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605A -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605A
KR20200007605A KR1020180081915A KR20180081915A KR20200007605A KR 20200007605 A KR20200007605 A KR 20200007605A KR 1020180081915 A KR1020180081915 A KR 1020180081915A KR 20180081915 A KR20180081915 A KR 20180081915A KR 20200007605 A KR20200007605 A KR 2020000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ost device
pointing
pointer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7457B1 (en
Inventor
최순필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8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457B1/en
Publication of KR2020000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laser output unit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output a laser light source; a sensor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senses a movement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a control unit to receive the position signal to generate position coordinates of a plane coordinate form and transmit the position coordinates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host device in a wired or a wireless manner. The host device generates a pointing image of a wider area than the area of a laser light emitted to a 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device by the laser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in real tim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Description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laser pointer and image poin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can be selectively used. A dual mode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포인팅 장치라 함은 공간이나 평면 상의 특정 지점을 지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를 의미하며, 레이저 포인터와 같이, 지시할 지점을 향하여 레이저 광 등의 직진광을 직접 조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는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켜 스크린에 영사된 화면 상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텔레비전, 모니터와 같은 영상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가 대중에게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In general, the point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made to indicate a specific point on a space or plane, and may be implemented by directly irradiating straight light such as a laser light toward a point to be pointed, such as a laser pointer. have. Such a pointing device may focus attention of the public to more effectively transfer information on a screen projected on a screen, or to make informati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video terminal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easily recognized by the public.

한편, 직진광을 조사하는 방식의 포인팅 장치는 스크린에 조사된 직진광이 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되면서 지시 지점이 대중에게 인식된다. 이로 인해, 프로젝터(projector) 전용 스크린에서는 포인팅 장치가 지시하는 지점이 명확하게 보이나, LCD 스크린과 같이, 표면에 난반사 필름이 부착되어 있거나 난반사 방지 코팅이 되어 있는 경우, 직진광이 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되지 않아 포인팅 장치가 지시하는 지점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inting device of the method of irradiating the linear light, the point of indication is recognized by the public as the linear light irradiated on the screen is reflected from the screen. As a result, the point indicated by the pointing device is clearly visible on the projector-only screen, but when the diffuse reflection film is attached to the surface or the anti-reflection co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such as an LCD screen, straight light is not reflected from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int indicated by the pointing device is not clearly visible.

또한, 프로젝터 방식이라고 하더라도 대형 스크린이 사용되면서 레이저 포인터가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projector metho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aser pointer is not visible as a large screen is used.

이에,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과 LCD 스크린에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스크린에 각각 사용될 수 있는 포인팅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ointing device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on a projector-specific screen and an LCD screen, and can be used on various types of screens, respective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563호 (2014. 12. 10)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73563 (2014. 12. 1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이저 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for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can be used for various screen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레이저 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which can be selectively used for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출력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스트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레이저출력부가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의 포인팅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상기 호스트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한다.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laser output unit for receiving a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outputting a laser light source;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a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generate a position signal,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and generates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m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host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wherein the host device generates a pointing imag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by the laser output unit on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nd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in real time 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group.

상기 포인팅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에 따라 형상,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The pointing image may be adjusted at least one of shape, size, and transparenc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host device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to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The host device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상기 본체는 외부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xternal operation, and the host device may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and fix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to the display area.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레이저출력부가 설치된 본체 내부에 포함된 센서부가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A)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레이저출력부가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의 포인팅이미지를 생성하는 (B)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상기 호스트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wherein a sensor part included in a main body in which a laser output unit is installed detects a movement of the main body. (A) generating a signal,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generates a position coordinate in the form of a plane coordinate,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whereby the laser output unit irradiate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B) generating a pointing imag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laser light, and (C)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in real time.

