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725A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725A
KR20180071725A KR1020160174702A KR20160174702A KR20180071725A KR 20180071725 A KR20180071725 A KR 20180071725A KR 1020160174702 A KR1020160174702 A KR 1020160174702A KR 20160174702 A KR20160174702 A KR 20160174702A KR 20180071725 A KR20180071725 A KR 20180071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size
displaying
object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장원
전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1725A/en
Priority to EP17205267.2A priority patent/EP3340015B1/en
Priority to US15/835,742 priority patent/US20180173399A1/en
Priority to CN201711378865.1A priority patent/CN108206963A/en
Publication of KR2018007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7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26Control of mixing and/or overlay of colour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 display device and an interface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for displaying an objec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s;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 processor which changes an instruction object in a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first operation when the user input is the first operation for changing the instruction object in the object list, and distinguishes the instruction object from the remaining objects by using at least one parameter excluding a size,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displ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0002]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display device and method that can provide an interface screen corresponding to user input.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는 방향키(D-PAD: direactional-pad)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방향키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객체 목록 중에서 어느 한 객체를 지시할 수 있다. Generally,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have a directional key (D-PAD). A use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can designate any one of the object list of the display device by operating a direction key.

사용자는 객체 목록 중에서 원하는 객체를 지시 및 선택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키를 복수 번 조작(숏 프레스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키를 길게 눌러서(롱 프레스 조작) 객체 목록에서 원하는 객체를 지시 및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dir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 plurality of times (short press operation) in order to instruct and select a desired object from the object list. Alternatively, the user can point and select the desired object in the object list by pressing and holding the dir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long press operation).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객체 목록에서 제어 신호에 따른 지시 객체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시 객체의 크기를 다른 객체보다 키움에 따라 지시 객체를 강조 표시하였다. 이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숏 프레스 조작과 롱 프레스 조작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아 사용자가 롱 프레스 조작을 수행하였는지 아니면 숏 프레스 조작을 수행하였는지를 구분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롱 프레스 조작으로 인해 지시 객체를 빠르게 변경 지정하는 경우에 크기 변경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에 부담을 줄 수 있었다.Whe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key of a remote control device, the display object highlights an indication objec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 the object list. In this process,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ighlighted the indication obje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ication object as compared with other objects.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hort press operation and the long press operation, so that it has not been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user performed the long press operation or the short press operation.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can change the size of the indication object quickly due to the long press operation, thereby imposing a burden on the user's gaz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객체 목록에서 지시 객체를 빠르게 변경 지정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시선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형태로 지시 객체를 강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at can emphasize an instruction object in a form that can reduce the gaze burden of a user when the instruction object is rapidly changed and specified in the object lis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시된 객체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나머지 객체를 제2 투명도로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의 투명도를 동일하게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for displaying a list of objects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s;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received, displaying the object indicated by the designated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s with the first transparency and the remaining objects with the second transparency, and when the specified user input is stopped, And displaying the same transparency of the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객체 표시 방법은,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시된 객체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나머지 객체를 제2 투명도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의 투명도를 동일하게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n object by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n objec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s;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nput is a designated user input;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received, displaying an object indicated by the designated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s with a first transparency and a remaining object with a second transparency; And displaying the transparency of the plurality of objects equally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interrupted.

본 발명에 따르면, 객체 목록에서 지시 객체를 빠르게 변경 지정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시선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형태로 지시 객체를 강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instruction object is rapidly changed and designated in the object list, the instruction object can be emphasized in a form that reduces the gaze load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 및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시 객체의 강조 표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롱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bject lis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c and 2d are diagrams illustrating highlighting forms of an instructio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eiving user input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eiving user input using a touch pad.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a user interface screen corresponding to a long press 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c 및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시 객체의 강조 표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bject lis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highlighting form of an instructio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 인터페이스(11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입출력 관계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1, a display device 10 may include an input interface 110, a display 130, a memory 120, and a processor 14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various embodiments,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Alternatively, in various embodiments,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entity, but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prior to the combin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The input / output relationship shown in Fig. 1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not be limited thereto.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TV, 모니터,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a television, a monitor, a notebook, a large format display (LFD),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laptop personal computer, a net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MP3 player, a camera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n electronic photo fram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11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10)은 터치 센서, 통신부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put interface 110 may receive user input. For example, the input interface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communication unit, and an input button.

다양한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는 조작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고, 조작 수단의 터치 좌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또는, 터치 패널) 및 터치 제어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uch sensor may sense the touch of the operating means and output the touch coordinates of the operating means.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pad (or a touch panel) and a touch control unit. The touch sensor may be a touch screen.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또는 IR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140)에 의해 해석 가능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프로세서(140)로부터 수신한 명령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와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using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NFC or IR communication.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mmunication unit convert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o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interpreted by the processor 140, and transmits a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or 140 to a control unit It can be converted into a command signal and transmitted.

