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433A - 스트립 탈지설비 - Google Patents

스트립 탈지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433A
KR20200006433A KR1020180080181A KR20180080181A KR20200006433A KR 20200006433 A KR20200006433 A KR 20200006433A KR 1020180080181 A KR1020180080181 A KR 1020180080181A KR 20180080181 A KR20180080181 A KR 20180080181A KR 20200006433 A KR20200006433 A KR 2020000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queegee
moving
moving bloc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276B1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2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5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 C23G3/026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for guiding the obj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스트립 탈지설비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는 내부를 통과하는 스트립에 물이나 탈지액을 공급하는 세척탱크; 상기 세척탱크를 통과하는 스트립의 이송을 위해 스트립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씩 배치되는 복수의 스퀴징롤; 및 상기 스트립 표면에 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흠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흠방지장치는,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사이에서 가압되는 상기 스트립의 가압력 세기를 조절하는 가압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 탈지설비{strip degreasing facility}
본 발명은 스트립 탈지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 표면에 압입흠이나 얼룩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탈지설비에 관한 것이다.
냉연간판의 연마라인에서는 스트립의 표면에 발생된 표면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연마(grinding) 작업을 수행한다.
스트립의 연마과정에서는 스트립과 연마재의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열 및 연마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압연유를 사용한다. 압연유는 스트립 표면에 잔류시 강판의 용접이 어렵게 되도록 하거나 스트립의 취급이 불편해지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통상의 냉연간판 특히, 표면 품질이 중용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경우 출하되거나 다른 공정라인에 투입되기 전 표면에 잔류된 압연유가 제거되도록 탈지설비를 거치게 된다.
탈지설비는 세척탱크와 건조탱크를 구비하고, 스트립은 세척탱크와 건조탱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탈지되고 건조된다. 세척탱크에는 스트립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씩 배치되는 다수의 스퀴징롤이 마련되어 스트립을 이송시키고, 이송 스트립 표면으로 물이나 탈지를 위한 탈지액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탈지과정에서 스퀴징롤 표면에는 이물질이 고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스트립 표면을 과도하게 가압하여 스트립에 압입흠이 형성되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또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스퀴징롤은 세척과정에서 스트립 표면의 물방울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게 되고, 이와 같이 스트립 표면에 잔존하는 물기는 이후 스트립의 건조과정에서 스트립 표면에 얼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탈지공정 중간에 스퀴징롤을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해 오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스퀴징롤의 교체로 인해 탈지공정이 과도하게 지연되어 바람직하지 못했다.
스퀴징롤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스트립 표면에 압입흠이나 얼룩흠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탈지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는 내부를 통과하는 스트립에 물이나 탈지액을 공급하는 세척탱크; 상기 세척탱크를 통과하는 스트립의 이송을 위해 스트립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씩 배치되는 복수의 스퀴징롤; 및 상기 스트립 표면에 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흠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흠방지장치는,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사이에서 가압되는 상기 스트립의 가압력 세기를 조절하는 가압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흠방지장치는, 상기 스트립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이 상기 스트립 양면에 지지되도록 하거나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며, 상기 가압조절유닛은 상기 스트립의 이송이 가능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스퀴징롤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을 긁어내는 나이프; 및 상기 나이프기 밀착되는 상기 스퀴징롤의 표면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나이프는 상기 스퀴징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퀴징롤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흠방지장치는, 상기 이물제거유닛에 의해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제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립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스퀴징롤 표면에 이물이 감지될 경우, 상기 스트립을 누르는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의 가압력이 약해지도록 상기 가압조절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이동축; 상기 스퀴징롤의 중심축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이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1이동블록; 및 상기 제1이동블록을 상기 제1이동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조절유닛은, 상기 제1이동축과 평행하게 마련된 제2이동축; 상기 제2이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이동블록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마련된 제2이동블록; 및 상기 제1이동블록에 의한 상기 제2이동블록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상기 제2이동블록을 상기 제2이동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압조절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조절유닛은, 상기 제2이동블록이 제2이동축 상에서 양 방향으로 탄성지지 되도록 상기 제2이동블록 양측의 상기 제2이동축 둘레에 끼워지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에 따르면, 흠방지장치의 이물제거유닛을 통해 스트립 표면의 이물을 제거함은 물론 가압조절유닛을 통해 스트립을 누르는 스퀴징롤의 가압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스퀴징롤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스트립 표면에 압입흠이나 얼룩흠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의 세척탱크와 건조탱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에 있어서, 세척탱크에 설치되는 흠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의 흠방지장치에 있어서, 간격조절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의 흠방지장치에 있어서, 이물제거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의 흠방지장치에 있어서, 이물제거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의 흠방지장치에 있어서, 이물제거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의 흠방지장치에 있어서, 가압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의 흠방지장치에 있어서, 가압조절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탈지설비는 스테인리스 강판과 같이 냉간 압연 된 스트립(1)의 표면으로부터 압연유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탈지공정을 수행하는 세척탱크(2) 및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건조탱크(3)를 구비한다.
