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007A - 빔 제어 방법, 기지국 및 단말 - Google Patents
빔 제어 방법, 기지국 및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3007A KR20200003007A KR1020197034822A KR20197034822A KR20200003007A KR 20200003007 A KR20200003007 A KR 20200003007A KR 1020197034822 A KR1020197034822 A KR 1020197034822A KR 20197034822 A KR20197034822 A KR 20197034822A KR 20200003007 A KR20200003007 A KR 202000030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se station
- traffic
- transmitted
- comm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66—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using beam correspondence; using channel reciprocity, e.g. downlink beam training based on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아날로그 빔포밍(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한 가중 포밍)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아날로그 빔포밍(RF 신호에 대한 가중 포밍)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디지털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빔포밍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빔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빔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송신 공통 빔과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송신 공통 빔과 단말-송신 트래픽 빔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개략도이다.
Claims (46)
- 기지국은 물리 채널의 유형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물리 채널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송신 공통 빔, 기지국-수신 공통 빔,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traffic beam) 및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 중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빔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송신 공통 빔과 기지국-수신 공통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과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물리 채널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동기 채널에 대해,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단말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해, 상기 기지국은 단말-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송신 공통 빔이 송신한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지국-송신 공통 빔이 송신한 동기 신호는 상기 기지국-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빔포밍 가중치에 의해 포밍된 후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프리앰블(preamble)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는 고정된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는 미리 정해진 오프셋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동기 신호는 온디맨드(on demand)로 비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기지국-송신 공통 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송신 공통 빔이 송신한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는 상기 단말-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빔포밍 가중치에 의해 포밍된 후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는 단말-송신 공통 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공통 빔은, 상기 단말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공통 빔과 송수신 상호성을 갖는 기지국-수신 공통 빔; 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공통 빔을 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송신 공통 빔 및 상기 단말-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공통 빔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공통 빔과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공통 빔을 포함하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공통 빔 조합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공통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공통 빔 식별자를 해당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공통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공통 빔 식별자를 기지국 로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물리 채널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단말로 PDSCH(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용 다운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송신 트래픽 빔이 송신한 PUSCH(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용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이 송신한 다운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는 상기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빔포밍 가중치에 의해 포밍된 후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송신 트래픽 빔이 송신한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는 상기 단말-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빔포밍 가중치에 의해 포밍된 후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은, 상기 단말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과 송수신 상호성을 갖는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 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을 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송신 트래픽 빔 및 상기 단말-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트래픽 빔과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을 포함하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트래픽 빔 조합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트래픽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트래픽 빔 식별자를 해당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트래픽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 식별자를 기지국 로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물리 채널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DSCH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은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 및/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이 무효화되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고, 및/또는 상기 기지국은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단말은 물리 채널의 유형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단말-송신 공통 빔, 단말-수신 공통 빔, 단말-송신 트래픽 빔 및 단말-수신 트래픽 빔 중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빔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단말-수신 공통 빔과 기지국-수신 공통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은 단말-수신 트래픽 빔과 단말-송신 트래픽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는,
