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80A -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80A
KR20200002780A KR1020197016927A KR20197016927A KR20200002780A KR 20200002780 A KR20200002780 A KR 20200002780A KR 1020197016927 A KR1020197016927 A KR 1020197016927A KR 20197016927 A KR20197016927 A KR 20197016927A KR 20200002780 A KR20200002780 A KR 20200002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
subfield
link
link measure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399B1 (ko
Inventor
윤선웅
김진민
박성진
최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다. 구체적으로, 제1 STA은 TPC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제2 STA으로 전송한다. 제1 STA은 제2 STA으로부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한다.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한다.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1 서브필드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서브필드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이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명세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환경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및 b는 2.4. GHz 또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고, IEEE 802.11b는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IEEE 802.11a는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는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상술한 무선랜 표준은 최대 160MHz 대역폭을 사용하고, 8개의 공간 스트림을 지원하여 최대 1Gbit/s의 속도를 지원하는 IEEE 802.11ac 표준을 거쳐, IEEE 802.11ax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IEEE 802.11ad에서는 60 GHz 대역에서의 초고속 처리율을 위한 성능향상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IEEE 802.11ad 시스템에 처음으로 채널 본딩 및 MIMO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IEEE 802.11ay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환경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명세서는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환경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는, 802.11ay 시스템의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11ad 시스템의 DMG TPC 방법으로는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11ad에 정의된 프레임에 정보를 추가하여 효율적인 TPC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용어를 정리하면,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802.11ay 시스템에서 정의된 EDMG(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프레임(또는 EDMG PPDU)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에 포함된 필드 또는 서브필드는 EDMG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STA(station)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제2 STA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1 STA은 상기 제2 STA으로부터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이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측정 요청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요청 필드는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사용된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레이트 적응 제어(rate adaptation control) 또는 제1 TP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트 적응 제어 또는 제1 TPC 필드는 보고되는 전송 체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2 TPC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TPC 필드는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Activity 서브필드와 Link Margin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에 대해 상기 제1 STA에게 권장하는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는 No change preferred, Change MCS, Decrease transmit power, Increase transmit power, Fast session transfer, Power conserve mode 또는 Perform SLS(Sector Level Sweep)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Link Margin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1 STA에 대해 측정한 링크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No change preferred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De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In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링크 적응 확인 요소(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적응 확인 요소는 Activity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1 STA이 상기 권장 동작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전송 체인의 실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은 2.16+2.16GHz 또는 4.32+4.32GHz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 본딩 동작 설명을 위한 60GHz 대역에서의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본딩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비콘 간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기존 무선 프레임의 물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무선 프레임의 헤더 필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PPDU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PPDU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하나의 채널에 대해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빔포밍 트레이닝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는 SLS (Sector Level Sweep) 단계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Fast link adaptation 절차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6은 EDMG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은 TPC Configuration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8은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9는 EDMG Measurement Request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은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1은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Measurement Configuration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3은 Rate Adaptation Control field/TPC field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4는 EDMG Link Measurement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는 EDMG TPC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24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6은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7은 EDMG Activity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가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가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31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보다 상세한 무선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무선랜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무선랜(Wireless LAN, WLAN) 시스템
1-1. 무선랜 시스템 일반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이다.
STA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논리 개체로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비AP STA(Non-AP Station)을 포함한다. STA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Non-AP STA로써, 단순히 STA라고 할 때는 Non-AP STA을 가리키기도 한다. Non-AP STA는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그리고, AP는 자신에게 결합된 STA(Associated Station)에게 무선 매체를 통해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개체이다. 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PCP/AP(personal basic service set central point/access point)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BSS와 독립적인(Independent) BSS(IBSS)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BBS는 IBSS이다.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는 BSS를 의미하고, AP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DS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BSS는 인프라스트럭처 BSS이다. 인프라스트럭처 BSS는 하나 이상의 STA 및 AP를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처 BSS에서 비AP STA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비AP STA 간에 직접 링크(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STA들 사이에서 직접 통신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BSS는 D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AP STA는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DS는 복수의 AP들을 연결하는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는 메쉬(mesh)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AP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이상을 바탕으로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본딩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1-2.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본딩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 본딩 동작 설명을 위한 60GHz 대역에서의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GHz 대역에서는 4개의 채널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 채널 대역폭은 2.16GHz일 수 있다. 60 GHz에서 사용 가능한 ISM 대역 (57 GHz ~ 66 GHz)은 각국 상황에 따라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채널 중 채널 2는 모든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여 default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호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적에서 채널 2 및 채널 3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채널 본딩에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채널 본딩에 활용되는 채널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채널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본딩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예는 IEEE 802.11n 시스템에서 2개의 20MHz 채널을 결합하여 40 MHz 채널 본딩으로 동작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IEEE 802.11ac 시스템의 경우 40/80/160 MHz 채널 본딩이 가능할 것이다.
도 4의 예시적인 2개의 채널은 주 채널(Primary Channel) 및 보조 채널(Secondary Channel)을 포함하여, STA는 상기 2개의 채널 중 주 채널에 대해 CSMA/CA 방식으로 채널 상태를 검토할 수 있다. 만일 주 채널이 일정한 백오프 간격(backoff interval) 동안 유휴(idle)하여 백오프 카운트가 0이 되는 시점에서, 보조 채널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PIFS) 동안 유휴인 경우, STA는 주 채널 및 보조 채널을 결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도 4와 같이 경쟁 기반으로 채널 본딩을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채널에 대한 백오프 카운트가 만료되는 시점에서 보조 채널이 일정 시간 동안 유휴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 한하여 채널 본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널 본딩의 활용이 매우 제한적이며, 매체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AP가 STA들에게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스케줄링 기반으로 접속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술한 스케줄링에 기반하여 또는 상술한 스케줄링과 독립적으로 경쟁 기반으로 채널 접속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에 기반하여 공간 공유(Spatial Sharing) 기법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1-3. 비콘 간격 구성
도 5는 비콘 간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ad 기반 DMG BSS 시스템에서 매체의 시간은 비콘 간격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비콘 간격 내의 하위 구간들은 접속 구간(Access Period)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비콘 간격 내의 서로 다른 접속 구간은 상이한 접속 규칙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구간에 대한 정보는 AP 또는 PCP (Personal basic service set Control Point)에 의해 non-AP STA 또는 non-PCP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하나의 비콘 간격은 하나의 BHI (Beacon Header Interval)과 하나의 DTI (Data Transfer Interval)을 포함할 수 있다. BHI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I(Beacon Transmission Interval), A-BFT(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및 ATI(Announcement Transmission Interval)를 포함할 수 있다.
BTI는 하나 이상의 DMG 비콘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A-BFT는 선행하는 BTI 동안 DMG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STA에 의한 빔포밍 트레이닝이 수행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ATI는 PCP/AP와 non-PCP/non-AP STA 사이에 요청-응답 기반의 관리 접속 구간을 의미한다.
한편, DTI(Data Transfer Interval)는 STA들 사이의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CBAP(Contention Based Access Period) 및 하나 이상의 SP(Service Period)가 할당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2개의 CBAP과 2개의 SP가 할당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5는 TDD SP(Service Period)의 구조도 도시하고 있다. TDD SP는 TDD 슬롯 구조 요소에 의해 구체화된 하나 이상의 연속적이고 인접한 TDD 간격(TDD interval)로 구성된다(TDD interval 1, TDD interval 2, ..., TDD interval Q). TDD 간격은 하나 이상의 TDD 슬롯을 포함한다. 인접한 TDD 슬롯은 도 5에서 도시되고, TDD 슬롯 구조 요소에 의해 정의된 보호시간(Guard Time, GT)만큼 시간적으로 분리되어야 한다(도 5에 따르면, GT1, GT2, GT3 만큼 시간적으로 분리되어있다). STA 동작이 모두 동일하다면, 동일한 STA 쌍에 할당된 인접한 TDD 슬롯의 송신 및 수신은 인접한 TDD 슬롯 사이에서 계속될 수 있다.