상기 포인팅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에 따라 형상,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The pointing image may be adjusted at least one of shape, size, and transparenc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host device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to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The host device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상기 본체는 외부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xternal operation, and the host device may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and fix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to the display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포인터에 마우스 기능이 있어, 직관적인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가능하며,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뿐만 아니라 LCD 스크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ser pointer has a mouse function, intuitive calibration is possible, and it can be used not only on a projector-specific screen but also on an LCD screen.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포인팅이미지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어 대중의 이목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특히, 포인팅이미지의 투명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이목 집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포인팅이미지의 크기를 크게 하더라도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사된 정보가 잘 보일 수 있어 내용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may be adjusted to effectively attract the public's attention. In particular, since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can be adjusted, even if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is increased in order to maximize the focusing effect,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can be easily seen, thereby effectively delivering contents.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어, 멀리 있는 대중도 영사된 화면 상의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화면 상의 정보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can be partially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a distant public can easily view the projec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can be transmitted more effectively.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어, 화면 상의 정보가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pointing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may be adjusted to be dark, information on the screen may be transmitted more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와 호스트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동작,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and a host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4 through 1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and a control method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mere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는 공간이나 평면 상의 특정 지점을 지시할 때 사용되는 장치로, 예를 들어,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세미나 또는 보고회 등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호스트기기와 통신하여 호스트기기를 제어하며, 호스트기기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기기라 함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라 함은, 호스트기기에서 전송하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막 형태의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이거나 LCD 스크린 또는 LCD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영상 단말기일 수 있다.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the laser pointer and the image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point on a space or plane, for example, when a seminar or a report meeting using a projector, etc. Can be used. 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the laser pointer and the image pointer controls the host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the host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host device. Here, the host device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host device may be a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transmitted from a host device on a screen, and may be a screen dedicated to a projector in a film form or an image terminal such as an LCD screen or an LCD television or a computer monitor.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는, 레이저 포인터에 마우스 기능이 있어, 직관적인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가능하며,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뿐만 아니라 LCD 스크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포인팅이미지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어 대중의 이목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특히, 포인팅이미지의 투명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이목 집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포인팅이미지의 크기를 크게 하더라도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사된 정보가 잘 보일 수 있어 내용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어, 멀리 있는 대중도 영사된 화면 상의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화면 상의 정보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어, 화면 상의 정보가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has a mouse function on the laser pointer, which enables intuitive calibration, and can be used not only on a projector-specific screen but also on an LCD screen. In addition, at least one of a shape, a size, a transparency, and a color of the pointing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may be adjusted to effectively attract the public's attention. In particular, since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can be adjusted, even if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is increased in order to maximize the focusing effect,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can be easily seen, thereby effectively delivering contents. In addition,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can be partially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a distant public can easily view the projec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can be transmitted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pointing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may be adjusted to be dark, so that information on the screen may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와 호스트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conceptu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and a host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도 4 내지 도 10은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동작,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hrough 1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and a control method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1)는 본체(10)와, 레이저출력부(20)와, 센서부(30)와, 제어부(40), 및 통신부(50)를 포함한다.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1 using the laser pointer and the image poi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laser output unit 20, a sensor unit 30, a control unit 40, and a communication unit 50. It includes.

본체(10)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1)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길게 연장된 바(bar)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가 바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가 바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 및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전원부(11)를 포함하며, 전원부(11)는 후술할 레이저출력부(20)와, 센서부(30), 제어부(40), 및 통신부(5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한다.The main body 10 is a part held by a user when using 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1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As shown in FIG. 1, a bar or a rod is extended in one side. It can be formed in the absence of. Since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bar or rod shape, the user can easily grip with one hand and can easily manipulate the pointing device 1 in a state of holding with one hand. However, the main body 10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in a bar or rod shape,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that can be easily gripped and manipulated by a user. The main body 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 and the power supply unit 11 supplies power to the laser output unit 20, the sensor unit 30, the control unit 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upply.

레이저출력부(20)는 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광원을 출력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출력부(20)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단파장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며, 적색광, 녹색광, 자색광 등 다양한 색상의 레이저광을 방출할 수 있다. 레이저출력부(20)는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온오프(ON/OFF) 스위치 형태의 제2 입력부(62)의 조작에 의해 레이저광원의 출력이 제어되며, 막 형태의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D1)을 지시할 때 사용될 수 있다.The laser output unit 2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and outputs a laser light source, an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 The laser output unit 20 may be formed of a laser diode to emit short wavelength laser light, and may emit laser light of various colors such as red light, green light, and purple light. The laser output unit 20 controls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by manipulating the second input unit 62 in the form of an ON / OFF switch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has a film-only projector screen. Can be used to indicate (D1).

