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655A - 광송신 모듈 - Google Patents

광송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655A
KR20200006655A KR1020180080265A KR20180080265A KR20200006655A KR 20200006655 A KR20200006655 A KR 20200006655A KR 1020180080265 A KR1020180080265 A KR 1020180080265A KR 20180080265 A KR20180080265 A KR 20180080265A KR 20200006655 A KR20200006655 A KR 20200006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ackage
transmission module
isolator
optical iso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098B1 (ko
Inventor
강세경
허준영
이준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8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098B1/ko
Priority to US16/207,557 priority patent/US10516487B1/en
Publication of KR2020000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7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with optical elements reducing the sensitivity to optical feedback
    • G02B6/4208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with optical elements reducing the sensitivity to optical feedback using non-reciprocal elements or birefringent plates, i.e. quasi-isolators
    • G02B6/4209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7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with optical elements reducing the sensitivity to optical feedba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component consisting of a short length of fibre, e.g. fibre stub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5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being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elements, e.g. variable wavelength optical modules or wavelength lock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2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 G02B6/4263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of the transisitor outline [TO] ca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송신 모듈이 개시된다. 광송신 모듈은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들;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서 출력된 광신호들을 다중화하는 광다중화기; 상기 광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평행한 빔의 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들, 광다중화기 및 콜리메이팅 렌즈가 내측에 실장되는 패키지; 상기 패키지의 내측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송신 모듈의 외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아이솔레이터(Optical Isolator)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들은 상기 패키지 내부에 배치된 광다중화기를 통해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되어 콜리메이팅 렌즈를 통과한 후 상기 패키지 외부에 배치된 광결합 렌즈를 통해 리셉터클(Receptacle) 내의 광섬유 스터브(Fiber stub)에 광결합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송신 모듈{OPTICAL TRANSMITTING MODULE}
본 발명은 광송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통신 시스템에서 광신호를 변조 생성하여 출력하는 광송신 모듈에 사용되는 패키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 트랜시버는 전기 신호를 받아 광신호를 변조 생성하고,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모듈로서 광 전송 시스템과 라우터 등의 종단에서 광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트랜시버는 전송해야 할 데이터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핵심 부품인 광송신 모듈 및 광 수신 모듈의 고속화 및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광송신 모듈의 밀봉(hermetic sealing), 전기 신호 및 광신호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티오??캔 (TO) 형태의 패키지 또는 박스(box) 형태의 패키지가 사용된다. 고속 대용량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경우, 후자의 패키지 형태를 사용된다.
종래의 광송신 모듈은 세라믹 피드쓰루(Feedthru)가 사용된 박스 형태의 패키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패키지 내부에는 광원(EADFB laser array), 광다중화기(AWG multiplexer),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 등이 실장된다. 그리고 패키지는 광결합(Focusing) 렌즈와 광아이솔레이터(Optical isolator)를 포함하는 리셉터클(LC??receptacle)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송신 모듈은 일반적으로 광아이솔레이터가 리셉터클에 집적화 되어있는 형태로 많이 적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콜리메이팅되는 빔을 광결합 렌즈를 통해 리셉터클 내 광섬유 스터브(Fiber stub)에 광결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초점거리가 광아이솔레이터의 크기에 제약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송신 모듈의 크기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송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 광아이솔레이터를 리셉터클이 아닌 패키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기존 패키지 규격으로 집적화함으로써 기존 패키지 구조의 단점을 완화시키는 광송신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은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들;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서 출력된 광신호들을 다중화하는 광다중화기; 상기 광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평행한 빔의 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들, 광다중화기 및 콜리메이팅 렌즈가 내측에 실장되는 패키지; 상기 패키지의 내측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송신 모듈의 외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아이솔레이터(Optical Isolator)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들은 상기 패키지 내부에 배치된 광다중화기를 통해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되어 콜리메이팅 렌즈를 통과한 후 상기 패키지 외부에 배치된 광결합 렌즈를 통해 리셉터클(Receptacle) 내의 광섬유 스터브(Fiber stub)에 광결합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일면에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패키지와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과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 