빔포밍 동작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STA은 개시자 (initiator)라 명명하고, 상기 개시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는 STA은 응답자 (responder)라 명명한다. 도 5에 따르면, 개시자는 응답자에게 TX TDD 슬롯(TDD slot 0, TDD slot 1, ..., TDD slot i)에서 데이터(또는 프레임)를 전송하고, 응답자는 개시자로부터 RX TDD 슬롯(TDD slot i+1, TDD slot i+2, ..., TDD slot M)에서 데이터(또는 프레임)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물리계층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4. 물리계층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다른 변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가정한다.
PHY MCS Note
Control PHY 0
Single carrier PHY(SC PHY) 1...1225...31 (low power SC PHY)
OFDM PHY 13...24
이와 같은 변조 모드들은 서로 상이한 요구조건(예를 들어, 높은 처리율 또는 안정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에 따라 이들 중 일부 모드만 지원할 수도 있다.도 6은 기존 무선 프레임의 물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든 DMG (Directional Multi-Gigabit) 물리계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드들을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다만, 각각의 모드에 따라 개별적인 필드의 규정 방식 및 사용되는 변조/코딩 방식에 있어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프레임의 프리엠블은 STF (Short Training Field) 및 CE (Channel Esti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프레임은 헤더, 및 패이로드로서 데이터 필드와 선택적으로 빔포밍을 위한 TRN(Trainin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무선 프레임의 헤더 필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SC(Single Carrier) 모드가 이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SC 모드에서 헤더는 스크램블링의 초기값을 나타내는 정보,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추가적인 PPDU(Physical Protocol Data Unit)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패킷 타입, 트레이닝 길이, Aggregation 여부, 빔 트레이닝 요청 여부, 마지막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절단(truncation) 여부, HCS (Header Check Sequenc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는 4 비트의 유보 비트들(reserved bits)을 가지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은 유보 비트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은 OFDM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의 헤더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OFDM 헤더는 스크램블링의 초기값을 나타내는 정보, MCS,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추가적인 PPDU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패킷 타입, 트레이닝 길이, Aggregation 여부, 빔 트레이닝 요청 여부, 마지막 RSSI, 절단 여부, HCS (Header Check Sequenc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는 2 비트의 유보 비트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유보 비트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IEEE 802.11ay 시스템은 기존 11ad 시스템에 처음으로 채널본딩 및 MIMO 기술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11ay에서 채널본딩 및 MIMO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PPDU 구조가 필요하다. 즉, 기존 11ad PPDU 구조로는 레거시 단말을 지원함과 동시에 채널본딩과 MIMO를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레거시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레거시 프리엠블, 레거시 헤더 필드 뒤에 11ay 단말을 위한 새로운 필드를 정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하여 채널본딩과 MIMO를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PPDU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가로축은 시간 영역에 세로축은 주파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채널을 본딩 하였을 때, 각 채널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예: 1.83GHz)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주파수 대역(예:400MHz 대역)이 존재할 수 있다. Mixed mode의 경우, 각 채널을 통하여 레거시 프리엠블 (레거시 STF, 레거시 CE)이 duplicate로 전송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각 채널 사이의 400MHz 대역을 통하여 레거시 프리엠블과 함께 동시에 새로운 STF와 CE 필드의 전송(gap filling)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PDU 구조는 ay STF, ay CE, ay 헤더 B, 페이로드(payload)를 레거시 프리엠블, 레거시 헤더 및 ay 헤더 A 이후에 광대역으로 전송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헤더 필드 다음에 전송되는 ay 헤더, ay Payload 필드 등은 본딩에 사용되는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 ay 헤더를 레거시 헤더와 구분하기 위해 EDMG (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헤더라 명명할 수도 있으며, 해당 명칭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11ay에는 총 6개 또는 8개의 채널(각 2.16 GHz)이 존재 할 수 있으며, 단일 STA으로는 최대 4개의 채널을 본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ay 헤더와 ay Payload는 2.16GHz, 4.32GHz, 6.48GHz, 8.64GHz 대역폭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Gap-Filling을 수행하지 않고 레거시 프리엠블을 반복하여 전송할 때의 PPDU 포맷 역시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Gap-Filling을 수행하지 않아 도 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GF-STF 및 GF-CE 필드 없이 ay STF, ay CE 및 ay 헤더 B를 레거시 프리엠블, 레거시 헤더 및 ay 헤더 A 이후에 광대역으로 전송하는 형태를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PPDU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PPDU 포맷을 간단히 정리하면 도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ay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PPDU 포맷은 L-STF, L-CEF, L-Header, EDMG-Header-A, EDMG-STF, EDMG-CEF, EDMG-Header-B, Data, TRN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드들은 PPDU의 형태 (예: SU PPDU, MU PPDU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L-STF, L-CEF, L-header 필드를 포함하는 부분은 비 EDMG 영역 (Non-EDMG portion)이라 명명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EDMG 영역이라 명명할 수 있다. 또한, L-STF, L-CEF, L-Header, EDMG-Header-A 필드들은 pre-EDMG modulated fields라 명명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EDMG modulated fields라 명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PPDU의 (레거시) 프리앰블 부분은 패킷 검출 (packet detection), AGC (Automatic Gain Control), 주파수 오프셋 측정 (frequency offset estimation), 동기화 (synchronization), 변조 (SC 또는 OFDM)의 지시 및 채널 측정 (channel estimation)에 사용될 수 있다. 프리앰블의 포맷은 OFDM 패킷 및 SC 패킷에 대해 공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앰블은 STF (Short Training Field) 및 상기 STF 필드 이후에 위치한 CE (Channel Estimation)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eamble is the part of the PPDU that is used for packet detection, AGC, frequency offset estimation, synchronization, indication of modulation (SC or OFDM) and channel estimation. The format of the preamble is common to both OFDM packets and SC packets. The preamble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Short Training field and the Channel Estimation field.)
2.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빔포밍 절차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11ay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채널을 동시에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 본딩 (channel bonding), 채널 결합 (channel aggregation), FDMA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11ay 시스템에서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활용하는 바, 신뢰성 높게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빔포밍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11ad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채널에 대한 빔포밍 방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복수의 채널에 대해 적용 가능한 빔포밍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시사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11ay 시스템에 따라 복수의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예: 채널 본딩, 채널 결합, FDMA 등)에 적용 가능한 빔포밍 절차를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STA이 빔포밍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에 앞서 하나의 채널에 대해서만 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2.1. 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1. 하나의 채널에 대해서만 빔포밍을 수행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하나의 채널에 대해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 빔포밍 동작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STA은 개시자 (initiator)라 명명하고, 상기 개시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는 STA은 응답자 (responder)라 명명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총 2개의 채널 (예: CH1, CH2)만을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3개 이상의 채널을 통한 채널 본딩, 채널 결합 등에도 확장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빔포밍 절차는 SLS (Sector Level Sweep) 단계 (phase), 채널 본딩 설정 단계 (channel bonding setup phase), 채널 본딩 전송 단계 (channel bonding transmission phase)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 특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1.1. SLS 단계 (SLS phase)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11ay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60 GHz 대역에서는 데이터, 제어 정보 등을 보다 신뢰성 높게 전달하기 위해 옴니 (omni) 전송 방식이 아닌 지향적 (directional) 전송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과정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STA들은 SLS 과정을 통해 개시자 및 응답자에 대한 TX 또는 RX 베스트 섹터 (best sector)를 서로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상기 SLS 단계에 적용 가능한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빔포밍 트레이닝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A-BFT (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할당 내 발생하는 BF 트레이닝에 있어, AP 또는 PCP/AP는 개시자이고, 비-AP 및 비-PCP/AP STA은 응답자가 된다. SP 할당 내 발생하는 BF 트레닝에 있어, 상기 SP의 소스 (EDMG) STA은 개시자이고, 상기 SP의 목적지 STA은 응답자가 된다. TXOP (Transmission Opportunity) 할당 내 BF 트레이닝에 있어, TXOP 홀더(holder)는 개시자이고, TXOP 응답자는 응답자가 된다.
