구동 버트보다도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고, 항상 돌출되어 있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이고,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 is a needle bed gap side butt which is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more than the drive butt and always protrudes,

상기 캠면을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절환기구(切換機構)를 더 포함하는And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he cam surface is acted on a needle bed gap side butt.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으로 지지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켜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으로 안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 구동 캠면을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시켜, 상기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引入)하도록 구동하는 프레셔 캠(pressure cam)이고,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the needle to support the stitches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of the finger portion of the previously knitted with the hook, to act to guide the stitch to the stitch suppression groove by acting the stitch suppression plate, the needle It is a pressure cam which drives the drive cam surface formed in the bed side to the said drive butt, and pulls the said knitting needle to the needle bed side,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프레셔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The cam surface which acts o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and returns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joint por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s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of the pressure cam.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stitch cam)이고,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cam is a stitch cam acting on the drive butt to the drive cam surface to draw the needle in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be formed,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A cam surface which acts o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and returns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joint por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s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of the stitch cam.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cam is a stitch cam acting on the drive butt to the drive cam surface, so as to draw the needle in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form,

구동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구동 캠면보다도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The cam surface which acts on the driving butt and returns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previously joined finger joint por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s formed on the needle bed side rather than the driving cam surface of the stitch cam.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cam is a stitch cam acting on the drive butt to the drive cam surface, so as to draw the needle in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form,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The stitch cam pulls back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connection portion from the needle bed gap to the release position in the knitting operation of the empty course without the sudden yarn after knitting the next finger portion.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cam is a stitch cam acting on the drive butt to the drive cam surface, so that the needle is drawn 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be formed,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하기 전에,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킨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구동하여, 적어도 상기 해제위치까지는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The stitch cam drives the knitting needle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joints in the knitting operation of the empty course without the sudden yarn after the actua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before the next finger portion is knitted, and at least The needle bed gap is pulled back to the release position.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에 의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의 녹오버 억제의 정지는,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침간에 지지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 측이 되는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두고 행한다. 이 이동으로, 스티치는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진다. 스티치 억제판이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멀어지는 이동에 따라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의 경사부를 따라 니들베드갭 측으로 이동하여, 확실하게 녹오버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 of the knockover suppression of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by the stitch restraint plate is performed by moving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joint to the needle bed gap release position. With this movement, the stitch is loosened against the knitting needle. As the stitch restraint plate moves away from the finger j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 move toward the needle bed gap side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and the knockover is surely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돌출되어 있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도록 귀환캠에 형성하는 캠면은,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손가락 연결부를 편성한 편침을 해제위치로 되돌린다. 다음에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녹오버하지 않고,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편침에 대하여 느슨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귀환캠의 작용은, 절환기구로 작용과 비작용을 절환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surface formed on the return cam so as to act o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which always protrudes, after knitting the next finger portion, returns the knitting needle that knitted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to the release position. Next,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of the knitted finger portion are not knocked over, and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loosened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The action of the return cam can switch the action and non-action by the switching mechanism.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프레셔 캠은,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하는 캠면에 의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지도록 편침을 되돌릴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cam formed to facilitate the ac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has a cam surface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whereby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are loosened against the knitting needle before the ac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is stopped. You can turn the needle back to lo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의 형성 시에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스티치 캠은,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하는 캠면에 의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지도록 편침을 되돌릴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tch cam which drives the needle needle to pull in the needle bed side at the time of stitch formation is stitched by the finger joint of the finger joint before stopping the ac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by the cam surface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You can reverse the needle to loosen the for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의 형성 시에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스티치 캠은, 구동 캠면의 니들베드 측에 형성하는 캠면에 의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지도록 편침을 되돌릴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tch cam for driving the needle needle into the needle bed side when the stitch is formed is stitched by the cam surface formed on the needle bed side of the drive cam surface before the ac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is stopped. The needle can be returned to loosen the need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 스티치 억제판을 빼기 전에, 앞서 편성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억제홈으로 편침의 침간에 정지시켜 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빈 코스의 편성으로 편침에 대하여 느슨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itching the next finger portion and before removing the stitch restraint plate,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that have been knitted beforehand and stopped at the stitching needle of the stitch restraint groove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are knitted to the knitting needle in the knitting of the empty course. You can loosen i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억제홈을 작용시킨 후에,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억제홈으로 편침의 침간에 정지되고, 빈 코스의 편성으로 편침에 대하여 느슨하게 하여 둔다.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도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빼기 쉽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cting the stitch restraint groove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of the finger portion knitted previously stops at the stitch needle of the stitch restraint recess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Let loose.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inger joint even after the next finger portion is knitt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횡편기(1)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한 캠의 배치도이다.
도2는, 도1의 프레셔 캠(16)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캠의 배치도이다.
도3은, 도1의 횡편기(1)에서 사용하는 니들베드(3) 및 편침(4)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편침(4)의 훅(4a) 부근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횡편기(1)에서 사용하는 캐리지(10F, 10B)의 캠의 배치도이다.
도6은, 도1의 횡편기(1)에서 프레셔 캠(16)의 동작을 절환하는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횡편기(41)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한 캠의 배치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인 횡편기(51)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한 캠의 배치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layout view of a main c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ayout view of a cam showing another operation of the pressure cam 16 of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eedle bed 3 and the knitting needle 4 us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of FIG.
FIG.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cinity of the hook 4a of the single needle 4 shown in FIG.
FIG. 5 is a layout view of cams of the carriages 10F and 10B us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of FIG.
FIG. 6 is a side view briefly showing a configurat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cam 16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of FIG.
7 is a layout view of a main c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4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layout view of a main c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51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1∼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횡편기(橫編機)(1)의 동작과 주요부분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횡편기(41)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인 횡편기(51)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4 및 실시예5인 횡편기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의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된 참조부호를 붙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예에서의 절환(切換) 등에 필요한 제어는, 횡편기(1)에 구비되는 제어기 등의 제어수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1 to 6 relate to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Fig. 7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4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5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relate to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of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each figure, the corresponding part has shown the same code | symbol,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art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bject may be referred to with the reference numeral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 Control necessary for switching and the like in each embodiment is performed in the order set in advance in control means such as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실시예1]Example 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횡편기(1)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로서 후술하는 앞쪽 니들베드(3F)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뒤쪽 니들베드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앞쪽 니들베드(3F)에 관한 구성에는 번호에 F를 붙이고, 뒤쪽 니들베드에 관한 구성에는 번호에 B를 붙이고, 전후의 니들베드에 공통인 사항에 대하여 총칭할 때에는 번호만을 붙인다. 니들베드(3)는, 도면에서는 가로방향이 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pitch)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편침(編針)(4)을 구비한다. 편침(4)은,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先端)에 훅(4a)을 구비하고,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떨어진 니들베드(3) 측으로 구동 버트(4b), 및 구동 버트(4b)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구비한다. 스티치 억제판(5)은, 편침(4)의 선단 부근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편침(4)을 구동하는 동작은, 편침(4)의 훅(4a) 부근의 선단부, 구동 버트(4b) 및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의 궤적으로 나타낸다.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has a front needle bed 3F to be described later as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with a needle bed gap 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rear needle bed not shown in the drawings. Equipp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 is attached to the number relating to the front needle bed 3F, B is attached to the number relat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needle bed, and only numbers are used to refer to the items common to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 The needle bed 3 includes a plurality of knitting needles 4 which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 constant pitc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horizontal in the drawing. The knitting needle 4 includes a hook 4a at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2 side, and drives a butt 4b to the needle bed 3 side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2, and a drive butt.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is provided on the needle bed gap 2 side rather than (4b). The stitch suppressing plate 5 is disposed on the bottom face side near the tip of the knitting needle 4.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knitting needle 4 before moving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to the left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tip portion near the hook 4a of the knitting needle 4, the driving butt 4b and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It is represented by the trajectory of.

