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618A -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618A
KR20200007618A KR1020180081949A KR20180081949A KR20200007618A KR 20200007618 A KR20200007618 A KR 20200007618A KR 1020180081949 A KR1020180081949 A KR 1020180081949A KR 20180081949 A KR20180081949 A KR 20180081949A KR 20200007618 A KR20200007618 A KR 2020000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passage
rain water
re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0683B1 (en
Inventor
권영은
Original Assignee
권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은 filed Critical 권영은
Priority to KR102018008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683B1/en
Publication of KR2020000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6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which is convenient and safe to use and can improv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removing rainwater remaining at an umbrella comprises: a rainwater removal body having an umbrella passage for passing through the umbrella; a blower unit which is provided on the rainwater removal body and blows wind toward the umbrella passage to remove rain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from the umbrella; and a rainwater collection unit detachably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and collecting rainwater removed from the umbrella.

Description

우산 빗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removing rain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일반적으로, 우산은 금속제 등으로 이루어진 살에 천 등을 씌워 비가 올 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이다.In general, an umbrella is an object to cover the rain by covering the head made of metal, such as cloth, cloth spread over the hand when it rains.

이러한 우산은 비를 맞으면 빗물이 천에 스며들거나 물방울 형태로 천에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우산의 천에 잔류하는 빗물이 실내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막기 의해 실내의 출입구에는 우산을 씌우는 일회용 비닐 커버가 비치되는 실정이다.When an umbrella hits the rain, rainwater may permeate the cloth or remain on the cloth in the form of droplets. Therefore, by preventing rain water remaining on the cloth of the umbrella from falling on the floor of the room, the entrance to the room is provided with a disposable vinyl cover covering the umbrella.

하지만, 일회용 비닐 커버는 재활용되지 않고 대부분 지하에 그대로 매립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잇다. 따라서, 빗물을 제거하면서도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disposable vinyl cover is not recycled and is mostly buried under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while removing rainwater.

이러한 요구에 따라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589호에 개신된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해당 문헌의 도면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가지는 '통' 형상의 본체(2),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된 구동수단(4)과, 상기 회전축(3)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3)의 회전시 동반하여 회전되도록 되며, 우산을 끼움결합하여 지지고정하도록 된 지지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ccordance with such a request,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1589 by the prior art has a main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as shown in FIG. 2), the rotary shaft 3 rotatably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2, the driving means 4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shaft 3, and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3 It is fixed to be rotated to accompan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3), and comprises a support means (5) to be fixed by holding the umbrella fitting.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사용이 불편하고, 회전에 따른 안전문제가 발생되며, 이를 사용해도 빗물이 덜 제거되는 등 빗물 제거 효율이 떨어져 바닥 청소의 번거로움을 여전히 가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우산의 천에 흡수된 빗물의 경우 제거가 되지 않아 우산을 그대로 접어 보관할 경우 세균의 번식으로 우산에서 악취가 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is inconvenient to use, a safety problem occurs due to the rotation, even when using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is low, such as less rainwater is removed, there is still the hassle of cleaning the floor. . In addition, even when using the conventional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is not removed in the case of rain water absorbed by the cloth of the umbrella there is a problem that odor from the umbrella by the breeding of bacteria when the umbrella is stored as it is fold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빗물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that is easy to use and safe and can improv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로, 상기 우산을 통과시기 위한 우산 통로를 가지는 빗물 제거 바디; 상기 빗물 제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우산 통로를 향해 바람을 분출시켜 상기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을 우산으로부터 제거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우산으로부터 제거된 빗물을 수집하는 빗물 수집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removing rain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body having an umbrella passage for passing the umbrella; A blower provided in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to blow wind toward the umbrella passage to remove rain 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from the umbrella; And a rainwater collection unit detachably provided at a bottom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and collecting rainwater removed from the umbrella.