상기 개시자로부터 상기 응답자로의 링크(link)는 개시자 링크 (initiator link)라 명명하고, 상기 응답자로부터 상기 개시자로의 링크는 응답자 링크 (responder link)라 명명한다.
BF 트레이닝은 개시자로부터의 SLS(Sector Level Sweep)와 함께 시작한다. SLS 단계의 목적은 제어 PHY 레이트 또는 상위 MCS 에서 두 STA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SLS 단계는 오직 BF 트레이닝을 전송하는 것만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개시자 또는 응답자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SLS에 이어 BRP (Beam Refinement Protocol 또는 Beam Refinement Phase)이 이어질 수 있다.
BRP 단계(phase)의 목적은 수신 트레이닝을 가능케 하고 모든 STA들에서 모든 송신기 및 수신기의 AWV (Antenna Weight Vector)의 반복적인 정제(iterative refinement)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만약 빔 트레이닝에 참여하는 STA들 중 하나가 단 하나의 전송 안테나 패턴을 이용하기로 선택하면, 수신 트레이닝은 SLS 단계의 일부로 수행될 수 있다.
SLS 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SLS 단계는 다음의 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자 링크를 트레이닝하기 위한 ISS(Initiator Sector Sweep), 응답자 링크를 트레이닝하기 위한 RSS(Responder Sector Sweep), SSW 피드백, SSW ACK.
개시자는 ISS의 프레임(들)을 전송함으로써 SLS 단계를 시작한다.
응답자는 상기 ISS가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RSS의 프레임(들)의 전송을 시작하지 않는다. 다만, ISS가 BTI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외일 수 있다.
개시자는 RSS 단계(phase)가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SSW 피드백을 시작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RSS가 A-BFT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외일 수 있다. 응답자는 상기 A-BFT 내에서 개시자의 SSW ACK을 시작하지 않는다.
응답자는 개시자의 SSW 피드백의 성공적인 완료 이후에 즉시 상기 개시자의 SSW ACK을 시작한다.
SLS 단계 동안 개시자가 전송하는 BF 프레임은 (EDMG) 비콘 프레임, SSW 프레임 및 SSW 피드백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LS 단계 동안, 응답자가 전송하는 BF 프레임은 SSW 프레임 및 SSW-ACK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SLS 동안 개시자 및 응답자가 각각 TXSS (Transmit Sector Sweep)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SLS 단계의 끝에 상기 개시자 및 응답자는 그들 자신의 전송 섹터를 보유(posess)하게 된다. 만약 ISS 또는 RSS가 수신 섹터 스윕 (receive sector sweep)을 사용하면(employ), 응답자 또는 개시자 각각은 그들 자신의 수신 섹터를 보유하게 된다.
STA은 섹터 스윕 동안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는 SLS 단계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 개지사는 많은 섹터들을 가지고 있고, 응답자는 RSS에서 사용되는 하나의 전송 섹터 및 수신 섹터를 갖는다. 이에, 응답자는 모든 응답자 SSW 프레임들을 동일한 전송 섹터를 통해 전송하고, 동시에 개시자는 수신 안테나를 변경(switching)한다.
도 14에서 개시자는 많은 전송 섹터를 가지고 있고, 응답자는 하나의 전송 섹터를 갖는다. 이 경우, 개시자를 위한 수신 트레이닝은 BRP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SLS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SLS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802.11ay 시스템에서 링크 감지(link detection)를 수행하는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 노드들이 빔의 방향만을 변경하면서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송수신하고, 성공적으로 수신된 프레임들 중에서 수신 채널 링크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예: SNR(Signal to Rat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이 가장 좋은 빔 방향을 선택하는 빔 훈련 방식이다.
이어, BRP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BRP는 SLS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결정된 빔 방향에서 데이터 전송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빔 방향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프로토콜로서,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BRP는 BRP 프로토콜을 위해 정의된, 빔 훈련 정보와 훈련 결과를 보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BRP 프레임을 이용하여 빔 훈련을 수행한다. 예컨대, BRP는 이전 빔 훈련에 의해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BRP 프레임을 송수신하고, 성공적으로 송수신된 BRP 프레임의 끝 부분에 포함된 빔 훈련 시퀀스(beam training sequence)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빔 훈련을 수행하는 빔 훈련 방식이다. SLS는 빔 훈련을 위해서 프레임 자체를 이용하나, BRP는 빔 훈련 시퀀스만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SLS 단계는 BHI (Beacon Header Interval) 및/또는 DTI (Data Transfer Interval) 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BHI 동안 수행되는 SLS 단계는, 11ad 시스템과의 공존을 위해 11ad 시스템에서 정의된 SLS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이어, DTI 동안 수행되는 SLS 단계는, 개시자 및 응답자간 빔포밍 트레이닝이 수행되지 않았거나 빔포밍 링크 (BF link)을 잃어버린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시자 및 응답자가 11ay STA이면, 상기 개시자 및 응답자는 SLS 단계를 위해 SSW 프레임 대신 짧은 SSW (Short SSW)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짧은 SSW (Short SSW) 프레임은 DMG 제어 PHY 또는 DMG 제어 모드 PPDU의 데이터 필드 내 짧은 SSW 패킷 (packet)이 포함된 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짧은 SSW (Short SSW) 패킷의 구체적인 포맷은 상기 짧은 SSW 패킷이 전송되는 용도 (예: I-TXSS, R-TXSS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술한 SLS 단계의 특징은 이후 설명하는 모든 SLS 단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2.1.2. 채널 본딩 설정 단계 (Channel bonding Setup Phase)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고자 하는 STA들 (예: 개시자, 응답자 등)은 RTS(setup frame)와 DMG CTS(feedback frame)를 주고 받으면서 채널 본딩, 채널 결합, FDMA 전송 등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로가 송수신하는 정보로는 채널 정보, 채널 대역폭 등 채널 본딩, 채널 결합, FDMA 등 복수의 채널을 사용한 전송 방법을 위한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상술한 SLS 단계를 통해 하나의 채널 (예: primary channel)에 대한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한 바, 개시자 및 응답자는 상기 하나의 채널에 대한 빔포밍 결과 (예: 베스트 섹터의 방향)이 다른 채널들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시자 및 응답자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RTS, DMG CTS를 전송할 때, 앞서 SLS 단계를 통해 결정된 베스트 섹터 방향을 모든 채널에 대해 적용하여 상기 RTS, DMG CTS를 전송할 수 있다.