스티치 억제판(5)은,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으로부터 니들베드(3)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스티치 억제홈(5a)을 구비한다. 스티치 억제홈(5a)은,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방측(一方側)인 좌측에서 닫히고, 타방측(他方側)인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니들베드갭(2) 측을 향하여 개구(開口)한다. 개구부보다도 좌측방향이며 스티치 억제홈(5a)의 니들베드갭(2) 측의 상측 테두리는 스티치 억제편(5b)이 되고, 우측방향이며 스티치 억제홈(5a)의 니들베드(3) 측의 하측 테두리는 니들베드갭(2) 측으로 접근하여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에 이르는 경사부(5c)가 된다. 스티치 억제판(5)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접하여 편성되는 손가락부(6, 7)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스티치 억제홈(5a)은,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6)에 있어서 다음에 편성할 손가락부(7) 측의 손가락 연결부(6a)가 되는 스티치를, 훅(4a)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침입하도록 사용한다. 다음 손가락부(7)의 편성에서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구동하면,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훅(4a)으로부터 침간(針幹)으로 이동하고, 스티치 억제홈(5a)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범위에서 정지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1에서 4개의 편침(4)은, 침간으로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면서, 스티치 억제편(5b)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이 되는 부분에서 다음 손가락부(7)를 손가락 연결부(7a)를 포함하는 최종 코스까지 편성한다. 스티치 억제홈(5a)은, 다음 손가락부(7)의 편성 중에 지지하는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지지와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4)의 개수는, 편성하는 스티치의 밀도인 게이지수나 손가락부(6, 7)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4)의 총수(總數) 등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stitch restraint plate 5 is provided with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at the position away from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2 side to the needle bed 3 side.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is cl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3 and extends toward the needle bed gap 2 side while ext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other side. It opens. The upper edge of the needle restraint groove 5a on the left side of the needle restraint groove 5a is the stitch restraint piece 5b, and on the right side the lower side of the needle restraint groove 5a on the needle bed 3 side. The edge becomes the inclined portion 5c that approaches the needle bed gap 2 side and reaches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2 side.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5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used to overlap between the finger parts 6 and 7 knitted adjacently.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penetrates the stitch which becomes the finger connection part 6a by the side of the finger part 7 to be knitted next in the finger part 6 knitted previously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hook 4a. Use it to Next, when the knitting needle 4 is driven toward the needle bed gap 2 in the knitting of the finger portion 7, the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moves from the hook 4a to the needle, and the stitch restraint groove ( It is stopped and supported in the range located immediately above 5a).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our knitting needles 4 support the stitches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s 6a by needles, while the next finger portions 7 are located at the needle bed gap 2 side than the stitch restraint pieces 5b. To the final course including the finger joint 7a.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acts to suppress knock over of the stitches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supported during the knitting of the next finger portion 7. The number of the knitting needles 4 used for supporting and knitting the finger joints 6a and 7a is the number of gauges, which are the density of the stitches to be knitted, and the total number of knitting needles 4 used for knitting the finger parts 6 and 7 (7).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다음 손가락부(7)의 편성이 종료하면, 스티치 억제편(5b)이 손가락부(7)로부터 빠질 때까지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티치 억제판(5)의 이동은,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해제위치는, 예를 들어 편침(4)의 훅(4a)의 선단위치로 나타내면, 스티치 기준위치(2a) 또는 이에 가까운 위치로 한다. 스티치 기준위치(2a)는,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스티치 캠(14)에 설정되는 스티치값 0에 대응하여 인입(引入)되는 편침(4)의 위치가 된다.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훅(4a)으로 지지하는 편침(4)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킬 때에, 스티치는 훅(4a)으로부터 래치를 넘어 침간측에 안착된다. 스티치 억제판(5)은, 편침(4)을 인입하더라도 스티치가 녹오버하지 않도록 억제한다.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면, 훅(4a)에 손가락 연결부(7a)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침간에 이전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은, 캠에 의하여 해제위치로 되돌아간다. 스티치 억제판(5)은,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이 적어도 해제위치로 되돌아간 후에 손가락 연결부(6a, 7a)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멀어진다. 스티치 억제판(5)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편침(4)의 침간에 지지되어 있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억제가 풀려, 경사부(5c)를 따라 니들베드갭(2) 측으로 이동한다. 도4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전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편침(4)의 침간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이동할 때에 받는 저항이 감소한다. 저항의 감소는, 스티치 억제판(5)의 경사부를 따라 스티치가 이동할 때에 말려들어 가는 일이 없이 스티치가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아가기 쉽게 한다.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기 때문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녹오버하지 않고 침간에 정지하지만, 다음 편성동작에서 확실히 녹오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제위치는,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더라도 스티치가 래치를 넘어 녹오버하지 않고 침간에 정지하는 범위의 인입위치로 하면 좋다.When the knitting of the next finger part 7 is complete | finished, the stitch restraint board 5 is moved to the left direction until the stitch restraint piece 5b is removed from the finger part 7.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knitting needle 4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6a and 7a is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release position is, for example, represented by the tip position of the hook 4a of the knitting needle 4, and is set to the stitch reference position 2a or a position close thereto. The stitch reference position 2a becomes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eedle 4 which is pulled in corresponding to the stitch value 0 set in the stitch cam 1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be formed. When the knitting needle 4 which supports the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on part 6a with the hook 4a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2, the stitch is settled over the latch from the hook 4a to the needle side.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5 suppresses the stitch from knocking over even when the knitting needle 4 is drawn in. When the knitting needle 4 is pulled to the needle bed 3 side, a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7a is formed on the hook 4a, and the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of the previous finger portion 6 is supported between the needles. In this way, the knitting needle 4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6a and 7a is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the cam.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5 is moved away from the finger joints 6a and 7a to the left after the knitting needles 4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6a and 7a are at least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moving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5 to the left direction,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6a supported by the needles of the single needles 4 are released, and the stitch restraints 5c are moved along the inclined portions 5c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do. As illustrated in FIG. 4, in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6a of the previous finger portion 6, the resistance received when the needle needle 4 is moved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decreases. The decrease in resistance makes it easy for the stitch to return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without being rolled up when the stitch moves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Since the knitting needle 4 is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does not knock over but stops between needles, but it is possible to reliably knock over in the next knitting operation. The release position may be a retracted position within a range in which the stitches stop over the needles without knocking over the latches even when the knitting needles 4 are pulled to the needle bed 3 side.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10F)는, 스티치 캠(14), 프레셔 캠(16) 및 니들 가이드 캠(17)을 포함하는 캠을 탑재한다. 스티치 캠(14)은 경사진 안내홈(14a)을 따라 이동하고, 편침(4)의 구동 버트(4b)를 구동하는 구동 캠면(14b)으로서 경사진 캠면과, 구동 캠면(14b)의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보조 캠면(14c)을 구비한다. 스티치 캠(14)은, 선침결과에 따라 선침상태로 되어 있는 구동 버트(4b)를 캠면(14b)의 경사를 따라 하단까지 인하하고, 구동 캠면(14b)의 하측과 보조 캠면(14c)의 상측의 사이를 지나도록 안내한다. 프레셔 캠(16)은, 상하방향의 안내홈(16a)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1의 프레셔 캠(16)은, 안내홈(16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편침(4)의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접하여 훅(4a)의 선단이 스티치 기준위치(2a)에 도달할 때까지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아가도록 구동하는 귀환 캠면(16c)을 상부에 구비한다. 이 귀환 캠면(16c)은,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눌러 내리는 니들 가이드 캠(17)의 우측방향에서, 접하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항상 니들베드갭(2) 측으로 밀어 올려 편침(4)을 되돌린다. 도4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동싱커(8)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침(4)을 되돌릴 때에 가동싱커(8)로 스티치를 니들베드갭(2)의 하방으로 압입(壓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riage 10F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mounts a cam including a stitch cam 14, a pressure cam 16 and a needle guide cam 17. The stitch cam 14 moves along the inclined guide groove 14a and moves below the inclined cam surface and the drive cam surface 14b as the drive cam surface 14b for driving the drive butt 4b of the single needle 4. The auxiliary cam surface 14c formed at intervals is provided. The stitch cam 14 lowers the driving butt 4b, which is in the needl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needle selection to the lower en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cam surface 14b. Guide them through. The pressure cam 16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6a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pressure cam 16 of the first embodiment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16a, the tip of the hook 4a is in contact with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of the knitting needle 4, and the stitch reference position 2a The return cam surface 16c which drives the knitting needle 4 back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until it reaches ()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The feedback cam surface 16c always pushes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into contact with the needle bed gap 2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needle guide cam 17 which pushes dow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Return the knitting needle (4). In the case of using the movable sinker 8 described later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press-fit the stitches under the needle bed gap 2 with the movable sinker 8 when the knitting needle 4 is returned. Do.