다양한 실시예에서, 입력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 상에 구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부 인터페이스(예: HDMI)를 통해 연결된 버튼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입력 버튼으로부터의 신호는 통신부(예: HDMI용)를 통해 프로세서(140)로 전달될 수 있다. 입력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input button may be on the display device 10, or it may be a button connected via an external interface (e.g., HDMI) of the display device 10. In the latter case, the signal from the input button may be communicated to the processor 140 via a communication unit (e.g., for HDMI). The input button is operated by the user and can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button.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Display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or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isplay 130 may display various content (e.g., text, images, video, icons, and / or symbols, etc.) to a user, for example. The display 130 may display a list of objects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s.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20 may be a volatile memory (e.g., RAM, etc.), a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memory 120 may store instructions or data related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display device 10, for examp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40)가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롱 프레스 조작인지 아니면 숏 프레스 조작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명령(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명령은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연속으로 임계시간 내에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을 롱 프레스 조작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명령은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연속으로 수신하지 않거나,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연속으로 수신하여도 임계시간 내에 수신하지 않으면, 숏 프레스 조작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emory 120 may store a first instruction for the processor 140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user input is a long press operation or a short press operation. For example, the first command may be for determining a user input as a long press operation if the same user input is continuously received within the threshold time. The first command may be for judging by a short press operation if the first command does not continuously receive the same user input or if the same user input is successively received but not within the critical time.

다양한 실시예에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40)가 롱 프레스 조작에 따른 지시 객체와 다른 객체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2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명령은 크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보다 강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40)가 숏 프레스 조작에 따른 지시 객체와 다른 객체를 구분 표시하기 위한 제3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명령에 따른 강조와 제3 명령에 따른 강조를 구분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emory 120 may store a second instruction for the processor 140 to differentiate between an indication object accor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and another object. For example, the second instruction may be for emphasizing the pointing object over another object using at least one parameter except size. The memory 120 may store a third command for the processor 140 to divide and display the indication object according to the short press operation and another object. The emphasis based on the second instruction and the emphasis based on the third instruction can be distinguished.

다양한 실시예에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40)가 롱 프레스 조작으로 지시된 최종 객체를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4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명령은 최종 객체의 크기, 움직임 및 효과(예: 입체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최종 객체를 강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emory 120 may store a fourth instruction for the processor 140 to highlight and display the final object indicated by the long press operation. For example, the third instruction may be for emphasizing the final object using at least one of size, motion and effect (e.g., cubic) of the final object.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입력 인터페이스(11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 인터페이스(110)(또는, 형태)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을 해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가 입력 인터페이스(110)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을 해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may have a plurality of cores.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operations or data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and / or communication of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display device 10.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interpret the user input in response to the input interface 110 (or type)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via the input interface 110. [ The process by which the processor 140 interprets the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terfac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입력 인터페이스(11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이 롱 프레스 조작인지 아니면, 숏 프레스 조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동일한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의 수신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이면, 제2 사용자 입력을 롱 프레스 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직전 사용자 입력과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연속으로 수신하더라도 직전 사용자 입력과 현재 사용자 입력이 동일하지 않으면, 사용자 입력을 숏 프레스 조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직전 사용자 입력과 현재 사용자 입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을 숏 프레스 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롱 프레스 조작과 숏 프레스 조작의 판단은 현재 사용자 입력이 직전 사용자 입력과 동일한 경우에만 필요하므로, 프로세서(140)는 직전 사용자 입력과 현재 사용자 입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숏 프레스 조작 및 롱 프레스 조작 여부에 대해 판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processor 140 receives a user input via input interface 110, 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 is a long press operation or a short press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140 receives the same first and second user inputs, it may check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user inputs.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user input is a long press operation when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user inputs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 short press operation if the previous user input and the current user input are not the same, even though the processor 140 continuously receives the same user input as the immediately preceding user input.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 short press operation if the previous user input and the current user input are not identical. Since the determination of the long press operation and the short press operation is necessary only when the current user input is the same as the immediately preceding user input, the processor 140 performs a short press operation for the user input and a short press operation for the user input, It may not judge whether or not the long press operation is perform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객체 목록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또는, 지시) 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객체 목록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 가능한 상태는 예를 들어, 객체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에 진입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객체 목록은 제공 가능한 기능(또는, 컨텐츠) 목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TV일 때 객체 목록은 채널 목록(도 2a 및 2b 참조), 컨텐츠 목록 및 설정(setting) 목록(도 2c 및 2d 참조)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객체 목록은 디스플레이(130)의 화면 상에 세로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고, 가로 방향으로 나열될 수도 있다. 객체 목록 상의 각 객체는 객체 정보(예: 객체 이름, 객체 아이콘 등)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receive user input in a state in which an object contained in the object list can be selected (or indicated). In various embodiments, the selectable state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object list may be, for example, in a menu for selecting one of the object lists. In various embodiments, the object list may be a list of available functions (or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a TV, the object list may be at least one of a channel list (see FIGS. 2A and 2B), a content list and a setting list (see FIGS. The object list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30, or may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object on the object list may contain object information (e.g., object name, object icon, etc.).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객체 목록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또는, 지시) 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객체 목록 중 지시 객체를 변경 지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시 객체가 다른 객체(나머지 객체)와 구분될 수 있도록 지정 또는 변경 지정되는 지시 객체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이 숏 프레스 조작일 때와 롱 프레스 조작일 경우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지시 객체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숏 프레스 조작과 롱 프레스 조작을 구분하여 지시 객체의 지정과 강조 형태를 설명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processor 140 receives a user input in a state in which an object included in the object list can be selected (or instructed), the processor 140 can change the indication object in the object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he processor 140 may highlight the instruction object to which the instruction objec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s designated or chang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object (the remaining object). In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highlight the pointing object in different ways when the user input is a short press operation and when it is a long press opera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designation and highlighting of the instruction object by dividing the short press operation and the long press operation.