연마유가 표면에 부착된 스트립(1)은 페이오프릴(미도시)에서 풀리면서 세척탱크(2)와 건조탱크(3)를 거쳐 세척되고 건조될 수 있다.
세척탱크(2)는 스트립(1) 표면을 단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세척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복수의 세척탱크(2)는 스트립(1)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탱크(2)는 도면에 도시된 린스탱크(2a) 외에 도시되지 않은 예비세척탱크와, 브러시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세척탱크(미도시)와 브러시탱크(미도시)는 린스탱크(2a)를 통과하기 전 상태에 있는 스트립(1) 표면을 예비세척하고 브러싱 할 수 있다.
세척탱크(2) 내부에는 스트립(1)의 이송을 위한 스퀴징롤(4)과, 물이나 탈지액을 스트립(1) 표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5)이 마련될 수 있다.
스퀴징롤(4)은 스트립(1)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씩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이 하나의 조를 이루는 스퀴징롤(4)은 복수개의 조가 세척탱크(2) 내부에 스트립(1)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세척탱크(2)를 거쳐 표면의 지분이 제거된 스트립(1)은 건조탱크(3)를 거치면서 건조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1)의 탈지공정은 완료될 수 있다. 탈지설비를 통과한 스트립(1)은 연속해서 광휘소둔로(미도시)로 공급되어 소둔처리 되고, 광휘소둔로(미도시)를 통과한 스트립(1)은 텐션릴(미도시)에 다시 감겨질 수 있다.
한편, 세척탱크(2) 내부의 스퀴징롤(4)에는 이물이 부착될 수 있고, 스퀴징롤(4) 표면에 고착된 이물은 스트립(1) 표면에 압입흠이나 얼룩흠이 형성되도록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질은 세척탱크(2)를 통과하는 스트립(1) 표면을 과도하게 가압하여 스트립(1)에 압입흠을 형성할 수 있고, 표면에 이물질이 고착된 스퀴징롤(4)은 세척과정에서 스트립(1) 표면의 물방울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여 건조탱크(3)에서 건조되는 스트립(1) 표면에 얼룩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1) 표면의 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립 탈지설비는 스트립(1) 표면에 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흠방지장치(10)를 포함한다.
흠방지장치(10)는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20)과, 스퀴징롤(4)에 의한 스트립(1)의 가압력 세기를 조절하는 가압조절유닛(30)과,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유닛(40)과, 스트립(1)에 압입흠이나 얼룩흠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유닛(50)은 스트립(1)의 표면을 촬영하여 압입흠이나 얼룩흠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스트립(1) 양면의 흠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세척탱크(2)와 건조탱크(3) 사이를 통과하는 스트립(1) 양면으로 배치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감지유닛(50)은 압입흠과 얼룩흠을 구분하여 감지하도록 마련되고, 이송중인 스트립(1) 표면에 흠이 발견될 경우, 그 신호를 제어유닛(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물제거유닛(20)은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을 닦아냄으로써, 스트립(1)에 압입흠이나 얼룩흠이 형성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압조절유닛(30)은 이물제거유닛(20)에 의한 이물제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스트립(1) 표면에 압입흠이 발생할 경우, 스트립(1)을 누르는 스퀴징롤(4)의 가압력을 약화시켜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에 의해 스트립(1)이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스트립(1) 표면에 압입흠이 형성되는 것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흠방지장치(10)는 적어도 하나가 스트립(1)의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스퀴징롤(4) 주변에 마련된 상태에서 스트립(1)에 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흠방지장치(10)는 하나로 구성될 경우, 세척탱크(2)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1)을 최종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세척탱크(2)의 출구 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퀴징롤(4) 주변에 설치됨으로써, 스트립(1)에 얼룸흠이 형성되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흠방지장치(10)는 스퀴징롤(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60)을 더 구비하여 스트립(1)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간격조절유닛(60)은 한 쌍의 스퀴징롤(4)이 스트립(1) 양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스트립(1)의 이송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한 쌍의 스퀴징롤(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스트립(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립(1)의 이송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물제거유닛(20)은 간격조절유닛(60)을 통해 스트립(1)으로부터 이격된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마련되어 스퀴징롤(4)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이 스트립(4)에 안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압조절유닛(30)은 스트립(1)의 이송이 가능한 상태에서 한 쌍의 스퀴징롤(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마련되어 그 동작에 의해 탈지공정이 지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유닛(60)은 스트립(1)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이동축(61)과, 스퀴징롤(4)의 중심축(4a)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이동축(6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1이동블록(62)과, 제1이동블록(62)을 제1이동축(6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 구동기(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이동블록(62)에는 스퀴징롤(4)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4)가 연결될 수 있다.
