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912A -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 Google Patents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912A
KR20200004912A KR1020200001574A KR20200001574A KR20200004912A KR 20200004912 A KR20200004912 A KR 20200004912A KR 1020200001574 A KR1020200001574 A KR 1020200001574A KR 20200001574 A KR20200001574 A KR 20200001574A KR 20200004912 A KR20200004912 A KR 20200004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needle
tissue
inclined surface
biops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512B1 (ko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고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0055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65068B1/ko
Application filed by 고형진 filed Critical 고형진
Priority to KR102020000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Abstract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셋을 구성하는 속침과 겉침의 새로운 구조 및 형상을 제안하여, 절단 생검장치를 통한 생체조직 채취의 정확도 향상, 효율성 향상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는, 전후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선단팁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속침; 및 상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있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속침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선단팁측과 동일한 일단측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조직채취홈에 상기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팁은, 상기 선단팁의 정단면을 4사분면으로 구분하되, 오른쪽 상부 방향의 사분면을 제1 사분면으로 하고, 제1 사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나머지 각 사분면을 제2 내지 제4 사분면으로 할 때, 제1 및 제2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경사면이 상기 속침의 축 방향의 일 점인 팁 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면을 향하도록, 제3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경사면이 상기 팁 포인트를 향하도록, 제4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3 경사면이 상기 팁 포인트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3 경사면이 동시에 만나는 점이 상기 팁 포인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에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Needle structure of core biopsy device}
본 발명은 생체조직의 검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조정하여 속침 및 겉침이 결합된 검체바늘을 생체조직에 근접시킨 후, 시술자가 겉침의 이동을 조작하여 속침의 조직채취홈에 생체조직의 샘플을 수용하고, 수용된 샘플을 원 생체와 절단하면서 속침의 조직채취홈을 밀봉하여, 생체조직을 채취하도록 하는 생체조직 검체 기구에 있어서, 속침과 겉침의 새로운 구조 및 형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흡인생검과 절단생검이 존재한다.
흡인생검의 경우, 일반적 형태의 주사바늘을 조직에 삽입한 후, 병변부위의 세포를 흡인하여 세포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이며, 바늘의 구경에 따라서 세침흡인생검 및 큰바늘흡인생검으로 구분된다. 큰바늘흡인생검 방식은, 많은 양의 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반면 바늘의 구경이 큰 관계로 조직의 파괴, 환자의 공포감 조성 등 부작용이 높다. 한편 세침흡인생검의 경우 바늘은 가늘어 삽입이 간편하고 환자에게 편의성이 제공되는 장점은 있으나, 채취할 수 있는 조직의 크기에 한계가 있어 진단의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흡인생검에 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63867 및 10-1551311 등에 기재되어 있는 절단생검 방식의 검체 기구에서의 바늘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상술한 선행문헌을 포함하여 절단생검 방식의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절단생검 방식에 있어서 바늘은 속침(10)과 겉침(20)으로 구성되는 니들셋으로 구성되어 있다. 속침(10)은 머리부(11)와 바디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겉침(20)은 절단날(21)과 내부의 바늘관(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속침(10)의 바디부(12)에는 조직채취홈(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11)는 선단팁(111)과 연장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침(10)은 선단팁(111)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부(112) 및 바디부(12)로 연장되며, 바디부(12)의 상면 일영역, 구체적으로 선단팁(111) 방향에 가까운 일 영역에 조직채취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겉침(20)의 경우 선단팁(111) 방향에 가까운 일 단면에 경사진 절단날(21)이 형성되어 있고, 바늘관(22)을 통해 속침(10)과 길이방향으로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바늘 형태를 갖는 기존의 절단생검 기구에서는, 속침(10)과 겉침(20)이 결합된 구조가 함께 조직 채취 영역의 체내로 진입하게 되고, 조직 채취 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속침(10)이 먼저 길이방향으로 선형 운동을 하여 발사되고, 이후 겉침(20)이 속침(10)의 발사 방향으로 발사되면서, 속침(10)과 겉침(20)의 이중전진방식을 통하여 절단날(21)이 조직을 절단하면서 검체를 절단채취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속침(10)의 선단팁(111)이 칼날 모양을 하고 있어, 만약 검사조직 후방에 동맥, 담낭, 신경 등의 중요조직이 있는 경우 또는 신체가 작은 소아 아동에 사용하는 경우, 조준방향과 후방안전거리 예측이 약간만 빗나가게 되어도 발사된 속침을 멈출 수가 없어 해당 