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990A - 하이패스 단말기 - Google Patents

하이패스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990A
KR20200004990A KR1020180078074A KR20180078074A KR20200004990A KR 20200004990 A KR20200004990 A KR 20200004990A KR 1020180078074 A KR1020180078074 A KR 1020180078074A KR 20180078074 A KR20180078074 A KR 20180078074A KR 20200004990 A KR20200004990 A KR 20200004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radio
high pas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철
정도균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8007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990A/ko
Publication of KR2020000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이패스 단말기에 따르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IC칩용으로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하이패스(Hi-Pass) 카드의 IC칩과 접촉식으로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와,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지정된 도로의 노상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모듈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 및 지정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하이패스 카드의 IC칩과 연동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노상 기지국과 연동하여 하이패스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하이패스모듈을 구비한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지정된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모듈 및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2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Description

하이패스 단말기{Hi-Pass Terminal}
본 발명은 하이패스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IC칩용으로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하이패스(Hi-Pass) 카드의 IC칩과 접촉식으로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와,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지정된 도로의 노상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모듈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와, 지정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하이패스 카드의 IC칩과 연동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노상 기지국과 연동하여 하이패스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하이패스모듈과, 지정된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모듈 및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2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최근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많은 운전자들이 하이패스를 이용하고 있다. 하이패스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주행상태의 차량에서 통행료를 결제하고 정산하는 시스템으로서,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하이패스 카드를 단말기(차량에 부착)에 삽입한 채로 톨게이트의 하이패스 안테나를 지나게 되면 결제정보가 단말기에 기록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01598호(2013년 01월 04일 공개)는 하이패스 카드에 관한 것으로, 하이패스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하이패스 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하이패스용 단말기는 하이패드를 삽입하여 단지 하이패스 결제에만 이용되고 있을 뿐, 다른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않다.
한편, 최근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주문/결제, 출입/인증, 멤버쉽 서비스 등)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차량 기술과 IoT 기술이 접목되면서,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가 차량에서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IC칩용으로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하이패스(Hi-Pass) 카드의 IC칩과 접촉식으로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와,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지정된 도로의 노상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모듈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와, 지정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하이패스 카드의 IC칩과 연동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노상 기지국과 연동하여 하이패스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하이패스모듈과, 지정된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모듈 및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2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하이패스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IC칩용으로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하이패스(Hi-Pass) 카드의 IC칩과 접촉식으로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와,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지정된 도로의 노상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모듈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 및 지정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하이패스 카드의 IC칩과 연동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노상 기지국과 연동하여 하이패스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하이패스모듈을 구비한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지정된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모듈 및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2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신호는, 5.9GHz 대역의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송출 가능한 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간섭이 최소화되는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발진하여 송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송출 가능한 BLE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는, 지정된 신호강도의 BLE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은,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해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은, 상기 제2 무선모듈이 BLE(Bluetooth Low Energy)모듈인 경우,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의 전압은 BLE 규격에 부합하되,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의 전류는 상기 BLE 규격의 전류보다 일정 비율 크게 변환된 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탑재 형태는, 차량의 전면 유리 부착 형태 또는 차량의 대시 보드 부착 형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 및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 너머 또는 차량 측면 너머의 차량 외부 일정거리까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도달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1 무선모듈과 연동하여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1 무선모듈과 연동하여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지정된 페어링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와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패스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하이패스 결제 이외에 주차, 주유, 차량 추적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하이패스 결제와 더불어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 부족 시 대체 결제, 미납 요금 결제 등 톨게이트나 하이패스 구간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 등의 부가적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차량 내 장착되어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하이패스 카드의 IC칩이 접촉된 후 지정된 도로의 노상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연동하여 기 설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1 무선신호를 통해 하이패스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는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차량 내부의 전면 유리나 룸미러 부근에 부착될 수 있으며, 톨게이트 진입 시 차량 전면의 위쪽 방향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통신하여 하이패스 결제를 처리하며, 이를 위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125)와, 상기 차량 전원을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130)와, IC칩용으로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하이패스(Hi-Pass) 카드의 IC칩과 접촉식으로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105)와,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지정된 도로의 노상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모듈(115)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모듈(115)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120) 및 지정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상기 하이패스 카드의 IC칩과 연동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115)을 통해 노상 기지국과 연동하여 하이패스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하이패스모듈(11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선신호는 5.9GHz 대역의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변환부(130)는 차량 전원(예컨대, 일반 차량 DC 12V, 대형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의 경우 DC 24V 등)을 어느 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기능 구성요소에 맞게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지정된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모듈(115)의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모듈(140)과,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안테나부(13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송출 가능한 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간섭이 