측면이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내측 부품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송신 모듈은 TO 패키지 또는 박스(Box) 형태의 패키지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은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들;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서 출력된 광신호들을 다중화하는 광다중화기; 상기 광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평행한 빔의 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팅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들, 광다중화기 및 콜리메이팅 렌즈가 내측에 실장되는 패키지; 리셉터클이 아닌 상기 패키지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송신 모듈의 외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들은 상기 패키지 내부에 배치된 광다중화기를 통해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되어 콜리메이팅 렌즈를 통과한 후 상기 패키지 외부에 배치된 광결합 렌즈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의 광섬유 스터브에 광결합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광송신 모듈은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일면에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광아이솔레이터와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 측면이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이 배치되는 외측 일면에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실링용 금속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용 금속 프레임은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는 광이이솔레이터 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는 상기 실링용 금속 프레임의 일측면에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를 배치함으로써 밀봉 처리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는 평평하게 배치되거나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내측 부품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송신 모듈은 TO 패키지 또는 박스(Box) 형태의 패키지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광아이솔레이터를 리셉터클이 아닌 패키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기존 패키지 규격으로 집적화함으로써 광아이솔레이터의 크기에 따라 광결합 렌즈의 초점거리가 제약되는 기존 패키지 구조의 단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패키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아이솔레이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패키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아이솔레이터의 구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광송신 모듈은 출력된 광신호가 외부 환경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경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광아이솔레이터가 사용된다. 종래의 광송신 모듈은 일반적으로 광아이솔레이터가 리셉터클에 집적되어 있는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는 광다중화기의 출력 광신호가 콜리메이팅 렌즈에 의해 평행한 빔의 형태로 변경되는 구조에서 광아이솔레이터의 크기에 따라 광결합 렌즈의 초점거리가 제약되며 이로 인해 광송신 모듈의 크기도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광아이솔레이터를 광송신 모듈의 패키지에 내부 또는 외부에 기존 패키지 규격으로 집적화함으로써 기존 광송신 모듈의 단점을 완화시키는 패키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b는 광송신 모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고하면, 광송신 모듈(100)은 복수의 광원들(Light sources)(110), 광다중화기(Optical multiplexer)(120),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130), 광결합(Focusing) 렌즈(140) 및 리셉터클(Receptacle)(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송신 모듈(100)은 광원(110)의 안정화를 위해 광송신 모듈(100)로부터 출력된 광신호가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광아이솔레이터(16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광송신 모듈(100)은 도 1a에서와 같이 광아이솔레이터(160)가 패키지(170)의 내측에 실장되고, 패키지(170)의 외부에서는 광결합 렌즈(140)와 리셉터클(15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송신 모듈(100)의 복수의 광원들(110)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들은 패키지(170) 내부에 배치된 광다중화기(120)를 통해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되고, 다중화된 광신호는 콜리메이팅 렌즈(130)를 통과한 후 패키지(170) 외부에 배치된 광결합 렌즈(140)를 통해 리셉터클(150) 내의 광섬유 스터브에 광결합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광송신 모듈(100)은 광아이솔레이터(160)를 통해 패키지(170) 내부가 밀봉(Hermetic sealing)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b는 광송신 모듈(100)에 사용되는 박스 형태의 패키지(170)에 대한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광아이솔레이터(160)가 패키지(17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패키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b의 패키지(170)에 대한 A??A' 부분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광송신 모듈(100)을 위한 패키지(170)는 광아이솔레이터(160)가 패키지(170)의 내측 일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광송신 모듈(100)은 광아이솔레이터(160)를 패키지(17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일면에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과 패키지(170)은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과 패키지(170)가 접촉되는 면은 레이더 웰딩(Laser welding)과 같은 금속간 융착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아이솔레이터(160)는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과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아이솔레이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광원(110)으로부터 출력된 광신호가 광다중화기(120) 및 콜리메이팅 렌즈(130)를 거쳐 광아이솔레이터(160)로 입사되는 방향(화살표 방향)에 대한 평면도를 보여준다. 