2.1.3. 채널 본딩 전송 단계 (Channel bonding transmission Phas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자는 전송한 RTS에 대한 응답인 DMG CTS를 수신한 뒤, 응답자와 협상된 채널 정보, 채널 대역폭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휴한 (idle) 복수 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실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자는 앞서 상술한 채널 본딩 설정 단계를 통해 응답자와 RTS, DMG CTS를 송수신하며 채널 본딩 (또는 채널 결합) 방법을 적용할 실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시자는 총 4개의 채널을 통해 RTS를 송신하였으나, 응답자로부터 2개의 채널에 대한 DMG CTS를 수신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응답자는 나머지 2개의 채널이 현재 비지 (busy) 상태 또는 사용 불가능한 상태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개시자 및 응답자는 실질적으로 데이터 전송에 활용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개시자는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채널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개시자 및 응답자는 하나의 채널 (예: CH1, primary channel)에 대한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한 바, 상기 하나의 채널을 통해 획득한 빔포밍 트레이닝 결과 (예: 베스트 섹터 방향)을 모든 채널에 적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개시자가 채널 본딩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만을 개시하였으나, 상기 개시자는 채널 결합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응답자는 상기 개시자가 데이터를 전송한 채널을 통해 ACK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CK 프레임은 상기 개시자가 데이터를 전송한 각 채널을 통해 복제 (duplicate)되어 전송되거나, 채널 본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3. DMG Link adaptation
여기서는 802.11ad에서 제안된 DMG Link adaptation에 대해 설명한다.
STA은 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으로 응답하도록 프레임의 RA 필드에 표시된 STA을 요청하기 위해 Link Measurement Request frame를 전송할 수 있다. Link Measurement Request frame이 DMG에서 정의된 PPDU 내에 전송된다면, 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은 DMG Link Margin element를 포함해야 한다. 요청 STA은 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의 RA 필드에 표시된 STA에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SNR 및 Link Margin의 MCS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요청 STA은 data enabled immediate response context에 포함된 A-MPDU 내용과 control response context에 포함된 A-MPDU contents MPDUs로 정의된 A-MPDU에 Link Measurement Request frame를 결합할 수 있다.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의 Dialog Token 필드가 0이 아닌 값과 같으면, 응답하는 STA는 요청하는 STA로부터 수신한 다음 프레임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수신된 프레임에 해당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돌려 보내야 한다.
응답하는 STA는 data enabled immediate response context에 포함된 A-MPDU 내용과 control response context에 포함된 A-MPDU contents MPDUs로 정의된 대로 A-MPDU의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MAC 주소가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 RA 필드의 값과 동일한 DMG STA는 요청 STA로 향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전송해야 한다.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RA 필드는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의 TA 필드와 같아야 한다.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Dialog Token 필드가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의 0이 아닌 Dialog Token 필드와 같으면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MCS, SNR 및 Link Margin 필드는 PPDU는 요청 STA로부터 수신된 다음 프레임이다.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의 Dialog Token 필드가 0 인 경우, 응답하는 STA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MCS 필드를 요청 STA로부터 수신된 프레임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계산된 MCS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SNR 필드와 Link Margin 필드는 동일한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 포함된 MCS 피드백을 생성하는 데 사용 된 PPDU의 수신을 기반으로 해당 측정을 나타낸다.
Link Measurement Request and Report 프레임은 요구하는 STA (예를 들어, MCS 변경 또는 송신 전력 제어 또는 FST 개시)에 의한 적절한 동작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Link Margin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STA는 Dialog Token 필드가 0으로 설정된 unsolicited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보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DMG TPC(Transmit Power Control)에 대해 설명한다.
전송 전력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DMG Link Margin 요소를 포함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수신하는 DMG STA는 다음 규칙에 따라 동작한다.
- STA가 Link Measurement Report의 Activity 필드에 표시된 권장 사항을 구현하는 경우, STA는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ement 요소를 포함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전송해야 한다.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ement 요소의 Activity 필드는 수신된 DMG Link Margin Sub-element의 Activity 필드의 값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 STA가 Link Measurement Report의 Activity 필드에 표시된 권장 사항을 구현하지 않으면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ement 요소를 포함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할 수있다.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ement 요소의 Activity 필드는 STA가 송신 전력을 변경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0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 STA는 Link Measurement Report의 수신을 확인한 후 2 × aPPDUMaxTime 이후에 Link 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해서는 안된다.
DMG STA는 Activity 필드가 전송 전력의 증가 또는 감소와 동일한 수신 된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 응답하여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는 한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ement 요소를 포함해서는 안된다.
이하에서는 Fast link adaptation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Fast link adaptation 절차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STA는 STA의 DMG Capabilities 요소의 Fast Link Adaptation 필드를 1로 설정함으로써 Fast link adaptation에 대한 지원을 나타낸다. Fast link adaptation을 지원하지 않는 STA는 STA의 DMG Capabilities 요소의 Fast Link Adaptation 필드를 0으로 설정한다. Fast link adaptation을 지원하는 STA은 Fast link adaptation을 지원하지 않는 피어(peer) STA와의 Fast link adaptation을 개시해서는 안된다.
Fast link adaptation을 지원하는 STA는 역방향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한다. Fast link adaptation의 일부로서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는 RD 개시자이어야 하고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하는 STA는 RD 응답자이어야 한다. Link Measurement Request, Link Measurement Report 및 아래 정의된 프레임의 전송은 역방향 프로토콜의 규칙을 따라야 한다.
STA는 subtype의 Action No Ack이고 Dialog Token 필드가 0으로 설정된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Fast link adaptation을 시작한다. 프레임을 포함하는 PPDU는 TXVECTOR의 AGGREGATION 매개 변수를 AGGREGATED로 설정해야하며, 즉각적인 응답을 요구하는 다른 프레임이며, aMinPPDUDurationForDMGMeasurement보다 큰 지속 시간(PHY-TXTIME.confirm 프리미티브에 의해 결정됨)을 가져야 한다.
PPDU는 TXVECTOR의 AGGREGATION 파라미터가 AGGREGATED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크기가 0인 MPDU 구분 기호로 PSDU를 패딩 할 수 있으므로 전송 지속 시간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Fast link adaptation을 지원하고 AGGREGATED와 동일한 RXVECTOR의 AGGREGATION 매개 변수를 가진 PPDU에 포함된 Dialog Token 필드가 0인 subtype Action No Ack의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은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의 수신으로부터 BRPIFS 이내의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해야 한다.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서 전송 된 TPC 보고 요소, DMG Link Margin 요소 및 다른 필드는 개시 STA로부터의 최종 수신 링크 측정 요구 프레임을 포함하는 PPDU의 측정 값을 반영해야 한다.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하는 STA는 즉각적인 응답이 필요한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고 aMinPPDUDurationForDMGMeasurement보다 긴 지속 시간을 갖는 PPDU를 전송함으로써 IFS를 SIFS보다 길지 않게 유지해야 한다. 전송된 모든 PPDU는 동일한 MCS와 동일한 전송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
전송된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은 subtype Action No Ack이 되어야 하며, MCS 1을 사용하여 전송되어야 하며, 송신기의 총 대역폭 매개 변수가 전체로 설정된 PPDU 내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PPDU는 즉각적인 응답이 필요한 프레임을 포함해서는 안되며 aMinPPDUDurationForDMGMeasurement보다 긴 지속 시간을 가져야 한다.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상기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지 않으면, STA는 상술한 규칙을 따라 수신된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에 응답할 수있다.