도2는, 도1의 프레셔 캠(16)의 다른 동작을 편침(4)에 관련되는 궤적으로 나타낸다. 프레셔 캠(16)은, 안내홈(16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구동 버트(4b)에 접하여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캠면(16b)을 하부에 구비한다. 또한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되는 편침(4)의 우측에 배열되는 편침(4)의 구동 버트(4b)는, 손가락부(6)의 편성이 종료되어 있기 때문에 비선침상태이며, 구동 캠면(16b)에 접하지 않는다. 이 동작을 할 때에 도면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스티치 억제판(5)의 스티치 억제홈(5a)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멀어져 있다. 프레셔 캠(16)은,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가 되는 스티치에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키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훅(4a)으로 지지하는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여, 스티치가 스티치 억제홈(5a)에 침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FIG. 2 shows another operation of the pressure cam 16 of FIG. 1 as a locus associated with the knitting needle 4. The pressure cam 16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16a and provided with a drive cam surface 16b at the lower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rive butt 4b to drive the knitting needle 4 into the needle bed 3 side. do. Moreover, since the knitting of the finger part 6 is complete | finished, the drive butt 4b of the knitting needle 4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of the knitting needle 4 drawn in to the needle bed 3 side is a non-precipitation state, and the driving cam surface ( Do not touch 16b). In this operation,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indicated by the double-dot chain line in the drawing is far from the left side of the figure. The pressure cam 16 supports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6a with the hooks 4a before the stitch suppressing grooves 5a are applied to the stitches that become the finger joints 6a of the finger portions 6 previously knitted. The needle 4 to be pulled in to the needle bed 3 side is used to make the stitches easily invade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도3은, 도1의 횡편기(1)에 사용하는 니들베드(3) 및 편침(4)의 구성을 나타낸다. 니들베드(3)는, 기판(3a)에 대하여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는 니들 플레이트(3b)를 구비한다. 편침(4)은, 니들 플레이트(3b) 사이의 니들홈에 수용되어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선단의 훅(4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시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침(4)의 진퇴는,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10)에 탑재되는 스티치 캠(14) 등의 캠에 의하여 구동된다.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는, 선단에 훅(4a)을 구비하는 바늘본체(4d)의 기단부(基端部)에 형성되고, 니들베드(3)로부터 캐리지(10) 측으로 항상 돌출되어 있다. 바늘본체(4d)의 기단부에는, 잭(4e)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잭(4e)은, 선단부로부터 기단측으로 간격을 두고 구동 버트(4b)를 구비하고, 또한 기단측에서 제어 잭(4f)의 작용을 받는다. 제어 잭(4f)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선침 드럼의 외주(外周)에 접하는 선침 볼록부(4g)를 구비하고, 선침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선침 패턴을 구동 버트(4b)의 니들베드(3)로부터 캐리지(10) 측에 대한 출몰에 반영시킨다. 또한 선침방법은 선침 드럼을 사용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리지(10)의 전기적인 제어에 의하여 절환되는 선침기구를 탑재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동 버트(4b)는, 선침결과에 따라 선침상태에서는 캐리지(10) 측으로 돌출하고, 비선침상태에서는 돌출하지 않는다.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needle bed 3 and the knitting needle 4 us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of FIG. The needle bed 3 has a needle plate 3b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3a. The knitting needle 4 is accommodated in the needle groove between the needle plates 3b, and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3, and the hook 4a at the tip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2 to knit the knitted fabric. do. Retraction of the knitting needle 4 is driven by a cam such as a stitch cam 14 mounted on the carriage 10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3.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needle body 4d having the hook 4a at its tip, and always protrudes from the needle bed 3 toward the carriage 10 side. . The tip end of the jack 4e is coupled to the base end of the needle body 4d. The jack 4e is provided with the drive butt 4b at intervals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and receives the action of the control jack 4f from the proximal end. The control jack 4f has a needle tip convex portion 4g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eedle needle drum,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needle of the driving butt 4b drives the needle needle patter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needle drum. It is reflected in the haunting from the bed 3 to the carriage 10 side. The needle tip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using a needle tip drum, and for example, a needle tip mechanism that is switched by electrical control of the carriage 10 may be mounted. The drive butt 4b protrudes toward the carriage 10 side in the needle position according to the needle needle result, and does not protrude in the non-needle state.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편침(4)의 훅(4a) 부근의 구성을 앞쪽 니들베드(3F)에 대하여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편침(4)은, 도1의 동작에서 해제위치까지 되돌아가 있다.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편침(4)이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되는 위치는, 도면보다도 하방이 된다. 훅(4a)을 선단에 구비하는 편침(4)의 바늘본체(4d)는, 저부(底部)가 바늘의 바닥선(3Fc)을 따라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한다. 뒤쪽 니들베드(3B) 측은, 바늘의 바닥선(3Bc)으로 나타낸다. 니들베드갭(2)의 중심을 지나는 연직선(2v)은, 바늘의 바닥선(3Fc, 3Bc)의 교점을 지난다. 바늘의 바닥선(3Fc, 3Bc)은, 니들베드갭(2) 측이 높아지고, 니들베드(3F, 3B)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편침(4)의 훅(4a)의 개구부(開口部)는, 녹오버되는 스티치가 통과할 때에 래치(4h)로 덮여 닫혀 있다.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5)의 스티치 억제홈(5a)으로부터 탈출할 때에 도2에 나타내는 경사부(5c)에 의한 밀어 올리기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한다.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의 니들루프에서 침간에 걸리는 부분(6b)은, 훅(4a)을 닫는 래치(4h)의 외연부분을 이동한다. 니들루프에서 스티치 억제홈(5a) 내를 지나는 부분(6c)은, 경사부(5c)를 따라 스티치 억제판(5)의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까지 되돌아간다. 도2에 나타내는 귀환 캠면(16c)에서 되돌아가기 전의 편침(4)의 위치는 도면보다도 하방이 되기 때문에, 니들루프는 보다 둘레의 길이가 긴 부분을 이동하여야만 한다. 편침(4)을 해제위치까지 되돌림으로써, 니들루프가 이동할 때에 받는 저항이 증대하는 정도를 되돌리기 전보다도 저감시킬 수 있다.FIG.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hook 4a of the knitting needle 4 shown in FIG. 3 with respect to the front needle bed 3F. The knitting needle 4 returns to the release position in the operation of FIG. When the stitch is formed, the position where the knitting needle 4 is drawn to the needle bed 3 side is lower than the drawing. In the needle body 4d of the needle needle 4 provided with the hook 4a at the tip end, the bottom portion advances and retreats to the needle bed gap 2 along the bottom line 3Fc of the needle. The back needle bed 3B side is shown by the bottom line 3Bc of a needle. The vertical line 2v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needle bed gap 2 crosse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bottom lines 3Fc and 3Bc of the needle. The bottom lines 3Fc and 3Bc of the needle are inclined so that the needle bed gap 2 side becomes higher and the needle bed 3F and 3B side becomes lower. The opening of the hook 4a of the knitting needle 4 is covered with the latch 4h and closed when the stitch to be knocked over passes.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part 6a is pushed up by the inclined part 5c shown in FIG. 2 when escaping from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and is represented by a double-dotted line in 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Transition to state The part 6b caught by the needle in the needle loop of the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on part 6a moves the outer edge part of the latch 4h which closes the hook 4a. The portion 6c passing through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in the needle loop returns to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2 side of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along the inclined portion 5c. Since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eedle 4 before returning from the return cam surface 16c shown in FIG. 2 is lower than that in the drawing, the needle loop must move a portion having a longer circumference. By returning the knitting needle 4 to the release pos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to which the resistance received when the needle loop moves increases than before the reverse.

