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877A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877A
KR20200002877A KR1020197032229A KR20197032229A KR20200002877A KR 20200002877 A KR20200002877 A KR 20200002877A KR 1020197032229 A KR1020197032229 A KR 1020197032229A KR 20197032229 A KR20197032229 A KR 20197032229A KR 20200002877 A KR20200002877 A KR 2020000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resource
resource unit
frequency domain
bitmap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후아 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700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028A/ko
Publication of KR2020000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개시하였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는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의 시간 도메인 입도는 시간 슬롯(7 개 심볼을 포함함) 및 서브 프레임(14 개 심볼을 포함함)이며,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은 시간 슬롯, 서브 프레임을 시간 도메인 단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주파수 자원을 스케줄링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케줄링 방식은 시간 도메인 유연성이 낮으며, 자원 할당 지연이 크고, 자원 단편이 생성되기 쉬워, 고효율적인 자원 할당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bitmap)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트맵을 통해 연속적으로 분포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분포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도 있으므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스케줄링 유닛일 수 있고, 예를 들어, LTE에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일 수 있고, 5G에서의 미니 시간 슬롯 또는 특정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일 수도 있다.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스케줄링 유닛일 수 있고, LTE에서의 자원 블록 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 또는 새로운 시스템에서의 특정 개수의 자원 블록으로 구성된 주파수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과 같은 LTE에서의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자원 블록 그룹일 수 있으며, 하나의 부대역(sub-band)일 수도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제1 비트맵 중의 복수 개의 비트와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일부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 사이의 상이한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는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순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트맵을 통해 연속적으로 분포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분포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도 있으므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이다.
제2 측면에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이다.
제3 측면에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및 수신 노드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7 측면에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이나,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상기 측면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은 아래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ET)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희소 코드 다중 액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과 같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기반한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으며, 물론 SCMA 시스템과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사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사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기지국, 이동국, 이동대, 원격 기지국, 원격 단말, 모바일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대리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 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기기, 계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노드,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나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1에서 통신 시스템은 단말 기기(10) 및 네트워크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20)는 단말 기기(10)를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망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며, 단말 기기(10)는 네트워크 기기(20)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진행하는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전송을 표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진화됨에 따라, 자원 할당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의 유연성이 크게 개선되고, 심볼 단위로 할당될 수 있으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과 시간 도메인 길이는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심볼 레벨의 자원 할당은 자원 영역의 모양을 불규칙하게 만들며, 하나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스케줄링의 시간 도메인 범위 내에서, 일부 심볼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심볼은 다른 단말로 스케줄링되어 사용될 수 없으며, 즉,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불연속적으로 할당되며,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사용 가능한 심볼은 상이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시간 도메인 시작과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는 방법은 오직 연속적으로 분포된 시간 도메인 자원만을 지시할 수 있으며,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의 할당을 구현할 수 없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bitmap)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S22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비트맵을 통해 단말 기기에 어느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그것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스케줄링 유닛일 수 있고, 예를 들어, LTE에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일 수 있고, 5G 중의 미니 시간 슬롯 또는 특정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일 수도 있다.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스케줄링 유닛일 수 있고, LTE에서의 RBG 또는 새로운 시스템에서의 특정 개수의 자원 블록으로 구성된 주파수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과 같은 LTE에서의 PRB, 자원 블록 그룹일 수 있으며, 하나의 부대역(sub-band) 등일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즉 다운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즉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도 포함한다.