상기 우산 통로는,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로부; 상기 빗물 제거 바디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전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전단 개방부; 상기 빗물 제거 바디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후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후단 개방부; 및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상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전단 개방부와 상기 후단 개방부에 양단이 각각 연통되는 상단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mbrella passage is formed in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the passage portion is formed long relative to the user's traveling direction; A shear opening part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ain water removal body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communicating with an outsid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passage part and the rain water removal body; A rear end opening part formed at a rear end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portion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an upper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and communicating at both ends of the front opening portion and the rear opening portion, respectively.

사용자가 지나가는 동안, 상기 우산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상기 전단 개방부로 인입되고, 상기 상단 개방부와 상기 통로부를 거치면서 상기 송풍부에 의해 빗물이 제거된 후, 상기 후단 개방부로 인출될 수 있다.While the user is passing, the umbrella is drawn into the front opening portion while being held by the user, and after the rain water is removed by the blower por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the passage portion, the umbrella may be drawn out to the rear opening portion. have.

상기 송풍부는,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전반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로부를 향해 차가운 바람을 분출시키는 냉기 공급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후반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로부를 향해 뜨거운 바람을 분출시키는 온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may include: a cold air supply unit provided at a first half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and emitting cold wind toward the passage; And a warmth supply part provided at a rear part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emitting hot wind toward the passage part.

상기 냉기 공급부는 복수의 냉기 분출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온기 공급부는 복수의 온기 분출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냉기 분출 슬롯과 상기 각각의 온기 분출 슬롯은 지면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ld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ld air ejection slots, the warm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rm air ejection slots, and each of the cold air ejection slots and the respective warm air ejection slot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May have

상기 각각의 냉기 분출 슬롯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전단과 지면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온기 분출 슬롯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후단과 지면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cold air ejecting slots may have a shape inclined toward the front end and the ground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each of the warm air ejecting slots may have a shape inclined toward the rear end and the ground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상기 우산 통로의 바닥을 이루는 통로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로 바닥부는 일 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passage bottom portion forming the bottom of the umbrella passage, the passage bottom portion may have a shape inclined to one side.