센서부(30)는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본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생성하며, 전원부(11)는 센서부(30)와 레이저출력부(2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레이저출력부(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레이저광원이 출력되는 경우, 센서부(3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반대로,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레이저출력부(2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레이저광원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센서부(3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D1)이 아닌 LCD 스크린(D2)을 지시할 때 전원부(11)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부(11)가 센서부(30)와 레이저출력부(2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센서부(30)와 레이저출력부(20)로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센서부(30)는 생성된 위치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한다.The sensor unit 30 generates a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a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sensor unit 3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ower supply unit 11 selectively selects the sensor unit 30 and the laser output unit 20. Can supply power. For exampl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aser output unit 20 by the operation of the on / off switch and the laser light source is output, power supply to the sensor unit 30 may be stopped. On the contrary,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laser output unit 20 is interrupted by the operation of the on-off switch and the laser light source is not output,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ensor unit 30. The sensor unit 3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when instructing the LCD screen D2 instead of the projector-specific screen D1, and may generate a position signal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 However, the power supply unit 11 is not limited to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unit 30 and the laser output unit 20, and, if necessary, simultaneously to the sensor unit 30 and the laser output unit 20. It can also supply power. The sensor unit 30 transmits the generated pos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상대위치좌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D)와 연결된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레이저출력부(20)가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의 포인팅이미지(P)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센서부(30)에서 생성된 위치신호는 제어부(40)로 전송되어 평면 좌표 형태의 상대위치좌표로 변환되며, 제어부(40)는 생성된 상대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포인팅이미지(P)로 출력시킨다. 이 때, 포인팅이미지(P)는 단순히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점 형태일 수도 있고, 원형, 링형, 사각형, 삼각형, 화살표 등 특정 형태의 도형일 수도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는 캐릭터, 로고 등 면 형태의 사진일 수도 있고,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즉, 포인팅이미지(P)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The controller 40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30 to generate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D to display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apparatus D. In (A), a pointing image P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by the laser output unit 20 is generated. In other words, the posi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 and converted into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generated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As a result, the display area A of the display device D is output as a pointing image P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light. In this case, the pointing image P may be simply a point shap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light, or may be a shape of a specific shape such as a circle, a ring shape, a rectangle, a triangle, and an arrow. In addition, the pointing image P may be a photograph in the form of a character, a logo, or the like, or may be a moving image continuously. That is, the pointing image P may be output in various forms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light.

제어부(40)는 호스트기기(H)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50)를 통해 상대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영역(A)에 출력되는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40)가 상대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포인팅이미지(P)가 출력된 상태에서 레이저광을 출력시키면, 레이저광이 포인팅이미지(P)에 일치되므로, 직관적인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포인팅이미지(P)는 센서부(30)에 의해 상대적인 위치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영역(A)에 도시되는 것으로 본체(10)가 지시하고 있는 절대적인 위치와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영역(A)에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1)는 레이저광에 의헤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여 포인팅이미지(P)를 본체(10)가 가리키는 부분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communicating with the host device H by wire or wirelessly, and outputs the pointing image P to the display area A. ) Position can be changed. The controller 40 may easily indicate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area A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by transmitting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when the laser light is output in a state in which the pointing image P is output on the display area A, the laser light matches the pointing image P. Thus, an intuitive calibration is performed. ) Can be achieved. In other words, the pointing image 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by receiving the relative position by the sensor unit 30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regardless of the absolute position indicated by the main body 10. There is a problem. However, the poin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librated by the laser light so that the pointing image P can be exactly matched with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main body 10.