간격조절유닛(60)의 구성은 스퀴징롤(4)의 양쪽 단부에 대응하는 세척탱크(2)의 양측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세척탱크(2) 외벽에는 지지대(65)가 고정되고, 제1이동축(61)은 양단이 지지대(65)에 지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1이동블록(62)은 제1이동축(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대(65)에는 간격조절 구동기(63)가 설치될 수 있다. 간격조절 구동기(63)는 실린더몸체(63a)가 지지대(65)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63b)가 제1이동블록(62)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실린더몸체(63a)에는 간격조절 구동기(63)의 동작감지를 위한 동작센서(63c)가 마련될 수 있다. 동작센서(63c)는 스퀴징롤(4)을 스트립(1)에 지지되도록 하거나, 스트립(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간격조절 구동기(63)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센서(63c)는 스퀴징롤(4)을 스트립(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간격조절 구동기(63)의 동작을 스퀴징롤(4)의 이격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1이동축(61)은 세척탱크(2) 양측의 벽체 외면에 스퀴징롤(4) 양측으로 한 쌍씩 배치되고, 제1이동블록(62)은 세척탱크(2) 양측의 벽체에 제1이동축(61)의 연장방향을 따라 한 쌍씩 배치되며, 간격조절 구동기(63)는 각 고정대(65)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스퀴징롤(4)은 제1이동블록(6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중심축(4a)의 양단이 세척탱크(2) 외벽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양측의 제1이동블록(6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 구동기(63)를 구동하여 제1이동블록(62)을 제1이동축(61)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한 쌍의 스퀴징롤(4) 사이의 간격은 멀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게 된다.
세척탱크(2)의 외벽에는 중심축(4a)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2b)이 형성되고, 장공(2b) 주변은 중심축(4a)의 이동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실링처리 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제거유닛(20)은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을 긁어낼 수 있게 마련된 나이프(21)와, 나이프(21)를 스트립(1)으로부터 이격된 스퀴징롤(4)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왕복운동시키는 왕복구동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이프(21)는 스퀴징롤(4)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회전동작하는 스퀴징롤(4)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세척탱크(2)의 벽체에는 왕복구동기(22)의 고정을 위한 지지대(23)가 마련되고, 왕복구동기(22)는 실린더몸체(22a)가 지지대(23)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23b)가 나이프(21)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왕복구동기(22)는 전진 동작시 나이프(21)를 스퀴징롤(4)에 밀착시키고, 후진 동작시 나이프(21)를 스퀴징롤(4)로부터 이격된 대기 위치로 후진시킬 수 있다. 왕복구동기(22) 양측으로는 왕복구동기(22)의 왕복동작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2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물제거유닛(20)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왕복구동기(22)에는 왕복구동기(22)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센서(22c)가 마련될 수 있다. 동작센서(22c)는 이물제거유닛(20)의 동작여부신호를 감지하여 제어유닛(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이물제거유닛(20)은 나이프(21)가 밀착되는 스퀴징롤(4)의 표면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노즐(25)을 구비하고, 나이프(21)는 스퀴징롤(4)의 축선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유체분사노즐(25)에는 도시되지 않은 유체펌프가 연결되고, 유체분사노즐(25)의 출구는 스퀴징롤(4)에 밀착된 나이프(21) 일단 쪽에 나이프(21)의 하향지점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체분사노즐(25)에는 단속밸브(25a)가 마련되어 유체분사노즐(25)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단속밸브(25a)의 동작은 제어유닛(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제거유닛(20)은 나이프(21)에 의한 마찰력과 유체분사노즐(25)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력을 통해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스퀴징롤(4)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유체분사노즐(25)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경사진 나이프(21) 표면을 따라 스트립(1) 외측으로 제거되어 스트립(1)에 안착될 우려가 없게 된다.