상기 통로 바닥부는 이의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빗물 수집부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ssage bottom may include an outlet formed in the lowest portion thereof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rainwater collecting por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상기 빗물 제거 바디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우산의 빗물을 1차 제거하는 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removal body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end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user of the rainwater further comprises a brush portion for primary removal of rainwater of the umbrella.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상기 빗물 제거 바디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구비되며 우산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detecting an umbrella.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mbrella rainwa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우산이 우산 통로를 통과하는 동안 송풍부에서 분출되는 바람에 의해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이 제거될 수 있고, 제거된 빗물은 빗물 수집부에 수집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우산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의 불요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할 수 있으며, 송풍에 의해 빗물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빗물 수집부가 착탈 가능하게 놓이므로, 빗물이 지면으로 배출되지 않아 실내에서도 안전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빗물이 고이면 탈거하여 빗물을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may be removed by the wind emitted from the blower while the umbrella passes through the umbrella passage, and the removed rain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Unlike the configuration of rotating the umbrella can be convenient and safe to use, it can improve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by the blowing. In addition, since the rainwater collector is detachably placed, the rain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and cleanly in the room, and when rainwater is collected, the rainwater can be removed and then remou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우산 통로가 통로부, 전단 개방부, 후단 개방부, 그리고 상단 개방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회전 시간 동안 하나의 우산에 대해서만 독점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우산 통로가 제공되므로 많은 우산이 순차적으로 진입하면서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mbrella passage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the passage portion, the front opening portion, the rear opening portion, and the top opening por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 exclusively for one umbrella during the rotation time and Alternatively, because an umbrella passage is provided, many umbrellas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entering sequential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부가 냉기 공급부와 온기 공급부를 포함하고, 냉기 공급부가 빗물 제거 바디의 전반부에 구비되고, 온기 공급부가 빗물 제거 바디의 후반부에 구비되는 기술 구성을 제공하므로, 우산의 빗물이 냉기에 의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에서 온기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어, 처음부터 온기만을 이용한 것에 비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등 빗물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냉기로 빗물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여서 건조 시에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을 줄 일 수 있어 실내 습도의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wer includes a cold air supply and a warm air supply, the cold air supply is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rain water removal body, and the warm air supply is provided in the second half of the rain water removal body. It can be dried by warmth in the state where rainwater of umbrella is removed to some extent by cold air, and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rainwater removal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using only warmth from the beginning, and rainwater to some extent By being remov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drying, thereby minimizing the increase in indoor humid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냉기 공급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냉기 분출 슬롯과 온기 공급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온기 분출 슬롯이 지면에 대해 경사져 놓이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냉기 또는 온기에 의해 떨어져 나온 빗물이 비스듬하게 낙하하게 됨에 따라 통로 바닥부에 부딪혀 튕겨 올라와 다시 우산에 접촉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f the cold air ejection slots included in the cold air supply unit and each warm air ejection slots included in the warm air supply un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separated by cold air or warm air As the rainwater falls obliquely, it can be minimized to hit the bottom of the aisle and bounce back to the umbrell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빗물 제거 바디의 전단에 솔부가 더 구비되므로, 우산이 우산 통로를 통과하기 전에 솔부를 우선 통과하면서 우산의 빗물이 1차 제거될 수 있어, 빗물 제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ush portion is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the rain water of the umbrella can be first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rush portion first before the umbrella passes through the umbrella passage, thereby improving rain water removal efficiency. I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우산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더 구비되므로, 우산을 빗물 제거 바디의 전단에 인입시키면 자동으로 송풍부가 작동되면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umbrella is further provided, by introducing the umbrella into the front of the rain water removal body can automatically remove the rain water of the umbrella while the blower is activated, it can be easy to us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내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냉기 공급부와 온기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통로 바닥부와 빗물 수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감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mbrella rainwa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utaway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ner surface of the umbrella rainwater remov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view of the umbrella rainwater removing device of FIG. 2 as viewed from above. FIG.
FIG. 4 is a view of the umbrella rainwater removing device of FIG. 2 seen from the left side.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ld air supply unit and a warm air supply uni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assage bottom and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of FIG. 3.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unit of FIG. 3.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의 내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utawa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of Figure 1, Figure 3 is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is seen from above, and FIG. 4 is a view seen from the left of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of FIG.

도 5는 냉기 공급부와 온기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통로 바닥부와 빗물 수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감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d air supply unit and a warm air supply unit,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ssage bottom part and a rainwater collecting part.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of FIG. 3, and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unit of FIG.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100)는, 사용자가 지나가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우산(10)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제거 바디(110)와, 송풍부(120)와, 그리고 빗물 수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umbrella rainwater rem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mbrella rainwater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the umbrella 10 held by the user while the user passes by, as illustrated in FIGS. 1 to 8. As illustrated,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the blower 120, and the rainwater collector 130 may be included.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빗물 제거 바디(110)는,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 장치(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빗물 제거 바디(110)는 우산(10)을 통과시기 위한 우산 통로(P10)를 가질 수 있다.Rainwater removal body 11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rainwater removal body 110 may have an umbrella passage (P10) for passing through the umbrella (10).

예를 들어, 우산 통로(P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부(P11), 전단 개방부(P12), 후단 개방부(P13), 그리고 상단 개방부(P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P11)는, 빗물 제거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단 개방부(P12)는 빗물 제거 바디(110)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1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통로부(P11)와 빗물 제거 바디(110)의 전단측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고, 후단 개방부(P13)는 빗물 제거 바디(110)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112)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통로부(P11)와 빗물 제거 바디(110)의 후단측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단 개방부(P14)는, 빗물 제거 바디(110)의 상단(113)에 형성될 수 있고, 통로부(P11)와 빗물 제거 바디(110)의 상단측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상술한 전단 개방부(P12)와 상술한 후단 개방부(P13)에 이의 양단이 각각 연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mbrella passage P10 includes a passage portion P11, a front opening portion P12, a rear opening portion P13, and an upper opening portion P14. It may include. The passage part P11 may be formed in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formed to be long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he shear opening P12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111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based on the user's traveling direction, and may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passage P11 with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The rear end opening P13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112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passage P11 and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You can. The upper opening portion P14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113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and may communicate the passage portion P11 with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and Both ends thereof may communicate with the front opening portion P12 and the rear opening portion P13 described above.