중요 조직에 대한 손상이 일어날 수 있어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겉침(20)의 절단날(21)이 속침(10)의 외면보다 더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바늘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져 시술이 어렵고, 절단날(21)에 의하여 조직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바늘셋이 진입 시 조직이 손상되어 2차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속침(10)이 발사될 때, 속침(10)의 구경이 작고, 선단팁(111)이 일 방향으로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속침(10)이 전진하는 도중 치밀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관통하지 못하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결절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정확한 채취 대상 조직 영역에 속침이 도달하지 못할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속침(10)의 연장부(112)의 존재로, 정확하게 원하는 조직을 채취하기 힘들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채취 대상 조직에 바늘셋이 정확하게 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초음파가이드 장비를 이용하는 등 정확도 향상에 대한 기술은 많이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상술한 절단생검 기구 자체에 있어서는 채취하고자 하는 검체의 후방에 위험 조직이 있을 수 있어, 최 끝점, 즉 선단팁(111)의 끝점의 위치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12)의 존재 및 선단팁(111)의 칼날 모양과 같은 형상이 갖는 특징 때문에, 위험성을 내포한 상태로 시술이 진행되거나 위험성에 따라서 시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먼저 속침(10)의 선단팁(111)의 새로운 형상을 제시하여, 중요조직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한편, 겉침(20)의 두께를 더욱 가늘게 하거나 속침(10)과의 두께 관계를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바늘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환부 상처크기를 줄이고, 절단날(21)에 의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속침(10)의 연장부(112)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조직 채취의 정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초음파가이드를 사용 시, 선단팁(111)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선단팁(111) 및 겉침(20) 등의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시술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는, 전후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선단팁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속침; 및 상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있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속침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선단팁측과 동일한 일단측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조직채취홈에 상기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팁은, 상기 선단팁의 정단면을 4사분면으로 구분하되, 오른쪽 상부 방향의 사분면을 제1 사분면으로 하고, 제1 사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나머지 각 사분면을 제2 내지 제4 사분면으로 할 때, 제1 및 제2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경사면이 상기 속침의 축 방향의 일 점인 팁 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면을 향하도록, 제3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경사면이 상기 팁 포인트를 향하도록, 제4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3 경사면이 상기 팁 포인트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3 경사면이 동시에 만나는 점이 상기 팁 포인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에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는, 전후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형성된 선단팁 및 상기 선단팁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속침; 및 상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있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속침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선단팁측과 동일한 일단측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조직채취홈에 상기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겉침의 외경과, 상기 속침의 상기 머리부의 최대 외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는, 전후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선단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팁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하면에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속침; 및 상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있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속침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선단팁측과 동일한 일단측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조직채취홈에 상기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겉침의 상기 선단팁과 인접된 영역은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속침의 선단팁의 일반적인 경사 구조에 있어서, 3, 4 사분면 측을 후면 백-커팅(Back-Cutting)하여 팁 포인트를 중심으로 반달모양의 칼날대신 완화된 각의 송곳 형태로 선단팁의 구조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서, 침이 진입 시, 일반적 경사 바늘의 칼날 구조에 따라서 