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298A -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298A
KR20200007298A KR1020180081234A KR20180081234A KR20200007298A KR 20200007298 A KR20200007298 A KR 20200007298A KR 1020180081234 A KR1020180081234 A KR 1020180081234A KR 20180081234 A KR20180081234 A KR 20180081234A KR 20200007298 A KR20200007298 A KR 2020000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photographing
imag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찬우
Original Assignee
(주)제노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레이 filed Critical (주)제노레이
Priority to KR102018008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7298A/ko
Publication of KR2020000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X-선을 출력하는 X선 발생기 및 센서부의 위치와 턱받이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며,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기와, 환자의 나이, 성별,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이전 영상 촬영에서 상기 촬영기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영상을 촬영할 환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 환자 정보에 변화가 있는 경우, 환자 정보 변화량에 따른 촬영 위치 정보 및 출력 정보 변화량을 기록한 테이블 시트를 참조하여 촬영 위치 정보 및 출력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촬영기를 자동으로 준비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X-ray imag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hotographed images}
본 발명은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장치의 위치 및 조건을 결정하되, 이전 촬영 영상의 확인 결과에 따라 촬영 또는 미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 등에서 사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는 환자마다 차이가 있는 얼굴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정확한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환자의 피부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보상하기 위한 촬영 조건의 조절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재진 환자의 경우에도 엑스레이 촬영 장치에 환자를 정위치 시키고, 촬영장치의 턱받이에 환자의 턱을 괴도록 유도하고, 턱받이 높이를 조절하여 치아 부분이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해야 하며,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의 위치를 환자의 두부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엑스레이 촬영 장치의 위치 조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등록특허 10-1533353호(2015년 6월 26일 등록, 환자 정보와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는 태그로부터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환자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환자 정보와 획득된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즉, 환자 정보 및 의료 기기의 준비 상태를 서버에 저장하고, 환자 정보 및 의료 기기의 준비 상태를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아 그에 부합되도록 의료 기기를 준비함으로써, 위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등록특허는 과거의 환자 정보 및 의료 기기의 준비 상태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환자의 체중의 변화나 성장기의 환자들의 정보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과거 환자 정보 및 의료 기기의 준비 상태를 그대로 반영하는 경우 엑스레이 촬영조건(kV/mA)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환자의 체중 변화에 따른 피부 두께의 변화에 따라 과거 촬영조건으로는 정확한 영상의 촬영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 촬영조건을 바꿔가면서 다시 촬영해야 하며, 환자의 피폭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재진 환자의 경우에는 과거 이력을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적용할 수 있으나, 초진 환자의 경우에는 과거 이력이 없기 때문에 의료기기를 환자의 체형 등에 맞춰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진 환자뿐만 아니라 초진 환자의 경우에도 자동으로 엑스레이 촬영기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거 환자 정보 및 엑스레이 촬영기의 준비 정보를 이용하되, 현재 환자 정보와 과거 환자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에 따라 엑스레이 촬영기의 준비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들의 정보에서 현재 환자의 정보와 가장 유사한 환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환자 정보에 부합하는 장치 준비 정보를 엑스레이 촬영기에 로드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전 촬영 영상 중 진단에 적합한 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에 저장된 촬영 조건 및 위치 정보로 촬영기가 자동 설정되어 현재의 조건에서 촬영시 얻어지는 영상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기와, 환자 정보와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촬영기의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영상을 촬영할 환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 환자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이전 촬영 영상을 보여주며, 상기 이전 촬영 영상에서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영상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기를 자동으로 준비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자 정보는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환자의 성명, 성별, 주민번호, 나이 등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프로그램에서 영상을 촬영할 환자의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이전 촬영 영상은 상기 선택한 촬영모드에 대한 이전 촬영 영상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기의 촬영 정보는 상기 촬영기의 촬영 위치 정보 및/또는 엑스레이 출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은, a) 