이른바 비트맵(bitmap)이란 하나의 비트를 사용하여 어느 요소에 대응되는 값(Value)을 표기하는 것이다. 즉,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은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 그룹은 하나의 비트맵에서 비트 표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은 상기 비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을 표시한다. 비트에서 취한 값 0을 사용하여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비트값 1은 상기 비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14 개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14 개 심볼은 각각 1 개 심볼, 2 개 심볼, 3 개 심볼, 4 개 심볼 및 4 개 심볼을 포함하는 5 개 그룹으로 분할 될 수 있다. 상기 비트맵은 5 개 비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심볼의 그 그룹에 대응되고, 상기 비트가 1이면, 상기 그룹 중의 하나의 심볼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비트가 2 개 심볼을 포함하는 그 그룹에 대응되고, 상기 비트가 1이면, 상기 그룹 중의 2 개 심볼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런 식으로 차례로 유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복수 개의 비트와 어느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일부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 사이의 맵핑 관계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14 개 심볼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시간 도메인에서 7 개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은 2 개의 인접한 심볼을 포함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각 그룹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다음과 같이 비트로 표시되도록 미리 약정할 수 있다. 즉, 11은 각 그룹의 2 개 심볼이 모두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을 표시하고, 00, 01 및 10은 각 그룹의 2 개 심볼이 모두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를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게 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비트는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된다. 여전히 14 개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예로 들어, 상기 제1 비트맵은 14 개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트맵의 값이 11101101011111이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순서를 표시한다고 가정하면, 11101101011111은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제1, 제2, 제3, 제5, 제6, 제8, 제10, 제11, 제12, 제13, 제14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모두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비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비트맵 중의 처음 7 개 비트가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제1, 제3, 제5, 제7, 제9, 제11, 제13 심볼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것과, 마지막 7 개 비트가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제2, 제4, 제6, 제8, 제10, 제12, 제14 심볼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약정할 수 있으며, 그러면 11101101011111는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제1, 제3, 제5, 제9, 제11, 제2, 제6, 제8, 제10, 제12 심볼이 모두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2 개 시간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시간 슬롯을 4 개 심볼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총 5 개 비트로 상기 2 개 시간 슬롯을 표시하며, 여기서, 처음 4 개 비트와 제1 시간 슬롯 중의 4 개 심볼 그룹은 대응되며, 마지막 하나의 비트와 제2 시간 슬롯은 대응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비트맵 비트값이 11001이면, 첫 번째 시간 슬롯 중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과 제2 시간 슬롯의 전체 시간 도메인 자원이 모두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bitmap)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함 - 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어느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구성 상황을 미리 지시한 이후,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원래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발견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통지할 필요가 있고, 단말 기기는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은 11001100110011이고,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지시 정보는 심볼 3과 심볼 4가 어떤 이유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지시하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심볼 3과 심볼 4를 다른 단말 기기에 할당했다면,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비트맵을 획득하여 11000000110011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비트맵의 표시 방식은 제1 비트맵의 표시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략함을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또한 종래의 기술 방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일부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시간 도메인에서의 길이 및 종료 위치 중의 적어도 2 개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시작 위치와 시간 도메인에서의 길이,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시간 도메인에서의 길이와 종료 위치 등에 따라,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것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 어느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어느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는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의 정보를 수신한 이후, 단말 기기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상의 모든 시간 도메인 자원이 모두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어느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단말 기기에 할당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수신할 때에야, 단말 기기는 어떤 것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며, 또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어느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어느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음을 알려줄 때에야, 단말 기기는 이로부터 어떤 것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 및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 도 4 내지 도 7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는 4 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길이가 14 개 심볼인 범위 내에서 단말 1의 데이터 채널에 대해 시간 주파수 자원을 스케줄링하지만, 이 범위 내에서 일부 자원은 단말 2와 단말 3에 할당된다. 각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해, 14 비트의 비트맵을 사용하여 단말 1을 위해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한다. 도 4의 예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1 및 유닛 2에서, 제3, 제4 심볼은 단말 2에 할당되며, 따라서, 이 2 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11001111111111이다.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3과 유닛 4에서, 제3, 제4 심볼은 단말 2에 할당되고, 제7 - 제10 심볼은 단말 3에 할당되며, 따라서, 이 2 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11001100001111이다.