중요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겉침이 속침으로부터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는 왕복 운동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속침이 전진하게 되는 방식에 따라, 속침이 전진하는 도중 조직을 관통하지 못하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어, 결절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정확한 채취 대상 조직 영역에 속침이 도달하지 못하는 현상 역시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겉침의 두께를 더욱 가늘게 할 수 있고, 속침의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음에 따라서, 속침과 겉침간의 단차 없이 연결되는 하나의 바늘처럼 조직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겉침의 절단날에 의한 상처확대가 없고, 부드러운 바늘셋의 삽입이 가능해져 환자의 고통과 환부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조직채취홈이 속침의 하부에 형성된 새로운 구조에 의하여, 속침의 머리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서, 조직채취홈과 선단팁사이에 불필요하게 벌어진 간격을 줄임으로써, 조직 채취의 정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가이드를 사용 시, 제1 경사면, 제2 경사면 및 제3 경사면에 초음파 에코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음각 패턴을 팁 포인트를 향하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초음파가이드에 의하여 선단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초음파가이드보다 더욱 정확도가 높은 위치 파악이 가능하여, 시술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속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선단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측단면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중복될 수 있으나, 특별한 설명이 없는 이상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의 명칭 등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각 구성은 각 실시예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구성으로 지칭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해당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 실시예가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에 있어서, 바늘셋은 속침(100)과 겉침(200)으로 구성된다. 속침은 전후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선단팁(111)이 형성된 머리부(110)와 머리부(110)로부터 머리부(110)의 연장부(112)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121)이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전후방향이란 바늘셋이 체내에 침투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서술되는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선단팁(111)은 절단 생검장치에서 뾰족한 바늘이 형성된 영역을 의미한다. 연장부(112)는 바디부(120)와 연결되는 머리부(110)의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머리부(110)에서 선단팁(111)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2)는 바디부(120)와의 연결을 위하여 두께가 변화된 경사진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조직채취홈(121)은 후술할 겉침(200)의 속침(100)과의 상대 운동에 따라서 생체 조직이 겉침(200)의 절단날(210)에 의하여 절단되면서 수용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조직채취홈(121)은 생체조직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캐비티를 갖는 형태라면 어느 형태나 가능할 것이다.
바디부(120)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채취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후는 일정한 바늘의 바 형상을 형성하면서, 겉침(200)의 바늘관(220)에 포함되도록 하여, 겉침(200)과의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겉침(20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머리부(110)의 영역 중, 선단팁(111), 즉 후술할 제1 내지 제3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두께, 즉 바디부(120)의 최대 외경은 머리부(110)의 최대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때 겉침(200)의 두께, 즉 겉침(200)의 중심으로부터 겉침(200)의 최외면까지의 길이, 즉 겉침(200)의 반지름은, 머리부(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즉 연장부(112)에 해당하는 영역의 최외면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겉침(200)의 외경은, 속침(100)의 머리부(111)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속침(100)의 머리부(111)의 최대 외경은 겉침(200)의 외경(최대 외경)과 일치되어, 전체적으로 속침(100)과 겉침(200)이 하나의 바늘처럼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면에 있어서 속침(100)과 겉침(200) 간의 단차가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의 핵심적인 구성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속침이 먼저 전진한 뒤 겉침이 전진하는 방식으로 생체조직을 절단 수용했다. 