한편, 포인팅이미지(P)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 또는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에 따라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에서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포인팅이미지(P)로 출력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화면(이하, 초기 화면이라 칭함)이 활성화될 수 있다.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어 반영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의 제어신호는,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입력부(60)의 외부조작에 의해 생성되거나 본체(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는,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 예를 들어,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입력부(6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에 따라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Meanwhile, the pointing image P may be adjusted at least one of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and outputs the pointing image P to the display area A of the display device D, as shown in FIG. On the area A, a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itial screen) that can adjust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activated.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is input while the initial screen M is activated,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changed. It can be adjusted and refl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may be generated by an externa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60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r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generated by the host device H. ) May be generated by manipulation of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for example, a mouse. The input unit 6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is adjus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되면,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를 조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을 조절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을 조절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포인팅이미지(P)의 다양한 형태가 배열된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형태가 배열된 화면에는, 단순히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점 형태와, 원형, 링형, 삼각형, 십자형, 화살표 등 특정 형태의 도형과, 캐릭터, 로고 등의 사진, 및 동영상 등이 배열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인팅이미지(P)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 설명회, 회사 세미나를 하는 경우, 회사 로고를 선택하여 포인팅이미지(P)에 반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회사 로고도 알리는 광고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교육 설명회, 학습 발표회 등을 하는 경우, 동영상을 선택하여 포인팅이미지(P)에 반영함으로써,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도면 상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포인팅이미지(P)의 형태가 배열된 화면에는, 선택된 포인팅이미지(P)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 비율을 조절하거나, 포인팅이미지(P)의 선 두께, 선 종류, 색상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이 조절되면, 다시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될 수 있다.When the initial screen M is activated on the display area A, a menu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selected by manipulating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as shown in FIG. 5. have. When a menu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pointing image P is selected, a screen in which various shapes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rranged may be activated. On the screen in which the shape of the pointing image P is arranged, a dot shap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a laser beam, a specific shape such as a circle, a ring shape, a triangle shape, a cross shape, an arrow, a picture of a character, a logo, The video may be arranged, and one of them may be selected and reflected in the pointing image P. For example, when conducting business presentations and company seminars, by selecting a company logo and reflecting it on the pointing image P, the projected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display area A and an advertisement effect can be announced. have. In addition, in the case of education presentations, learning presentations, etc., by selecting a video and reflecting it in the pointing image P,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effect of concentrating public atten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on the screen in which the shape of the pointing image P is arranged, the vertical or horizontal ratio of the selected pointing image P may be adjusted, or the line thickness, line type, and the like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adjusted. A menu for adjusting the color may be provided. When the shape of the pointing image P is adjusted, the initial screen M may be activated again.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되면,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를 조작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를 조절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를 조절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를 조절하는 화면에는, 형상이 조절된 포인팅이미지(P)가 표시되며, 입력기기의 스크롤 동작 또는 방향키 조작에 의해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표 장소가 많은 사람을 수용하는 대강당인 경우,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가 작으면 시인성(視認性, visibility)이 낮아지므로, 멀리 있는 대중에게도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정보가 용이하게 보일 수 있도록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를 크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발표 장소가 적은 사람을 수용하는 소강당인 경우,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를 작게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정보와 포인팅이미지(P)의 과도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가 조절되면, 다시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될 수 있다.When the initial screen (M) is activated on the display area (A), by operating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as shown in Figure 6, to select a menu to adjust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Can be. When a menu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is selected, a scree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activated. On the scree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the pointing image P whose shape is adjusted is displayed and may be changed in size by a scrolling operation or a direction key manipulation of the input de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auditorium that accommodates many people, the small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lowers the visibility, so that information projected in the display area A can be displayed to the distant public.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can be largely adjusted so that it can be easily seen.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 small auditorium accommodating a small presentation place,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reduced to reduce excessive inter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A and the pointing image P. FIG. When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is adjusted, the initial screen M may be activated again.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되면,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를 조작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화면에는, 형상 및 크기가 조절된 포인팅이미지(P)가 표시되며, 입력기기의 스크롤 동작 또는 방향키 조작에 의해 투명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를 너무 작게 조절하면,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정보가 포인팅이미지(P)에 의해 가려지고,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를 너무 크게 조절하면, 디스플레이 영역(A)에 보이지 않게 되므로, 투명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포인팅이미지(P)에 반영할 수 있다. 특히, 포인팅이미지(P)의 크기를 크게 조절한 경우, 포인팅이미지(P)와 디스플레이 영역(A)의 중첩 부분이 증가하여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정보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이목 집중 효과와 내용 전달 효과를 와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initial screen M is activated on the display area A,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is operated to select a menu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P as shown in FIG. 7. Can be. When a menu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P is selected, a screen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activated. On the screen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P, the pointing image P whose shape and size are adjusted is displayed, and the transparency may be changed by the scroll operation or the direction key manipulation of the input device. At this time, if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P is adjusted too small, the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A is covered by the pointing image P, and if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P is adjusted too large, the display Since it is not visible in the area A, the transparency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nd reflected in the pointing image P. FIG. In particular, when the size of the pointing image P is largely adjusted, since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pointing image P and the display area A may increase, the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A may not be easily seen.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P), the effect of focusing attention and delivering content can be enhanced simultaneously with.