도 2a를 참조하면, 객체 목록의 나열 방향이 가로 방향이고, 사용자 입력이 숏 프레스 조작이면, 프로세서(140)는 지시 객체(210)를 숏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여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변경하며 지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지정되는 지시 객체를 제외한 다른 객체(나머지 객체)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숏 프레스 조작에 의하여 지정된 지시 객체를 제1 크기를 초과하는 제2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2A, if the list direction of the object list i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user input is the short press operation, the processor 140 changes the instruction object 210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 press operation, have.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another object (remaining object) other than the designated instruction object at a first size and display an instruction object designated by the short press operation at a second size exceeding the first size.

예를 들어, 현재 지시 객체가 “WEB BROUSER”이면, 프로세서(140)는 “WEB BROUSER”를 제2 크기로 표시하고, 다른 객체(예: olleh tv¨Music)를 제2 크기 미만의 제1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숏 프레스 조작이 좌 방향 이동을 지시하는 것이면, 프로세서(140)는 현재 지시 객체를 “Music”으로 변경 지정하고, 직전 지시 객체를 다시 제1 크기로 줄이고, 현재 지시 객체 “Music”을 제2 크기로 증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숏 프레스 조작 시에는 지시 객체와 다른 객체를 크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instruction object is " WEB BROUSER ", the processor 140 displays " WEB BROUSER " at a second size, and another object (e.g., olleh tv¨Music) As shown in FIG. If the short press operation instructs the leftward movement, the processor 140 changes the current instruction object to " Music ", reduces the previous instruction object to the first size, 2 size. As described above, in various embodiments, at the time of the short press operation, the indication object and the other object can be distinguished by using the size parameter.

도 2b를 참조하면, 객체 목록의 나열 방향이 세로 방향이고, 사용자 입력이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이동을 지시하는 롱 프레스 조작이면, 프로세서(140)는 객체 목록(200) 중에서 지시 객체(210)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변경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에 따라 지시된 지시 객체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다른 객체를 제2 투명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명도는 제1 투명도를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도(transparency)가 100%로 설정되면, 객체(예: 지시 객체 및 다른 객체)는 투명하여 보이지 않고, 투명도가 0%로 설정되면, 객체는 상대적으로 가장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when the object list is orie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ser input is the long press operation indicating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processor 140 selects the indication object 210 from the object list 200 Up or down direction can be specified.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the indicated instruction object with the first transparency and the other object with the second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The second transparency may be set to a value that exceeds the first transparency. For example, if transparency is set to 100%, objects (such as pointing objects and other objects) are not visible as transparent, and if transparency is set to 0%, objects can be seen as the clearest.