광아이솔레이터(160)는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과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광아이솔레이터(160)의 내측 부품의 형상은 도 3과 같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아이솔레이터(160)의 내측 부품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아이솔레이터(160)는 광신호가 입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광신호가 입사되는 측면이 임의의 각(θ)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아이솔레이터(160)가 패키지(170)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광송신 모듈(100)의 외형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고, 광송신 모듈(100)의 패키지(170)에서 리셉터클(150) 사이의 광결합시 광아이솔레이터(160)의 크기에 따라 광결합 렌즈(140)의 초점거리가 제약되는 기존 패키지 구조의 단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을 참고하면, 광송신 모듈(200)은 복수의 광원들(210), 광다중화기(220), 콜리메이팅 렌즈(230), 광결합 렌즈(240) 및 리셉터클(2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송신 모듈(200)은 광원(210)의 안정화를 위해 광송신 모듈(200)로부터 출력된 광신호가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광아이솔레이터(26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광송신 모듈(200)은 도 4a에서와 같이 광아이솔레이터(260)가 패키지(270)의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280) 후단에 실장되며, 이후 광결합 렌즈(240)와 리셉터클(25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송신 모듈(200)의 복수의 광원들(210)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들은 패키지(270) 내부에 배치된 광다중화기(220)를 통해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되고, 다중화된 광신호는 콜리메이팅 렌즈(230)를 통과한 후 패키지(270) 외부에 배치된 광결합 렌즈(240)를 통해 리셉터클(250) 내의 광섬유 스터브에 광결합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광송신 모듈(200)은 윈도우 글래스(280)를 통해 패키지(270) 내부가 밀봉(Hermetic sealing)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b는 광송신 모듈(200)에 사용되는 박스 형태의 패키지(270)에 대한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광아이솔레이터(260)가 패키지(27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패키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b의 패키지(270)에 대한 B??B' 부분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광송신 모듈(200)을 위한 패키지(270)는 광아이솔레이터(260)가 패키지(270)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송신 모듈(200)을 위한 패키지(270)의 내부는 윈도우 글래스(280)를 통해 밀봉 처리될 수 있는데 윈도우 글래스(280)는 실링용 금속 프레임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윈도우 글래스(280)는 도 5와 같이 평평하게 배치되거나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링용 금속 프레임은 패키지(270)와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링용 금속 프레임은 광아이솔레이터(260)가 실장된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이 쉽게 실장될 수 있도록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의 외형 규격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링용 금속 프레임과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은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실링용 금속 프레임과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이 접촉되는 면은 레이더 웰딩(Laser welding)과 같은 금속간 융착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아이솔레이터(260)는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과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아이솔레이터의 구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의 형상은 도 5의 C와 같이 단면이 'T'자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은 도 6과 같이 실링용 금속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블록처럼 조립될 수 있다. 이때,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에 결합된 광아이솔레이터(260)의 내측 부품의 형상은 도 3과 같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아이솔레이터(160)의 내측 부품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아이솔레이터(260)는 광신호가 입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광신호가 입사되는 측면이 임의의 각(θ)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송신 모듈을 위한 패키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박스 형태의 광송신 모듈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광아이솔레이터를 패키지의 내측에 일체화 함으로써 광송신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외부와의 광결합시 광아이솔레이터에 의한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송신 모듈은 광아이솔레이터를 통해 패키지의 밀봉처리가 가능하여 추가적인 광 투과성 재질을 이용한 밀봉 구조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송신 모듈은 기존의 패키지를 적용하여 패키지의 외측에 광아이솔레이터를 실장 가능한 패키지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200 : 광송신 모듈
110, 210 : 복수의 광원
120, 220 : 광다중화기
130, 230 : 콜리메이팅 렌즈
140, 240 : 광결합 렌즈
150, 250 : 리셉터클
160, 260 : 광아이솔레이터
170, 270 : 패키지
280 : 윈도우 글래스

Claims (13)

  1. 광송신 모듈에 있어서,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들;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서 출력된 광신호들을 다중화하는 광다중화기;
    상기 광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평행한 빔의 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들, 광다중화기 및 콜리메이팅 렌즈가 내측에 실장되는 패키지;
    상기 패키지의 내측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송신 모듈의 외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아이솔레이터(Optical Isolator)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들은,
    상기 패키지 내부에 배치된 광다중화기를 통해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되어 콜리메이팅 렌즈를 통과한 후 상기 패키지 외부에 배치된 광결합 렌즈를 통해 리셉터클(Receptacle) 내의 광섬유 스터브(Fiber stub)에 광결합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광송신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일면에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패키지와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되는 광송신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과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되는 광송신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 측면이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광송신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내측 부품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현되는 광송신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 모듈은,
    TO 패키지 또는 박스(Box) 형태의 패키지가 적용된 광송신 모듈.