실시예 1의 장점은 비트맵을 통해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어느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자신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 가능한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와 실시예 1의 구별점은 시간 도메인 자원 할당 단위가 하나의 심볼 그룹(도 5의 예에서는 2 개 심볼이 하나의 그룹임)인 것이다. 각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해, 7 비트의 비트맵을 사용하여 단말 1을 위해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한다. 도 5 중의 예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1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2에서, 제2 심볼 그룹은 단말 2에 할당되며, 따라서, 이 2 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1011111이다.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3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4에서, 제2 심볼 그룹은 단말 2에 할당되고, 또한 제4, 제5 두 그룹의 심볼은 단말 3에 할당되며, 따라서 이 2 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1010011이다.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비트맵의 비트 수가 적어,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비트맵을 통해 단말에 할당되지 않은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한다는 것이다. 도 6의 예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1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 2에서, 제3, 제4 심볼이 다른 단말에 할당되고, 따라서, 이 2 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00110000000000이다.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3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4에서, 제3, 제4 심볼 및 제7 -제10 심볼이 다른 단말에 할당되며, 따라서, 이 2 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00110011110000이다. 단말은 하나의 큰 시간 주파수 자원 범위에서 비트맵으로 지시된 자원을 제거할 수 있고,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주파수 자원을 결정한다.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비트맵을 통해 적어도 2 개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동시에 지시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단말의 자원 지시가 하나의 비트맵 그룹을 공유하여, 제어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예 4, 이 실시예와 실시예 3의 구별점은, 시간 도메인 자원 할당 단위가 하나의 심볼 그룹(도 7의 예에서는 2 개 심볼이 하나의 그룹임)이라는 것이다. 각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해, 7 비트의 비트맵을 사용하여 단말 1을 위해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한다. 도 7의 예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1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2에서, 제2 심볼 그룹은 단말 2에 할당되며, 따라서, 이 2 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0100000이다.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3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4에서, 제2 심볼 그룹은 단말 2에 할당되고, 또한 제4, 제5 두 그룹의 심볼은 단말 3에 할당되며, 따라서 이 2 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의 자원 지시 비트맵은 0101100이다. 단말은 하나의 큰 시간 주파수 자원 범위에서 비트맵으로 지시된 자원을 제거할 수 있고,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주파수 자원을 결정한다.
실시예 3과 비교하면,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비트맵의 비트 수가 적어,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8은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 및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의 교호 및 관련 특징, 기능 등은 단말 기기의 관련 특징, 기능에 상응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어떤 정보를 송신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각 종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은 어떠한 것도 한정하지 않으며,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300)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310)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전송 유닛(3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 및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330)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340)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300)는 본 출원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3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도 3의 방법 중의 단말 기기의 상응한 과정을 실현하기 위함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제1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410)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 및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420)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430)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400)는 본 출원 방법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4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도 8의 방법 중의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하는 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500)를 더 제공하였고, 상기 단말 기기(500)는 도 9의 단말 기기(300)일 수 있으며, 도 3의 방법(100)에 대응되는 단말 기기의 콘텐츠를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 기기(500)는,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530)는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5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540)에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 및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프로세서(5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5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분리형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형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5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5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540)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메모리(520)는 또한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콘텐츠는 프로세서(5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콘텐츠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540)에 위치되고, 프로세서(530)는 메모리(5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콘텐츠를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기기(300) 중의 제1 수신 유닛(310), 제2 수신 유닛(330) 및 제3 수신 유닛(340)은 도 11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5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600)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600)는 도 10의 네트워크 기기(400)일 수 있으며, 도 8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콘텐츠를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60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63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동작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640)에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 및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6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및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분리형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형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6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640)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40)는 또한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콘텐츠는 프로세서(6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콘텐츠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6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30)는 메모리(6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콘텐츠를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송신 유닛(410), 제2 송신 유닛(420) 및 제3 송신 유닛(430)은 도 12의 출력 인터페이스(6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하여금 도 3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도 3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다만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논의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단독적인 유닛이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 개 또는 2 개 이상의 유닛이 한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몇 개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4)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과 일일이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자원 블록(PRB) ,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과 일일이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자원 블록(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단말 기기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과 일일이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외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유닛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3.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자원 블록(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4. 네트워크 기기로서,