니들베드(3)의 니들베드갭(2) 측에는, 가동싱커(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싱커(8)는, 길이방향으로는 편침(4)의 사이에 배치되고, 훅(4a)에 의한 스티치의 형성 시에 싱커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벽면(8a)과 아울러, 스티치를 니들베드갭(2)의 하방으로 압입하기 위한 압입부(8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동싱커(8)는, 본 도면에서는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의 스티치 기준위치(2a)보다도 약간 니들베드(3) 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뒤쪽 니들베드(3B) 측의 바늘의 바닥선(3Bc)은, 스티치 기준위치(2a)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이 된다.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하기 위해서는,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와 다음에 편성할 손가락부의 편성시작부분과의 사이에 편사가 걸쳐지기 때문에, 교차사(cross-over yarn)의 절단이나 단사(端絲)를 편입시키는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필요한 장치는, 바늘의 바닥선(3Fc, 3Bc)이나 스티치값 0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을 이동한다. 해제위치를 보다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한 위치로 하면, 니들루프가 이동할 때에 받는 저항증대의 저감효과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니들베드갭(2) 측을 이동하는 장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해제위치는 스티치값 0에 대응하는 위치나 바늘의 바닥선(3Fc)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movable sinker 8 on the needle bed gap 2 side of the needle bed 3. The movable sinker 8 is dispos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needle stitches in addition to the wall surface 8a for forming the sinker loop at the time of forming the stitch by the hook 4a. The press-fit part 8b for press-fitting under (2) is provided. Such a movable sinker 8 is omitted in this drawing, but is arranged to be slightly on the needle bed 3 side than the stitch reference position 2a. The bottom line 3Bc of the needle on the back needle bed 3B side is the needle bed gap 2 side than the stitch reference position 2a. In order to sequentially knit the finger portions, the knitting yarn is stretched between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portion and the knitting start portion of the finger portion to be knitted next, so that cutting of cross-over yarn or single yarn is performed. Incorporation is required. The apparatus required for such a process moves the needle bed gap 2 side rather than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ottom lines 3Fc and 3Bc and the stitch value 0 of the needle. When the release position is set to a position where the needle bed gap 2 has advance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crease in resistance received when the needle loop moves is expected to increase. Howev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evice moving on the needle bed gap 2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position does not excee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itch value 0 or the bottom line 3Fc of the needle.

도5는, 도1의 횡편기(1)에 사용하는 캐리지(10F, 10B)에 탑재되는 캠의 배치를 나타낸다. 전후의 캐리지(10F, 10B)는, 도면의 가로방향으로 연동하여 왕복한다. 횡편기(1)로 편성하는 통모양의 편성포는, 도면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에 앞쪽 캐리지(10F),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뒤쪽 캐리지(10B)를 사용하고, 전후의 니들베드(3)를 교대로 사용하여 통모양으로 편성한다. 앞쪽 캐리지(10F)에는, 도면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에도 스티치의 편성을 가능하게 하는 편성시작용 캠(11)이 탑재된다. 편성시작용 캠(11)은 출몰이 가능한 가동캠이며, 전후 니들베드(3)의 편침(4)을 사용하여 편성을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탄성 레이징 캠(12)은, 니들베드(3)로부터의 돌출높이가 다른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작용하여, 편성포에 탄성사를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센터캠(13), 스티치 캠(14) 및 니들 레이징 캠(15)은, 선침되어 니들베드(3)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구동 버트(4b)에 작용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안내한다. 니들 가이드 캠(17) 및 브릿지 캠(18)은, 편침(4)의 니들베드갭(2) 측으로의 진출을 제한한다. 도1 및 도2의 동작은, 전후의 캐리지(10F, 10B)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프레셔 캠(16)을 동시에 작동시켜 이루어진다.FIG. 5 shows the arrangement of cams mounted on the carriages 10F and 10B us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of FIG.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10F and 10B reciproc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cylindrical knitted fabric knitted by the flat knitting machine 1 uses the front carriage 10F for the movement to the left direction of the figure, and the rear carriage 10B for the movement to the right direction, and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3 ) In turn to form a barrel. The front carriage 10F is equipped with a knitting acting cam 11 that enables knitting of stitches even when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acting cam 11 during knitting is a movable cam that can be mounted and used to start knitting using the knitting needle 4 of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3. The elastic raising cam 12 acts o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having a different protruding height from the needle bed 3, and is used to insert the elastic yarn into the knitted fabric. The center cam 13, the stitch cam 14, and the needle rising cam 15 act on the driving butt 4b in a state of being pinched and protruding from the needle bed 3 to guide the formation of the stitch. The needle guide cam 17 and the bridge cam 18 restrict the advance of the knitting needle 4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1 and 2 are performed by moving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10F and 10B to the left and operating the pressure cam 16 simultaneously.