이러한 우산 통로(P10)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지나가는 동안, 우산(1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먼저 전단 개방부(P12)로 인입될 수 있고, 상단 개방부(P14)와 통로부(P11)를 거치면서 송풍부(120)에 의해 빗물이 제거된 후, 후단 개방부(P13)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As the umbrella passage P10 is provided, while the user is passing through, the umbrella 10 may first be led into the shear opening P12 while being gripped by the user, and the upper opening P14 and the passage portion. After the rainwater is removed by the blower 120 while passing through P11, the rainwater may be drawn out through the rear opening P13.

따라서, 우산(10)이 우산 통로(P10)를 통과하는 동안 송풍부(120)에서 분출되는 바람에 의해 우산(10)에 잔류하는 빗물이 제거될 수 있고, 제거된 빗물은 빗물 수집부(130)에 수집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우산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의 불요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할 수 있으며, 송풍에 의해 빗물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시간 동안 하나의 우산에 대해서만 독점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이러한 우산 통로(P10)가 제공되므로 많은 우산(10)이 순차적으로 진입하면서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rain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10 may be removed by the wind blown out of the blower 120 while the umbrella 10 passes through the umbrella passage P10, and the rainwater collected is the rainwater collector 130. ), Can be convenient and safe to use because of the unnecessary configuration of rotating the umbrella unlike the conventional, and can improve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by the blowing. Further, unlike the prior art, which is monopolized for only one umbrella during the rotation time, such an umbrella passage P10 is provided so that many umbrellas 10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sequentially entering.

송풍부(120)는, 우산 통로(P10)를 향해 바람을 분출시켜 우산(10)에 잔류하는 빗물을 우산(10)으로부터 제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송풍부(12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제거 바디(110)에 구비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우산 통로(P10)를 기준으로 빗물 제거 바디(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blowing unit 120 is a component for removing the rain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10 from the umbrella 10 by blowing wind toward the umbrella passage P10. 2 to 5, the blower 120 may be provided in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and more specifically, both sides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based on the umbrella passage P10. Each may be provided in.

예를 들어, 송풍부(12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 공급부(121)와 온기 공급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부(121)는 빗물 제거 바디(110)의 전반부[빗물 제거 바디(110)의 전단(111)과 중심 사이의 구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통로부(P11)를 향해 차가운 바람을 분출시킬 수 있다. 온기 공급부(122)는 빗물 제거 바디(110)의 후반부[빗물 제거 바디(110)의 후단(112)과 중심 사이의 구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통로부(P11)를 향해 뜨거운 바람을 분출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wer 120 may include a cold air supply unit 121 and a warm air supply unit 122, as shown in FIGS. 2 to 5. The cold air supply unit 12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section between the front end 111 and the center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and may blow out cool wind toward the passage part P11. have. The warmer supply part 122 may be provided in the latter part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section between the rear end 112 and the center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and may blow out hot wind toward the passage part P11. have.

따라서, 우산(10)의 빗물이 냉기에 의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에서 온기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어, 처음부터 온기만을 이용한 것에 비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등 빗물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냉기로 빗물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여서 건조 시에 발생되는 수증기의 양을 줄 일 수 있어 실내 습도의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rainwater of the umbrella 10 may be dried by warmth in a state where the rainwater is removed to some extent by cold air, thereby increasing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such as reducing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using only warmth from the beginning, As the rainwater is removed to some extent,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drying can be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increase in indoor humidity.