동기 채널에 대해, 상기 단말은 기지국-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단말-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송신 공통 빔이 송신한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해, 상기 단말은 단말-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송신 공통 빔 및 상기 기지국-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단말-수신 공통 빔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공통 빔과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공통 빔을 포함하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공통 빔 조합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공통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공통 빔 식별자를 해당 기지국에게 피드백하고,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공통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공통 빔 식별자를 단말 로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단말-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공통 빔과 송수신 상호성을 갖는 단말-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은 각각의 후보 단말-송신 공통 빔을 통해 하나의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단말-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기지국이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PDSCH 용 다운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은 단말-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용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 및 상기 기지국-송신 트래픽 공통 빔에 대응되는 단말-수신 트래픽 빔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과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트래픽 빔을 포함하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트래픽 빔 조합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트래픽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 식별자를 해당 기지국에게 피드백하고, 상기 신호 품질이 최적인 트래픽 빔 조합 중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트래픽 빔 식별자를 단말 로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단말-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용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트래픽 빔과 송수신 상호성을 갖는 단말-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용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은 각각의 후보 단말-송신 트래픽 빔을 통해 하나의 PUSCH 용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DSCH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은 기지국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트래픽 빔 및/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트래픽 빔이 무효화되었을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은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제어 방법. - 물리 채널의 유형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상기 물리 채널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30항에 있어서,
기지국-송신 공통 빔, 기지국-수신 공통 빔,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 및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 중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빔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31항에 있어서,
기지국-송신 공통 빔과 기지국-수신 공통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또는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과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또한, 동기 채널에 대해, 기지국-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단말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해, 단말-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송신 공통 빔이 송신한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또한,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단말로 PDSCH 용 다운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단말-송신 트래픽 빔이 송신한 PUSCH 용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또한, 단말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DSCH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35항에 있어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 및/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트래픽 빔이 무효화되었을 경우, 단말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고, 및/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기지국-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1 접속 복구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물리 채널의 유형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 및
상기 물리 채널의 유형에 근거하여, 상응하는 유형의 빔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단말-송신 공통 빔, 단말-수신 공통 빔, 단말-송신 트래픽 빔 및 단말-수신 트래픽 빔 중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빔을 설정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38항에 있어서,
단말-수신 공통 빔과 기지국-수신 공통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또는 단말-수신 트래픽 빔과 단말-송신 트래픽 빔의 송수신 상호성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또한,
동기 채널에 대해, 기지국-송신 공통 빔에 대응되는 단말-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기지국-송신 공통 빔이 송신한 동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해, 단말-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또한,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에 대응되는 단말-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기지국이 기지국-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PDSCH 용 다운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용 업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또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DSCH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트래픽 빔을 사용하여 PUSCH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42항에 있어서,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트래픽 빔 및/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트래픽 빔이 무효화되었을 경우, 기지국이 피드백한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송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고, 및/또는 신호 품질이 최적인 단말-수신 공통 빔을 사용하여 접속 복구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제2 접속 복구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 메모리, 제1 프로세서 및 제1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1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빔 제어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2 메모리, 제2 프로세서 및 제2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2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9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빔 제어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빔 제어 방법에서의 단계 및/또는 제19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빔 제어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710287696.4A CN108809393A (zh) | 2017-04-27 | 2017-04-27 | 一种波束控制方法和装置 |