Fast link adaptation을 지원하고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수신으로부터 BRPIFS가 아닌 unsolicited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해야 한다. 수신된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 자체로 시작하는 unsolicited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서 전송된 TPC 보고 요소, DMG Link Margin 요소 및 다른 필드는 수신되지 않은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에 의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PPDU에서 취해진 측정치를 반영해야 한다. unsolicited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이 링크 측정보고 프레임의 수신으로부터 SIFS보다 길게 전송되는 경우, unsolicited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는 unsolicited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를 발행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PPDU를 전송함으로써 IFS를 SIFS보다 길게 유지해야 한다.
4.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실시예
상술한 바와 같이, 11ad에는 Link Measurement request frame과 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을 통해 transmit power를 control하는 DMG TPC procedure가 정의되어 있다. 11ay는 MIMO를 지원하기 때문에 기존의 DMG TPC방법으로는 MIMO 상황에서 TPC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11ay에서 MIMO TPC를 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11ad에 정의되어있는 frame에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통해 EDMG TPC를 제안한다.
11ay에서 MIMO와 CA(Channel Aggregation) TPC를 위해 EDMG Link Measurement request frame과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을 새로 정의한다. EDMG TPC의 경우는 MIMO Training이 완료된 후 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MIMO 상황에서는 각 antenna별로 다른 path loss를 가질 수 있고, 이 때문에 각 receive 안테나의 received SNR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 antenna 별로 TPC를 수행하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case에 대해 해결 할 수 있다.
4.1 EDMG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
11ay는 최대 8 antenna까지 지원하므로 총 몇 개의 TX antenna가 사용되는지에 대해 indication해야 한다.
또한 antenna 별로 TPC를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각 antenna 별로 transmit power information에 대해 알려 줘야 한다. 제안하는 EDMG Link Measurement request frame은 다음과 같다.
도 16은 EDMG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은 다른 STA가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하여 링크 경로 손실 및 링크 마진 추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STA에 의해 전송된다. EDMG BSS에서, EDMG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은 액션 또는 액션 No ACK 프레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Dialog Token 필드는 STA가 transaction을 식별하기 위한 요청을 보내는 것으로 선택된 0이 아닌 값으로 설정된다.
Transmit Power Used 필드는 Link Measurement Request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전력으로 설정된다.
Max Transmit Power 필드는 작동 중인 채널에서 전송 STA가 사용할 안테나 커넥터의 출력에서 측정된 전송 전력의 상한을 제공한다. Max Transmit Power 필드는 2s 보완(complement) 부호가 있는 정수이며 1 옥텟 길이이며 전송 STA에서 사용하는 안테나 커넥터의 출력에서 해당 STA의 운영 채널에서 측정한 전송 전력에 대한 dBm 스케일의 상한값을 제공한다. Max Transmit Power 필드에 보고된 값의 최대 허용치는 ± 5dB이다. Max Transmit Power 필드의 값은 STA가 장치 성능, 정책 및 규제 당국에 의해 동작 채널에서 전송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의 최소값과 동일하다.
TPC Configuration 필드는 전송 안테나의 수 및 채널 집합의 표시를 포함한다.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경우, Transmit Power Information 의 서브 필드를 포함한다.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는 EDMG Measurement Request 필드로 불릴 수 있다. 도 16의 상단은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가 존재하는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이고, 도 16의 하단은 EDMG Measurement Request 필드가 존재하는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이다. EDMG Measurement Request 필드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7은 TPC Configuration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TX DMG Antenna의 수는 전송 전력이 적응될 수 있는 전송 안테나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이 필드의 값이 0보다 크면 Link Measurement 프레임의 Transmit Power Used 및 Max Transmit Power 필드가 유보(reserved)된다.
TPC 안테나 구성 필드의 Channel Aggregation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된 경우, TX DMG Antenna의 수에 대한 서브필드 값은 짝수여야 한다.
TPC 구성 필드는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TPC 구성 필드는 Link Measurement Request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2.16+2.16 GHz 또는 4.32+4.32 GHz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와 사용된 전송 체인의 수를 나타낸다. B0은 채널 어그리게이션의 사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B1-B3은 전송 체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B4-B7은 유보되어 있다. B0이 1로 설정되면 전송 체인 수는 짝수가 된다.
도 18은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각 TX 안테나 IDi 서브필드, 0≤i≤NTX, 여기서 NTX는 TPC 구성 필드 내의 TX DMG 안테나의 개수 서브필드의 값이고, Transmit Power Used 및 Max Transmit Power 서브필드를 식별하는 전송 안테나 ID를 포함한다.
TPC 안테나 구성 필드의 Channel Aggregation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된 경우 첫 번째 NTX/2 TX 안테나 ID, Transmit Power Used 및 Max Transmit Power 서브필드는 프라이머리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에 대한 것이고 나머지 서브필드는 프라이머리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채널에 대한 것입니다.
각각의 Transmit Power Used 서브필드, 0≤i≤NTX, 여기서 NTX는 TPC 구성 필드 내의 TX DMG 안테나의 수 서브필드의 값이고, Link Measurement Request 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전송 안테나의 전송 전력으로 설정된다.
각각의 Max Transmit Poweri 서브필드, 0≤i≤NTX, NTX는 TPC Configuration 필드 내의 TX DMG Antenna의 개수 서브필드의 값이고, 전송 측 STA가 자신의 운용 채널 상에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의 출력에서 측정된 각 전송 안테나의 전송 전력에 대한 상한을 제공한다 Max Transmit Power 필드는 2s 보완 부호가 있는 정수이며 1 옥텟 길이이며 전송 STA이 자신의 운용 채널 상에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의 출력에서 측정한 전송 전력에 대한 dBm 스케일의 상한값을 제공한다. Max Transmit Power 필드에 보고된 값의 최대 허용치는 ± 5dB이다. Max Transmit Power 필드의 값은 STA가 장치 성능, 정책 및 규제 당국에 의해 동작 채널에서 송신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의 최소값과 동일하다.
도 19는 EDMG Measurement Request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9의 EDMG Measurement Request 필드는 상기 도 18의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에서 각 TX 안테나 IDi 서브필드가 빠진 포맷을 가지고, 11ay에서 정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EDMG Measurement Request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하며 Link Measurement Request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Transmit Power Used1...NTX) 및 전송 전력의 상한(Max Transmit Power1...NTX)을 나타낸다.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의 Transmit Power Used 필드 및 Max Transmit Power 필드가 있는 경우 상기 필드는 유보된다.
4.2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
EDMG Link Measurement request frame을 받은 STA는 measurement를 수행한 후 결과에 대해 report frame을 전송해야 한다. 수신한 frame에는 각 antenna별로 ID와 transmit power information이 포함되어 있다. 수신한 후 frame을 measure한다.
Report frame에는 수신 받은 모든 antenna에 대한 measurement 결과가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총 몇 개의 measurement가 수행되었는지 indication해줘야 한다.
그리고 report frame에는 TPC report element가 포함되는데, TPC report element에는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의 transmit power 정보가 있기 때문에 이 report frame이 어떤 TX antenna로 전송되었는지 indication해줘야 한다.
수신 받은 frame 의 각 antenna의 power information field 개수만큼 measurement 결과를 report해줘야 한다. 각 antenna power information field에 대해 measurement results에 포함해야 할 정보는 아래와 같다.
Activity - 기존에 정의된 field로 각 antenna 별로 transmit power를 증가 or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request frame에 대해 각각 report를 해줘야 한다.