제어기에서 현재 환자가 초진 환자 또는 재진 환자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b) 재진 환자인 경우, 제어프로그램에서 촬영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c) 선택된 촬영모드의 이전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보여주는 이전 촬영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e) 선택한 영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f) 상기 제어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전달된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를 자동으로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g) 상기 d) 단계에서 선택한 이전 촬영 영상이 진단에 적합한 경우, 상기 e) 내지 f)단계 수행 후 촬영을 진행하고, 진단에 적합하지 않거나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f)단계 이후 수동으로 촬영기의 위치 및 출력 정보를 조작하여 촬영하는 단계와, h) 촬영이 완료된 후 촬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진 환자의 과거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의 위치를 조정함과 아울러 촬영조건을 결정하여, 촬영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초진 환자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들의 정보에서 현재 환자 정보와 가장 유사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환자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 및 조건을 적용하여 촬영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정보에 변화가 있을 때, 그 변화를 촬영 위치 및 조건에 반영하여 정확한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촬영 전에 현재 설정된 촬영 위치 및 조건에서 얻을 수 있는 엑스레이 영상을 미리 표시하여 촬영자가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재촬영률을 줄여 신뢰성을 높이고, 환자의 피폭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는 제어기에서 수행되는 제어프로그램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턱 받침대의 높이, X선 발생기 및 센서의 수평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촬영기(300)와, 환자 정보, 촬영시 상기 촬영기(300)의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서 환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환자 정보에 해당하는 촬영 위치 및 촬영 정보를 상기 촬영기(300)에 제공하여, 자동으로 촬영 위치 및 촬영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 2를 참조한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상기 촬영기(300)는 제어기(100)와 통신하는 통신부(380)와, 상기 제어기(100)에서 수신된 촬영 정보에 따라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70)와, 턱받이(310)의 높이를 조정하는 제1조정부(350)와, 리프트(301)의 높이를 조정하는 제2조정부(360)와, 환자의 자세 및 촬영부(340)의 회전 중심을 올바르게 조정하기 위한 제1레이저(311), 제2레이저(312), 제3레이저(313)를 포함하는 레이저부(314)를 조정하는 제3조정부(315)등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 정보는 촬영기(300)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엑스레이 출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턱받이(31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370)로 제공하는 제1위치센서(351)와, 리프트(301)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370)로 제공하는 제2위치센서(361)와, 레이저부(314)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370)로 제공하는 제3위치센서(362)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301)는 촬영기 전체의 높이를 조정하여 환자의 키에 따라 촬영기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부(314)는 환자의 전면부의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의 중심을 맞추는 제1레이저(311)와, 환자와 센서부(330)의 수평을 맞추는 제2레이저(312)와 촬영부(340)의 회전 축의 중심을 맞추는 제3레이저(313)등 하나 이상의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부(314)는 환자의 위치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40)는 X선 발생기(320)와 영상을 획득하는 센서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70)는 엑스레이 영상 촬영 시 설정된 엑스레이의 kV 및 mA의 엑스레이 출력 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 정보는 촬영기의 위치 정보와 엑스레이 출력 정보를 포함한다.
먼저, 엑스레이 영상의 촬영을 위하여 제어기(100)는 영상을 촬영할 환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한다. 현재 영상을 촬영할 환자가 재진 환자인 경우 데이터베이스(200)에는 환자 정보와 함께 이전에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을 보여준다. 이때의 영상은 상기 촬영기(300)의 턱받이(310) 높이와 리프트(301), 레이저부(314)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340)의 X선 발생기(320)의 출력 정보와 같은 촬영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기(100)에서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검색 인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성명 정보를 사용하며, 주민등록번호, 병원에서 지정한 환자의 고유번호 등 번호정보를 사용하거나, 지문, 홍채 등의 생체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00)가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한 결과 일치하는 환자 정보가 있으면, 제어기(100)는 데이터베이스(200)의 환자 정보와 이전 촬영 영상을 보여준다.
촬영자는 이전 촬영 영상 중 가장 잘 나온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100)는 선택된 영상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촬영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촬영기(300)의 통신부(380)를 통해 수신된 제어기(100)의 촬영 정보는 제어부(370)로 제공되며, 제어부(370)는 수신된 촬영 정보에 따라 제1조정부(350)와 제2조정부(360)와 제3조정부(315)를 조정하여 턱받이(310)의 높이를 조정하고, 리프트(301), 레이저부(314)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촬영 정보는 턱받이(310)의 상하 방향 높이 정보와 리프트(301)의 상하 방향 높이 정보와 레이저부(314)와 같은 촬영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촬영 정보는 X선 발생기(320)의 출력정보를 포함하며, 제어부(370)는 X선 발생기(320)의 출력을 제어하여 이전 상태에서 촬영에 사용된 출력으로 맞춰 촬영 준비를 마친다.