    단말 기기에 제1 비트맵을 전송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 - 상기 제1 비트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과 일일이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맵 중의 비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로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의 선착순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은 심볼, 심볼 그룹, 시간 슬롯 및 미니 시간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없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각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1. 제34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상기 제1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3 비트맵이고, 상기 제2 비트맵 중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일일이 대응되고, 상기 제3 비트맵 중의 비트의 값은 상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시작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종료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길이 중 적어도 두 개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4. 제34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자원 블록(PRB), 자원 블록 그룹 또는 부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197032229A 2017-05-03 2017-05-0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00002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2401A KR20220013028A (ko) 2017-05-03 2017-05-0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2900 WO2018201344A1 (zh) 2017-05-03 2017-05-03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401A Division KR20220013028A (ko) 2017-05-03 2017-05-0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877A true KR20200002877A (ko) 2020-01-08

Family

ID=640156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29A KR20200002877A (ko) 2017-05-03 2017-05-0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0227002401A KR20220013028A (ko) 2017-05-03 2017-05-0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401A KR20220013028A (ko) 2017-05-03 2017-05-03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1317419B2 (ko)
EP (2) EP3606211B1 (ko)
JP (1) JP7184799B2 (ko)
KR (2) KR20200002877A (ko)
CN (1) CN111107647B (ko)
AU (1) AU2017412424A1 (ko)
BR (1) BR112019022575A2 (ko)
CA (1) CA3060623C (ko)
DK (1) DK3606211T3 (ko)
ES (1) ES2878197T3 (ko)
IL (1) IL270195B2 (ko)
MX (1) MX2019012922A (ko)
PH (1) PH12019502394A1 (ko)
PT (1) PT3606211T (ko)
RU (1) RU2731257C1 (ko)
SG (1) SG11201909893RA (ko)
TW (1) TWI754051B (ko)
WO (1) WO2018201344A1 (ko)
ZA (1) ZA2019070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1003A1 (ko) * 2017-06-16 2018-12-20 주식회사 아이티엘 동기화 신호 블록 지시 방법 및 장치
US11245499B2 (en) * 2018-06-22 2022-02-0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verhead reduction in NOMA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91512B (zh) 2007-04-18 2012-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资源指示方法及装置
CN101562839A (zh) * 2008-04-14 2009-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指配方法和设备
ES2377353T3 (es) 2008-06-19 2012-03-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ñalización de asignación de recursos en una red de telecomunicaciones
KR100956828B1 (ko) 2008-11-13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半)-지속적 스케줄링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01971681B (zh) * 2009-05-22 2014-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子帧调度方法、系统及终端、基站
CN102238732A (zh) * 2010-04-28 201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正交频分复用系统的无线资源分配、调度方法和装置
US20120287885A1 (en) 2010-04-28 2012-11-15 Qian Dai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and Scheduling Wireless Resources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CN103313404B (zh) * 2012-03-16 2017-06-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资源传输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05099634B (zh) 2014-05-09 2019-05-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动态资源的分配方法及装置、基站、终端
JP6666918B2 (ja) 2015-08-07 2020-03-1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基地局、端末、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CN106664702B (zh) 2015-08-12 2020-09-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JP2017059911A (ja) *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90035765A (ko) 2016-07-26 2019-04-0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전송 기기
SG11201902586WA (en) 2016-09-23 2019-05-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6452651B (zh) * 2016-10-10 2019-02-22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Lte下基于rb干扰信息的动态干扰协调的实现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1344A1 (zh) 2018-11-08
IL270195B1 (ko) 2023-02-01
KR20220013028A (ko) 2022-02-04
PT3606211T (pt) 2021-07-02
AU2017412424A1 (en) 2019-11-14
EP3606211B1 (en) 2021-06-02
ZA201907036B (en) 2020-09-30
PH12019502394A1 (en) 2020-12-07
TW201843987A (zh) 2018-12-16
CA3060623C (en) 2022-03-01
EP3873154A1 (en) 2021-09-01
CA3060623A1 (en) 2018-11-08
BR112019022575A2 (pt) 2020-05-19
CN110547011A (zh) 2019-12-06
US11706786B2 (en) 2023-07-18
EP3606211A1 (en) 2020-02-05
MX2019012922A (es) 2019-12-16
IL270195A (ko) 2019-12-31
US11317419B2 (en) 2022-04-26
CN111107647B (zh) 2021-03-05
JP2020519078A (ja) 2020-06-25
TWI754051B (zh) 2022-02-01
US20220174678A1 (en) 2022-06-02
IL270195B2 (en) 2023-06-01
DK3606211T3 (da) 2021-07-05
RU2731257C1 (ru) 2020-08-31
EP3606211A4 (en) 2020-04-01
JP7184799B2 (ja) 2022-12-06
SG11201909893RA (en) 2019-11-28
CN111107647A (zh) 2020-05-05
ES2878197T3 (es) 2021-11-18
US20200205159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43142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RU2735548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терминал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4574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11350440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KR20190099219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EP3553990B1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220200671A1 (en) Uplink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7067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642015B (zh) 确定传输资源的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10912113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7237125B2 (ja) 無線通信方法、端末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
CN108282315B (zh) 一种时隙类型指示方法、确定方法及装置
CN110547011B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RU2793339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улучшенной процедуры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US2022015973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CN108282884B (zh) 一种时隙类型指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