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653A - 겸자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겸자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653A
KR20200003653A KR1020180076669A KR20180076669A KR20200003653A KR 20200003653 A KR20200003653 A KR 20200003653A KR 1020180076669 A KR1020180076669 A KR 1020180076669A KR 20180076669 A KR20180076669 A KR 20180076669A KR 20200003653 A KR20200003653 A KR 2020000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forceps
portions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482B1 (ko
Inventor
황동현
김기훈
임세혁
오상록
장남선
인용석
정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4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8Independently actuatable jaw members, e.g. two actuat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5Tweezer like handles with tubular extensions, inner slidable actuating members and distal tools, e.g. microsurgical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에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파지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파지부의 양 측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 및 상기 개폐부재의 다른 일 측에 연결되어 수축 또는 인장됨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겸자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겸자 구동 장치{Forceps Driver Apparatus}
본 발명은 겸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파지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겸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슬라이더(linear-slider)의 상단에 위치한 2개의 휠(wheel)이 겸자의 길이방향으로 구동되고, 이것의 구동에 의해 겸자의 그립(grip)이 발생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의 경우, 길이가 다른 겸자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스트로크(stroke) 및 리니어 슬라이더의 길이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용 겸자를 장치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밀어 넣어 장착하여야 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겸자를 장착하게 되는 경우, 상단 공간을 별도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20-1998-0009494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모터의 스트로크(stroke)나 리니어 슬라이더의 길이 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겸자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파지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파지부의 양 측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 및 상기 개폐부재의 다른 일 측에 연결되어 수축 또는 인장됨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초기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파지부를 가압시켜서 상기 파지부를 닫히게 하고, 동작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수축됨에 의해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가압 해제되어서 상기 파지부를 열리게 한다.
상기 파지부는, 일 단에 형성되는 제1집게단부를 구비하는 제1부분; 및 일 단에 형성되는 제2집게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의 다른 일 단에서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분의 다른 일 단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때에 폐쇄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가압이 해제되는 때에 개방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는 회동판; 및 상기 제1 및 제2부분을 가압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및 상기 가이드 핀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 중 하나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탄성부의 일 단부는 상기 고정홈에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 중 다른 하나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토크를 제공 가능 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 단부는 상기 고정공에 설치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 각각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부분 각각을 가압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부분의 단부는 닫히게 되고, 동작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수축됨에 의해 상기 가압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부분 각각으로부터 가압 해제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분의 단부는 열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구동기로 활용함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기구 간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바이어스 스프링에 의해 겸자가 닫히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겸자가 열려져서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겸자의 커버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착탈이 이루어져서, 내부 구성들의 교체 및 소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 제어를 통해 겸자의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커버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b는 커버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의 사시도.
도 2c는 도 2b에 초소형 카메라가 더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의 일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의 다른 일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의 일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의 다른 일 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는, 파지부(10), 바디(20), 개폐부재(30), 탄성부(40) 및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한다.
파지부(10)는 개폐 가능하도록 변형된다. 또한, 파지부(10)는 바디(20)에 의해 수용 가능하도록 바디(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파지부(10)의 개폐는 파지부(10)의 일 단부가 조직이나 피부 등을 파지 가능한 상태 또는 파지 해제 상태에 있게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파지부(10)는 일 단이 여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지부(10)는 겸자(forceps) 또는 수술용 가위일 수 있는데, 도 1a 등 에는 파지부(10)가 겸자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된다.
바디(20)는, 파지부(10)를 수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바디(20)는, 파지부(10)를 결합시키는 파지부 홀더(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a에는 파지부(10)의 우측단이 파지부 홀더(23)에 결합되고, 바디(20)에 파지부(10)가 여닫히며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개폐부재(30)는 바디(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지부(10)의 양 측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 가능하게 한다.
개폐부재(30)가 파지부(10)의 양 측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10)의 단부가 닫혀질 수 있고, 개폐부재(30)가 가압 해제 상태에서는, 파지부(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파지부(10)는 개방될 수 있다.