예를 들어, 지시 객체 “뽀롱뽀롱 xxx”가 제1 투명도로 표시된 상태에서 하 방향 이동을 지시하는 롱 프레스 조작을 확인하면, 프로세서(140)는 직전 지시 객체 “뽀롱뽀롱 xxx” 대신에 “xx세끼 정선편”을 현재 지시 객체로 변경 지정하고, 다른 객체로 변경된 “뽀롱뽀롱 xxx”를 제2 투명도로 표시하고, 현재 지시 객체 “xx세끼 정선편”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객체를 동일한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롱 프레스 조작에 따라 지시 객체를 변경 지정할 때에는 크기 변화 없이 투명도만을 조절하여 지시 객체와 다른 객체를 구분함에 따라 빠르게 지시 객체가 변경 지정될 때 사용자의 시선 부담을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nfirming the long press operation instructing downward movement in the state that the instruction object " PORON PORON xxx " is displayed in the first degree of transparency, the processor 140 sets "xx three parentheses Quot; xx " can be displayed as the first transparency by changing the selected object to the current instruction object, displaying the " Poor Poor xxx "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a plurality of objects at the same size. As described above, in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instruction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only the transparency is adjusted without changing the size, and the instruction objec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so that the gaze burden of the user can be reduced when the instruction object is rapidly changed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투명도를 대신하여 또는 투명도와 더불어, 블러값, 불투명도(opacity), 오버랩, 채도, 밝기, 색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지시 객체와 다른 객체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른 객체를 지시 객체에 비해 식별력이 낮아지도록 처리함에 따라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보다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adjust at least one parameter, such as blur value, opacity, overlap, saturation, brightness, and hue,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ransparency, .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can emphasize and display the instruction object more than other objects by processing the other object to be lower in discrimination power than the instruction object by using at least one parameter.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블러값을 적용하여 다른 객체를 블러 처리함에 따라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보다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다른 객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다른 객체를 흐리게 보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다른 객체의 선명도를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다른 객체에 오버랩을 씌우는 Dim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다른 객체의 선명도를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다른 객체의 채도를 줄여서 흑백 처리하여 다른 객체의 선명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로세서(140)는 다른 객체의 밝기 및 색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에 따라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보다 강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highlight an indication object over another object by applying a blur value to blur other objects.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manipulate the transparency of another object to make it blurred (lowering the sharpness of other objects).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reduce the sharpness of other objects by performing an overlapping operation on another object.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reduce the saturation of other objects and reduce the sharpness of other objects by performing black and white processing.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emphasize the pointing object over other objects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and tint of the other obje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에 따른 지시 객체를 이미지 처리함에 따라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보다 강조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객체 목록(200)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지시되지 않은 객체(다른 객체)는 2차원 이미지(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음)일 수 있다. 상기 2차원 이미지는 입체감이 부가되지 않은 이미지일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시 객체(210)를 3차원 이미지로 변경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3차원 이미지는 입체감이 부가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상기 입체감은 2차원 이미지에 대한 명암 처리, 그림자 효과 또는 칼라 적용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에 따라 부가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객체 목록(200) 중에서 다른 객체(220)를 2차원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시 객체를 강조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는 지시 객체의 이미지, 텍스트 및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경(예: 두께, 색상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숏 프레스 조작 시와 롱 프레스 조작 시의 객체 변경 과정을 구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롱 프레스 조작에 따라 지시 객체를 빠르게 변경 지정할 때는 객체 목록 상에 지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를 동일한 크기로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에 주는 부담을 숏 프레스 조작의 반복과 동일하게 제어하던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highlight the pointing object over other objects as it implements the pointing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long press operation. Referring to FIG. 2C, an unrepresented object (another object)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object list 200 may be a two-dimensional image (which may include text). The two-dimensional image may be an image without added stereoscopic effect. Referring to FIG. 2D,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and change the instruction object 210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The three-dimensional image may be an image to which a three-dimensional image is added,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may be added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shading treatment, a shadow effect, and a color application for a two-dimensional image.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another object 220 in the object list 200 as a two-dimensional image. In various embodiments, the image processing for highlighting the pointing object may include a change (e.g., thickness, color change) to at least one of the image, text, and border of the pointing object. Accordingly, in various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object changing process during the short press operation and the long press operation.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instruction object is rapidly changed accor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the object including the instruction object is displayed at the same size on the object list, so that the burden on the user's gaze is repe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petition of the short press operation Can be relative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which has been controlled.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의 지속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1번 수신한 경우에는 숏 프레스 조작과 같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시 객체를 크기를 조절하여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복수 번 수신한 경우에는 롱 프레스 조작에 따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시 객체를 크기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provide a plurality of user interfaces over the duration of the long press oper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provide a first user interface, such as a short press operation, once the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is received once. The first user interface may, for example, emphasize and display an instruction object according to user input by adjusting its size.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provide a second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when the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is received a plurality of times. The second user interface may highlight an indication object according to user input using at least one parameter except for the siz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시 객체가 객체 목록의 마지막 객체이면, 롱 프레스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이 지속 수신되더라도 지시 객체를 더 이상 변경 지정하지는 않을 수 있다. 상기 마지막 객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시 객체를 변경 지정하는 방향에서 객체 목록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객체의 변경 방향이 객체 목록의 나열 방향에 대응하면, 마지막 객체는 객체 목록의 마지막 순번의 객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시 객체의 변경 지정 방향이 객체 목록의 나열 방향의 역방향이면, 마지막 객체는 객체 목록의 첫 번째 순번의 객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지시 객체가 마지막 객체일 때 지시 객체 및 다른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 객체의 변경 지정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바운스 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not further change the indication object even if the user input is continuously received accor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if the indication objec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s the last object in the object list. The last object may be an object located at the end of the object list in a direction to change and designate the instruction object according to user input. For example, if the direction of change of the pointing object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enumeration of the object list, the last object may be the object of the last order of the object list. For another example, if the change direction of the instruction object is the reverse of the direction of the list of objects, the last object may be the object of the first order of the object list. In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bounce at least one of the pointing object and the other object in the direction of the changing direction of the pointing object or vice versa when the pointing object is the last pointing obje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여 지시 객체를 변경 지정하면서, 롱 프레스 조작의 지속 여부(중단)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던 중에 임계시간 이내에 직전 사용자 입력과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롱 프레스 조작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can identify the continuation (interruption) of the long press operation while changing and specifying the indication object in response to the long press oper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long press operation has been interrupted if the same user input as the previous user input is no longer received within the critical time while receiving the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이 중단되면, 롱 프레스 조작의 마지막에 지시된 최종 객체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최종 객체의 크기를 다른 객체보다 강조하여(예: 크기)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최종 객체를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바운스 백(bounce back)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최종 객체를 바운스 백 처리할 때, 최종 객체의 크기를 제2 크기에서 제3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에 걸쳐 증가시켰다가 제3 크기에서 제2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에 걸쳐 감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크기는 객체 목록 상의 다른 객체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제2 크기는 숏 프레스 조작에 따른 지시 객체를 강조하는 크기와 동일할 수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롱 프레스 조작의 중단과 숏 프레스 조작의 중단을 구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highlight and display the last object pointed to at the end of the long press operation, if the long press operation is interrupted.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emphasize (e.g., size) the size of the final object over other objects. In another example, processor 140 may bounce back the final object at least once in the display direction of display 130. When bouncing back the final object, the processor 140 increases the size of the final object from a second size to a third size through a plurality of steps, and then reduces the size of the final object from the third size to the second size Can be displayed. The second size may be greater than the size of other objects on the object list. The second size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ize for emphasizing the pointing object according to the short press operation. Accordingly, in various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interruption of the long press operation from the interruption of the short press oper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이 중단되면,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객체 목록 전체(지시 객체와 다른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예: 투명도)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롱 프레스 조작 중과 롱 프레스 조작의 중단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long press operation is interrupted, the processor 140 may process at least one parameter (e.g., transparency) of the entire object list displayed on the screen . Accordingly, in various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the long press operation and the long press opera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최종 객체가 객체 목록의 마지막 객체이면, 그렇지 않을 경우와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객체가 객체 목록의 마지막 객체이면, 프로세서(140)는 최종 객체 및 다른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 객체의 변경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바운드 백(bounce back)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provide a different user interface than if the last object is the last object in the object list. For example, if the last object is the last object in the object list, the processor 140 may bounce back at least one of the end object and the other object to the direction of change of the pointing object or vice versa.