나아가, 냉기 공급부(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풍팬(121a), 제1 덕트(121b), 그리고 복수의 냉기 분출 슬롯(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팬(121a)은 찬 바람을 불어줄 수 있고, 제1 덕트(121b)는 찬 바람을 안내 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냉기 분출 슬롯(121c)은 찬 바람을 우산 통로(P10)의 전반부를 향해 분출시킬 수 있다.Furthermor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cold air supply unit 121 may include a first blowing fan 121a, a first duct 121b, and a plurality of cold air ejection slots 121c. The first blowing fan 121a may blow cold wind, the first duct 121b may guide cold wind, and each of the cold air ejecting slots 121c may blow cold wind of the umbrella passage P10. Eject toward the first half.

또한, 온기 공급부(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풍팬(122a), 히터(122b), 제2 덕트(122c), 그리고 복수의 온기 분출 슬롯(12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팬(122a)은 바람을 불어줄 수 있고, 히터(122b)는 불어오는 바람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제2 덕트(122c)는 따뜻한 바람을 안내 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온기 분출 슬롯(122d)은 따듯한 바람을 우산 통로(P10)의 후반부를 향해 분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armer supply unit 122 may include a second blower fan 122a, a heater 122b, a second duct 122c, and a plurality of warmth ejection slots 122d, as shown in FIG. 5. have. The second blowing fan 122a may blow wind, the heater 122b ma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blowing wind, the second duct 122c may guide the warm wind, and each warmth The blowing slot 122d may blow out warm wind toward the second half of the umbrella passage P10.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우산 통로(P10)를 향해 빗물 제거 바디(110)의 내측면이 프레스(press) 가공되어, 그 프레스된 면이 우산 통로(P1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프레스된 면과 빗물 제거 바디(110)의 내측면 사이에 각각의 냉기 분출 슬롯(121c)과 각각의 온기 분출 슬롯(122d)이 대략 하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냉기 분출 슬롯(121c)과 각각의 온기 분출 슬롯(122d)은 지면(1)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냉기 또는 온기에 의해 떨어져 나온 빗물이 비스듬하게 낙하하게 됨에 따라, 통로 바닥부(114)에 부딪혀 튕겨 올라와 다시 우산(10)에 접촉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the inner surface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toward the umbrella passage (P10) is pressed, so that the pressed surface may have a shape projecting toward the umbrella passage (P10) Each of the cold air jet slots 121c and the warm air jet slots 122d may be formed between the press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in a substantially downward direction.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2 and 4, each cold air jet slot 121c and each warm jet slot 122d may have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1. Therefore, as the rainwater dropped by the cold air or the warmth falls oblique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hitting the bottom of the passage 114 to bounce off and contact the umbrella 10 again.

나아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냉기 분출 슬롯(121c)은 빗물 제거 바디(110)의 전단(111)과 지면(1)을 동시에 향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온기 분출 슬롯(122d)은 빗물 제거 바디(110)의 후단(112)과 지면(1)을 동시에 향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S. 2 and 4, each of the cold air ejecting slots 121c may have an inclined shape to simultaneously face the front end 111 and the ground 1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Each warm air jet slot 122d may have a shape inclined to face the rear end 112 and the ground 1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110 at the same time.