탄성부(40)는 개폐부재(30)의 일 측에 연결되어, 개폐부재(30)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부(40)는 일례로,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40)의 일 단은 바디(20)에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일 단은 개폐부재(30)의 일 측에 연결되는 예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50)는 개폐부재(30)의 다른 일 측에 연결되어 수축 또는 인장됨에 의해 개폐부재(3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액추에이터(50)는 일례로, 기 결정된 온도의 열이 가해짐에 따라 수축하는 형상 기억 합금(SMA, Shape Memory Alloy)으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50)일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50)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파지부(10)를 기준으로 하측의 개폐부재(30)에 탄성부(40)가 설치되고, 상측의 개폐부재(30)에 액추에이터(50)가 설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부(40) 및 액추에이터(50)의 배치관계는,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는 일례로, 초기 상태에서, 도 3a를 참조하면, 개폐부재(30)는 탄성부(40)의 탄성력에 의해 파지부(10)를 가압시켜서 파지부(10)는 닫히게 되고, 동작 상태에서, 도 3b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50)가 수축됨에 의해 상기 파지부(10)는 상기 개폐부재(30)로부터 가압 해제되어서 상기 파지부(10)는 열리게 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기 상태에서 파지부(10)가 열리고, 동작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의 동작에 의해 파지부(10)가 닫히는 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도 1a 및 1b 등을 참조하면, 파지부(10)는 제1부분(13) 및 제2부분(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부분(13)은 일 단에서 형성되는 제1집게단부(1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부분(16)은 제1부분(13)의 다른 일 단에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부분(16)의 일 단에는 제1집게단부(13a)와의 사이에서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게 하는 제2집게단부(16a)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부분(13, 16)이 파지부(10)의 양 측을 형성하는 예가 도 1a 및 1b에 도시된다. 또한, 도 1a을 참조하면, 파지부(10)가 파지부 홀더(23)에 결합되고, 파지부 홀더(23)는 바디(20)에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제1 및 제2부분(13, 16)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 홀더(23)에 결합된 부분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개폐부재(30)로부터 가압되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b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30)는 가이드 핀(31), 회동판(33) 및 가압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31)은 바디(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핀(31)은 회동판(33)의 회전에 있어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핀(31) 및 바디(20) 사이에는 베어링(31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31a)의 외주는 바디(20)에 결합되고, 베어링(31a)의 내주는 가이드 핀(31)의 외주에 결합될 수 있는데, 베어링(31a)은 가이드 핀(31)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바디(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한다. 도 1b 등을 참조하면, 바디(20)에 베어링(31a)이 설치 가능한 베어링 결합홀(26)이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회동판(33)은 가이드 핀(3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동판(33)은 파지부(10)의 일 면에 놓여질 수 있다. 가압부(35)는 회동판(33)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가압부(35)는 제1 및 제2부분(13, 16)을 가압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20)에는 가이드 핀(31) 및 가압부(35)를 수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 수용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수용부(28)는 파지부(10)가 닿는 바디(20)의 안쪽 일 면에서 가압부(35)의 회전 이동 경로를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부(35) 중 하나에는 고정홈(35a)이 형성되는데, 고정홈(35a)은 가압부의 외주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0)의 일 단부는 고정홈(35a)에 감겨져 설치되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35) 중 다른 하나에는 고정공(35b)이 형성되고, 개폐부재(30)에 토크를 제공 가능 하도록 액추에이터(50)의 일 단부는 고정공(35b)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액추에이터(50)의 일 단부는 복수의 고정공(35b)에 걸림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도 1b의 개폐부재(30)에는, 좌측 가압부(35)에 고정홈(35a)이 형성되고, 우측 가압부(35)에 고정공(35b)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초기 상태에서, 도 3a를 참조하면, 회동판(33) 양 측의 가압부(35)는 탄성부(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부분(13, 16) 각각을 가압시켜서 제1 및 제2집게단부(13a, 16a)는 서로 닫히게 될 수 있다.
한편, 동작 상태에서, 도 3b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50)가 수축됨에 의해 가압부(35) 각각은 제1 및 제2부분(13, 16) 각각으로부터 가압 해제되어서 제1 및 제2집게단부(13a, 16a)는 서로 열리게 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기 상태에서 파지부(10)가 열리고, 동작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의 동작에 의해 파지부(10)가 닫히는 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2a는 커버(25)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커버(25)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겸자 구동 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b에 초소형 카메라(27)가 더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바디(20)에 커버(25)가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는데, 커버(25)는 피봇(25a)에 의해 바디(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커버(25)에 의해 수술 중 장치 내부의 오염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커버(25)는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바디(2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25)가 피봇(2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일 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서 내부 구성들의 교체나 소독 등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커버(25)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열배출부(25b)를 구비할 수 있는데, 열배출부(25b)를 통해 액추에이터(5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커버(25)에는 초소형 카메라(27)가 설치될 수 있다. 초소형 카메라(27)는 수술 부위를 촬영함으로써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겸자 구동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겸자 구동 장치
10:파지부 13:제1부분 13a:제1집게단부
16:제2부분 16a:제2집게단부
20:바디 23:파지부 홀더 28:회전 수용부
25:커버 25a:피봇 25b:열배출부 27:초소형 카메라
30:개폐부재 31:가이드 핀 33:회동판
35:가압부 35a:고정홈 35b:고정공
40:탄성부
50:액추에이터

Claims (7)

  1. 바디;
    상기 바디에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파지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파지부의 양 측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 및
    상기 개폐부재의 다른 일 측에 연결되어 수축 또는 인장됨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겸자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파지부를 가압시켜서 상기 파지부를 닫히게 하고,
    동작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수축됨에 의해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가압 해제되어서 상기 파지부를 열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일 단에 형성되는 제1집게단부를 구비하는 제1부분; 및
    일 단에 형성되는 제2집게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의 다른 일 단에서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분의 다른 일 단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때에 폐쇄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가압이 해제되는 때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 핀에 연결되는 회동판; 및
    상기 제1 및 제2부분을 가압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상기 가이드 핀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구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중 하나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탄성부의 일 단부는 상기 고정홈에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 중 다른 하나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토크를 제공 가능 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 단부는 상기 고정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구동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 각각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부분 각각을 가압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부분의 단부는 닫히게 되고,
    동작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수축됨에 의해 상기 가압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부분 각각으로부터 가압 해제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분의 단부는 열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자 구동 장치.