포인팅이미지(P)의 투명도가 조절되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모두 조절된 포인팅이미지(P)가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40)에서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영역(A)에 포인팅이미지(P)로 출력시키면,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되고, 초기 화면(M)에서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pointing image P is adjusted, as shown in FIG. 8 on the display area A, the pointing image P whos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are all adjust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series of processes. May be output. However, when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and outputs the pointing image P in the display area A, the initial screen M is activated, and the point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M. It is not limited to sequentially adjusting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P),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o adjust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또한, 호스트기기(H)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 또는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를 받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조절된 상태에서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호스트기기(H)가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멀리 있는 대중도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화면 상의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영사된 정보 중 특히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나 중요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시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제어신호는,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입력부(60)의 외부조작에 생성되거나 본체(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는,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의 조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하, 호스트기기(H)가 입력부(60)의 외부조작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받아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and enlarges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as shown in FIG. 9. I can display it.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is input whil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djusted, the host device H is input. May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FIG. Since the host device H enlarges and displays the display area A superimposed with the pointing image P, the distant public can easily view information on the scree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A. In particular, the part to be emphasized or important parts can be effectively indicated so that information can be made easi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may be generated by an externa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60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r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generated by a host device ( The input signal of H) may b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60 to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입력부(60)는 사용자의 외부조작에 의해 제어부(40)에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입력부(60)가 가압식 버튼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입력부(60)는 압력식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60)는 제1 입력부(61)와 제2 입력부(62)와 제3 입력부(63), 제4 입력부(64), 및 제5 입력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61)와 제2 입력부(62)는 각각, 전원부(11)와 레이저출력부(20)의 동작을 제어하며, 온오프(ON/OFF) 기능을 하는 푸시 스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입력부(63)는 디스플레이 영역(A) 중 특정 부분을 선택하거나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할 때 사용되며, 제1 입력부(61) 및 제2 입력부(62)와 같이, 온오프(ON/OFF) 기능을 하는 푸시 스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입력부(64)는 디스플레이 영역(A)을 변환할 때 사용되며, 방향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입력부(65)는 레이저포인터 모드와 이미지포인터 모드를 전환할 때 사용되며,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1)를 프로젝터 전용 스크린(D1)에서 사용하는 경우, 제5 입력부(65)를 통해 레이저포인터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포인팅 장치(1)를 LCD 스크린(D2)에서 사용하는 경우, 제5 입력부(65)를 통해 이미지포인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5 입력부(65)를 통해 레이저포인터 모드와 이미지포인터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입력부(62)를 연속적으로 두번 가압하면, 레이저포인터 모드와 이미지포인터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input unit 6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s a means for inputting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40 by an external operation of the user. Although the input unit 6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form of a pressurized button o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put unit 6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essure type or capacitive touch pad. The input unit 60 may include a first input unit 61, a second input unit 62, a third input unit 63, a fourth input unit 64, and a fifth input unit 65. The first input unit 61 and the second input unit 6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sh switch that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power supply unit 11 and the laser output unit 20, and functions as an on / off function. have. The third input unit 63 is used to selec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 or to enlarge the display area A superimposed with the pointing image P. The first input unit 61 and the second input unit 62 may be used. ),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sh switch that functions ON / OFF. The fourth input unit 64 is used when converting the display area A,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key shape. The fifth input unit 65 is used to switch between the laser pointer mode and the image pointer mode,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oggle switch. For example, when the pointing device 1 is used in the projector-specific screen D1, it may be switched to the laser pointer mode through the fifth input unit 65, and the pointing device 1 may be switched on the LCD screen D2. In the case of use, it may be switched to the image pointer mode through the fifth input unit 65. However, the switching between the laser pointer mode and the image pointer mode is not limited to the fifth input unit 65. For example, when the second input unit 62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the laser pointer mode and the image pointer are pressed. Switching of modes may be made.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조절된 상태에서, 입력부(60), 특히, 제3 입력부(63)가 일정 시간 이상 가압되는 등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부(40)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0)는 제3 입력부(63)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입력부(63)가 일정 시간 이상 가압될 때 제어부(40)에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입력부(63)가 연속적으로 두 번 가압될 때 제어부(40)에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이 확대된 상태에서, 입력부(60), 특히, 제3 입력부(63)가 다시 가압되는 등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조작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제3 입력부(63)에 의해 생성된 조작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시킬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이 확대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를 파지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설명 또는 발표를 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이 확대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3 입력부(63)가 또 다시 가압되는 등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조작해제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조작해제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해제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조절된 상태에서, 제3 입력부(63)를 가압한 상태로 본체(10)를 움직일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내용에 마우스 드래그(drag) 기능과 같이 줄 긋기가 가능하여 중요 내용을 효과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djusted, the input unit 60, in particular, the third input unit 63 is pressed by a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like,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40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third input unit 63 to the host device H to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FIG. have. However, the command is not limited to being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third input unit 63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For example, when the third input unit 63 is continuously pressed twice, the control unit ( A command may be input to 40).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is enlarged, when the input unit 60, in particular, the third input unit 63 is operated by the user such as being pressed again,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hird input unit 63 to the host device H.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and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in the display area A. FIG. ) Can be fixed. Since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in an enlarged state, the user can freely move or explain or present the hand holding the pointing device 1 so that information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 In addition, when the third input unit 63 is pressed again by the user while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in an enlarged state, an operation release signal is generated. It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an operation release signal to the host device H, and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release signal to release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to the display area A. FIG. Can be. Also, when the main body 10 is moved while the third input unit 63 is pressed whil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djusted, contents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A are displayed. The mouse can be dragged like a drag function to highlight important contents effectively.