도6은, 도1의 횡편기(1)에서 프레셔 캠(16)의 동작을 절환하는 절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다. 캐리지(10)는,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 되는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특허문헌3에서와 같이 캐리지(10)의 외부로부터 가동캠에 대한 제어를 받는다. 가동캠에 대한 제어는, 제어바 가이드(20)에 형성되는 홈에 수용되는 제어바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바로서는 프레셔 캠 제어바(21), 편성시작용 캠 제어바(22), 탄성 레이징 캠 제어바(23), 스티치 캠 조정 제어바(24)가 설치된다. 프레셔 캠 제어바(21)는, 제어바 가이드(20)에 형성되는 홈으로부터 캐리지측으로 출몰하도록 구동된다.6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cam 16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of FIG. When the carriage 1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3 which becom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drawing, as in Patent Document 3, the carriage 10 is controlled from the outside of the carriage 10 with respect to the movable cam. Control of the movable cam is made by a control bar accommoda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control bar guide 20. As the control bar, a pressure cam control bar 21, a knitting cam control bar 22, an elastic lasing cam control bar 23, and a stitch cam adjustment control bar 24 are provided. The pressure cam control bar 21 is driven to ooze toward the carriage side from the groove formed in the control bar guide 20.

도6은, 도6(a)가 도1에, 도6(b)가 도2에 각각 대응하는 프레셔 캠(16)의 절환상태를 나타낸다. 캐리지(10)는, 안내축(30)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한다. 프레셔 캠(16)을 포함하는 도5에 나타내는 캠은, 캐리지(10)의 저판(底板)(31)에 설치된다. 저판(31)의 표면측은 니들베드(3)의 상면(上面)과 마주 본다. 저판(31)의 이면측에는 레버(32), 이동부재(33), 지주(支柱)(34) 및 스프링(35)이 설치된다. 레버(32)는, 중간의 지지축(32a)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搖動)이 가능하고, 일단(一端)이 프레셔 캠 제어바(21)에 접하고, 타단(他端)이 이동부재(33)에 결합한다. 이동부재(33)는, 안내홈(16a)을 통하여 프레셔 캠(16)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부재(33)와 저판(31)에 세워서 설치하는 지주(34)와의 사이에 걸쳐 있는 스프링(35)은, 레버(32)의 일단이 프레셔 캠 제어바(21)에 접하도록 가압한다. 프레셔 캠 제어바(21), 레버(32), 이동부재(33), 지주(34) 및 스프링(35)은, 프레셔 캠(16)의 귀환 캠면(16c)을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작용시킬 것인지 작용시키지 않을 것인지를 절환하는 절환기구를 형성한다. 절환기구는 이 구동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리지(10)에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원을 탑재하여도 좋다.Fig. 6 shows a switched state of the pressure cam 16, which corresponds to Fig. 6 (a) in Fig. 1 and Fig. 6 (b) in Fig. 2, respectively. The carriage 10 moves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shaft 30. The cam shown in FIG. 5 including the pressure cam 16 is provided in the bottom plate 31 of the carriage 10. The surface side of the bottom plate 31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bed 3. A lever 32, a moving member 33, a strut 34, and a spring 35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bottom plate 31. The lever 32 is capable of swinging with the intermediate support shaft 32a as a point,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cam control bar 2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the movable member 33. ) The moving member 33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cam 16 via the guide groove 16a. The spring 35 that spans between the movable member 33 and the support 34 to be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31 is pressed so that one end of the lever 32 is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cam control bar 21. The pressure cam control bar 21, the lever 32, the moving member 33, the support 34, and the spring 35 move the return cam surface 16c of the pressure cam 16 to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And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acting or not acting. The switching mechanism is not limited to this driving method, and for example, the carriage 10 may be equipped with a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or a solenoid.

본 실시예1에서는,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키기 직전에 도6(b)의 상태로 하고, 그 외에는 도6(a)의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은 프레셔 캠(16)의 절환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셔 캠에는 귀환 캠면(16c)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본 실시예1과 같이 귀환 캠면(16c)을 구비하는 프레셔 캠(16)을 사용하면, 도1의 동작은,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작용시켜 되돌리기 때문에 선침과는 관계없이 항상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켜 손가락부(6, 7)를 순차적으로 편성하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장갑의 몸통부 등의 다른 부분을 편성하는 경우도 포함하여, 편침(4)을 되돌리도록 한다. 편침(4)의 귀환은, 다음 손가락부(7)의 최종 코스를 편성한 후에만, 또는 최종 코스를 편성한 후에 급사하지 않고 편침을 니트 루트(knit route)로 구동하는 전용의 빈 코스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턱 루트(tuck route)를 선택할 수 있는 캠의 배치이면, 빈 코스를 턱 루트로 하여도 좋다. 프레셔 캠(16)의 이동에 도6(a)와 도6(b)의 중간단계를 형성하여, 중간단계에서는 구동 캠면(16b) 및 귀환 캠면(16c)이 구동 버트(4b) 및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두면, 종래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ate of Fig. 6 (b) is set just before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is acted on, and the state of Fig. 6 (a) is otherwise. The switching of the pressure cam 16 is the same as before. However, the feedback cam surface 16c was not formed in the conventional pressure cam. When the pressure cam 16 having the return cam surface 16c is us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FIG. 1 can be alway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needle point because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is actuated and returned. have. Therefore, not only the case where the finger parts 6 and 7 are knitted sequentially by acting on the stitch restraint groove 5a, but also the case where other parts, such as the trunk part of a glove, are knitted, the knitting needle 4 is returned. The return of the knitting needle 4 forms an exclusive empty course for driving the knitting needle as a knit route without sudden death only after organizing the final course of the next finger part 7 or after organizing the final course. It may be made to. As long as the cam can be selected from the tuck route, the empty course may be used as the tuck route. The intermediate cam of Figs. 6 (a) and 6 (b) is formed in the movement of the pressure cam 16. In the intermediate step, the driving cam surface 16b and the return cam surface 16c are driven by the driving butt 4b and the needle bed gap. If it does not act on the side butt 4c, the operation | movement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ne may be made.