최소화되는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진하여 송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송출 가능한 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해진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발진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송출 가능한 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적응 발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송출 가능한 BLE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는 지정된 신호강도의 BLE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2 무선모듈(120)은 상기 BLE 외에 송출 가능한 다른 무선 신호 수단에 대응하는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무선 신호 수단을 통한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는 지정된 신호강도의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을 동작시키는 특정한 동작 전원은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해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무선모듈이 BLE(Bluetooth Low Energy)모듈인 경우,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의 전압은 BLE 규격에 부합하되,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의 전류는 상기 BLE 규격의 전류보다 일정 비율 크게 변환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안테나부(135)는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차량 내부 탑재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상기 제1 안테나부(120)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부(135)의 배치에 대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차량 정면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는 경우(예컨대, 하이패스 단말기가 차량 내부의 룸미러에 탑재되는 경우), 상기 제2 안테나부(135)는 차량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120)와 겹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부(135)의 배치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차량 정면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는 경우(예컨대, 하이패스 단말기가 차량 내부의 룸미러에 탑재되는 경우), 상기 제2 안테나부(135)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120)와 겹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하이패스 단말기와 통신하는 노상 기지국의 안테나는 노상에서 일정 높이 이상의 위쪽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2 안테나부(135)는 노상 기지국의 안테나가 구비된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정면 방향의 일장 각도 상단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안테나부(120)와 겹치지 않아야 무선신호의 간섭 없이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부(135)의 배치에 대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는 경우(예컨대, 하이패스 단말기의 탑재 형태가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되거나 대시보드에 부착되는 탑재 형태인 경우), 상기 제2 안테나부(135)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120)와 겹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부(135)의 배치에 대한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는 경우(예컨대, 하이패스 단말기의 탑재 형태가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되거나 대시보드에 부착되는 탑재 형태인 경우), 상기 제2 안테나부(135)는 차량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120)와 겹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5)와,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95)와,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19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비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5), 메모리부(195) 및 RF 처리부(190) 등은 비콘 기능을 구비한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5)는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무선모듈(14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제2 무선모듈(140)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14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95)는 상기 제2 무선모듈(14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4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95)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9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190)는 제2 안테나부(135)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 형태의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블루투스 스마트 규격의 제2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RF 처리부(190)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측을 식별하거나 또는 페어링 하지 않고 제2 무선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확장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 외에,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하는 지정된 블루투스 지원 단말(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과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 처리부(190)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모듈(115)의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기 위한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 저장부(150)와, 씨드 저장부(155)와, 씨드 결정부(160)와, 코드 생성부(165)와, 신호 송출부(170)와, 신호 제어부(175)와, 통신 제어부(180)와, 통신 처리부(18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50)와,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1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50)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부(19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제작 시점에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170)는 상기 메모리부(19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19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170)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165)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생성부(165)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165)는 상기 메모리부(19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상기 씨드 결정부(160)를 통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170)는 상기 코드 생성부(165)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190)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170)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50)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165)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170)는 상기 정보 저장부(150)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19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 생성부(165)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RF 처리부(19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170)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155)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씨드 저장부(155)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부(19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정 씨드 값은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제작 시점에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씨드 결정부(160)는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예컨대, 시각 값, 또는 난수 등)을 확인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씨드 결정부(160)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상기 동적 씨드 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은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 너머 또는 차량 측면 너머의 차량 외부 일정거리까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도달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제어부(175)는 상기 제1 무선모듈(115)과 연동하여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115)을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무선신호(=BLE신호)가 하이패스를 대체하는 톨게이트 요금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주차나 주유 또는 차량 추적용도로만 사용되는 경우, 제1 무선신호를 통해 하이패스 결제가 처리되는 중에는 송출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제어부(175)는 상기 제1 무선모듈(115)과 연동하여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115)을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무선신호(=BLE신호)가 하이패스를 대체하는 톨게이트 요금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톨게이트 요금 외에 별도의 지정된 톨게이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제1 무선신호의 신호강도 보다 높게 증폭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무선모듈(140)의 통신 제어부(180)는 지정된 페어링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 등)와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처리부(185)는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제1 무선신호의 송출 기능 및 제2 무선신호(BLE 등)의 송출 기능을 구비한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시점과, 제2 무선신호의 송출 시점이 상이한 경우, 예컨대 상기 제1 무선신호가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신호로 사용되고, 상기 제2 무선신호가 상기 하이패스 결제가 아닌 다른 용도(예컨대, 주차, 주유, 차량 추적 등)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 공급이 확인되면(200), 차량 전원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접촉하는 카드의 IC칩 및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1 무선모듈(115) 및 제2 무선모듈(140)에 각각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한다(205).