이물제거유닛(20)은 각 스퀴징롤(4)의 일측으로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해당 스퀴징롤(4)에 대한 이물제거작업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조절유닛(30)은 제1이동축(61)과 평행하게 마련된 제2이동축(31)과, 스트립(1) 쪽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블록(6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제2이동축(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2이동블록(32)과, 제1이동블록(62)에 의한 제2이동블록(32)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33)과, 제2이동블록(32)을 제2이동축(3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압조절 구동기(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조절유닛(30)의 구성은 간격조절유닛(60)과 함께 세척탱크(2)의 벽체 외면에 설치되고, 가압조절유닛(30)은 각각의 제1이동블록(62) 일측에 배치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이동축(31)은 제1이동블록(62) 일측에 마련되고, 제2이동블록(32)은 제1이동블록(62)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a)를 구비하여 제2이동축(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32a)에는 지지홈(32b)이 마련되고, 제1이동블록(62)에는 지지홈(32b)에 지지되도록 지지돌기(62a)가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32a)가 지지홈(32b)을 통해 지지돌기(62a)에 가압됨에 따라 제2이동블록(32)은 제1이동블록(6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로드셀(33)은 연장부(32a)에 지지되어 제1이동블록(62)에 의한 제2이동블록(32)의 가압정도를 측정하고, 가압조절구동기(34)는 제2이동블록(32)을 제2이동축(31)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제2이동블록(32)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조절 구동기(34)는 실린더몸체(34a)가 지지대(35)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34b)가 제2이동블록(32)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가압조절 구동기(34)의 동작은 제어유닛(40)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가압조절유닛(30)은 제2이동블록(32)이 제2이동축(31) 상에서 양 방향으로 탄성지지 되도록 제2이동블록(32) 양쪽의 제2이동축(31) 둘레에 끼워지는 한 쌍의 탄성부재(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부재(36)는 제2이동블록(32)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트립(1)의 이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가압조절유닛(30)의 동작안정성과 스트립(1)의 이송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부재(36)는 제2이동축(31)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은 흠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스트립(1)의 탈지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이송중인 스트립(1) 표면에 압입흠이나 얼룩흠이 발생하면, 감지유닛(50)은 흠발생 신호를 제어유닛(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유닛(40)은 간격조절구동기(63)를 구동시켜 흠이 형성된 스트립(1)의 표면을 지지하는 스퀴징롤(4)을 스트립(1)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나이프(21)가 스트립(1)에서 이격된 스퀴징롤(4) 표면으로 밀착되면서 유체분사노즐(25a)을 통해 유체가 분사되도록 이물제거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40)은 유체분사노즐(25a)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시간을 카운팅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나이프(21)가 스퀴징롤(4)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유체의 분사 흐름이 차단되도록 이물제거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물제거작업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동작센서(22c)는 이물제거작업 종료신호를 제어유닛(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유닛(40)은 이물제거작업이 종료된 상태에서 간격조절유닛(6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한 쌍의 스퀴징롤(4)이 스트립(1)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스퀴징롤(4) 사이의 간격을 복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립 탈지설비는 다시 탈지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물제거작업이 종료된 상태에서도 스퀴징롤(4) 표면의 이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스트립(1) 표면에는 여전히 압입흠이 형성될 수 있고, 감지유닛(50)은 지속적으로 흠발생 신호를 제어유닛(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흠발생 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40)은 한 쌍의 스퀴징롤(4) 사이가 약간 벌어지도록 가압조절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스트립(1)을 누르는 스퀴징롤(4)의 가압력이 약화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립(1) 표면에 압입홈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가압조절유닛(30)에 의한 스퀴징롤(4) 사이의 가압력 조절작용은 여러 차례에 걸쳐 조금씩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1: 스트립 2: 세척탱크
4: 스퀴징롤 10: 흠방지장치
20: 이물제거유닛 21: 나이프
22: 왕복구동기 25: 유체분사노즐
30: 가압조절유닛 31: 제2이동축
32: 제2이동블록 33: 로드셀
34: 가압조절 구동기 40: 제어유닛
50: 감지유닛 60: 간격조절유닛
61: 제1이동축 62: 제1이동블록
63: 간격조절 구동기

Claims (6)

  1. 내부를 통과하는 스트립에 물이나 탈지액을 공급하는 세척탱크;
    상기 세척탱크를 통과하는 스트립의 이송을 위해 스트립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씩 배치되는 복수의 스퀴징롤; 및
    상기 스트립 표면에 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흠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흠방지장치는,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사이에서 가압되는 상기 스트립의 가압력 세기를 조절하는 가압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스트립 탈지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흠방지장치는,
    상기 스트립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이 상기 스트립 양면에 지지되도록 하거나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며,
    상기 가압조절유닛은 상기 스트립의 이송이 가능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트립 탈지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스퀴징롤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을 긁어내는 나이프; 및
    상기 나이프기 밀착되는 상기 스퀴징롤의 표면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나이프는 상기 스퀴징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퀴징롤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마련된 스트립 탈지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흠방지장치는,
    상기 이물제거유닛에 의해 상기 스퀴징롤 표면의 이물제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립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스퀴징롤 표면에 이물이 감지될 경우, 상기 스트립을 누르는 한 쌍의 상기 스퀴징롤의 가압력이 약해지도록 상기 가압조절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탈지설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이동축;
    상기 스퀴징롤의 중심축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이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1이동블록; 및
    상기 제1이동블록을 상기 제1이동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조절유닛은,
    상기 제1이동축과 평행하게 마련된 제2이동축;
    상기 제2이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스트립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이동블록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마련된 제2이동블록; 및
    상기 제1이동블록에 의한 상기 제2이동블록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상기 제2이동블록을 상기 제2이동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압조절 구동기;를 포함하는 스트립 탈지설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조절유닛은,
    상기 제2이동블록이 제2이동축 상에서 양 방향으로 탄성지지 되도록 상기 제2이동블록 양측의 상기 제2이동축 둘레에 끼워지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탈지설비.