또한, 호스트기기(H)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 또는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를 받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조절된 상태에서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호스트기기(H)가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함으로써, 영사된 정보 중 특히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나 중요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시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제어신호는,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입력부(60)의 외부조작에 생성되거나 본체(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는,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의 조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하, 호스트기기(H)가 입력부(60)의 외부조작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받아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except for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as shown in FIG. 10. You can darken the brightness of the area.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is input whil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djusted, the host device H is inpu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may be darkly adjusted. The host device H darkly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display area A that overlaps with the pointing image P, thereby effectively instructing the part or part of the projected information to be emphasized or important. This can be done more easily.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may be generated by an externa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60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r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generated by a host device ( The input signal of H) may b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Hereinafter,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60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isplay area A that overlaps with the pointing image P. Explain.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조절된 상태에서, 입력부(60), 특히, 제3 입력부(63)가 연속적으로 두 번 가압되는 등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부(40)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0)는 제3 입력부(63)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입력부(63)가 연속적으로 두 번 가압될 때 제어부(40)에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입력부(63)가 일정 시간 이상 가압될 때 제어부(40)에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다. 즉,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3 입력부(63)의 조작 방법과,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제어신호는 생성하는 제3 입력부(63)의 조작 방법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가 어둡게 조절된 상태에서, 입력부(60), 특히, 제3 입력부(63)가 다시 가압되는 등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조작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제3 입력부(63)에 의해 생성된 조작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시킬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가 어둡게 조절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를 파지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설명 또는 발표를 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가 어둡게 조절된 상태에서, 제3 입력부(63)가 또 다시 가압되는 등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조작해제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조작해제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해제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djusted, the controller 40 is operated by the user such that the input unit 60, in particular, the third input unit 63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When a comman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third input unit 63 to the host device H to display the remaining area of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You can darken the brightness. However, the command is not limited to being input to the controller 40 when the third input unit 63 is continuously pressed twice. For example, when the third input unit 63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control unit ( A command may be input to 40). 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hird input unit 63 which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enlarging the display area A superimposed with the pointing image P and the display area A superimposed with the pointing image P are exclud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hird input unit 63 which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for darkening the brightness of the region is formed differently. In addition, while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is darkly adjusted, the input unit 60, in particular, the third input unit 63 is pressed again. In this case, an oper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hird input unit 63 to the host device H.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and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in the display area A. FIG. ) Can be fixed.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isplay area A, which overlaps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in a dark state,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or explain or present the hand holding the pointing device 1. Information transmission can be made eff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third input unit 63 is operated by the user such tha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is darkly adjusted, the operation release signal May be generat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an operation release signal to the host device H, and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release signal to release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to the display area A. FIG.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센서부(30)가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A) 단계와, 제어부(40)가 위치신호를 위치좌표로 변환하고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포인팅이미지(P)를 생성하는 (B) 단계와, 제어부(40)가 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변경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the laser pointer and the image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30 generates a position signal (A), and the control unit 40 converts the position signal into position coordinates. (B) generating a pointing image P in the display area A of the display device D by transmitting the host device H to the host device H, and the controller 40 send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C)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by transmitting.

레이저출력부(20)가 설치된 본체(10) 내부에 포함된 센서부(30)는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한다((A) 단계). 센서부(30)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며, 본체(10) 내부에 포함된 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30)에서 생성된 위치신호는 제어부(40)로 전송된다.The sensor unit 30 included in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laser output unit 20 is installed generates a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 step). The sensor unit 3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included in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The posi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센서부(30)로부터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D)와 연결된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레이저출력부(20)가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의 포인팅이미지(P)를 생성한다((B) 단계). 이 때, 포인팅이미지(P)는 단순히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점 형태일 수도 있고, 원형, 링형, 사각형, 삼각형, 화살표 등 특정 형태의 도형일 수도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는 캐릭터, 로고 등 면 형태의 사진일 수도 있고,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즉, 포인팅이미지(P)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The controller 40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30, generates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D to display the display area (D) of the display apparatus D. A) generates a pointing image P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by the laser output unit 20 (step (B)). In this case, the pointing image P may be simply a point shap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light, or may be a shape of a specific shape such as a circle, a ring shape, a rectangle, a triangle, and an arrow. In addition, the pointing image P may be a photograph in the form of a character, a logo, or the like, or may be a moving image continuously. That is, the pointing image P may be output in various forms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light.