이처럼 촬영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부(370)는 통신부(380)를 통해 촬영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기(100)는 촬영을 수행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영상 촬영자는 상기 제어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촬영 여부를 마지막으로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촬영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100)는 적어도 화면, 입력수단, 통신수단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장치이며, 그 예로 퍼스널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프로그램의 일예이다.
촬영자는 제어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촬영모드를 선택한 후에는 도 4와 같이 과거에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500)을 제어프로그램의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엑스레이 영상(500)은 바람직하게는 현재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환자의 현재와 동일한 촬영기(300)로촬영한 이전 촬영 영상으로 한다. 하지만, 환자 정보가 변경된 경우나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될 환자 정보가 가장 유사한 다른 환자의 동일 조건 촬영 영상일 수 있다.
촬영자는 해당 엑스레이 영상(500)을 확인하고, 촬영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변경이 필요 없으면 해당 엑스레이 영상(500)을 선택한 후 확인버튼을 선택한다.
확인버튼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기(100)는 촬영기(300)에 촬영명령을 출력하고, 촬영기(300)의 제어부(370)는 X선 발생기(320)와 센서부(330)를 활성화하여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촬영한 엑스레이 영상은 메모리(390)에 저장된 후,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380)를 통해 제어기(100)로 전송된다. 또한 제1위치센서(351)와 제2위치센서(361)와 제3위치센서(362)에 의해 검출된 턱받이(310)와 리프트(301)와 레이저부(314)의 위치 정보도 제어기(100)로 전송되며, X선 발생기(320)의 출력 정보도 제어기(100)로 전송된다.
제어기(100)는 해당 환자 정보에 연관되게 영상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며, 촬영 위치 정보와 촬영 출력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동일 환자의 재진인 경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300)를 자동으로 준비하여, 촬영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이전 촬영 영상 중 진단에 적합한 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300)를 자동으로 준비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이전 촬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퀄리티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촬영 후 영상이 흐리거나,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가 보이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진단에 활용하기 어려운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가 감소될 수 있으며 재촬영으로 인한 환자의 엑스레이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동일 환자이지만 체중이나 키 등 환자 정보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100)에서 변경된 환자 정보에 맞춰 턱받이(310)의 높이와 리프트(301)의 위치와 X전 발생기(320)의 출력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환자이지만 체중이나 키 등 환자 정보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100)에서 변경된 환자 정보에 맞춰 턱받이(310)의 높이와 리프트(301)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X선 발생기(320)의 출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이전 촬영 영상으로 촬영 시, 영상이 흐리게 촬영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동으로 X선 발생기(320)의 출력을 높이는 조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은 제어기(100)에 미리 저장된 테이블 시트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의 예들은 환자의 재진에 따른 동작이며,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환자 정보가 없는 초진 환자의 경우에는 위의 예와는 다른 양상의 촬영이 이루어진다.
초진 환자의 정보를 제어기(100)에 입력한다.
이때 환자 정보는 성명, 주민번호, 병원에서 지정한 환자의 고유번호 등과 같은 개인 정보와 성별, 키, 피부두께 등과 같인 신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정보는 촬영자가 직접 등록하거나, 환자 정보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포함한다. 환자 정보 검출부는 체중 및 신장, 체질량지수 등을 인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처럼 초진 환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기(1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서 신체정보가 동일 또는 유사한 환자의 정보를 검색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환자 정보가 없으면, 종래와 동일하게 직접 턱받이(310)와 리프트(301), 레이저부(314)의 위치를 조정하고, 촬영하며 이때 촬영된 영상과 촬영 정보는 제어기(100)에 입력된 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다.
상기 초진 환자의 신체 정보의 동일 또는 유사한 환자의 정보는 환자의 키, 피부두께, 체중 등을 비교하여 검색할 수 있다.
예로 동일 환자는 모든 신체 정보가 동일한 것을 말하며, 유사한 환자는 키, 피부두께가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이후 재진을 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환자의 이전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환자 정보가 검색된 경우, 촬영자는 검색된 다른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500)을 확인한 후 진단에 적합한 영상이 있는 경우, 해당 영상을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영상의 촬영 정보를 상기 촬영기(300)에 전송하여 촬영기(100)의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한다.
이때, 현재 환자 정보와 일치하는 다른 환자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위의 촬영 정보를 이용하지만,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촬영 정보를 조정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테이블 시트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환자의 정보에 맞게 위치 및 출력을 조정한다.