KR1020180080181A 2018-07-10 2018-07-10 스트립 탈지설비 KR10212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81A KR102125276B1 (ko) 2018-07-10 2018-07-10 스트립 탈지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81A KR102125276B1 (ko) 2018-07-10 2018-07-10 스트립 탈지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33A true KR20200006433A (ko) 2020-01-20
KR102125276B1 KR102125276B1 (ko) 2020-07-07

Family

ID=6936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81A KR102125276B1 (ko) 2018-07-10 2018-07-10 스트립 탈지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1770A (zh) * 2020-12-24 2021-06-01 南京同宁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辊式除油装置
CN117564110A (zh) * 2024-01-16 2024-02-20 河南东鼎实业有限公司 一种铝板冲压预处理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92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척설비의 롤 클리닝장치
KR100723185B1 (ko) * 2005-12-06 2007-05-2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탈지 장치
KR100944961B1 (ko) * 2009-07-21 2010-03-02 (주)범용테크놀러지 판세척장치
KR101639251B1 (ko) * 2015-07-16 2016-07-13 주식회사 포스코 링거 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물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92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척설비의 롤 클리닝장치
KR100723185B1 (ko) * 2005-12-06 2007-05-2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탈지 장치
KR100944961B1 (ko) * 2009-07-21 2010-03-02 (주)범용테크놀러지 판세척장치
KR101639251B1 (ko) * 2015-07-16 2016-07-13 주식회사 포스코 링거 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물질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1770A (zh) * 2020-12-24 2021-06-01 南京同宁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辊式除油装置
CN117564110A (zh) * 2024-01-16 2024-02-20 河南东鼎实业有限公司 一种铝板冲压预处理设备及方法
CN117564110B (zh) * 2024-01-16 2024-04-09 河南东鼎实业有限公司 一种铝板冲压预处理设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276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284B1 (ko) 기록 장치 및 반송 벨트의 세정 방법
KR102125276B1 (ko) 스트립 탈지설비
US7029090B2 (en) Ink jet head clean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05013837A (ja) 塗工装置用スリットノズル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塗工装置
JP6932858B2 (ja) ローラ洗浄方法およびローラ洗浄装置
US3709194A (en) Apparatus for treating continuous surfaces
KR100723185B1 (ko) 강판 탈지 장치
KR101245705B1 (ko) 오일러의 이물질 제거장치
JP6307918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ベルト洗浄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4484939B2 (ja) 液滴吐出装置
KR0114093Y1 (ko)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51849B1 (ko) 이중 가압식 실링장치
KR101817648B1 (ko) 스퀴즈롤 오염방지장치, 오염방지방법 및 이를 갖는 탈지설비
KR20090071172A (ko) 판재의 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후처리 방법
JP4694946B2 (ja) 被圧延金属帯の付着物除去装置
KR102179299B1 (ko) 스트립 탈지설비의 드라이어 전처리장치
JP3603928B2 (ja) 連続焼鈍設備における冷延鋼帯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JP2009066524A (ja) ローラー洗浄装置
KR102169454B1 (ko) 스트립 탈지설비의 드라이어 전처리장치
JP6290700B2 (ja) 塗布処理装置、清掃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101677548B1 (ko) 코팅롤 표면 청소장치
JP2003080312A (ja) リバース式冷間圧延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属帯の冷間圧延方法
DK2576868T3 (en) PROCEDURE FOR TREATING ARTICLES OF ROLLED STEEL
EP3678794B1 (fr) Installation industrielle comportant un essuyeur sans contact
JP2016175033A (ja) フィルム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