본 실시예1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프레셔 캠(16)은, 스티치 억제홈(5a)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리도록 구동하는 것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귀환 캠면(16c)에 의한 귀환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니들 가이드 캠(17)을 프레셔 캠(16)과 일체화(一體化)하여 상하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sure cam 16 provid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action of the stitch restraint grooves 5a has the needle bed gap 2 before the needle needle 4 stops the action of the stitch restraint grooves 5a. It can also be used to drive to return to the () side.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return amount by the return cam surface 16c, or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te the needle guide cam 17 with the pressure cam 16, an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실시예2]Example 2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횡편기(41)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을 앞쪽 니들베드(3F) 측의 캐리지(40F)에 대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예2는, 스티치 캠(44)의 니들베드갭(2) 측에 귀환 캠면(44c)을 형성하여,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대한 작용으로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을 스티치 기준위치(2a) 등의 해제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있다. 니들베드갭(2) 측으로의 귀환은,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사용하여 하기 때문에 선침결과와는 관계없이 할 수 있고, 실시예1과 같이, 다음 손가락부(7)의 최종 코스를 편성한 후에 또는 전용의 빈 코스를 형성하여 할 수 있다. 또한 뒤쪽 니들베드 측의 캐리지에서도, 스티치 캠에 의한 귀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티치 억제판(5)을 손가락 연결부(6a)에 작용시키기 전의 스티치의 인하는 프레셔 캠(46)으로 한다.Fig. 7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4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40F on the front needle bed 3F sid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eturn cam surface 44c is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2 side of the stitch cam 44 to support the stitches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by acting o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The knitting needle 4 is returned to a release position such as the stitch reference position 2a or the like. Since the return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is performed using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4c, the final course of the next finger portion 7 can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result of the needle selection. It is possible to do this after formation or by forming an exclusive empty course. Also, the carriage by the stitch cam can be made in the carriage on the rear needle bed side. The reduction of the stitches before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is acted on the finger joint 6a is taken as the pressure cam 46.

본 실시예2에 의하면 귀환 캠면(44c)은, 구동 버트(4b)에 작용하는 구동 캠면(44b)으로 스티치값에 대응하는 크기의 스티치가 형성되도록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는 스티치 캠(44)에 형성된다. 이 스티치 캠(44)은, 다음 손가락부(7)를 편성한 후에,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아가도록 구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return cam surface 44c has the knitting needle 4 drawn into the needle bed 3 side such that a stitch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titch value is formed by the driving cam surface 44b acting on the driving butt 4b. It is formed in the stitch cam 44. After stitching the next finger portion 7, the stitch cam 44 moves the knitting needle 4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 portion 6a of the finger portion 6 previously knitted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It can be driven back.

[실시예3]Example 3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인 횡편기(51)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을 앞쪽 니들베드(3F) 측의 캐리지(50F)에 대하여 나타낸다. 뒤쪽 니들베드 측에서는, 도5에서의 스티치 캠(14)과 같이, 스티치 캠(54)의 배치가 대각위치(對角位置)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뒤쪽 캐리지 측의 스티치 캠(54)의 동작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3에서는, 스티치 캠(54)의 경사진 구동 캠면(54b)의 하단과 대향하는 귀환 캠면(54c)을 구동 버트(4b)가 통과할 때에, 손가락 연결부(6a, 7a)의 편침(4)을 해제위치까지 되돌린다. 다음 손가락부(7)의 스티치를 최종 코스까지 편성한 후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의 구동 버트(4b)만을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침상태로 하고, 다른 편침(4)의 구동 버트(4b)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선침상태로 한다. 선침상태의 구동 버트(4b)는, 니들 레이징 캠(15)에서 센터캠(13)을 거쳐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진출시키는 니트 루트로 안내하여 버리기 때문에, 니들 레이징 캠(15)을 출몰할 수 있도록 하여, 귀환할 때에는 침몰상태로 하여 두면 좋다.Fig. 8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5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50F on the front needle bed 3F side. On the rear needle bed side, as in the stitch cam 14 in Fig. 5,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stitch cams 54 is shifted to the diagonal position, the operation of the stitch cam 54 on the rear carriage side is preceded. Need to be. 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driving butt 4b passes through the return cam surface 54c facing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drive cam surface 54b of the stitch cam 54, the needle stitches 6a and 7a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s 6a and 7a pass through. 4) to the release position. After the stitches of the next finger portion 7 are knitted to the final course, only the driving butt 4b of the knitting needle 4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is set to a needle position a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other knitting needles ( The drive butt 4b of 4) is made into the non-needle state as shown by a broken line. Since the needle butt 4b of the needle tip state guides the knitting needle 4 to the knit route through which the needle needle 4 advances through the center cam 13 from the needle rising cam 15 to the needle bed gap 2 side, the needle rising The cam 15 may be settled out, and it may be left in the sinking state when returning.

실시예2 및 실시예3에 있어서 스티치 캠(44, 54)의 절환을 위한 구동은, 도6의 스티치 캠 조정 제어바(24)를 포함하는 절환기구를 통하여 한다. 또한 실시예2 및 실시예3에서 스티치 억제판(5)을 뺀다면, 손가락 연결부(6a)의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는 상태에서 캐리지(10)를 정지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에서는, 편침(4)을 해제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침간에 지지되는 스티치를 느슨하게 하여 녹오버를 할 때에 받는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In Example 2 and Example 3, the drive for switching the stitch cams 44 and 54 is made through a switching mechanism including the stitch cam adjustment control bar 24 of FIG. In addition, if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5 is removed in Example 2 and Example 3,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carriage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knitting needle 4 of the finger connection part 6a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In Examples 1, 2 and 3, returning the knitting needle 4 to the release position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sistance received when loosening the stitch supported by the needle between the needles.

[실시예4]Example 4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9(a)는, 본 실시예4에서 편성하는 손가락부(6, 7) 및 몸통부(9)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9(b)는, 손가락부(7)의 편성순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4에서는, 손가락부(6)에 계속하여 손가락부(7)를 최종 코스(7y)까지 편성한 후에, 급사하지 않고 편침(4)을 니트 루트로 이동시키는 1회 또는 복수 회의 빈 코스(빈 코스(7z)라고 한다)를 삽입한다. 턱 루트를 선택할 수 있는 캠의 배치이면, 턱 루트를 빈 코스로 하여도 좋다. 손가락부(7)는, 손가락 연결부(7a)를 포함하는 전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최후 전의 코스(7x)로부터 최종 코스(7y)까지 편성하고, 빈 코스(7z)의 삽입에서 편침(4)을 니들베드갭 측으로 인입하는 위치를 최종 코스(7y)에서 인입하는 위치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의 해제위치로 되돌린다. 이와 같은 빈 코스(7z)에 의한 편침(4)의 진퇴는, 편침(4)의 침간에 정지되어 있는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의 이동을 수반하고, 편침(4)에 대하여 스티치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뺀 후에, 몸통부(9)의 최초의 코스(9c)나 다른 손가락부를 편성한다.Fig. 9 shows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schematically shows the finger parts 6 and 7 and the body part 9 knitted in the fourth embodiment. 9 (b) shows the knitting procedure of the finger portion 7. In the fourth embodiment, after the finger portion 7 is knitted to the final course 7y after the finger portion 6, one or more empty courses in which the knitting needle 4 is moved to the knit route without sudden death. (Called empty course 7z) is inserted. As long as it is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cam which can select a tuck root, you may make a tuck root empty course. The finger part 7 knits from the last course 7x to the last course 7y sequentially about the whole including the finger connection part 7a, and needles the knitting needle 4 at the insertion of the empty course 7z. The position drawn in to the bed gap side is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on the needle bed gap 2 side rather than the position drawn in the final course 7y. Retraction of the knitting needle 4 by this empty course 7z is accompanied by the movement of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6a which is stopped between the needles of the knitting needle 4, and the stitch is loosened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4 Can be. Next, after removing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to the left, the first course 9c of the trunk portion 9 and the other finger portion are knitted.

