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082A -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082A
KR20200004082A KR1020180077101A KR20180077101A KR20200004082A KR 20200004082 A KR20200004082 A KR 20200004082A KR 1020180077101 A KR1020180077101 A KR 1020180077101A KR 20180077101 A KR20180077101 A KR 20180077101A KR 20200004082 A KR20200004082 A KR 20200004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web
app
smartphon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001B1 (ko
Inventor
무 혁 권
Original Assignee
무 혁 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 혁 권 filed Critical 무 혁 권
Priority to KR102018007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0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은 전화 서버와 웹/앱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정보 전달부, 출력 화면 전송부, 대응 정보 전달부, 및 대응 수단 수행부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 전달부와 대응 수단 수행부는 전화 서버에, 출력 화면 전송부와 대응 정보 전달부는 각각 포함된다. 사용자 정보 전달부는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웹/앱 서버로 전달하고, 출력 화면 전송부는 스마트폰으로 미리 설정된 출력 화면을 전송하고, 대응 정보 전달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대응 정보를 전화 서버로 전달하며, 대응 수단 수행부는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수단을 수행한다.

Description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OPERATION USING 2 CHANNEL}
본 발명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효율적인 물류 관리를 위해서는 물류 수송 차량의 운행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물류 수송에 있어서, 비용 효율의 이유로 고정된 차량뿐만 아니라 일정 비율로 용차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때문에 차량 운행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고정 기사의 경우 통상의 업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운행 관리가 가능하지만, 용차 기사의 경우 관리 시스템에 용차 기사에 대한 등록 정보가 없고 용차 기사 또한 관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수송이나 배송 업무에서 용차 기사는 관리가 어려울 수밖에 없어 업무의 혼선이나 고객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차 기사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수송이나 배송 업무에 있어 품질 확보 및 비용 손실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은 전화 서버와 웹/앱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정보 전달부, 출력 화면 전송부, 대응 정보 전달부, 및 대응 수단 수행부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 전달부와 대응 수단 수행부는 전화 서버에, 출력 화면 전송부와 대응 정보 전달부는 각각 포함된다.
사용자 정보 전달부는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웹/앱 서버로 전달하고, 출력 화면 전송부는 스마트폰으로 미리 설정된 출력 화면을 전송하고, 대응 정보 전달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대응 정보를 전화 서버로 전달하며, 대응 수단 수행부는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수단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순히 전화 서버에 전화를 걸기만 하면, 전화 서버와 연동하는 웹/앱 서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차량 운행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관리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모르는 용차 기사도 용이하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웹/앱 서버와 연동하여 전화 서버가 출력 화면이나 사용자의 입력 등에 대해 다양한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 등으로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않거나 웹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도 용이하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화 서버는 웹/앱 서버로 접속 가능한 주소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접속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웹/앱 서버의 주소를 모르는 사용자도 전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주소에 의해 용이하게 웹/앱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관리 시스템의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이 웹/앱 서버로 접속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신속하게 전화 서버와 웹/앱 서버의 2채널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추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업무 시작이나 종료와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의 위치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차량 운행 관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스템이나 앱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전화 서버와의 접속만으로 운행 관리에 필요한 앱까지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관리 방법은 전화 서버와 웹/앱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차량 운행 관리 방법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전화 서버가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웹/앱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웹/앱 서버가 스마트폰으로 미리 설정된 출력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 웹/앱 서버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상기 전화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전화 서버가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수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화 서버가 웹/앱 서버로 접속 가능한 주소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주소 단계를 더 포함하며, 웹/앱 서버는 주소 정보를 통해 입력된 스마트폰으로 출력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미리 설치된 앱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웹/앱 서버로 접속하며, 웹/앱 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입력된 스마트폰으로 상기 출력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미리 설정된 앱을 통해 웹/앱 서버로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앱 서버는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순히 전화 서버에 전화를 걸기만 하면, 전화 서버와 연동하는 웹/앱 서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차량 운행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관리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모르는 용차 기사도 용이하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웹/앱 서버와 연동하여 전화 서버가 출력 화면이나 사용자의 입력 등에 대해 다양한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 등으로 손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거나 웹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도 용이하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웹/앱 서버의 주소를 모르는 사용자도 전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주소에 의해 용이하게 웹/앱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신속하게 전화 서버와 웹/앱 서버의 2 채널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업무 