도 3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eiving user input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도 3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11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원격 제어 장치(40)와 통신하는 통신부(110a)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put interface 110 may be a communication unit 110a that communicates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40 operated by a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방향키)(411, 413, 415, 417), 터치 패널, 모션 인식 센서 또는 음성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용 제어 장치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앱이 설치된 멀티 제어 장치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40)는 구비된 키들 중에서 하나의 키가 눌러지는 경우에 키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40)는 구비된 키들 중 한 키가 지속적으로 눌러지면(또는, 롱 프레스 조작), 어느 한 키의 키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임계시간 간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은 원격 제어 장치(40)의 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40)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40)는 임계시간을 이용하여 동일 버튼에 대한 롱 프레스 조작과 숏 프레스 조작을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direction key) 411, 413, 415, 417 operated by a user, a touch panel, a motion recognition sensor 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may be a dedicated control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may be a multi-control device provided with an app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0. [ In one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code when one of the keys is pressed.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of a certain key at a critical time interval if one of the keys provided is continuously pressed (or long press operation). The threshold time may be set to be less than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as the ke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is operated by the user. Thus, the processor 140 can distinguish the long press operation and the short press operation for the same button by using the critical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제어 신호로부터 키 코드를 확인하고, 키 코드(상 방향키, 하 방향키, 우 방향키 또는 좌 방향키)에 대응하는 처리(상 방향 변경, 하 방향 변경, 우 방향 변경 또는 좌 방향 변경)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코드가 상 방향키(411)의 코드이면, 지시 객체를 상 방향으로 변경하고, 키 코드가 하 방향키(413)의 코드이면, 지시 객체를 하 방향으로 변경하며, 키 코드가 좌 방향키(415)의 코드이면, 지시 객체를 좌 방향으로 변경하고, 키 코드가 우 방향키(417)의 코드이면, 지시 객체를 우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identifies the key code from the control signal and performs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key code (up key, down key, right key or left key) Change or leftward). For example, if the key code is the code of the up key 411, the instruction object is changed upward, and if the key code is the code of the down key 413, the instruction object is changed down, If the code of the direction key 415 is changed, the instruction object is changed to the left direction, and if the key code is the code of the right direction key 417, the instruction object can be changed to the right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직전 키 코드와 동일한 키 코드를 연달아 수신하면, 롱 프레스 조작인지 숏 프레스 조작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연달아 수신한 제어 신호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연달아 수신한 동일한 키 코드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이면, 사용자 입력이 롱 프레스 조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140)는 연달아 수신한 동일한 키 코드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이상이면, 사용자 입력이 숏 프레스 조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직전 키 코드와 동일한 키 코드를 연달아 수신하지 않으면, 사용자 입력이 숏 프레스 조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140 sequentially receives the same key code as the previous key code,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whether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sequentially received control signals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in order to distinguish whether the key operation is a long press operation or a short press operation Can be confirmed.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 long press operation when the receiving interval of the same received key cod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4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 short press operation when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same key code received successivel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im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 short press operation unless it sequentially receives the same key code as the immediately preceding key code.