빗물 수집부(130)는, 우산(10)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빗물 수집부(13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제거 바디(110)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130 is a component for collecting rainwater falling from the umbrella 10.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130, as shown in Figures 2 and 6,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따라서, 빗물 수집부(130)가 착탈 가능하게 놓이므로, 빗물이 지면으로 배출되지 않아 실내에서도 안전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빗물이 고이면 탈거하여 빗물을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130 is detachably placed, the rain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and cleanly even in the room, and if rainwater is collected, the rainwater can be removed and then mounted again.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1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통로(P10)의 바닥을 이루는 통로 바닥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로 바닥부(114)는 일 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통로 바닥부(114)는 이의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되며 빗물 수집부(130)와 연통되는 배출구(114a)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4 and 6, the passage bottom portion 114 forming the bottom of the umbrella passage (P10) further. It may include. In particular, the passage bottom 114 may have a shape inclined to one side. Furthermore, the passage bottom 114 may include an outlet 114a formed at the lowest portion thereof and communicating with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130.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10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제거 바디(110)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111)에 구비되며 우산(10)의 빗물을 1차 제거하는 솔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솔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솔 고정부(141)와, 솔 고정부(141)의 내주면에 간격을 두고 구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솔(142)과, 그리고 복수의 솔(142)의 중심부에는 우산(1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143)과, 그리고 솔 고정부(141)에 형성되되 전단 개방부(P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우산(10)이 지나갈 수 있는 이동 통로(14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우산(10)을 삽입 공간(143)에 넣게 되면 우산(10)의 살 사이로 각각의 솔부(142)가 위치되면서 살 사이의 천에 묻은 빗물을 1차로 제거될 수 있고, 이 후 이동 통로(144)를 통해 나와 이와 연통된 전단 개방부(P12)로 우산(1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3 and 7, the front end 111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 May further include a brush unit 140 to remove rain water of the umbrella 10. Further, as shown in FIG. 7, the sole part 140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sole fixing part 141 and a plurality of soles protruding in the centripetal direction at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le fixing part 141. 142, and an insertion space 143 into which an umbrella 10 can be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soles 142,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ear opening portion P12, which is formed in the sole fixing portion 141. It is formed in the umbrella 10 may include a movement passage 144 through which it can pass. Therefore, when the user puts the umbrella 10 in the insertion space 143, each brush portion 142 is positioned between the flesh of the umbrella 10, and rainwater on the cloth between the flesh can be removed first, and then The umbrella 10 may be easily moved to the shear opening P12 communicated with the passage through the moving passage 144.

따라서, 우산(10)이 우산 통로(P10)를 통과하기 전에 솔부(140)를 우선 통과하면서 우산(10)의 빗물이 1차 제거될 수 있어, 빗물 제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rainwater of the umbrella 10 may be first removed while the umbrella 10 first passes through the brush part 140 before passing through the umbrella passage P10, thereby further improving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 장치(1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제거 바디(110)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111)에 구비되며 우산(10)을 감지하는 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50)로는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3 and 8, the front end 111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110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150 for detecting the umbrella (10).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ensing unit 150.

따라서, 우산(10)을 빗물 제거 바디(110)의 전단(111)에 인입시키면 자동으로 송풍부(120)가 작동되면서 우산(10)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mbrella 10 is introduced into the front end 111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110, the blower 120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to remove the rain water of the umbrella 10, which may be easy to us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 지면 10: 우산
100: 우산 빗물 제거 장치 110: 빗물 제거 바디
111: 빗물 제거 바디의 전단 112: 빗물 제거 바디의 후단
113: 빗물 제거 바디의 상단 114: 통로 바닥부
114a: 배출구 P10: 우산 통로
P11: 통로부 P12: 전단 개방부
P13: 후단 개방부 P14: 상단 개방부
120: 송풍부 121: 냉기 공급부
121c: 냉기 분출 슬롯 122: 온기 공급부
122d: 온기 분출 슬롯 130: 빗물 수집부
140: 솔부 150: 감지부
1: floor 10: umbrella
100: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10: rainwater removal body
111: Front end of the rain removal body 112: Rear end of the rain removal body
113: Top of rain removal body 114: Bottom of passage
114a: outlet P10: umbrella passage
P11: passage portion P12: shear opening
P13: rear opening P14: upper opening
120: blower 121: cold air supply
121c: cold air ejecting slot 122: warmth supply
122d: Warm Water Jet Slot 130: Rainwater Collector
140: sole part 150: detection part