이 경우, 속침이 가늘게 구성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속침의 관통력이 저하되거나 속침의 얇은 두께에 의하여 전진하면서 속침이 휘는 문제가 발생하여 왔다 이에 따라서, 속침의 두께를 가늘게 하는 데 한정이 있으며, 이에 따라 겉침 역시 속침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두꺼운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후술할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상대 운동의 특성이, 속침(100)과 겉침(200)이 함께 진입한 후, 속침(100)은 고정되어 있고 겉침(200)만 후퇴 전진 운동을 하는 특성을 갖게 되며, 이 때문에 속침(100)만이 전진 운동을 할 필요가 없어, 속침(100)의 두께에 제한이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속침(100)의 두께를 더욱 가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겉침(200)의 두께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속침(100)과 같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속침(100)이 휘어지거나 조직 관통이 어려운 문제점이 해결되기 때문에, 결절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정확한 채취 대상 조직 영역에 속침(100)이 도달하지 못하는 현상 역시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겉침(200)의 왕복 운동 구조에 따라서, 속침(100)의 구경을 더욱 작게할 수 있고, 겉침(200)의 두께를 더욱 가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속침(100)의 머리부(111)의 최대 외경은 겉침(200)의 외경(최대 외경)과 일치되어, 전체적으로 속침(100)과 겉침(200)이 하나의 바늘처럼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면에 있어서 속침(100)과 겉침(200) 간의 단차가 없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바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술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삽입을 가능하게 하여 환자의 고통과 환부 상처의 확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겉침(200)의 속침(100)과의 상대 운동의 특성, 즉 겉침(200)의 후진 및 전진 운동 특성은, 가공정도에 따라 바늘셋의 두께가 16G 이하부터는 상술한 기존의 이단 전진 방식에서도 사용될 수 있어 상술한 겉침(200)과 속침(100)의 상대 운동의 특성은 바늘의 두께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선단팁(111)은 속침(100)의 구성에 있어서 뾰족한 바늘 형태를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선단팁의 특징적 구성에 대해서 도 1, 4,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속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선단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선단팁은, 선단팁의 정단면을 4사분면(A, B, C, D)로 구분하되, 오른쪽 상부 방향의 사분면을 제1 사분면(A)으로 하고, 제1 사분면(A)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머지 각 사분면을 제2 사분면(B), 제3 사분면(C), 제4 사분면(D)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사분면(A, B)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기존의 바늘 구조와 같이 제1 경사면(1310)이 속침의 축(식별번호 없음, 예를 들어 침의 중심축) 방향의 일 점인 팁 포인트(T)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일 면(P)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 사분면(C)에 대응되는 영역의 일부 영역에는 제2 경사면(1321)이 팁 포인트(T)를 향하도록, 제4 사분면(D)에 대응되는 영역의 일부 영역에는 제3 경사면(1322)이 팁 포인트(T)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보면, 제1 경사면(1310), 제2 경사면(1321) 및 제3 경사면(1322)은 동시에 만나는 점이 팁 포인트(T)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경사면(1310), 제2 경사면(13221) 및 제3 경사면(1322)을 통하여, 선단팁의 구성은 일반적인 바늘의 절단면이 형성되는 구성이 아니라, 송곳과 같이 팁 포인트(T)를 중심으로 뾰족한 구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을 비교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팁 포인트(T)와 팁 포인트(T)를 포함하는 일 면(P)은 y축을 기준으로, 도 5와 같이 원의 외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거나, 가공정도에 따라서 원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경사면(1321) 및 제3 경사면(1322)의 백컷팅 정도에 따라서, 팁 포인트(T)는 y축 방향으로 상하 허용범위 내에서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팁 포인트(T)를 포함하는 일 면(P) 역시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허용범위는 반경의 1/2까지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속침의 선단팁의 일반적인 경사 구조에 있어서, 3, 4 사분면(C, D) 측을 후면 백-커팅(Back-Cutting)하여 팁 포인트(T)를 중심으로 뾰족한 송곳 모양을 형성하는 선단팁의 구조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서, 침이 진입 시, 일반적 경사 바늘 구조에 따라서 중요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바늘이 진입될 시 단단한 조직 등에 의하여 바늘에 하중이 하부로 가해지는 것을 제2 및 제3 경사면(1321, 1322)을 통하여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상쇄시킬 수 있어, 바늘이 진입 시 휘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부가적으로,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1 경사면(1310)은, 속침의 축 방향의 일 점인 팁 포인트(T)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일 면(P)이 속침의 축과 평행하고, 속침의 최상점(U)을 향하는 방향과 직교되도록 하는 면이며, 일 면(P)과 경사지도록 되어 선단팁에서 일 면(P)과 만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경사면(1321, 1322)은 팁 포인트(T)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머리부(130)의 선단팁 영역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310), 제2 경사면(1321) 및 제3 경사면(13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경사면(1310), 제2 경사면(1321) 및 제3 경사면(1322)에는, 음각 형태의 패턴(150, 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음각 형태의 패턴(150, 151)은 예를 들어, 랜덤한 스크래치, 딤플(Dimple) 및 선 형태의 음각 패턴 등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각 형태의 패턴(150, 151)은 초음파 가이드를 이용하여 선단팁의 위치를 파악할 때, 초음파의 에코 현상을 증폭하여 강한 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 가이드에 있어서 선단팁의 위치를 강하게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존에는 