한편, 입력 인터페이스(110)이 입력 버튼일 경우에도, 프로세서(140)는 원격 제어 장치(4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의 연속 수신 여부 및 조작 신호의 수신 간격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이 롱 프레스 조작인지 숏 프레스 조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입력 버튼일 경우에는 프로세서(140)는 입력 버튼으로부터 바로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버튼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부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외부 기기(예: 셋탑 박스)에 구비된 경우에는 프로세서(140)는 통신부를 통해 입력 버튼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input interface 110 is an input button,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operated by the user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nput is a long press operation or a short press operation based on the reception interval.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put button, the processor 140 can directly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input button. When the input button is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e.g., a set-top box)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 the processor 140 can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input butt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도 4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eiving user input using a touch pad.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110)은 터치 패드(110b) 및 터치 제어부(110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터치 패드(110b)는 조작 수단(예: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터치 패드(110b)는 디스플레이(130) 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패드(110b)가 터치 스크린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터치 제어부(110c)(예: TSP 센서)는 터치 패드(110b)를 제어하여 터치 패드(110b)에 대한 조작 수단의 터치 좌표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롱 프레스 조작과 숏 프레스 조작을 위한 조작 영역(131, 133, 135, 137)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put interface 110 may include a touch pad 110b and a touch control unit 110c.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uch pad 110b may be operated by an operating means (e.g., a user's finger). The touch pad 110b may be a touch screen formed on the display 130. [ In this specification, the case where the touch pad 110b is a touch screen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uch controller 110c (e.g., a TSP sensor) may control the touch pad 110b to output the touch coordinates of the operat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touch pad 110b.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130 can display the operation areas 131, 133, 135, and 137 for the long press operation and the short press operation on the scree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터치 좌표를 수신하면, 터치 좌표가 조작 영역(131, 133, 135, 137) 상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터치 좌표가 조작 영역(131, 133, 135, 137) 상에 위치하면, 터치 좌표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터치 좌표가 상 방향키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131)이면, 객체 목록에서 지시 객체를 상 방향으로 변경하고, 터치 좌표가 하 방향키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133)이면, 객체 목록에서 지시 객체를 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터치 좌표가 좌 방향키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135)이면, 객체 목록에서 지시 객체를 좌 방향으로 변경하고, 터치 좌표가 우 방향키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137)이면, 객체 목록에서 지시 객체를 우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140 receives the touch coordinates, it can confirm that the touch coordinates are located on the operation areas 131, 133, 135, and 137. [ When the touch coordinates are located on the operation regions 131, 133, 135, and 137, the processor 140 can perform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touch coordinates. For example, when the touch coordinate is the operation area 131 corresponding to the upward direction key, the processor 140 changes the instruction object upward in the object list, and if the touch coordinate is the operation area 133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direction key , The instruction object can be changed downward in the object list. The processor 140 changes the instruction object to the left direction in the object list if the touch coordinate corresponds to the left direction key and if the touch coordinate is the operation area 137 corresponding to the right direction key, You can change the pointing object to the right directio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연속하여 동일한 터치 좌표를 수신한 경우에, 터치 좌표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롱 프레스 조작인지 아니면, 숏 프레스 조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현재 터치 좌표가 직전 터치 좌표와 동일하면, 터치 좌표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인지를 확인하고, 현재 터치 좌표와 직전 터치 좌표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이면, 사용자 입력을 롱 프레스 조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touch coordinates is a long press operation or a short press operation, when the same touch coordinates are successively received. In various embodiments, if the current touch coordinate is equal to the previous touch coordinates,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whether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touch coordinates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and if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current touch coordinates and the immediately previous touch coordinates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 The user input can be judged by the long press operation.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터치 좌표와 직전 터치 좌표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이상이면, 숏 프레스 조작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40)가 조작 수단의 터치 좌표에 기반하여 롱 프레스 조작과 숏 프레스 조작을 구분하는 방법은 이와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터치 좌표의 변화 패턴 등에 기반하여 롱 프레스 조작과 숏 프레스 조작을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can confirm that it is a short press operation when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touch coordinates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touch coordinates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In another embodiment, the manner in which the processor 140 distinguishes the long press operation from the short press operation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s of the operating means may be set differently.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can determine the long press operation and the short press operation based on the change pattern of the touch coordinates or the like.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드(110b)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터치 패드(110b)가 디스플레이(130)와 별개로 구성된 경우에도, 터치 패드(110b)의 조작 영역(131, 133, 135, 137)과 디스플레이(130)의 조작 영역(131, 133, 135, 137)에 대응하는 객체(예컨대, 커서)가 상호 연관된다면, 터치 패드(110b)는 디스플레이(130)와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ouch pad 110b is formed as a touch screen. Alternatively, even when the touch pad 110b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130, the operation areas 131, 133, 135, 137 of the touch pad 110b and the operation areas 131, The touch pad 110b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130 if the objects (e.g., cursors) corresponding to the touch pads 133, 135,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롱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a user interface screen corresponding to a long press 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객체 목록 중 한 객체를 지시하는 숏 프레스 조작을 확인하면, 객체 목록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지시 객체를 크기로서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processor 140 confirms a shot press operation indicating one of the object lists, the instructio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 the object list can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have.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the instruction object larger than other objects.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객체 목록을 지시하는 제1 기능이 실행될 때에는 객체 목록에 포함된 객체 중에서 디폴트 객체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숏 프레스 조작은 원격 제어 장치(40)의 홈 키 조작에 따른 숏 프레스 조작일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140 may highlight the default object among the objects included in the object list when the first function indicating the object list is executed. For example, the short press operation for executing the first function may be a short press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ome ke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40. [