Claims (3)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 장치로,
상기 우산을 통과시기 위한 우산 통로를 가지는 빗물 제거 바디;
상기 빗물 제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우산 통로를 향해 바람을 분출시켜 상기 우산에 잔류하는 빗물을 우산으로부터 제거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우산으로부터 제거된 빗물을 수집하는 빗물 수집부;
를 포함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to remove the rain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A rainwater removal body having an umbrella passage for passing the umbrella;
A blower provided in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to blow wind toward the umbrella passage to remove rain water remaining in the umbrella from the umbrella; And
A rainwater collection unit detachably provided at a bottom of the rainwater removal body and collecting rainwater removed from the umbrella;
Containing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제1항에서,
상기 우산 통로는,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로부;
상기 빗물 제거 바디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전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전단 개방부;
상기 빗물 제거 바디 중 사용자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후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후단 개방부; 및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와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상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전단 개방부와 상기 후단 개방부에 양단이 각각 연통되는 상단 개방부;
를 포함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
In claim 1,
The umbrella passage is,
A passage portion formed inside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formed to have a length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 shear opening part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ain water removal body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communicating with an outsid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passage part and the rain water removal body;
A rear end opening part formed at a rear end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portion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An upper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having both ends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opening part and the rear opening part;
Containing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제2항에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전반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로부를 향해 차가운 바람을 분출시키는 냉기 공급부; 및
상기 빗물 제거 바디의 후반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로부를 향해 뜨거운 바람을 분출시키는 온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
In claim 2,
The blowing unit,
A cold ai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rainwater removing body and emitting cold wind toward the passage unit; And
A warmth supply part provided at a rear part of the rain water removing body and emitting hot wind toward the passage part;
Containing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KR1020180081949A 2018-07-14 2018-07-14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KR102090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49A KR102090683B1 (en) 2018-07-14 2018-07-14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49A KR102090683B1 (en) 2018-07-14 2018-07-14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618A true KR20200007618A (en) 2020-01-22
KR102090683B1 KR102090683B1 (en) 2020-03-18

Family

ID=6936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949A KR102090683B1 (en) 2018-07-14 2018-07-14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6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470A (en) * 2000-01-25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mbrella dryer
KR200462640Y1 (en) * 2012-07-02 2012-09-26 김예진 Umbrella Drying Apparatus
KR20120136230A (en) * 2011-06-08 2012-12-18 성백섭 Drip receptacle for umbrellas
KR20150016837A (en) * 2013-08-05 2015-02-13 유성덕 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470A (en) * 2000-01-25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mbrella dryer
KR20120136230A (en) * 2011-06-08 2012-12-18 성백섭 Drip receptacle for umbrellas
KR200462640Y1 (en) * 2012-07-02 2012-09-26 김예진 Umbrella Drying Apparatus
KR20150016837A (en) * 2013-08-05 2015-02-13 유성덕 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683B1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980B2 (en) Hair dryer
US4768293A (en) Footwear drying apparatus
CN105101856B (en) Vacuum cleaner
US11425979B2 (en) Hair dryer
CN104207730B (en) Vertical type multifunctional floor cleaning chip syringe
US11857052B2 (en) Water separator for a hair dryer
KR20150016837A (en) 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KR20200007618A (en)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KR101249900B1 (en) Umbrella Dryer
KR20090085170A (en) Umbrella dryer
US4055002A (en) Portable football dryer
JP3994642B2 (en) Hand dryer
JP2001208470A (en) Umbrella dryer
KR20100043760A (en) Drying device for grip of golf club
JP2022508746A (en) Automatic umbrella dryer using jet blade technology
KR102216954B1 (en) A Umbrella Dryer
CN106725000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toilet and bathroom cabinet
JP2004321485A (en) Hand dryer
JP3994643B2 (en) Hand dryer
JP4029551B2 (en) Hand dryer
JP3994647B2 (en) Hand dryer
CN212673699U (en) Multifunctional umbrella dryer
KR20160093852A (en) Umbrella dryer with sterilizing function
JPH0549587A (en) Shoe drier
KR102134426B1 (en) Apparatus for removing umbrella rainwater using air recirc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