본 실시예4는, 실시예3의 횡편기(51)로 실현할 수 있다. 다만, 스티치 캠(54)은 편침(4)에 대한 귀환 캠면(54c)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도1에 나타내는 스티치 캠(14)을 사용하는 경우에, 구동 캠면(14b)은 편침(4)을 해제위치까지 인입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프레셔 캠(16)에는 귀환 캠면(16c)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최종 코스(7y)에 계속되는 최초의 빈 코스(7z)는, 손가락부(7)의 최종 코스(7y)에서 형성한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의 훅(4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키고, 손가락부(7)의 스티치를 안착시켜 훅(4a)으로부터 침간으로 이동시킨다. 편침(4)은, 스티치 캠(14)에 의하여 해제위치로 인입된다. 해제위치까지의 인입이기 때문에, 손가락 연결부(7a)의 스티치는 녹오버하지 않는다. 손가락 연결부(7a)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뺀 후에 이동하는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와 함께 몸통부(9)의 최초의 코스(9c)의 편성동작으로 녹오버된다.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성순서는, 제어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빈 코스(7z)의 폭은, 손가락 연결부(6a, 7a)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The fourth embodiment can be realized by the flat knitting machine 51 of the third embodiment. In addition, the stitch cam 54 does not need to form the return cam surface 54c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4, and when the stitch cam 14 shown in FIG. 1 is used, the driving cam surface 14b has the knitting needle 4 ) Can be used to retract to the release position.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feedback cam surface 16c in the pressure cam 16. The first empty course 7z following the final course 7y includes a needle bed gap 2 with a hook 4a of the knitting needle 4 supporting the stitch formed in the final course 7y of the finger portion 7y. It moves forward, and the stitch of the finger part 7 is settled, and it moves to the needle needle from the hook 4a. The knitting needle 4 is l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the stitch cam 14. Since the drawing is to the unlocked position, the stitches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7a do not knock over.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7a is knocked over by the knitting operation of the first course 9c of the trunk 9 together with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6a moving after removing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to the left. do. The knitting order as shown in Fig. 9B can be realized by changing the control data. In addition, the width | variety of the empty course 7z should just contain the finger joint parts 6a and 7a.

[실시예5]Example 5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10(a)는, 본 실시예5에서 편성하는 손가락부(6, 7)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10(b)는, 손가락부(6, 7)의 편성순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5에서는 손가락부(6)를, 손가락 연결부(6a)를 포함하는 손가락부(6)의 전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코스(6x)로부터 최종 코스(6y)까지 편성한 후에, 스티치 억제판(5)을 우측방향으로 진출시킨다. 손가락부(7)는, 최초의 코스(7f)의 편성을 시작하기 전에 1회 또는 복수 회의 빈 코스(7z)를 삽입한다.Fig. 10 shows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schematically shows the finger parts 6 and 7 knitted in the fifth embodiment. Fig. 10 (b) shows the knitting procedure of the finger parts 6 and 7. In the fifth embodiment, after stitching the finger portion 6 sequentially from the course 6x to the final course 6y with respect to the entirety of the finger portion 6 including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 5) advance to the right. The finger portion 7 inserts one or a plurality of empty courses 7z before starting the formation of the first course 7f.

본 실시예5에 있어서,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5)에 의한 억제에 의하여 녹오버하지 않고 편침(4)의 침간에 정지하기 때문에, 편침(4)은 스티치값 0에 대응하는 것보다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5의 빈 코스(7z)는, 적어도 실시예1∼4와 같은 해제위치까지 인입하여,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킨 편침(4)을 되돌릴 수 있다. 본 실시예5도, 실시예4와 같이 횡편기(51)로, 또한 도1의 스티치 캠(14)을 사용하여도 제어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빈 코스(7z)의 효과나 폭은 실시예4에서와 같다.In the fifth embodiment, since the stitches of the finger joints 6a do not knock over by the suppression by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and stop at the needles of the knitting needles 4, the knitting needles 4 do not have a stitch value of zero. It can be pulled in to the needle bed side than the corresponding one. Therefore, in the empty course 7z of the fifth embodiment, the knitting needle 4 brought in at least to the release position as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nd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2 can be returned. The fifth embodiment can also be realized by changing the control data using the flat knitting machine 51 and the stitch cam 14 shown in FIG. The effect and width of the empty course 7z are the same as in Example 4.

또한 실시예2, 3에서는, 스티치 억제판(5)을 빼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는 상태에서 캐리지(10)가 정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1∼5에서는, 종래 캐리지(10)에 탑재되어 있는 스티치 캠(14, 44, 54)이나 프레셔 캠(16)을 겸용하여 편침(4)을 되돌리도록 하고 있지만, 전용의 캠을 설치하여도 좋다.In Examples 2 and 3, before the stitch restraint plate 5 is removed, the carriage 10 is stopped in the state where the knitting needle 4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finger connecting portion 6a is returned to the release position. desirable. In Examples 1 to 5, although the stitch needles 14, 44, 54 and the pressure cam 16, which are conventionally mounted on the carriage 10, are used to return the knitting needles 4, a dedicated cam is provided. You may also do it.

1, 41, 51 : 횡편기
2 : 니들베드갭
3 : 니들베드
3a : 기판
3b : 니들 플레이트
3F : 앞쪽 니들베드
4 : 편침
4a : 훅
4b : 구동 버트
4c : 니들베드갭 측 버트
5 : 스티치 억제판
5a : 스티치 억제홈
5b : 스티치 억제편
5c : 경사부
6, 7 : 손가락부
6a, 7a : 손가락 연결부
10, 10F, 10B, 40F, 50F : 캐리지
14, 44, 54 : 스티치 캠
14b, 16b, 44b, 54b : 구동 캠면
16 : 프레셔 캠
16c, 44c, 54c : 귀환 캠면
21 : 프레셔 캠 제어바
31 : 저판
32 : 레버
33 : 이동부재
34 : 지주
35 : 스프링
1, 41, 51: flat knitting machine
2: needle bed gap
3: needle bed
3a: substrate
3b: needle plate
3F: Front needle bed
4: single hand
4a: hook
4b: drive butt
4c: Needle bed gap side butt
5: stitch restraining plate
5a: Stitch Suppression Groove
5b: Stitch Suppression Piece
5c: slope
6, 7: finger part
6a, 7a: finger joint
10, 10F, 10B, 40F, 50F: carriage
14, 44, 54: Stitch Cam
14b, 16b, 44b, 54b: drive cam surface
16: pressure cam
16c, 44c, 54c: return cam surface
21: pressure cam control bar
31: Base Plate
32: lever
33: moving member
34: prop
35: spring