그리고,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카드 리더부(105)에 하이패스 카드의 IC칩이 접촉하면(210),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하이패스 결제 기능을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을 대기한다(215).
또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하이패스 결제 기능을 제외한 다른 기능(예컨대, 주차, 주유, 차량 추적 등)을 위한 제2 무선신호의 송출을 개시한다(220).
이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탑재된 차량이 하이패스 구간(또는 톨게이트 구간)에 진입 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여부를 확인한다(225).
만약, 상기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이 필요한 경우,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을 일시 정지하고(230), 상기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을 개시한다(235).
이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탑재된 차량이 하이패스 구간(또는 톨게이트 구간)에서 진출 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중지 여부를 확인한다(240).
그리고, 상기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중지가 확인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을 다시 개시한다(245).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제1 무선신호의 송출 기능 및 제2 무선신호(BLE 등)의 송출 기능을 구비한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시점과, 제2 무선신호의 송출 시점이 동일할 경우, 예컨대 상기 제1 무선신호가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가 하이패스 결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다른 용도(예컨대,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 부족 시 대체 결제, 미납 요금 결제 등 톨게이트나 하이패스 구간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 등)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의 이동 속도(하이패스 구간)를 고려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증폭하여 인식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 공급이 확인되고, 차량 전원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접촉하는 카드의 IC칩 및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1 무선모듈(115) 및 제2 무선모듈(140)에 각각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된 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카드 리더부(105)에 하이패스 카드의 IC칩이 접촉하고, 하이패스 결제 기능을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을 대기한 이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하이패스 결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다른 용도(예컨대,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 부족 시 대체 결제, 미납 요금 결제 등 톨게이트나 하이패스 구간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 등)로 사용되기 위한 제2 무선신호의 송출을 개시한다(300).
이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탑재된 차량이 하이패스 구간(또는 톨게이트 구간)에 진입 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여부를 확인하고(305), 상기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이 개시되면(310),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증폭 송출 여부를 판단한다(315).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증폭 송출 여부에 판단은 상기 톨게이트나 하이패스 구간에서 상기 제2 무선신호가 하이패스 결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다른 용도(예컨대,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 부족 시 대체 결제, 미납 요금 결제 등 톨게이트나 하이패스 구간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 등)로 사용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하이패스 구간)를 고려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인식률을 보다 높이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하이패스 구간에서 상기 제2 무선신호가 송출되어 인식될 필요가 있는 경우(제1 무선신호를 통한 하이패스 결제 시 잔액 부족에 대한 대체 결제 등),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하여 송출한다(320).
이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탑재된 차량이 하이패스 구간(또는 톨게이트 구간)에서 진출 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중지 여부를 확인한다(325).
그리고, 상기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제1 무선신호의 송출 중지가 확인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최초 송출 개시 시점으로 감소하여 송출을 다시 개시한다(330).
도면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 구비된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무선신호가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신호일 때, 상기 제1 무선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되,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고유정보가 포함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또는 임시 저장)한다(400). 여기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 또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 내의 제2 무선모듈(140)의 제작 시점에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또는 임시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 개시 여부를 확인한다(405).
만약,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 개시가 확인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410),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여(415), 상기 고유정보가 포함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한다(420).
도면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 구비된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무선신호가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신호일 때, 상기 제1 무선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되,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고정 씨드값 및 동적 결정되는 동적 씨드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값을 저장(또는 임시 저장)한다(500). 여기서 상기 고정 씨드값은 상기 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또는 임시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씨드값이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 개시 여부를 확인한다(505).
만약,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 개시가 확인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고정 씨드값을 확인하고(510), 일회용코드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적 씨드값을 결정한다(515). 여기서, 상기 동적 씨드값은 상기 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또는 임시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씨드값이 확인되고 상기 동적 씨드값이 결정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지정된 코드생성 알고리즘에 상기 고정 씨드값과 동적 씨드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520).
상기 일회용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고(525),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한다(530).
도면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 구비된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 무선신호가 하이패스 결제를 위한 신호일 때, 상기 제1 무선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되,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고유정보와, 고정 씨드값 및 동적 결정되는 동적 씨드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고유정보 및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하이패스 단말기(100)에서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와, 상기 고유정보와 함께 전송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값을 저장(또는 임시 저장)한다(600). 여기서 상기 고유정보 및 고정 씨드값은 상기 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또는 임시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 및 고정 씨드값이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후,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 개시 여부를 확인한다(605).