그 다음, 촬영기(300)에서 촬영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가 제어기(100)에 입력되면, 제어기(100)는 제어프로그램상에 이를 표시하고, 촬영자는 촬영기(300)가 촬영을 하도록 한다. 촬영의 결과물인 촬영 영상, 이때의 촬영 정보는 제어기(100)로 전송되며, 제어기(100)는 초진 환자의 정보와 연관되도록 상기 촬영 영상, 촬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상기 촬영 정보는 촬영기의 위치 정보(턱받이(310), 리프트(301), 레이저부(314) 등을 포함)와 엑스레이 출력(mA, kV) 정보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초진 환자의 경우에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가지는 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환자 정보를 그대로 또는 일부 수정하여 촬영기(300)를 준비함으로써 대부분의 초진 환자들의 경우에도 자동으로 촬영기(300)를 준비하여, 촬영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동작을 기반으로 본 발명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01단계에서는 현재 환자가 초진인지 재진인지 확인한다.
재진인 경우에는, S02단계와 같이 제어기(100)에서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검색하고, 연관된 이전 촬영 영상을 호출한다.
상기 이전 촬영 영상이 없는 경우 선택한 촬영 모드의 이미지(400)를 표시한다.
상기 이전 촬영 영상은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모드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이전 촬영 영상은 이전에 촬영된 모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전 촬영 영상은 이전에 촬영된 모든 영상 중 최근에 촬영한 영상을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드는 파노라마, 세팔로, CT 등과 같은 메인 촬영 프로그램과 파노라마의 Standard, Orthogona, Bitwing 등, 세팔로의 Lateral, PA, AP 등, CT의 Tooth, Teeth, Jaw, Face 등과 같이 서브 촬영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그 다음, S03단계에서는 표시된 이전 촬영 영상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을 선택하면, S04단계, S07단계, S08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한다. 이때 적당한 것이 아니면 S06단계와 같이 촬영 위치 및 엑스레이 출력 정보를 수정한 후 S07단계, S08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한다. 앞서 S01단계에서 초진 환자의 경우, S05단계와 같이 선택한 촬영 모드에 저장된 기본 촬영 위치 및 엑스레이 출력 정보에 따라 촬영기가 준비된다.
그 다음 S06단계에서 촬영기에 환자가 위치한 후 턱받이(310), 리프트(301), 레이저부(314) 등과, 엑스레이 출력에 대하여 조정한다.
그 다음 S07단계와 같이 촬영을 수행한다.
그 다음 S08단계에서는 촬영이 완료된 후, 촬영영상, 촬영기의 촬영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01단계에서 재진 환자인 경우에는 도 5의 순서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촬영 된다.
초진 환자인 경우, S105단계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00)에서 현재 초진 환자와 신체 정보가 동일 또는 유사한 환자 정보가 있는지 검색한다.
그 다음 S106단계에서 동일한 신체 정보를 갖는 환자가 있는 경우, 동일 환자의 이전 영상을 선택하면 선택된 영상의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가 준비된다.(S108)
그 다음 S109단계와 같이 초진 환자를 촬영기에 위치시킨 후 촬영기의 조정이 필요한지 추가 확인 후 촬영(S111)단계를 수행한다.
S106단계에서 동일 환자 정보가 없는 경우, S107단계와 같이 신체조건이 유사한 환자 정보가 있는지 검색한다. 유사한 환자 정보가 있는 경우, 유사한 환자가 촬영한 이전 영상을 선택하면, 해당 영상의 촬영 정보로 촬영기가 준비된다.
이때 유사라 함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다. 만약 유사의 기준이 1%라고 하고, 초진 환자의 체중이 70kg인 경우에는 0.7kg 차이까지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한다.
유사의 범위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미만의 경우에는 검색되지 않을 확률이 크며, 5%를 초과하는 경우 검색되는 환자 정보가 과도하게 많거나 이후 촬영 정보의 보정량이 많아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S106 및 S107단계에서 초진 환자의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환자 정보가 없으면 S110단계와 같이 선택한 촬영 모드의 기본으로 설정된 촬영 정보로 촬영기가 준비되고, S109단계와 같이 환자에 맞게 추가 수정을 한 후 촬영(S111)을 한다.
촬영 영상, 촬영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다(S112).
또 다른 실시예로, 재진 환자의 신체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환자의 신체 정보는 체중, 키, 나이, 피부 두께등을 포함한다.