시작이나 종료와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의 위치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차량 운행 관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시스템이나 앱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전화 서버와의 접속만으로 운행 관리에 필요한 앱까지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실제 구현 예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출발보고 수행 과정 수행 중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완료보고 수행 과정 수행 중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업무 시작과 업무 종료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제 구현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서,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100)은 전화 서버(110)와 웹/앱 서버(120)를 포함하며, 전화 서버(110)는 사용자 정보 전달부(112), 대응 수단 수행부(114), 접속 정보 전송부(116), 및 다운로드 정보 전송부(118)를, 웹/앱 서버(120)는 출력 화면 전송부(122), 대응 정보 전달부(124), 및 위치 추적부(126)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만으로 구현할 수도 있겠으나,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함께 구현하는 것이 보다 일반적일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100)은 폰웹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전화 서버(110)와 웹/앱 서버(120)는 각각 폰웹서버의 모듈인 폰어댑터(Phone adaptor), 웹어뎁터(WEB adaptor)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전달부(112)는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웹/앱 서버(120)로 전달하고, 출력 화면 전송부(122)는 스마트폰으로 미리 설정된 출력 화면을 전송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는 전화 서버(110)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번호로서, 사용자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자체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으며, 시스템(100)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대응 정보 전달부(114)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대응 정보를 전화 서버(110)로 전달하며, 대응 수단 수행부(124)는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대응 수단을 수행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대응 수단은 사용자의 입력 등에 대응하여 전화 서버(110)에서 수행되도록 미리 설정된 다양한 동작으로서, 입력된 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 또는 완료 입력에 대한 전화 연결 종료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순히 전화 서버(110)에 전화를 걸기만 하면, 전화 서버(110)와 연동하는 웹/앱 서버(120)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차량 운행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관리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모르는 용차 기사도 용이하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웹/앱 서버(120)와 연동하여 전화 서버(110)가 출력 화면이나 사용자의 입력 등에 대해 다양한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 등으로 손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거나 웹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도 용이하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출발보고 수행 과정 수행 중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전화로 출발 보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사명과 차량 번호가 변경이 없을 경우 초기에 한번만 입력하고 전화번호는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위치 정보 등의 및 업무 서약이 완료된 다음에는 운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완료보고 수행 과정 수행 중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구성에 의하면, 앱을 설치하지 않고 전화로 완료 보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본 정보 확인 후 배송 확인을 체크함으로써 배송 확인 체크된 항목에 배송 결과 사진을 업로드하고 완료 보고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접속 정보 전송부(116)는 웹/앱 서버(120)로 접속 가능한 주소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이때의 주소 정보는, 예를 들어, 단문 메지지(sms)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웹/앱 서버(120)의 주소를 모르는 사용자도 전화 서버(110)로부터 제공받은 주소에 의해 용이하게 웹/앱 서버(120)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웹/앱 서버(120)로의 접속은 이와 같은 수동 방식이 아닌 자동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 관리 시스템(100)의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이 웹/앱 서버(120)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신속하게 전화 서버(110)와 웹/앱 서버(120)의 2 채널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추적부(126)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업무 시작이나 종료와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의 위치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차량 운행 관리가 가능해 진다.
다운로드 정보 전송부(118)는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다운로드 정보 역시, 예를 들어, 단문 메지지(sms)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스템이나 앱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전화 서버(110)와의 접속만으로 운행 관리에 필요한 앱까지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운로드 받은 앱은 런쳐, 위치 정보 전송, PUSH 메시지 전달의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업무 시작과 업무 종료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먼저, 시스템 관리자가 차량 기사의 정보를 입력한다(S110). 이어서, 차량의 기사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앱 설치를 하여야 하는 경우 차량 기사의 스마트폰으로 앱 설치를 위한 문자를 발송하고(112), 앱설치를 설치한 후(S114), 앱을 통해 메시지를 발송한다(S116).
앱 설치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차량 기사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S118).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스템으로 전화를 걸고(120) 출발 신고를 수행한다(S130).
도 6에는 앱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시스템 관리자가 웹을 통해 차량 기사 정보를 입력한 경우 차량 기사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며, 차량 기사가 시스템으로 전화를 걸고 자신의 스마트폰에 출력된 화면을 통해 웹 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업무 시작과 함께 차량 기사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 가동되어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게 되며(S140), 업무 종료를 위해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S150) 차량 기사는 시스템으로 전화를 걸어(S160) 업무 종료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170).
도 7에는 업무 종료 과정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시스템에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며, 이에 따라 차량 기사가 시스템에 전화를 걸고 업무 종료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110: 전화 서버
112: 사용자 정보 전달부
114: 대응 수단 수행부
116: 접속 정보 전송부
118: 다운로드 정보 전송부
120: 웹/앱 서버
122: 출력 화면 전송부
124: 대응 정보 전달부
126: 위치 추적부