만약,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 개시가 확인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고정 씨드값을 확인하고(610), 일회용코드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적 씨드값을 결정한다(615). 여기서, 상기 동적 씨드값은 상기 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카드 리더부(105)를 통해 접촉하는 카드의 IC칩으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또는 임시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씨드값이 확인되고 상기 동적 씨드값이 결정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지정된 코드생성 알고리즘에 상기 고정 씨드값과 동적 씨드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620).
상기 일회용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또는 임시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625), 상기 고유정보 및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고(630), 상기 고유정보 및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한다(635).
100 : 하이패스 단말기 105 : 카드 리더부
110 : 하이패스모듈 115 : 제1 무선모듈
120 : 제1 안테나부 125 : 전원 공급부
130 : 전원 변환부 135 : 제2 안테나부
140 : 제2 무선모듈 145 : 제어부
150 : 정보 저장부 155 : 씨드 저장부
160 : 씨드 결정부 165 : 코드 생성부
170 : 신호 송출부 175 : 신호 제어부
180 : 통신 제어부 185 : 통신 처리부
190 : RF 처리부 195 : 메모리부

Claims (21)

  1.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IC칩용으로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하이패스(Hi-Pass) 카드의 IC칩과 접촉식으로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와,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지정된 도로의 노상에 설치된 노상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모듈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 및 지정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하이패스 카드의 IC칩과 연동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노상 기지국과 연동하여 하이패스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하이패스모듈을 구비한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지정된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상기 제1 무선모듈의 제1 무선신호와 간섭되지 않게 송출하기 위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모듈; 및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제2 무선모듈의 지정된 동작에 근거한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신호는,
    5.9GHz 대역의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송출 가능한 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간섭이 최소화되는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발진하여 송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송출 가능한 BLE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는, 지정된 신호강도의 BLE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은,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제2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해 상기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은,
    상기 제2 무선모듈이 BLE(Bluetooth Low Energy)모듈인 경우,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의 전압은 BLE 규격에 부합하되, 상기 특정한 동작 전원의 전류는 상기 BLE 규격의 전류보다 일정 비율 크게 변환된 전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정면 방향의 일정 각도 상단 방향을 지향하는 탑재 형태로 차량 내부의 지정된 부위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차량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형태는,
    차량의 전면 유리 부착 형태 또는 차량의 대시 보드 부착 형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 및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 너머 또는 차량 측면 너머의 차량 외부 일정거리까지 상기 제2 무선신호를 도달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1 무선모듈과 연동하여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송출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제1 무선모듈과 연동하여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무선모듈을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지정된 페어링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와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모듈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KR1020180078074A 2018-07-05 2018-07-05 하이패스 단말기 KR20200004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74A KR20200004990A (ko) 2018-07-05 2018-07-05 하이패스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74A KR20200004990A (ko) 2018-07-05 2018-07-05 하이패스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90A true KR20200004990A (ko) 2020-01-15

Family

ID=6915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74A KR20200004990A (ko) 2018-07-05 2018-07-05 하이패스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4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647A1 (ko)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647A1 (ko)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990A (ko) 하이패스 단말기
KR20200004992A (ko) 적응형 하이패스 단말기
KR20140031025A (ko) 차량 내에서 모바일단말기와 연동되는 하이패스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
KR20170001870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통행료 고속 결제 방법
KR101719237B1 (ko) 적응형 비콘 시가잭 장치
CN208477564U (zh) 车载电子装置及车载交互系统
KR20180110283A (ko) Obd연동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90133356A (ko) 차량용 카드
KR100709273B1 (ko)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와 rfid 태그 기능을 겸한 차량단말기 및 이와 통신 가능한 노상기
KR20180110277A (ko)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KR20180110286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
JP5868656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車載器
CN108074290A (zh) 基于车辆外部照明装置的汽车无线支付车载系统及支付方法
KR20180110285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KR20180056509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차량항법장치
CN216901738U (zh) 多逻辑通道车载单元和收费系统
KR20180056466A (ko) 블랙박스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KR20180110282A (ko)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671203B1 (ko) 시가잭 장치의 비콘 제어 방법
KR20180056513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차량항법장치
KR20180110274A (ko)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
KR20180110276A (ko)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KR20180110289A (ko) Obd연동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상태 판단 방법
KR20170134865A (ko)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탑재용 신호장치
CN112277709A (zh) 电动汽车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