상기 환자의 신체 정보(특히 키, 체중)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제어기(100)는 신체 정보에 대한 테이블 시트를 확인하여 환자 정보의 변화 정도에 부합하는 촬영 정보를 수정한다.
상기 테이블 시트는 초진 환자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사용하여 촬영기를 자동으로 준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의 이전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300)를 자동 설정함이 가능하여, 촬영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영상 오류로 인한 재촬영을 감소시켜 환자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제어기 200:데이터베이스
300:촬영기 310:턱받이
320:X선 발생기 330:센서부
340:촬영부 350:제1조정부
351:제1위치센서 360:제2조정부
361:제2위치센서 370:제어부
380:통신부 390:메모리

Claims (7)

  1.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기;
    환자 정보와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촬영기의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영상을 촬영할 환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결과 환자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이전 촬영 영상을 보여주며, 상기 이전 촬영 영상에서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영상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기를 자동으로 준비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하는 환자의 성명, 성별, 주민번호, 나이 등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그램에서 영상을 촬영할 환자의 촬영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이전 촬영 영상은
    상기 선택한 촬영모드에 대한 이전 촬영 영상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기의 촬영 정보는
    상기 촬영기의 촬영 위치 정보 및/또는 엑스레이 출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6. a) 제어기에서 현재 환자가 초진 환자 또는 재진 환자인지 확인하는 단계;
    b) 재진 환자인 경우, 제어프로그램에서 촬영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c) 현재 환자의 이전 촬영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보여주는 이전 촬영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e) 선택한 영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촬영 정보를 제어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전달된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기를 자동으로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g) 상기 d) 단계에서 선택한 이전 촬영 영상이 진단에 적합한 경우, 상기 e) 내지 f)단계 수행 후 촬영을 진행하고,
    진단에 적합하지 않거나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f)단계 이후 수동으로 촬영기의 위치 및 출력 정보를 조작하여 촬영하는 단계;
    h) 촬영이 완료된 후 촬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 방법.
KR1020180081234A 2018-07-12 2018-07-12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7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234A KR20200007298A (ko) 2018-07-12 2018-07-12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234A KR20200007298A (ko) 2018-07-12 2018-07-12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98A true KR20200007298A (ko) 2020-01-22

Family

ID=6936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234A KR20200007298A (ko) 2018-07-12 2018-07-12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72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40A1 (ko) * 2019-07-24 2021-01-28 주식회사 제노레이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9110A (ko) *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인포랩 촬영위치의 자동 세팅 기능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464400B1 (ko) * 2022-03-04 2022-11-09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말의 의료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의료영상장치 및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40A1 (ko) * 2019-07-24 2021-01-28 주식회사 제노레이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9110A (ko) *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인포랩 촬영위치의 자동 세팅 기능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464400B1 (ko) * 2022-03-04 2022-11-09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말의 의료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의료영상장치 및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750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US6684093B2 (en) Medical diagnosis apparatus with patient recognition
KR20200007298A (ko)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US761007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edical imaging diagnostic apparatus
CN111657981B (zh) 产生虚拟患者模型的方法、患者模型产生装置和检查系统
CN104274196B (zh) 计算机断层扫描设备
CN111528879A (zh) 一种医学图像采集的方法和系统
CN112401919B (zh) 一种基于摆位模型的辅助摆位方法及系统
JP2003520115A (ja) X線画像生成装置に関する方法および機構
JP2023106605A (ja) コンソール装置、放射線撮影装置、コンソール装置の作動方法、及びコンソール装置用プログラム
JP2013198587A (ja) 眼底撮影システム、眼底撮影装置、及び眼底画像管理システム
WO2020036007A1 (ja) 医用情報処理装置及び医用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195336B2 (ja) 撮影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1785B2 (ja) 撮影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245719A (ja) デジタルx線撮影システム
WO2021015340A1 (ko)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방법
BR112019022661A2 (pt) dispositivo de raios x, sistema de raios x, método para captura de imagem mediante o uso de um sistema raios x, elemento de programa de computador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JP3805232B2 (ja) 眼科装置
CN113456095A (zh) 一种放射科远程智能检查系统
JP7375525B2 (ja) 患者認証システムおよび患者認証方法
CN113677274A (zh) 放射线摄影系统及其工作方法以及放射线摄影系统用控制台
US12001531B2 (en) Patient authentication system and patient authentication method
KR102333715B1 (ko) 촬영위치의 자동 세팅 기능을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WO2021111939A1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292431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