Claims (10)

  1. 전화 서버와 웹/앱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웹/앱 서버로 전달하는 상기 전화 서버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전달부;
    상기 스마트폰으로 미리 설정된 출력 화면을 전송하는 상기 웹/앱 서버에 포함된 출력 화면 전송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상기 전화 서버로 전달하는 상기 웹/앱 서버에 포함된 대응 정보 전달부; 및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대응 수단을 수행하는 상기 전화 서버에 포함된 대응 수단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화 서버는 상기 웹/앱 서버로 접속 가능한 주소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접속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웹/앱 서버로 접속하도록 하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추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6. 전화 서버와 웹/앱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차량 운행 관리 방법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전화 서버가 발신자 전화 번호를 추출하여 웹/앱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웹/앱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미리 설정된 출력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앱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상기 전화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 서버가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수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화 서버가 상기 웹/앱 서버로 접속 가능한 주소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주소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웹/앱 서버는 상기 주소 정보를 통해 입력된 스마트폰으로 상기 출력 화면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미리 설치된 앱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웹/앱 서버로 접속하며,
    상기 웹/앱 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입력된 스마트폰으로 상기 출력 화면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미리 설정된 앱을 통해 상기 웹/앱 서버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웹/앱 서버는 상기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방법.

KR1020180077101A 2018-07-03 2018-07-03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7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101A KR102178001B1 (ko) 2018-07-03 2018-07-03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101A KR102178001B1 (ko) 2018-07-03 2018-07-03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82A true KR20200004082A (ko) 2020-01-13
KR102178001B1 KR102178001B1 (ko) 2020-11-12

Family

ID=6915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101A KR102178001B1 (ko) 2018-07-03 2018-07-03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0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202A (ko) * 2000-05-06 2001-11-23 성필문 구간별 물품 배송 방법
KR20140023013A (ko) * 2012-08-16 2014-02-26 길민주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KR101388993B1 (ko) * 2012-02-27 2014-04-25 김형식 고객통합 주문 배달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202A (ko) * 2000-05-06 2001-11-23 성필문 구간별 물품 배송 방법
KR101388993B1 (ko) * 2012-02-27 2014-04-25 김형식 고객통합 주문 배달 관리시스템
KR20140023013A (ko) * 2012-08-16 2014-02-26 길민주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001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3145B2 (en) Short message service management system, short message forwarding device, short message forwarding manner definition information supply device, and short message forwarding method
US20060111131A1 (en) Short message service (SMS) remote control for mobile station
CN108804313B (zh) 一种远程调试程序的方法、装置和服务器
KR102013335B1 (ko) 앱 연동에 기반한 보이는 에이알에스 제공 방법
KR20110132507A (ko) 컴퓨터와 휴대단말기 간 영상통신을 이용한 원격 에프터 서비스방법
CN107124714B (zh) 数据发送方法及数据发送终端
CN111787524B (zh) 物联网设备通话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2135499B1 (ko) 메시지를 이용한 보이는 에이알에스 제공 방법
KR20150032205A (ko) 시각적 ar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21801A1 (en) Dynamic java push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CN112118600B (zh) 一种5g独立组网sa架构下的流量牵引系统
KR20200004082A (ko) 2채널 통신을 이용한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589023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suitability of a mobile telephone
CN104735636A (zh) 为接听行为付费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90080418A (ko)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US9712683B2 (en) Communication agent method
CN108735278B (zh) 一种适用于康复设备的指令的传输方法及应用
KR20180105516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버스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EP2469823A1 (en) Computer telecommunication integration exchanger (ctiex),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associated data transmission of agent and automatic service
CN103973656A (zh) 终端状态判断的方法和系统、RCS-e服务器
CN101867918A (zh) 实名制登记状态的获取方法和装置、以及终端
CN101753590A (zh) 一种用于远程管理应用的装置和方法
CN112346753A (zh) 车载终端的数据获取方法及系统
KR102200812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된 주소봇 서비스 시스템
US858877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