KR1020180076669A 2018-07-02 2018-07-02 겸자 구동 장치 KR10214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69A KR102145482B1 (ko) 2018-07-02 2018-07-02 겸자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69A KR102145482B1 (ko) 2018-07-02 2018-07-02 겸자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653A true KR20200003653A (ko) 2020-01-10
KR102145482B1 KR102145482B1 (ko) 2020-08-18

Family

ID=6915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669A KR102145482B1 (ko) 2018-07-02 2018-07-02 겸자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79A (ko) * 2020-02-10 2021-08-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격 작동 겸자 조작 장치
US11911060B2 (en) 2019-09-05 2024-02-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ceps driver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235A (en) * 1986-09-24 1988-06-28 Hasson Harrith M Forceps-type surgical instrument
KR980009494U (ko) 1996-07-30 1998-04-30 이형도 컴퓨터 플로피 디스크 케이스의 모우터 체결공 측정장치
JP2004350939A (ja) * 2003-05-29 2004-12-16 Olympus Corp 内視鏡用鉗子
KR20110015982A (ko)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이턴 외과 수술용 장치의 인스트루먼트
JP2016034342A (ja) * 2014-08-01 2016-03-17 株式会社高山医療機械製作所 医用を含む精密作業用ピンセ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235A (en) * 1986-09-24 1988-06-28 Hasson Harrith M Forceps-type surgical instrument
KR980009494U (ko) 1996-07-30 1998-04-30 이형도 컴퓨터 플로피 디스크 케이스의 모우터 체결공 측정장치
JP2004350939A (ja) * 2003-05-29 2004-12-16 Olympus Corp 内視鏡用鉗子
KR20110015982A (ko)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이턴 외과 수술용 장치의 인스트루먼트
JP2016034342A (ja) * 2014-08-01 2016-03-17 株式会社高山医療機械製作所 医用を含む精密作業用ピンセ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1060B2 (en) 2019-09-05 2024-02-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ceps driver apparatus
KR20210101579A (ko) * 2020-02-10 2021-08-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격 작동 겸자 조작 장치
US11786327B2 (en) 2020-02-10 2023-10-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ele-operated forceps-driver variable stiffness mas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482B1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8628B2 (ja) 駆動を伝達するための外科用ロボットドレープ
US8485576B2 (en) Robotic gripper
US11241247B2 (en) Snakelike surgical instrument
US9510824B2 (en) Low profile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RU2472470C2 (ru) Протезный захватный модуль
JP2008516697A5 (ko)
PT1342451E (pt) Dispositivo cirurgico com haste flexivel
JP2021526978A (ja) 自律的に包み込む把持工具
KR20200003653A (ko) 겸자 구동 장치
JPH11206776A (ja) 外科器械用カム軸、作動機構、超音波外科器械および超音波付属挟持器具
EP1842491A3 (en) Articulating endoscopic accessory channel
RU2018101701A (ru) Конструкции системы двухшарнирного привода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шарнирного поворота
RU2503421C2 (ru) Избирательное смещение рукоятки
ES2764701T3 (es) Dispositivo de depilación
WO2021249550A1 (zh) 手腕附接组件、控制手柄、串联运动机构及微创手术器械
JP2006281403A (ja) 把持装置
EP3860395B1 (en) An epilating device for epilating hair
CN112914475A (zh) 手术夹持器
JP2014039397A (ja) 間接活線把持工具
KR102309185B1 (ko) 겸자 구동 장치
KR102094864B1 (ko) 가위 구동 장치
US9751224B2 (en) Forceps
JP7428457B1 (ja) マニピュレータアーム
JP2004528147A5 (ko)
CN215305675U (zh) 手术夹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