CN201710287696.4 | 2017-04-27 | ||
PCT/CN2018/079827 WO2018196518A1 (zh) | 2017-04-27 | 2018-03-21 | 波束控制方法、基站和终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3007A true KR20200003007A (ko) | 2020-01-08 |
KR102335691B1 KR102335691B1 (ko) | 2021-12-07 |
Family
ID=6391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4822A Active KR102335691B1 (ko) | 2017-04-27 | 2018-03-21 | 빔 제어 방법, 기지국 및 단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044002B2 (ko) |
EP (1) | EP3618532B1 (ko) |
JP (1) | JP7208154B2 (ko) |
KR (1) | KR102335691B1 (ko) |
CN (2) | CN115941011A (ko) |
WO (1) | WO20181965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96852A1 (en) * | 2018-11-08 | 2020-05-14 | Intel Corporation | A method to determine spatial quasi co-location (qcl) assumption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in new radio (nr) |
CN116095701A (zh) * | 2021-10-29 | 2023-05-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波束指示方法和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1292B1 (ko) * | 2002-04-30 | 2005-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레이크 수신기의 빔포밍 웨이트 벡터 업데이트 방법 및 웨이트 벡터를 이용한 레이크 수신장치 |
JP4099118B2 (ja) | 2003-08-08 | 2008-06-11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信号伝送装置及び信号伝送方法 |
CN101626265A (zh) * | 2008-07-10 | 2010-01-1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无线通信系统中实现下行波束赋形的方法 |
CN102883459B (zh) * | 2011-07-12 | 2016-05-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随机接入响应的接收和发送方法、用户设备、基站及系统 |
US9680537B2 (en) * | 2011-08-15 | 2017-06-13 | Ntt Docomo , Inc. | Radio base station, user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KR20130028397A (ko) * | 2011-09-09 | 2013-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시스템 정보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US9094977B2 (en) * | 2011-11-11 | 2015-07-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
US9380582B2 (en) * | 2012-04-16 | 2016-06-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beam communications in random access i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
US20130286960A1 (en) | 2012-04-30 | 2013-10-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system with a large number of antennas |
US9948439B2 (en) * | 2012-10-24 | 2018-04-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on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4885377B (zh) * | 2012-12-21 | 2018-06-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波束成形发送和接收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
WO2015109153A1 (en) * | 2014-01-17 | 2015-07-23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3gpp mmw access link system architecture |
CN107211451B (zh) * | 2014-11-26 | 2022-08-26 | Idac控股公司 | 高频无线系统中的初始接入 |
CN106470051A (zh) * | 2015-08-14 | 2017-03-01 |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 用于大规模天线的通信方法、基站和通信系统 |
WO2017030601A1 (en) | 2015-08-20 | 2017-02-23 | Intel IP Corporation | Transmit beamforming |
CN106559122A (zh) * | 2015-09-28 | 2017-04-0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采用波束赋形的数据通信方法和装置 |
US20190104551A1 (en) * | 2016-03-30 | 2019-04-04 | Idac Holdings, Inc. | Method for initial access using signatures |
EP4333515A3 (en) * | 2016-05-11 | 2024-11-20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 |
WO2018120102A1 (zh) * | 2016-12-30 | 2018-07-05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波束选择方法、装置及系统 |
WO2018128341A1 (ko) * | 2017-01-03 | 2018-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bch 인코딩 및 전송을 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통신 장치 |
-
2017
- 2017-04-27 CN CN202211515795.0A patent/CN115941011A/zh active Pending
- 2017-04-27 CN CN201710287696.4A patent/CN108809393A/zh active Pending
-
2018
- 2018-03-21 KR KR1020197034822A patent/KR102335691B1/ko active Active
- 2018-03-21 EP EP18791482.5A patent/EP3618532B1/en active Active
- 2018-03-21 US US16/608,789 patent/US11044002B2/en active Active
- 2018-03-21 WO PCT/CN2018/079827 patent/WO2018196518A1/zh unknown
- 2018-03-21 JP JP2019558541A patent/JP7208154B2/ja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7)
Title |
---|
3GPP R1-1610057 * |
3GPP R1-166089 * |
3GPP R1-166419 * |
3GPP R1-1704229 * |
3GPP R1-1704340 * |
3GPP R1-1704715 * |
3GPP R1-1705505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809393A (zh) | 2018-11-13 |
EP3618532A4 (en) | 2020-04-15 |
EP3618532A1 (en) | 2020-03-04 |
WO2018196518A1 (zh) | 2018-11-01 |
EP3618532B1 (en) | 2024-08-07 |
CN115941011A (zh) | 2023-04-07 |
KR102335691B1 (ko) | 2021-12-07 |
US11044002B2 (en) | 2021-06-22 |
JP7208154B2 (ja) | 2023-01-18 |
US20200395992A1 (en) | 2020-12-17 |
JP2020518200A (ja) | 2020-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9571B1 (ko) | 업링크 송신빔 확정 방법 및 장치 | |
JP7258123B2 (ja) | データ伝送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 |
CN108667496B (zh) | 一种获取、反馈发送波束信息的方法及装置 | |
US1002086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 adaptive communication | |
US1166487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downlink beams | |
CN108400852B (zh) | 一种大尺度信道参数的指示、确定方法、基站及终端 | |
WO2018059154A1 (zh) | 一种波束处理方法、基站及移动终端 | |
WO2020034842A1 (zh) | 数据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 |
JP2020512745A (ja) | 機器ビーム相反性特定方法、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102335691B1 (ko) | 빔 제어 방법, 기지국 및 단말 | |
CN107888243B (zh) | 一种波束训练方法、终端及基站 | |
US1191766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 |
KR20240160642A (ko) | Srs 절차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CN112055942B (zh) | 对多输入多输出无线传输进行配置的方法和装置 | |
CN108206713B (zh) | 多入多出系统中的波束成型 | |
CN107733504A (zh) | 一种下行波束训练信号的处理方法及终端 | |
CN120090674A (zh) | 用于增强测量和报告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9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