EDMG MCS - 각 request frame의 MCS
Link Margin - 각 request frame의 link margin
SNR - 각 request frame의 SNR
또한 EDMG TPC Report Element에는 Report frame을 보낼 때 사용되는 TX Antenna 별로 Antenna ID와 power정보, link margin information이 포함되어 있다. report frame을 보내는 STA는 request frame에 대한 결과인 measurement를 report하는 동시에 report frame을 전송하는 TX Antenna에 대한 antenna ID와 각 antenna의 power 정보, link margin 정보를 전송해줌으로써 TPC를 요청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제안하는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은 다음과 같다.
도 20은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1은 EDMG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0의 Measurement Configuration은 도 21의 Rate Adaptation Control field/TPC field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0의 EDMG Link Measurement field는 도 21의 EDMG TPC field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도 20 및 후술하는 도 22의 N은 도 21에서 정의하는 NTX(TX DMG Antenna의 개수)와 동일하다.
도 21을 참조하면, Rate Adaptation Control/EDMG TPC 필드는 보고된 시공간 스트림의 수(NSTS) 와, 그 요소가 Rate Adaptation 및 TPC에 사용되는 선택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한다.
Parameters Across RX Chains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Rx 체인에 파라미터의 서브필드가 있으면 포함된다.
Parameters across PPDUs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경우, 그것은 PPDU에 걸쳐 파라미터의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Parameters across LDPC Codewords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경우, LDPC 코드 워드에 걸쳐 파라미터의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SC 블록 간 또는 OFDM 심볼 간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경우 SC 블록 또는 OFDM 심볼 전반에 파라미터의 서브필드가 포함된다.
EDMG TPC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경우, 보고된 각 전송 체인의 activity 및 link margin을 포함한다.
도 22는 Measurement Configuration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Number of Measurement 서브필드는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에 의해 요청된 총 측정 수를 나타낸다. 이 필드의 값은 Link Measurement 프레임 내의 TX DMG Antenna의 수의 서브필드의 값과 같다. 이 필드 값이 0보다 크면 DMG Link Margin 요소의 Activity, MCS, link margin 및 SNR 필드가 유보된다.
TPC 안테나 구성 필드의 Channel Aggregation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된 경우, 측정 수 서브 필드의 값은 짝수여야 한다.
도 23은 Rate Adaptation Control field/TPC field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Number of RX chains Reported 필드는 보고되는 RX 체인 엔트리의 수를 나타낸다. 각 엔트리 i는 RX 체인 i에 해당한다. 이 필드의 값이 0보다 크면 DMG Link Margin 요소의 MCS, Link Margin 및 SNR 필드가 유보된다.
Number of TX Chains Reported 서브필드는 보고되는 TX 체인 엔트리의 수를 나타낸다. 각 엔트리 i는 TX 체인 i에 해당한다. 이 필드의 값이 0보다 크면 DMG Link Margin 요소의 MCS, Link Margin 및 SNR 필드가 유보된다.
Number of Space-Time Streams Reported (NSTS) 서브필드는 보고되는 시공간 스트림의 수를 나타낸다. 각 엔트리 i는 시공간 스트림에 해당한다. 이 필드의 값이 0보다 크면 DMG Link Margin 요소의 MCS, Link Margin 및 SNR 필드가 유보된다. non-EDMG STA의 경우, 이 필드는 1로 설정된다.
도 23의 Rate Adaptation Control field/TPC field는 도 22와 달리 Channel Aggregation 서브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24는 EDMG Link Measurement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4를 참조하면, 각 Activityi 서브필드, 0≤i≤N, 여기서 N은 Measurement Configuration 필드 내의 Measurement 서브필드의 수 값이다. 이 요소를 보내는 STA는 RA 필드에 표시된 피어(peer) STA가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전송 STA가 피어 STA에 대한 적절한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은 구현에 따라 다르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에서 정의하는 적절한 동작은 아래 표에 정의된다.
Figure pct00001
각 Link Margini 서브필드, 0≤i≤N, 여기서 N은 Measurement Configuration 필드 내의 Measurement 서브필드 수이다.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RA 필드에 표시된 피어 STA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측정된 Link Margin을 포함하고 데시벨 단위의 2s 보수 부호로 코딩된다. -128의 값은 Link Margin이 제공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25는 EDMG TPC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24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5의 EDMG TPC 필드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만약 존재한다면, 보고된 각 전송 체인의 Activity와 Link Margin을 포함한다. DMG Link Margin 요소가 EDMG TPC 필드를 포함하면, EDMG TPC 필드의 지시자는 1로 설정된다. DMG Link Margin 요소가 EDMG TPC 필드를 포함하지 않으면, EDMG TPC 필드의 지시자는 0으로 설정된다.
도 26은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6을 참조하면, DMG Link Adaptation Acknowledgement 요소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Optional Sub-elements 필드에 포함된다.
Activity 필드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서 권장 활동을 수신 한 후 이 요소를 전송한 STA가 실행한 작업으로 설정된다.
EDMG 활동 필드는 각 안테나의 권장 활동을 수신한 후에 이 요소를 전송하는 STA가 수행한 동작으로 설정된다. 각 안테나의 권장 활동은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의 DMG Link Margin 요소 내의 EDMG Link Measurement 필드에 표시된다.
DMG Link Margin 요소 내의 측정 필드 개수 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설정되면 Activity 필드는 예약되고 EDMG Activity 필드가 존재한다.
Reference Timestamp 필드는 PPP 수신의 종료에 대응하는 MAC이 PHY-CCA.indication (IDLE)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순간에 샘플링 된 TSF 타이머 값의 하위 4 옥텟을 포함한다.
도 27은 EDMG Activity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각 Activityi 부 필드, 0≤i≤N, 여기서 N은 DMG Link Margin 요소 내의 Measurement 서브필드의 수이며 각 안테나의 활동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EDMG TPC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EDMG TPC는 MIMO 빔포밍 링크를 설정한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STA는 TPC Configuration 내의 TX DMG Antenna 서브필드를 0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여 다른 STA가 Link Margin을 보고하는 DMG Link Margin 요소를 포함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하도록 요청하여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각 안테나의 TX DMG Antenna Number 필드가 0으로 설정되면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가 예약된다.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는 각 송신 안테나의 NTX TX Antenna ID, Transmit Power Used 및 Max Transmit Power 필드로 구성된다. NTX의 값은 TPC 구성의 TX DMG 안테나 서브필드에 표시된다.
TPC 구성 내의 TX DMG 안테나 서브필드의 수가 0이 아닌 Link Measurement Request 프레임을 수신한 STA는 DMG Link Margin 요소 내의 Measurement 서브필드의 개수가 0이 아닌 값으로 설정될 때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보내야 한다.
Transmit Power Information 필드는 각 전송 안테나의 NTX TX Antenna ID, Transmit Power Used 및 Max Transmit Power 필드로 구성된다. NTX의 값은 TPC 구성의 TX DMG 안테나 서브필드에 표시된다.
DMG Link Margin 요소 내의 EDMG Link Measurement 필드에는 측정 결과인 N개의 Activity 및 Link Margin 서브필드가 있다.
DMG Link Margin 요소 내의 EDMG TPC 필드는 DMG Link Margin 요소가 포함된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각 전송 안테나의 전송 안테나의 개수 서브필드 및 TX 안테나 ID 및 Transmit Power Used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전송 전력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DMG Link Margin 요소를 포함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수신하는 EDMG STA는 다음 규칙에 따라 동작한다.