선단팁의 구성이, 바늘의 절단날과 같이 칼 형태의 구조를 갖고 있어, 본 발명과 같이 음각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더라도, 이에 의하여 에코가 증폭될 시, 점이 아닌 선 형태의 증폭이 발생하여, 정확하게 선단팁이 위치한 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채취하고자 하는 검체의 후방으로 위험조직이 있을 수 있어 최 끝점의 위치파악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위험성을 내포한 상태로 시술이 진행되거나, 시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경사면(1310), 제2 경사면(1321) 및 제3 경사면(1322)이 형성되어 팁 포인트에서 만나도록 바늘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경사면(1310), 제2 경사면(1321) 및 제3 경사면(1322)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음각 형태의 패턴(150, 151)이 형성됨으로써, 팁 포인트를 중심으로 에코가 증폭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점을 중심으로 한 증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팁 포인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서 기존의 초음파 가이드를 활용한 선단팁의 위치 파악에 비하여 최 끝점의 위치파악이 더욱 정밀해지기 때문에, 검체 후방의 위험조직의 존재 가능성에 따른 시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2, 4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동일하나, 연장부(132)의 구성이 미세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2의 연장부(112)의 경우, 선단팁(111)으로부터 바디부(120)와 연결되면서 그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3의 연장부(132)는 선단팁(131)에 연결되는 영역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다가, 바디부(140)에 인접한 영역에서 경사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 및 도 3의 구성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a), (b), (c)의 구성을 참조하면, 제1 경사면(1310)이 선단팁(131)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132)를 포함하여 머리부(130)가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바디부(14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채취홈(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후의 바디부(140)는 겉침(200)의 바늘관에 수용된다. 겉침(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210)을 포함하여, 겉침(200)의 후퇴 전진 운동에 따라서 생체조직이 절단되어 조직채취홈(141)에 밀봉 수용된다.
한편 제2 및 제3 경사면(1321, 1322)을 포함하는 보조 경사면(1320)의 구성이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310)을 기준으로 후면 백-커팅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3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2 및 제3 경사면(1321, 1322)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는, 역시 속침(300)과 겉침(4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 실시예와 달리 속침(300)은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형성되는 선단팁(310)과 바디부(320)로 구성되며, 이때 선단팁(310)과 바디부(320)를 포함하는 영역, 구체적으로 선단팁(310)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하면에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3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조직채취홈(330)은 속침(300)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이는 상술한 기존의 겉침과 속침의 상대운동의 특징(이단 전진)에 의하여 강제된다. 이러한 구조로는, 조직채취홈(330)은 적어도 선단팁(310)이 끝나는 영역에서 시작되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가 적어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겉침(400)이 속침(300)과 함께 진입한 뒤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겉침(400)이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는 상대운동의 특징을 갖게 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채취홈(330)이 선단팁(310)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생체조직은 그 특성 상 조직채취홈(330)이 하면에 위치하더라도, 조직채취홈(330)의 면에 생체의 조직압에 의해 안착될 수 있어서, 상술한 겉침(400)의 상대적인 후진 및 전진 운동의 특징에 따르면 조직을 채취 시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음압구조를 형성하여, 생체조직을 조직채취홈(330)에 강하게 흡착하도록 하기 때문에, 조직채취홈(330)이 속침(300)의 하면에 위치하더라도 조직의 채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조직채취홈(330)이 속침(300)의 하면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실시예 및 기존의 생검장치와 같이 연장부의 구성이 필요 없고,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팁(310) 영역에도 조직채취홈(330)이 형성될 수 있어, 선단팁(310)과 조직채취홈(330)의 벌어지는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초음파 가이드 등을 사용 시, 채취해야 하는 생체조직의 위치에 정확하게 조직채취홈(330)을 위치시킬 수 있어, 조직 채취의 정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및 상술한 바와 같이 검체의 후방에 위치 가능한 위험조직에 따른 시술 위험성 및 시술 불가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겉침(4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속침(300)을 바늘관(420)에 포함하면서, 상대 운동, 구체적으로는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속침(300)의 선단팁(310)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였다가 다시 속침(300)의 선단팁(310) 방향으로 운동하여, 조직채취홈(330)에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게 된다.