  7. 광송신 모듈에 있어서,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들;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서 출력된 광신호들을 다중화하는 광다중화기;
    상기 광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평행한 빔의 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팅 렌즈;
    상기 복수의 광원들, 광다중화기 및 콜리메이팅 렌즈가 내측에 실장되는 패키지;
    리셉터클이 아닌 상기 패키지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송신 모듈의 외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신호를 차단하는 광아이솔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들은,
    상기 패키지 내부에 배치된 광다중화기를 통해 하나의 광신호로 다중화되어 콜리메이팅 렌즈를 통과한 후 상기 패키지 외부에 배치된 광결합 렌즈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의 광섬유 스터브에 광결합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광송신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 모듈은,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일면에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은,
    상기 광아이솔레이터와 밀봉 처리를 통해 결합되는 광송신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되는 측면이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광송신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이 배치되는 외측 일면에 상기 광아이솔레이터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실링용 금속 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용 금속 프레임은,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는 광이이솔레이터 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되는 광송신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실링용 금속 프레임의 일측면에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를 배치함으로써 밀봉 처리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는,
    평평하게 배치되거나 임의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광송신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아이솔레이터는,
    내측 부품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현되는 광송신 모듈.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 모듈은,
    TO 패키지 또는 박스(Box) 형태의 패키지가 적용된 광송신 모듈.
KR1020180080265A 2018-07-11 2018-07-11 광송신 모듈 KR10255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65A KR102559098B1 (ko) 2018-07-11 2018-07-11 광송신 모듈
US16/207,557 US10516487B1 (en) 2018-07-11 2018-12-03 Optical transmit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65A KR102559098B1 (ko) 2018-07-11 2018-07-11 광송신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655A true KR20200006655A (ko) 2020-01-21
KR102559098B1 KR102559098B1 (ko) 2023-07-25

Family

ID=6897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265A KR102559098B1 (ko) 2018-07-11 2018-07-11 광송신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16487B1 (ko)
KR (1) KR1025590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803A1 (ko) 2019-09-20 2021-03-25 주식회사 라이팩 초소형 광송신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징 방식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4840A (ko) * 2021-02-09 2022-08-17 (주)엘디스 광통신 광원용 박스형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549B (zh) * 2018-08-31 2019-11-19 武汉联特科技有限公司 光发射组件以及光模块
US10928600B2 (en) 2019-03-07 2021-02-23 Applied Optoelectronics, Inc.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TOSA) with laser diode driver (LDD) circuitry mounted to feedthrough of TOSA housing
US10948671B2 (en) * 2019-03-07 2021-03-16 Applied Optoelectronics, Inc.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TOSA) with laser diode driver (LDD) circuitry mounted to feedthrough of TOSA housing
US11411650B2 (en) * 2020-01-24 2022-08-09 Applied Optoelectronics, Inc. Component bridge for increasing mounting surface area on feedthrough device and an optical subassembly implement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9773A1 (en) * 2005-12-20 2007-07-12 Hongyu Deng Modular transistor outline can with internal components
KR20100036910A (ko) * 2008-09-30 2010-04-08 신한포토닉스 주식회사 광아이솔레이터가 부착된 리셉터클
US20160028489A1 (en) * 2014-05-13 2016-01-2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transmitter module having multiple signal lanes
JP2016197634A (ja) * 2015-04-02 2016-11-24 日立金属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US20180019569A1 (en) * 2016-07-18 2018-01-18 Luxnet Corporation Optical transmitter with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6675A (en) * 1988-02-26 1991-12-31 Fujitsu Limited Polarizing separating device and optical isolator employing the same