제어부(40)는 상대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변경한다((C) 단계). 제어부(40)는 호스트기기(H)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50)를 통해 상대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상대위치좌표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영역(A)에 출력되는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변경한다. 제어부(40)가 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특정 위치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by transmitting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step C).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communicating with the host device H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and displays the display area.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output to (A) is changed.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in real time, the controller 40 can intuitively easily indicate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area A. FIG.

디스플레이 영역(A)에 표시되는 포인팅이미지(P)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 또는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에 따라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에서 위치좌표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D)의 디스플레이 영역(A)에 포인팅이미지(P)로 출력시키면, 디스플레이 영역(A) 상에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초기화면(M)이 활성화될 수 있다. 초기 화면(M)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어 반영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의 제어신호는,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입력부(60)의 외부조작에 의해 생성되거나 본체(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는, 호스트기기(H)와 연결된 입력기기, 예를 들어,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됨으로써,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켜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멀리 있는 대중에게도 정보가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The pointing image P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may be adjusted in at least one of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H and outputs the pointing image P to the display area A of the display device D, the point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The initial screen M that may adjust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P) may be activated.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is input while the initial screen M is activated,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may be changed. It can be adjusted and refl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may be generated by an external operation of the input unit 60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r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generated by the host device H. ) May be generated by manipulation of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H, for example, a mouse.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vey the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A by focusing the public's attention, and making the information easy to the distant public. Can be delivered.

한편, 호스트기기(H)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 또는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를 받아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조절된 상태에서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호스트기기(H)가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멀리 있는 대중도 디스플레이 영역(A)에 영사된 화면 상의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영사된 정보 중 특히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나 중요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시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이 확대된 상태에서, 입력부(6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조작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입력부(60)에 의해 생성된 조작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시킬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이 확대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를 파지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설명 또는 발표를 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이 확대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부(60)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조작되는 경우, 조작해제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조작해제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해제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st device H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to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FIG.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is input whil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djusted, the host device H is input. May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FIG. Since the host device H enlarges and displays the display area A superimposed with the pointing image P, the distant public can easily view information on the screen projected on the display area A. In particular, the part to be emphasized or important parts can be effectively indicated so that information can be made easier. 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60 is operated by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is enlarged, an oper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ler 4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60 to the host device H, and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to the display area A. Can be fixed Since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in an enlarged state, the user can freely move or explain or present the hand holding the pointing device 1 so that information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 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60 is operated by the user again while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an operation release signal is generated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Can be.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an operation release signal to the host device H, and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release signal to release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to the display area A. FIG. Can be.

또한, 호스트기기(H)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 또는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를 받아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팅이미지(P)의 형상, 크기, 투명도, 및 색상이 조절된 상태에서 제어부(4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호스트기기(H)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호스트기기(H)는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호스트기기(H)가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함으로써, 영사된 정보 중 특히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나 중요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시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가 어둡게 조절된 상태에서, 입력부(6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조작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입력부(60)에 의해 생성된 조작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시킬 수 있다.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가 어둡게 조절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를 파지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설명 또는 발표를 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인팅이미지(P)와 중첩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가 어둡게 조절된 상태에서, 입력부(60)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조작되는 경우, 조작해제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조작해제신호를 호스트기기(H)로 전송하며, 호스트기기(H)는 조작해제신호를 입력받아 포인팅이미지(P)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st device H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to darkl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isplay area A that overlaps with the pointing image P. FIG. .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 or the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H is input while the shape, size, transparency, and color of the pointing image P are adjusted, the host device H is inpu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may be darkly adjusted. The host device H darkly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display area A that overlaps with the pointing image P, thereby effectively instructing the part or part of the projected information to be emphasized or important. This can be done more easily. 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60 is operated by the user while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display area 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P is adjusted by the user,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to the control unit 40. Can be entered. The controller 4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60 to the host device H, and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to the display area A. Can be fixed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display area A, which overlaps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in a darkly adjust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or explain or present the hand holding the pointing device 1. Information transmission can be made eff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60 is operated by the user again while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display area A overlapping the pointing image P is darkened, an operation release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controller 40. ) Can be entered.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an operation release signal to the host device H, and the host device H receives the operation release signal to release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P is fixed to the display area A. FIG. Can b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10: 본체 11: 전원부
20: 레이저출력부 30: 센서부
40: 제어부 50: 통신부
60: 입력부 61: 제1 입력부
62: 제2 입력부 63: 제3 입력부
64: 제4 입력부 65: 제5 입력부
A: 디스플레이 영역 D, D1, D2: 디스플레이 장치
H: 호스트기기 M: 초기 화면
P: 포인팅이미지
1: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laser pointer and image pointer
10: main body 11: power supply
20: laser output unit 30: sensor unit
40: control unit 50: communication unit
60: input unit 61: first input unit
62: second input unit 63: third input unit
64: fourth input unit 65: fifth input unit
A: display area D, D1, D2: display device
H: Host Device M: Initial Screen
P: Pointing Image