이때 조직채취홈(300)이 속침(300)의 하면에 형성됨에 따라서, 겉침(400)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영역(410)은, 속침(300)의 선단팁(310)과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겉침(400)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영역(410)은, 속침(300)의 선단팁(310)이 형성하는 경사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는 형태가 되도록 속침(300)과 겉침(400)은 하나의 경사도 경사도(θ)를 같는 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같은 방향으로 사면을 형성한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구성과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즉 속침(300)은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형성되는 선단팁(310)과 바디부(320)로 구성되며, 이때 선단팁(310)과 바디부(320)를 포함하는 영역, 구체적으로 선단팁(310)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하면에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취홈(330)이 형성되어 있고, 겉침(400)은 속침(300)을 바늘관(420)에 포함하면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속침(300)의 선단팁(310)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였다가 다시 속침(300)의 선단팁(310) 방향으로 운동하여, 조직채취홈(330)에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겉침(400)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영역(410)은, 속침(300)의 선단팁(310)과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겉침(400)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영역(410)은, 속침(300)의 선단팁(310)이 형성하는 경사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속침(300)에는 음압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음압부(340)는 조직채취홈(330)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선단팁(310)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일 측의 영역에 형성되되, 조직채취홈(330)과 홀(350)을 통하여 공기가 통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이후의 구성에 의하여 조직채취홈(330)의 공기압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겉침(400)이 이동할 때, 기구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발생하는 진공유도 방식 또는 별도의 진공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음압부(340)는 매우 낮은 공기압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를 통해 조직채취홈(330)의 공기압을 저하시켜, 외부에서 조직채취홈(330)을 향하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조직채취홈(300)에 생체조직이 더욱 강하게 흡착될 수 있어, 채취의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도 7 및 8과 기타 구성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즉, 즉 속침(300)은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형성되는 선단팁(310)과 바디부(320)로 구성되며, 이때 선단팁(310)과 바디부(320)를 포함하는 영역, 구체적으로 선단팁(310)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하면에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취홈(330)이 형성되어 있고, 겉침(400)은 속침(300)을 바늘관(420)에 포함하면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속침(300)의 선단팁(310)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였다가 다시 속침(300)의 선단팁(310) 방향으로 운동하여, 조직채취홈(330)에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겉침(400)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영역(410)은, 속침(300)의 선단팁(310)과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겉침(400)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영역(410)은, 속침(300)의 선단팁(310)이 형성하는 경사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속침(300)에는 도 8과 다른 형태의 음압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음압부(341)는 조직채취홈(330)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선단팁(310)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일 측의 영역에 형성되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채취홈(330)과 그루브(Groove) 형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이후의 구성에 의하여 조직채취홈(330)의 공기압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겉침(400)이 이동할 때, 기구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발생하는 진공유도 방식 또는 별도의 진공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음압부(340, 341)는 매우 낮은 공기압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를 통해 조직채취홈(330)의 공기압을 저하시켜, 외부에서 조직채취홈(330)을 향하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조직채취홈(300)에 생체조직이 더욱 강하게 흡착될 수 있어, 채취의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100, 300: 속침 21, 210: 절단날
20, 200, 400: 겉침 340, 341: 음압부
11, 110, 130: 머리부
12, 120, 140, 320: 바디부
111, 131, 310: 선단팁
112, 132: 연장부
113, 121, 141, 330: 조직채취홈
22, 220, 420: 바늘관

Claims (10)

  1. 전후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선단팁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속침; 및
    상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있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속침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선단팁측과 동일한 일단측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조직채취홈에 상기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팁은,
    상기 선단팁의 정단면을 4사분면으로 구분하되, 오른쪽 상부 방향의 사분면을 제1 사분면으로 하고, 제1 사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나머지 각 사분면을 제2 내지 제4 사분면으로 할 때, 제1 및 제2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경사면이 상기 속침의 축 방향의 일 점인 팁 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면을 향하도록, 제3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경사면이 상기 팁 포인트를 향하도록, 제4 사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3 경사면이 상기 팁 포인트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3 경사면이 동시에 만나는 점이 상기 팁 포인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에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속침의 축 방향의 일 점인 팁 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면이, 상기 속침의 축과 평행하고, 상기 속침의 최상점을 향하는 방향과 직교되도록 하는 면이며, 상기 일 면과 경사지면서 상기 선단팁에서 상기 일 면과 만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은,