KR920010947B1 (ko) * 1989-05-24 1992-12-2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광결합장치와 그 제조방법, 발광장치와 그 조립방법 및 렌즈홀더
US5600620A (en) * 1994-11-08 1997-02-04 Nec Corporation Optical head apparatus having means to eliminate noise caused by side-lobes
AU2269597A (en) * 1996-02-13 1997-09-02 Optical Corporation Of America External cavity semiconductor laser with monolithic prism assembly
DE10004367A1 (de) * 1999-02-12 2000-09-07 Ando Electric Elektrooptische Sonde
KR20070062197A (ko) 2005-12-12 2007-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트랜시버 케이스
JP5643936B2 (ja) * 2011-06-29 2014-12-24 フルウチ化学株式会社 コリメータおよびコリメータ付き光アイソレータ
KR20150145124A (ko) 2014-06-18 2015-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및 이의 정렬방법
US9866329B2 (en) 2016-06-08 2018-01-09 Applied Orthoelectronics, Inc. Optical transmitter or transceiver including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TOSA) modules directly aligned to optical multiplexer inpu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9773A1 (en) * 2005-12-20 2007-07-12 Hongyu Deng Modular transistor outline can with internal components
KR20100036910A (ko) * 2008-09-30 2010-04-08 신한포토닉스 주식회사 광아이솔레이터가 부착된 리셉터클
US20160028489A1 (en) * 2014-05-13 2016-01-2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transmitter module having multiple signal lanes
JP2016197634A (ja) * 2015-04-02 2016-11-24 日立金属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US20180019569A1 (en) * 2016-07-18 2018-01-18 Luxnet Corporation Optical transmitter with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803A1 (ko) 2019-09-20 2021-03-25 주식회사 라이팩 초소형 광송신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징 방식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20210035058A (ko) 2019-09-20 2021-03-31 주식회사 라이팩 초소형 광송신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징 방식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20220106722A (ko) 2019-09-20 2022-07-29 주식회사 라이팩 초소형 광송신 모듈
KR20240004186A (ko) 2019-09-20 2024-01-11 주식회사 라이팩 초소형 광송신 모듈
US11990940B2 (en) 2019-09-20 2024-05-21 Lipac Co., Ltd. Subminiatur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by using semiconductor packaging scheme
KR20220114840A (ko) * 2021-02-09 2022-08-17 (주)엘디스 광통신 광원용 박스형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098B1 (ko) 2023-07-25
US20200021363A1 (en) 2020-01-16
US10516487B1 (en)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6655A (ko) 광송신 모듈
US11294128B2 (en) Optical module
US5917648A (en) Packaged optical amplifier assembly
US9933585B2 (en) Low return loss silicon photonics package structure
TW200633153A (en) Scanning micro-mirror packag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optical scann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02267998A (ja) 波長分散補償モジュール、光受信回路、及び光通信システム
KR20190098665A (ko) 일체형 광 송수신 모듈
WO2015133164A1 (ja) 光コネクタとケーブルおよび光通信装置
US6053641A (en) Fiber pigtail for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CN108089352B (zh) 光电子器件
US20080187321A1 (en) Optical transceiver module
US20160077302A1 (en) Hermetically sealing an optical subassembly
US20070140625A1 (en) Integrated focusing and reflecting structure in an optical assembly
US20130022313A1 (en) Opt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3179645B1 (en) Optical signal modulation apparatus and system
US10185144B2 (en) Optical assembly and optical module
CN212933046U (zh) 一种多通道波分复用光传输器件、接收器件和收发设备
CN211506152U (zh) 偏振分光器件、偏振分光结构和投影设备
US11942996B2 (en) Optical signal outputting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6102834A (ja) 光アセンブリ及び光モジュール
CN1666392A (zh) 背反射不灵敏的电光接口及其与波导管的耦合方法
US65206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undesirable reflected light in integrated opto-electronic modules
US8727640B2 (en) Dynamic range alignment tolerant optical coupling for fiber optic communications
US7223026B1 (en) Solder-free packaging for integrated fiber optics device
US10295830B2 (en) Laser light source shutter system using a variable focus optical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