- STA가 Link Measurement Report의 EDMG Activity 필드에 표시된 권고 사항을 구현하는 경우, Link Measurement Acknowledgment 필드 내에 EDMG Activity 필드를 포함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을 보내야 한다. 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요소의 EDMG Activity 필드는 수신 된 EDMG Link Measurement의 Activity 필드 값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 STA가 Link Measurement Report의 EDMG Activity 필드에 표시된 권고 사항을 구현하지 않으면, 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요소 내에 EDMG Activity 필드를 포함하는 Link Measurement Report를 보낼 수 있다. 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요소의 EDMG Activity 필드는 STA가 각 안테나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0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 STA는 Link Measurement Report의 수신을 확인한 후 2 × aPPDUMaxTime 이후에 Link 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해서는 안 된다.
EDMG STA은 프레임이 EDMG Activity 필드가 전송 전력의 증가 또는 감소와 동일한 수신된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지 않는다면 Link Measurement Report 프레임에 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요소를 포함해서는 안 된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가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802.11ay 시스템의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11ad 시스템의 DMG TPC 방법으로는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11ad에 정의된 프레임에 정보를 추가하여 효율적인 TPC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용어를 정리하면,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802.11ay 시스템에서 정의된 EDMG(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프레임(또는 EDMG PPDU)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에 포함된 필드 또는 서브필드는 EDMG가 적용될 수 있다.
S2810 단계에서, 제1 STA(station)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제2 STA으로 전송한다.
S2820 단계에서, 상기 제1 STA은 상기 제2 STA으로부터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이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측정 요청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요청 필드는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사용된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레이트 적응 제어(rate adaptation control) 또는 제1 TP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트 적응 제어 또는 제1 TPC 필드는 보고되는 전송 체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2 TPC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TPC 필드는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Activity 서브필드와 Link Margin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에 대해 상기 제1 STA에게 권장하는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는 No change preferred, Change MCS, Decrease transmit power, Increase transmit power, Fast session transfer, Power conserve mode 또는 Perform SLS(Sector Level Sweep)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Link Margin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1 STA에 대해 측정한 링크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No change preferred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De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In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링크 적응 확인 요소(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적응 확인 요소는 Activity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1 STA이 상기 권장 동작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전송 체인의 실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은 2.16+2.16GHz 또는 4.32+4.32GHz일 수 있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가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802.11ay 시스템의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11ad 시스템의 DMG TPC 방법으로는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11ad에 정의된 프레임에 정보를 추가하여 효율적인 TPC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용어를 정리하면,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802.11ay 시스템에서 정의된 EDMG(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프레임(또는 EDMG PPDU)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에 포함된 필드 또는 서브필드는 EDMG가 적용될 수 있다.
S2910 단계에서, 제1 STA(station)은 제2 STA으로부터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
S2920 단계에서, 상기 제1 STA은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상기 제2 STA으로 전송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이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측정 요청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요청 필드는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사용된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레이트 적응 제어(rate adaptation control) 또는 제1 TP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트 적응 제어 또는 제1 TPC 필드는 보고되는 전송 체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2 TPC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TPC 필드는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Activity 서브필드와 Link Margin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에 대해 상기 제1 STA에게 권장하는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는 No change preferred, Change MCS, Decrease transmit power, Increase transmit power, Fast session transfer, Power conserve mode 또는 Perform SLS(Sector Level Sweep)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Link Margin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1 STA에 대해 측정한 링크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No change preferred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De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In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링크 적응 확인 요소(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적응 확인 요소는 Activity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1 STA이 상기 권장 동작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전송 체인의 실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은 2.16+2.16GHz 또는 4.32+4.32GHz일 수 있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MIMO 및 채널 어그리게이션 상황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용어를 정리하면, 제1 STA은 TPC를 요청하고 조정하는 개시자(initiator, 100)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STA은 요청된 정보를 보고하는 응답자(responder, 150)에 대응할 수 있다.
S3010 단계에서, 제1 STA(station)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제2 STA으로 전송한다.
S3020 단계에서, 제1 STA은 제2 STA으로부터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한다.
S3030 단계에서, 제1 STA과 제2 STA은 상기 링크 측정 요청 및 보고 프레임을 기반으로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이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측정 요청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요청 필드는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사용된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레이트 적응 제어(rate adaptation control) 또는 제1 TP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트 적응 제어 또는 제1 TPC 필드는 보고되는 전송 체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2 TPC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TPC 필드는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Activity 서브필드와 Link Margin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에 대해 상기 제1 STA에게 권장하는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는 No change preferred, Change MCS, Decrease transmit power, Increase transmit power, Fast session transfer, Power conserve mode 또는 Perform SLS(Sector Level Sweep)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Link Margin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1 STA에 대해 측정한 링크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No change preferred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De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In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링크 적응 확인 요소(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적응 확인 요소는 Activity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1 STA이 상기 권장 동작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전송 체인의 실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은 2.16+2.16GHz 또는 4.32+4.32GHz일 수 있다.
5. 장치 구성
도 31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의 무선 장치(100)은 상술한 설명에서 설명한 신호를 전송하는 개시자 STA, 그리고 무선 장치(150)은 상술한 설명에서 설명한 신호를 수신하는 응답자 STA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각 스테이션은 11ay 단말 또는 PCP/AP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개시자 STA은 송신 장치 (100)라 명명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응답자 STA은 수신 장치 (150)라 명명한다.
송신 장치 (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송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 장치 (150)는 프로세서(160), 메모리(170) 및 송수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 180)은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고, IEEE 802.11/3GPP 등의 물리적 계층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 160)은 물리 계층 및/또는 MAC 계층에서 실행되고, 송수신부(130, 180)와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서(110, 160) 및/또는 송수신부(130, 180)는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 170)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기술한 방법은 상기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프로세스, 기능)로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메모리(120, 17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10, 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 170)는 상기 프로세스(110, 16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잘 알려진 수단으로 상기 프로세스(110, 1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 16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 160)는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 장치의 프로세서(110)의 동작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송신 장치의 프로세서(110)는 TPC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한다.
수신 장치의 프로세서(160)의 동작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수신 장치의 프로세서(160)는 TPC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보다 상세한 무선장치를 나타낸다. 송신장치 또는 수신장치에 대해 전술한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장치는 프로세서(610), 전력 관리 모듈(611), 배터리(612), 디스플레이(613), 키패드(614),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615), 메모리(620), 송수신부(630), 하나 이상의 안테나(631), 스피커(640) 및 마이크(641)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 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6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의 예는 Qualcomm®에 의해 제조된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 의해 제조된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 의해 제조된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 의해 제조된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 의해 제조된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611)은 프로세서(610) 및/또는 송수신부(630)에 대한 전력을 관리한다. 배터리(612)는 전력 관리 모듈(611)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613)는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키패드(614)는 프로세서(610)에 의해 사용될 입력을 수신한다. 키패드(614)는 디스플레이(613) 상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615)는 휴대 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그와 관련된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집적 회로이다.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6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6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컨대,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62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61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630)는 프로세서(6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630)는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부(63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테나(631)을 제어한다.
스피커(640)는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된 소리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641)는 프로세서(610)에 의해 사용될 소리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송신 장치의 경우, 상기 프로세서(610)는 TPC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한다.