도 5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이 롱 프레스 조작임을 확인한 때 롱 프레스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지시 객체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에 따른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를 동일한 크기로 표시하되, 지시 객체를 다른 객체에 비해 투명도를 낮춰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도 5b와 같이 지시 객체(210)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지시 객체(210)를 제외한 다른 객체를 제2 투명도(<제1 투명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시선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면서 숏 프레스 조작과 롱 프레스 조작을 구분할 수 있는 형태로 지시 객체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processor 140 confirms that the user input is a long press operation,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and display the instruction objec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the indication object according to the long press operation with other objects at the same size but display the indication object with lower transparency than the other objects.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the indication object 210 as a first transparency and the other objects except the indication object 210 as a second transparency (< first transparency) as shown in FIG. 5B . Accordingly, in various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emphasize and display the instruction object in a form that can distinguish the short press operation from the long press operation while reducing the gaze load of the user.

도 5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롱 프레스 조작이 중단되면, 롱 프레스 조작의 중단 직전에 지시된 최종 객체(220)를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방향으로 바운스 백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최종 객체의 크기를 제2 크기에서 제3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를 걸쳐 증가시켰다가, 다시 제3 크기에서 제2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를 걸쳐 감소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방향으로 최종 객체를 바운스 백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크기는 객체 목록 상의 다른 객체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제2 크기는 숏 프레스 조작에 따른 지시 객체를 강조하는 크기일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롱 프레스 조작과 롱 프레스 조작 완료를 명확히 구분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when the long press operation is interrupted, the processor 140 can bounce back the final object 220 indicated immediately before the stop of the long press operation in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130. FIG. 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final object from a second size to a third size through a plurality of steps, and then reduce the size of the final object from a third size to a second size through a plurality of steps, The final object can be bounced back in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object 130. [ The second size may be greater than the size of other objects on the object list. The second size may be a size that emphasizes an instruction object according to a short press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n various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the long press operation and the long press operation comple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devices (e.g., modules or functions thereof) or methods (e.g.,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 instruction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the form of program modules. When the instruction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processor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a floppy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DVD, a magnetic-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Th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that is generated by the compiler or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the interpreter. Modules or program modu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Some of which may be omitted,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perations performed by modules, program modules, or other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titively, or heuristically, or at least some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 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disclosed technolog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Accordingly, the scope of this document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is document or various other embodiments.