Claims (10)

전원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광원을 출력하는 레이저출력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스트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레이저출력부가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의 포인팅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상기 호스트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laser output unit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outputs a laser light source;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main body to detect a movement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position signal;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position signal, generate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ransmit the position coordinates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st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host device generates a pointing imag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by the laser output unit o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is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in real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에 따라 형상,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inting image is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in which at least one of shape, size, and transparency is adjus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ost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and uses the laser pointer and the image pointer to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ost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and uses the laser pointer and the image pointe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display are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시키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xternal operation,
The host device is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to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to fix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to the display area.
레이저출력부가 설치된 본체 내부에 포함된 센서부가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A) 단계;
제어부가 상기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평면 좌표 형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호스트기기로 전송하면, 상기 호스트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레이저출력부가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의 포인팅이미지를 생성하는 (B)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상기 호스트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by detecting a movement of the main body by a sensor included in a main body provided with a laser output unit;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and generates position coordinates in the form of plane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 position coordinates to a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he host device has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by the laser output unit to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B) generating a pointing image of the; And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to the host device in real tim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the laser pointer and the image point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에 따라 형상, 크기,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pointing image is a control method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in which at least one of shape, size, and transparency is adjus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host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to enlarge and display the display area overlapping with the pointing image and to control the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the image point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호스트기기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와 중첩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host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or an input signal of the host device and controls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to dim the brightnes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display area overlapped with the pointing image. Way.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기기는 상기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포인팅이미지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고정시키는 레이저포인터와 이미지포인터를 이용한 듀얼모드 포인팅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or 9,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xternal operation,
The host device is a control method of a dual mode pointing device using a laser pointer and an image pointer to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to fix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image to the display area.
KR1020180081915A 2018-07-13 2018-07-13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7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15A KR102127457B1 (en) 2018-07-13 2018-07-13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15A KR102127457B1 (en) 2018-07-13 2018-07-13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605A true KR20200007605A (en) 2020-01-22
KR102127457B1 KR102127457B1 (en) 2020-06-29

Family

ID=6936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915A KR102127457B1 (en) 2018-07-13 2018-07-13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4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89A (en) * 2021-08-31 2023-03-07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Application for inpu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display through light sen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00285A1 (en) 2021-07-30 2024-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879A (en) * 1992-08-19 1994-11-04 Fujitsu Ltd Optical pointing system
KR19990060200A (en)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Projector with local magnification and variable laser pointer
KR20040105467A (en) * 2003-06-09 2004-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al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present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73563B1 (en) 2013-05-22 2014-12-17 임재현 Presenter for synchronizing laser light and mouse cursor
JP5935794B2 (en) * 2011-03-09 2016-06-15 コクヨ株式会社 Presentation system
JP2017220880A (en) * 2016-06-10 2017-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879A (en) * 1992-08-19 1994-11-04 Fujitsu Ltd Optical pointing system
KR19990060200A (en)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Projector with local magnification and variable laser pointer
KR20040105467A (en) * 2003-06-09 2004-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al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presentation and method thereof
JP5935794B2 (en) * 2011-03-09 2016-06-15 コクヨ株式会社 Presentation system
KR101473563B1 (en) 2013-05-22 2014-12-17 임재현 Presenter for synchronizing laser light and mouse cursor
JP2017220880A (en) * 2016-06-10 2017-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89A (en) * 2021-08-31 2023-03-07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Application for inpu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display through light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457B1 (en)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6808B2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8943231B2 (en) Display device, projector,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device
US20030132912A1 (en) Presentation system using laser pointer
US20180350122A1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US20030067441A1 (en) Presentation system using laser pointer
KR102127457B1 (en)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82110A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7182109A (en)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ject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684390B2 (en) Image display device,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US20030210230A1 (en) Invisible beam pointer system
JP201909609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79336A1 (en) Bidirectional display method and bidirectional display device
JP2019061513A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device
JP2006139222A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1800717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WO2015151505A1 (en) Bidirectional display method and bidirectional display device
JP2017068001A (en) Display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200087018A (en) Po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665296C2 (en) Bidirectional display method and bidirectional display device
KR102287654B1 (en) Pointing apparatus
US20070030247A1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cursor control method thereof
JPH09222951A (en) Display system
JPH04321093A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JP6369082B2 (en) Projector, display device, and projector control method
KR20020006550A (en) A clicker and pointer for projector pres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