수신 장치의 경우, 상기 프로세서(610)는 수신 장치의 프로세서(160)는 TPC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전송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 및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이다.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측정 요청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요청 필드는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사용된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레이트 적응 제어(rate adaptation control) 또는 제1 TPC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트 적응 제어 또는 제1 TPC 필드는 보고되는 전송 체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2 TPC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TPC 필드는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Activity 서브필드와 Link Margin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에 대해 상기 제1 STA에게 권장하는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는 No change preferred, Change MCS, Decrease transmit power, Increase transmit power, Fast session transfer, Power conserve mode 또는 Perform SLS(Sector Level Sweep)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Link Margin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1 STA에 대해 측정한 링크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No change preferred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De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In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링크 적응 확인 요소(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적응 확인 요소는 Activity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1 STA이 상기 권장 동작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전송 체인의 실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은 2.16+2.16GHz 또는 4.32+4.32GHz일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STA(station)이,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제2 STA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STA이, 상기 제2 STA으로부터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측정 요청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요청 필드는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사용된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레이트 적응 제어(rate adaptation control) 또는 제1 TPC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트 적응 제어 또는 제1 TPC 필드는 보고되는 전송 체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2 TPC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TPC 필드는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Activity 서브필드와 Link Margin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에 대해 상기 제1 STA에게 권장하는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는 No change preferred, Change MCS, Decrease transmit power, Increase transmit power, Fast session transfer, Power conserve mode 또는 Perform SLS(Sector Level Sweep) 중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Link Margin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1 STA에 대해 측정한 링크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No change preferred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De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In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제1 STA은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링크 적응 확인 요소(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적응 확인 요소는 Activity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1 STA이 상기 권장 동작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전송 체인의 실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은 2.16+2.16GHz 또는 4.32+4.32GHz인
    방법.
  8.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station)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다른 STA 장치로 전송하고; 및
    상기 다른 STA 장치로부터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인
    STA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측정 요청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요청 필드는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사용된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서브필드는 상기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TA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레이트 적응 제어(rate adaptation control) 또는 제1 TPC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트 적응 제어 또는 제1 TPC 필드는 보고되는 전송 체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TA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2 TPC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TPC 필드는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 각각에 대한 Activity 서브필드와 Link Margin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보고되는 전송 체인에 대해 상기 제1 STA에게 권장하는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는 No change preferred, Change MCS, Decrease transmit power, Increase transmit power, Fast session transfer, Power conserve mode 또는 Perform SLS(Sector Level Sweep) 중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Link Margin 서브필드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1 STA에 대해 측정한 링크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TA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No change preferred로 결정되면, 상기 STA 장치는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De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STA 장치는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권장 동작에 대한 정보가 Increase transmit power로 결정되면, 상기 STA 장치는 상기 전송 체인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STA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링크 적응 확인 요소(Link Adaptation Acknowledgment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적응 확인 요소는 Activity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ctivity 서브필드는 상기 STA 장치가 상기 권장 동작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전송 체인의 실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TA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은 2.16+2.16GHz 또는 4.32+4.32GHz인
    STA 장치.
  15.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STA(station)이, 제2 STA으로부터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요청하는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STA이,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상기 제2 STA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은 TPC 구성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TPC 구성 필드는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채널 어그리게이션(channel aggregation)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필드는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체인(Transmit chai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링크 측정 요청 프레임이 상기 채널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상기 전송 체인의 수는 짝수인
    방법.
KR1020197016927A 2018-06-27 2019-04-10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6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4261 2018-06-27
KR1020180074261 2018-06-27
KR20180074545 2018-06-28
KR1020180074545 2018-06-28
KR20180074846 2018-06-28
KR1020180074846 2018-06-28
KR20180076885 2018-07-03
KR1020180076885 2018-07-03
KR1020180076883 2018-07-03
KR20180076883 2018-07-03
KR1020180078066 2018-07-05
KR20180078066 2018-07-05
PCT/KR2019/004246 WO2020004782A1 (ko) 2018-06-27 2019-04-10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80A true KR20200002780A (ko) 2020-01-08
KR102206399B1 KR102206399B1 (ko) 2021-01-22

Family

ID=6898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927A KR102206399B1 (ko) 2018-06-27 2019-04-10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63377B2 (ko)
EP (1) EP3614752B1 (ko)
JP (1) JP6838177B2 (ko)
KR (1) KR102206399B1 (ko)
CN (1) CN110870358B (ko)
MX (1) MX2019014562A (ko)
WO (1) WO2020004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3335B2 (ja) 2017-06-16 2022-03-2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0925007B2 (en) 2018-11-02 2021-02-16 Apple Inc. Dynamic power reduction reques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3169191A1 (zh) * 2022-03-11 2023-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3197090A1 (en) * 2022-04-11 2023-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Edmg multi-static sensing sounding ppdu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9700A1 (en) * 2012-11-02 2015-11-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procedure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9479958B2 (en) * 2012-07-26 2016-10-25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link measure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20170054470A1 (en) * 2015-08-21 2017-02-23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antenna switch diversity (asdiv) in carrier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8982B2 (en) 2003-07-16 2005-10-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mobile station physical measurements and MAC performance statistics in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of an access point
KR100603561B1 (ko) 2004-04-16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제어 기반 무선랜 시스템 및 그 송신 전력 제어방법
JP2008042451A (ja) * 2006-08-04 2008-02-21 Nec Corp 無線lan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ポリシコントロール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負荷制御方法
WO2011132837A1 (en) * 2010-04-19 2011-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asurement report fram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JP5703384B2 (ja) * 2010-11-12 2015-04-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チャネルアグリゲーションおよび媒体アクセス制御再送信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20182893A1 (en) * 2011-01-17 2012-07-19 Solomon Traini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4189321A1 (ko) 2013-05-23 2014-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시스템 간의 인터워킹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107340B1 (en) * 2014-02-10 2019-06-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998184B2 (en) * 2015-03-28 2018-06-12 Intel Corporation Exploratory beamforming training techniques for 60 GHz devices
US10333669B2 (en) * 2016-03-02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ngle channel, bonded channel, and MIMO OFDM frames with fields to facilitate AGC, timing, and channel estimation
CN106658573B (zh) * 2017-01-10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的发射功率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20180227734A1 (en) * 2017-02-07 2018-08-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communications using channel aggregation
US10638493B2 (en) * 2017-12-08 2020-04-28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eam refinement protocol (BRP)
US10757756B2 (en) * 2018-02-26 2020-08-25 Intel IP Corporation Management frames for rate adaptation by 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EDMG) stations in millimeter wave (mmWave) networks
US11039402B2 (en) * 2018-06-08 2021-06-15 Intel Corporation Transmit power control
US11729649B2 (en) * 2018-06-15 2023-08-15 Intel Corporation Periodic unsolicited wireless link measurement repo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9958B2 (en) * 2012-07-26 2016-10-25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link measure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20150319700A1 (en) * 2012-11-02 2015-11-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procedure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170054470A1 (en) * 2015-08-21 2017-02-23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antenna switch diversity (asdiv) in carrier aggre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4782A1 (ko) 2020-01-02
JP2020529146A (ja) 2020-10-01
JP6838177B2 (ja) 2021-03-03
EP3614752A4 (en) 2020-03-04
EP3614752A1 (en) 2020-02-26
US10863377B2 (en) 2020-12-08
KR102206399B1 (ko) 2021-01-22
EP3614752B1 (en) 2021-11-17
CN110870358A (zh) 2020-03-06
MX2019014562A (es) 2020-02-07
US20200008089A1 (en) 2020-01-02
CN110870358B (zh)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283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639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7576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123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9154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on basis of multiple channelized channels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US11265874B2 (en) Beamforming training
KR10218262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8398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38217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152854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06962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ps 모드를 기반으로 신호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221274B2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mu-mimoビームフォーミングトレーニングを行う方法、mu-mimoビームフォーミングトレーニングを支援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90039146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ack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10176009A1 (en) Method for receiving ack frame in w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