Claims (7)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편침(編針)에 형성되고, 선침결과에 따라 출몰하는 구동 버트(驅動 butt)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편성캠(knitting cam)으로, 편침이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진퇴하도록 구동하면서, 복수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통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손가락부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한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구비하고,
스티치 억제판에 형성하는 스티치 억제홈으로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편침의 침간(針幹)에 정지시켜 지지하고, 다음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가 포함되는 최종 코스까지 편성하는 사이에, 지지하는 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캐리지에 탑재되고, 스티치 억제판에 의하여 녹오버를 억제하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침간에 지지하는 편침의 버트에 작용하고, 스티치 억제판이 스티치를 억제하고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갭 측의 해제위치로 편침을 되돌리는 캠면을 갖는 귀환캠(return 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Carriage which is formed in the knitting need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nd reciproc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ive butt which is sunk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needle needle. Knitting cam mounted on the body, the knitting needle is driven to advance and retreat to the needle bed gap between the needle beds, while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having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itch restraining plate for overlapping between adjacent finger portions;
While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of the finger portion knitted previously with the stitch restraint groove formed in the stitch restraint plate is stopped and supported by the needle needle of the knitting needle, the next finger portion is knitted to the final course including the finger joint.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which suppresses knock over of the stitch to be made,
It is mounted on the carriage and acts on the butt of the needle which supports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part which suppresses knockover by the stitch restraint on a needle, and knits to the release position of the needle bed gap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stitch suppression plate suppresses stitch With a return cam having a cam surface for returning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트는, 상기 구동 버트보다도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고, 항상 돌출되어 있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이고,
상기 캠면을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절환기구(切換機構)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 is a needle bed gap side butt which is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rather than the drive butt and always protrudes,
And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he cam surface is acted on a needle bed gap side butt.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으로 지지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켜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으로 안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 구동 캠면을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시켜, 상기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引入)하도록 구동하는 프레셔 캠(pressure cam)이고,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프레셔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eedback cam is formed on the needle bed side in order to actuate the stitch restraining plate to guide the stitch into the stitch restraint groove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finger joint of the finger portion knitted previously. A pressure cam which drives a drive cam surface to actuate the drive butt to pull the knitting needle into the needle bed side;
The cam surface which acts o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and returns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joint por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s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of the pressure cam.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stitch cam)이고,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return cam is a stitch cam that acts on the drive butt to the drive cam surface so as to draw the needle in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be formed,
A cam surface which acts on the needle bed gap side butt and returns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joint por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s form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of the stitch cam.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구동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구동 캠면보다도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return cam is a stitch cam which acts on the said drive butt to a drive cam surface so that a needle may be drawn 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form,
The cam surface which acts on the driving butt and returns the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previously joined finger joint por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s formed on the needle bed side rather than the driving cam surface of the stitch cam.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return cam is a stitch cam which acts on the said drive butt to a drive cam surface so that a needle may be drawn 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form,
The stitch cam pulls back the knitting needle supporting the stitch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connection portion from the needle bed gap to the release position in the knitting operation of the empty course without the sudden yarn after knitting the next finger portion.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하기 전에,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킨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구동하여, 적어도 상기 해제위치까지는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return cam is a stitch cam which acts on the said drive butt to a drive cam surface so that a needle may be drawn to the needle bed si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tch to form,
The stitch cam drives a knitting needle for supporting the stitches of the previously knitted finger connecting portion in the knitting operation of the empty course without the sudden yarn after the stitch suppressing plate is acted before the next finger portion is knitted, and The needle bed gap is pulled back to the release position.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90083253A 2018-07-13 2019-07-10 Flat knitting machine KR1022265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33754 2018-07-13
JP2018133754 2018-07-13
JP2019103331A JP7233309B2 (en) 2018-07-13 2019-05-31 flat knitting machine
JPJP-P-2019-103331 201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693A true KR20200007693A (en) 2020-01-22
KR102226578B1 KR102226578B1 (en) 2021-03-10

Family

ID=6921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253A KR102226578B1 (en) 2018-07-13 2019-07-10 Flat knitt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6578B1 (en)
CN (1) CN110714267B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58B1 (en)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Clothing 3D Printer
KR102323161B1 (en)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Clothing 3D Printer
KR102323156B1 (en)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Clothing 3D Printer
WO2022097781A1 (en) 2020-11-05 2022-05-12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printer for manufacturing cloth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376U (en) 1998-03-13 1998-10-27 東洋興産株式会社 Seawall
KR20100110736A (en) * 2009-04-03 2010-10-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2011026741A (en) 2009-07-27 2011-02-10 Shima Seiki Mfg Ltd Flat knitting machine with suppression plate for knit stitch
JP2013044077A (en) 2011-08-26 2013-03-04 Shima Seiki Mfg Ltd Device for actuating movable cam for flat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06B1 (en) * 2008-08-12 2009-12-03 한길용 Glove weaving machine
CN102517777A (en) * 2011-12-08 2012-06-27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Front panel on cam bottom plate on computer-aided glove knitting machine
CN102517778A (en) * 2011-12-08 2012-06-27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Rear plate on cam bottom plate of computerized glove making machine
CN202509211U (en) * 2012-03-27 2012-10-31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Front plate of seven needle cam baseboard of computer glove knitting machine
CN203583129U (en) * 2013-07-14 2014-05-07 绍兴汉翔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Composite triangular braiding apparatus in front of computer glove machine
CN206970815U (en) * 2017-03-27 2018-02-06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A kind of Glove Machine set squa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376U (en) 1998-03-13 1998-10-27 東洋興産株式会社 Seawall
KR20100110736A (en) * 2009-04-03 2010-10-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2011026741A (en) 2009-07-27 2011-02-10 Shima Seiki Mfg Ltd Flat knitting machine with suppression plate for knit stitch
JP2013044077A (en) 2011-08-26 2013-03-04 Shima Seiki Mfg Ltd Device for actuating movable cam for flat knitt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58B1 (en)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Clothing 3D Printer
KR102323161B1 (en)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Clothing 3D Printer
KR102323156B1 (en)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Clothing 3D Printer
WO2022097781A1 (en) 2020-11-05 2022-05-12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printer for manufacturing clot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14267A (en) 2020-01-21
KR102226578B1 (en) 2021-03-10
CN110714267B (en)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7693A (en) Flat knitting machine
EP1867768B1 (en) Method of knitting cylindrical fabric in weft knitting machine and weft knitting machine
KR19990023497A (en) Flat knitting machine with roofing movable plate
KR960013904B1 (en) Yar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knittning machine
US6857294B2 (en) Method for knitting inta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KR101709944B1 (en) Method for split-knitting
KR100833520B1 (en) 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ed fabric
US6799443B2 (en) Flatbed knitting machine
KR101516154B1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KR100554200B1 (en) A stitch loop retaining method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CN112813572B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loop knitting and knitting method
KR20100080359A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KR101347668B1 (en) Sock knitting machine
US5163305A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KR200477296Y1 (en) A flat knitting machine
KR20230160922A (en) Movable sinker of flat knitting machine
JPS6252063B2 (en)
JP7233309B2 (en) flat knitting machine
WO2022191204A1 (en)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JPS5837421B2 (en) Intarsia knitting method
CN113186637B (en) Glove knitting machine
KR20240031145A (en)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CN113950546A (en) Method and knitting device for plating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equipped with compound needles
KR20230021610A (en) Method for knitting pile knitted fabric by flat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