    상기 팁 포인트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5. 전후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형성된 선단팁 및 상기 선단팁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속침; 및
    상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있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속침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선단팁측과 동일한 일단측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조직채취홈에 상기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겉침의 외경과, 상기 속침의 상기 머리부의 최대 외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머리부의 최대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겉침의 절단날의 최대 전진 위치는 상기 속침의 머리부의 적어도 선단팁이 형성된 부분보다 상기 속침의 상기 선단팁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선단팁의 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7. 전후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를 갖고, 적어도 생체 조직을 관통하면서 침투하도록 선단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팁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하면에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채취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속침; 및
    상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있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속침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선단팁측과 동일한 일단측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조직채취홈에 상기 생체 조직이 밀봉 수용되도록 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겉침의 상기 선단팁과 인접된 영역은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침은,
    상기 조직채취홈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상기 선단팁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일 측의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조직채취홈과 홀을 통하여 공기가 통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조직채취홈의 공기압을 저하시키는 음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침은,
    상기 조직채취홈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상기 선단팁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일 측의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조직채취홈과 그루브 형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조직채취홈의 공기압을 저하시키는 음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겉침과 상기 속침의 선단팁이 형성하는 경사면 및 상기 겉침의 외면의 상기 선단팁에 인접한 일 영역에는 음각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KR1020200001574A 2017-01-03 2020-01-06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KR10241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574A KR102416512B1 (ko) 2017-01-03 2020-01-06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55A KR102065068B1 (ko) 2017-01-03 2017-01-03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KR1020200001574A KR102416512B1 (ko) 2017-01-03 2020-01-06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555A Division KR102065068B1 (ko) 2017-01-03 2017-01-03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12A true KR20200004912A (ko) 2020-01-14
KR102416512B1 KR102416512B1 (ko) 2022-07-04

Family

ID=8239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574A KR102416512B1 (ko) 2017-01-03 2020-01-06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5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9A (ja) * 1995-06-16 1997-01-07 Togo Medikit Kk 留置針
JP2006305328A (ja) * 2005-03-29 2006-11-09 Yasuharu Noisshiki 医療用の二重針、骨穿刺針および骨髄採取機器
KR101148187B1 (ko) * 2009-12-03 2012-05-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검용 니들 장치
KR101321051B1 (ko) * 2012-05-03 2013-10-23 한국기계연구원 복수의 마이크로 커팅 에지를 갖는 생검용 바늘 및 그 내부 캐뉼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9A (ja) * 1995-06-16 1997-01-07 Togo Medikit Kk 留置針
JP2006305328A (ja) * 2005-03-29 2006-11-09 Yasuharu Noisshiki 医療用の二重針、骨穿刺針および骨髄採取機器
KR101148187B1 (ko) * 2009-12-03 2012-05-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검용 니들 장치
KR101321051B1 (ko) * 2012-05-03 2013-10-23 한국기계연구원 복수의 마이크로 커팅 에지를 갖는 생검용 바늘 및 그 내부 캐뉼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512B1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792B2 (en) Soft tissue coring biopsy devices and methods
US7018343B2 (en) Biopsy needle and biopsy device containing the same
JP3890013B2 (ja) 超音波用穿刺針
US5449001A (en) Biopsy needle
EP1908406B1 (en) Ultrasonic puncture needle
JP6017414B2 (ja) 内視鏡超音波誘導生検針
KR102065068B1 (ko)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US200502564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tissue samples
JP5226908B1 (ja) 生検処置具
US20190321012A1 (en) Disposable needle biopsy device and needle structure of cutting biopsy apparatus
CN109152569A (zh) 活检针设计
US20180317895A1 (en) Endoscopic biopsy needle tip and methods of use
KR20200004912A (ko)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KR102244503B1 (ko) 생검용 니들셋
KR20160057564A (ko) 생검 바늘 어셈블리
KR101862482B1 (ko) 세포 채취용 주사바늘이 구비된 주사기
KR20220061068A (ko) 절단 생검 기구
US9526579B2 (en) Combination diffused and focused fiber optic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d cells
KR102384813B1 (ko) 생검용 니들셋
CN217659964U (zh) 切割取样装置
US20210038203A1 (en) Needle tips, needles for tissue collection, methods of fabrication, and methods of use
US11229423B2 (en) Tissue collecting instrument
KR20240042891A (ko) 절단 생검 기구
CN214966420U (zh) 甲状腺穿刺定位针
CN214231393U (zh) 一种活检针针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