Claims (19)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시된 객체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나머지 객체를 제2 투명도로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의 투명도를 동일하게 표시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for displaying a list of objec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bjects;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received, displaying the object indicated by the designated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s with the first transparency and the remaining objects with the second transparency,
A processor for displaying the transparency of the plurality of objects equally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stopped;
.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연속하여 수신된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이 동일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상기 지정된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is further configured to: if the successive first and second user inputs are the same and the reception interval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put and the second user input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And judges the user input as the specified input.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제2 사용자 입력과 동일하지 않거나, 상기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제2 지정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user input is determined to be the second designated user input if the first user input is not the same as the second user input or the reception interv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time.
제3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제2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면, 상기 나머지 객체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된 객체를 상기 제1 크기를 초과하는 제2 크기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to display the remaining object at a first size and display the indicated object at a second size exceeding the first size if the second user input is a second designated user input.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시된 객체와 상기 나머지 객체의 블러값, 투명도 및 오버랩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달리 조절하여, 상기 지시된 객체를 상기 나머지 객체와 구분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displays at least one parameter of the blurred value, the transparency, and the overlap of the indicated object and the remaining object differently from the rest of the object.
제5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상기 지시된 객체를 상기 나머지 객체 보다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In a fifth aspect,
And adjust the at least one parameter to emphasize and display the indicated object over the remaining object.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지시된 객체와 나머지 객체를 동일한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나머지 객체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마지막으로 지시된 최종 객체를 상기 제1 크기를 초과하는 제2 크기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received, displaying the indicated object and the remaining objects at the same size,
Display the remaining object at a first size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stopped, and display the last object indicated by the designated user input at a second size exceeding the first size.
제7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객체를 제2 크기에서 제3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로 증가시킨 후 상기 제3 크기에서 상기 제2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로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The final object is incremented from a second size to a third size in a plurality of steps and then reduced to a plurality of steps from the third size to the second size.
제7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나머지 객체를 2차원 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최종 객체를 3차원 이미지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Display the remaining object as a two-dimensional image, and display the final object as a three-dimensional image.
제7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객체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방향에 기초할 때 상기 객체 목록의 마지막 객체이면, 상기 최종 객체 및 나머지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바운드 백(bounce back)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If the last object is the last object in the object list when it is based o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ed user input, then returning at least one of the last object and the remaining objects to the first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back.
디스플레이 장치의 객체 표시 방법으로서,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시된 객체를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나머지 객체를 제2 투명도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의 투명도를 동일하게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displaying an object on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n objec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s;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nput is a designated user input;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received, displaying an object indicated by the designated user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s with a first transparency and a remaining object with a second transparency; And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interrupte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transparency of the plurality of objects equally
&Lt; / RTI &gt;
제11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연속하여 수신된 제1 사용자 입력이 제2 사용자 입력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제2 사용자 입력과 동일하고 상기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Confirming whether a first user input continuously received is the same as a second user input and whether a reception interval of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put and the second user input is less than a threshold time; And
Determining the second user input as the designated user input if the first user input is the same as the second user input and the receiving interval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제12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제2 사용자 입력과 동일하지 않거나, 상기 수신 간격이 임계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제2 지정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that the second user input is a second designated user input if the first user input is not the same as the second user input or the receiving interv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ime.
제13항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제2 지정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면, 상기 나머지 객체를 상기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지시된 객체를 상기 제1 크기를 초과하는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remaining object at the first size and displaying the indicated object at a second size greater than the first size upon determining the second user input as a second designated user input Way.
제11항에서, 상기 제2 투명도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지시된 객체와 나머지 객체를 동일한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지시된 객체와 상기 나머지 객체의 블러값, 투명도 및 오버랩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달리 조절하여 상기 지시된 객체를 상기 나머지 객체보다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ct of displaying with the second transparency comprises:
Displaying the indicated object and the remaining objects at the same size; And
Adjusting the at least one parameter of the blurred value, transparency, and overlap of the indicated object and the remaining object to emphasize and display the indicated object over the remaining object.
제11항에서, 상기 동일하게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나머지 객체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마지막으로 지시된 최종 객체를 상기 제1 크기를 초과하는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Displaying the remaining object at a first size when the designated user input is interrupted and displaying the last object last indicated by the specified user input at a second size exceeding the first size, Way.
제16항에서, 상기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최종 객체를 제2 크기에서 상기 제2 크기를 초과하는 제3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로 증가시키는 동작; 및
상기 최종 객체를 상기 제3 크기에서 상기 제2 크기까지 복수의 단계로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ncreasing the final object from a second size to a third size beyond the second size; And
And reducing the final object from the third size to the second size into a plurality of steps.
제16항에서, 상기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나머지 객체를 2차원 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최종 객체를 3차원 이미지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Displaying the remaining object as a two-dimensional image, and displaying the final object as a three-dimensional image.
제16항에서, 상기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최종 객체가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방향에 기초할 때 객체 목록의 마지막 객체이면, 상기 최종 객체 및 나머지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바운드 백(bounce back)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f the last object is the last object in the object list when it is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ed user input, then at least one of the last object and the remaining objects is bounced back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 &Lt; / RTI &gt;
KR1020160174702A 2016-12-20 2016-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180071725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702A KR20180071725A (en) 2016-12-20 2016-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EP17205267.2A EP3340015B1 (en) 2016-12-20 2017-12-04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transparency of indicated object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US15/835,742 US20180173399A1 (en) 2016-12-20 2017-12-08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transparency of indicated object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CN201711378865.1A CN108206963A (en) 2016-12-20 2017-12-19 For adjusting the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methods of the transparency of instruction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702A KR20180071725A (en) 2016-12-20 2016-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725A true KR20180071725A (en) 2018-06-28

Family

ID=6078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702A KR20180071725A (en) 2016-12-20 2016-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73399A1 (en)
EP (1) EP3340015B1 (en)
KR (1) KR20180071725A (en)
CN (1) CN10820696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9132S1 (en) 2018-06-03 2020-03-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3319S1 (en) * 2018-10-29 2020-05-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9184S1 (en) 2020-06-17 2022-04-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2009B1 (en) * 1990-05-09 1996-03-08 Apple Computer MULTIPLE FACES MANOPULABLE ICON FOR DISPLAY ON COMPUTER.
EP1251515A1 (en) * 2001-04-19 2002-10-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position in an image sequence
JP4615262B2 (en) * 2004-06-30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US8446368B2 (en) * 2007-08-23 2013-05-21 Kyocera Corporation Input apparatus
CN101437063B (en) * 2007-11-14 2011-11-16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implementing speed dialing and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method
US20130074003A1 (en) * 2011-09-21 2013-03-2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user interfaces
KR20130068313A (en) * 2011-12-15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ime differen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256349B2 (en) * 2012-05-09 2016-02-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resizable icons
KR20140020568A (en) * 2012-08-09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GB2512887B (en) * 2013-04-10 2017-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ing history information for a selected action
US20170075453A1 (en) * 2014-05-16 2017-03-16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KR20160084240A (en)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3399A1 (en) 2018-06-21
EP3340015A1 (en) 2018-06-27
CN108206963A (en) 2018-06-26
EP3340015B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72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0735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o control a display to display an image generated based on a manipulation target image
JP59001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974928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6484354B (en)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210123266A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717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200122945A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execution scree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TW201610977A (en) Method for adjusting luminance of monitor of electrical device
JP62431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40113096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24404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JP2017068001A (en) Display and display control method
WO20130804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1117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olor of object based on image recognition
JP2015049836A (en) Portable terminal
US20110113362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touch interfa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e
JP2015158928A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645717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2403227A1 (en) Method for moving a cursor and display apparatus
KR20150025721A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5904113A (en) Display with adjustable display resolu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09163586A (en) Operation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JP2014209335A (en) External apparatus, control method,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