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69U -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669U
KR20200002669U KR2020190002221U KR20190002221U KR20200002669U KR 20200002669 U KR20200002669 U KR 20200002669U KR 2020190002221 U KR2020190002221 U KR 2020190002221U KR 20190002221 U KR20190002221 U KR 20190002221U KR 20200002669 U KR20200002669 U KR 202000026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rradiation apparatus
laser irradiation
housing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184Y1 (ko
Inventor
김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에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에스엘티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에스엘티디
Priority to KR2020190002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8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59Female reproductive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553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with special lens or reflector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5Optical elements at the distal end of probe tips
    • A61B2018/2272Optical elements at the distal end of probe tips with reflective or refractive surfaces for deflecting the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11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 A61N2005/06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본체; 산기 본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축방향으로 레이저를 가이드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를 반경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본체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되는 직선 운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유닛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회전 운동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레이저 시술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AUTOMATED APPARATUS FOR IRRADIATING LASER}
본 고안은 치료를 위해 여성의 질 등에 삽입되어 레이저를 조사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기들의 발달에 따라, 의료분야에서 첨단의 레이저 기기들이 각종 질병의 치료 및 각종 피부 시술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레이저의 활용 방식 중 프랙셔널 레이저를 이용한 시술은, 단일의 레이저 펄스를 분할하여 생성되는 미세 레이저를 피부에 넓게 조사하고, 레이저가 침투된 조직의 섬유아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콜라겐의 재생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를 재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여성의 질 성형수술, 요실금 수술 등에 프랙셔널 레이저를 활용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가이드부 및 하우징에 의해 질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고, 내부의 삽입부를 착탈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였다.
다만, 특허문헌 1은 시술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수동으로 시술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시술 시에는, 시술자가 지속적으로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시술자의 정교한 조작 및 집중 정도가 피시술자의 시술에 대한 만족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고, 조작의 어려움으로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06819 B1 (2014.06.05. 등록)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체내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및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체내에서 회전되는 동작을 최소화하면서 레이저를 넓게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본체; 산기 본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축방향으로 레이저를 가이드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를 반경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본체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되는 직선 운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유닛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회전 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봉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경통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경통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홀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기설정된 거리의 슬라이딩에 대해 상기 가이드 유닛을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직선 운동부 및 회전 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설정된 거리, 상기 기설정된 각도 및 상기 기설정된 거리에 대한 상기 기설정된 각도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경통부의 중심축의 연장선 상에 꼭지점이 위치되는 다각뿔 또는 원뿔 형상의 반사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경통부를 통과하는 레이저를 방사상으로 분지시키도록 상기 꼭지점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경통부를 통과하는 레이저를 상기 반경 방향 중 복수의 방향으로 분지시키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해결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는, 베이스부에 대한 본체의 이동에 의해 체내에 삽입되도록 직선 운동되고, 가이드 유닛의 회전에 의해 체내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및 가이드 유닛의 이동이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어, 레이저 조사 위치가 정확하게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의 정확성 및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는 반사부가 레이저를 반경 방향 중 복수의 방향으로 분지시킴으로써, 레이저를 동시에 방사상으로 넓게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시점에 체내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영역이 크게 확대되며, 하우징 및 가이드 유닛이 체내에 머무르는 시술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의 외관 및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의 가이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중간에 다른 부분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는 여성의 질 등의 체내에 삽입되어 질 내벽 등 피부의 일정 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의 외관 및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유닛(12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가이드 유닛(120), 하우징(130) 및 본체(1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고정된 지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에 본체(140)가 안착될 수 있다. 본체(14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본체(140)의 일 측에는 하우징(130)이 연결되고, 타 측에는 레이저 발진부(150)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40) 내부에는 본체(140) 자체와 본체(140)에 연결되는 가이드 유닛(120)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우징(130)은 본체(140)의 일 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하우징(130)은 내부에 가이드 유닛(120)을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고, 체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유닛(120)이 회전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30)은 복수의 연결봉(131)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봉(131)은 일 방향(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연결봉(131)이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봉(13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됨으로써, 내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가이드 유닛(120)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봉(131)에 의해 내부 공간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 유닛(1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조사되는 레이저는 하우징(13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의 가이드 유닛(120)은 조사되는 레이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40)의 타 측에 연결되는 레이저 발진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는 본체(140) 내부를 통과하여 하우징(130) 내부의 가이드 유닛(120)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유닛(120)은 경통부(121) 및 반사부(122)를 포함한다. 경통부(121)는 하우징(130)에 지지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통부(121)의 내부에는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레이저 발진부(150) 및 본체(140)를 거쳐 조사되는 레이저가 중공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가이드 유닛(120)에 구비되는 반사부(122)는 경통부(121)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반사부(122)는 경통부(121)를 통과한 레이저를 반사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보인 것과 같이, 경통부(121)를 통해 축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는, 축방향 및 반경 방향에 대해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반사면(R)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고, 하우징(130)의 연결봉(131) 사이로 조사되어 체내의 피부 내벽에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를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반사면(R)의 표면 및 재질을 별도로 설계하는 경우, 반사부(122)는 반사 부재(122a)를 포함할 수 있고, 반사 부재(122a)는 경통부(121)와는 다른 재질의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부(122)는 반사면(R)이 경통부(121)를 향하여 배치되는 반사 부재(122a)를 지지하는 홀더 부분(122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홀더 부분(122b)은 경통부(121)와 일체를 이루어 경통부(121)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링 형상으로 반사 부재(122a)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구비되는 본체(140)는 가이드 유닛(120)에 의한 레이저의 조사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40)는 구동부(141), 직선 운동부(142) 및 회전 운동부(143)를 포함한다.
구동부(141)는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141)는 외부 또는 내장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 운동부(142)는 구동부(141)의 동력에 의해 본체(140)를 베이스부(110)에 대해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된다. 직선 운동부(142)에 의해 본체(140)가 이동될 수 있고, 본체(140)는 레이저가 경통부(121)를 통하여 조사되는 방향인 축방향과 나란하게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40)의 왕복 운동 시 하우징(130) 및 가이드 유닛(120)이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반사부(122)의 위치 또한 축방향으로 변화됨으로써, 체내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점이 축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선 운동부(142)는 구동부(141)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선 운동부(142)는 본체(140)의 하면에서 회전되는 피니언(pinion)과,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피니언이 맞물려 이동되는 랙(rack)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운동부(143)는 구동부(141)의 동력에 의해 가이드 유닛(120)을 하우징(130)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유닛(120)의 회전 시 본체(140) 및 하우징(130)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 유닛(120)의 회전에 의해, 반사부(122)의 반사면(R)이 향하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고,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점이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운동부(143)는 구동부(141)와 가이드 유닛(120)을 서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운동부(143)는 가이드 유닛(120)의 경통부(1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와, 경통부(1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구동부(1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유닛(120) 및 반사부(122)는 경통부(121)를 통하여 레이저가 조사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의 본체(140)는 제어부(144) 및 조작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4)는 앞서 설명한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서로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4)는 본체(140)의 기설정된 거리의 슬라이딩에 대해 가이드 유닛(120)을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직선 운동부(142) 및 회전 운동부(143)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4)에 의해, 직선 운동부(142)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본체(140)를 슬라이딩시켜 정지시킨 후 회전 운동부(143)가 기설정된 각도만큼 가이드 유닛(120)을 회전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145)는 시술자 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145)는 본체(140)의 상면 또는 후면 등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는 조작부(145)에 의해 작동을 개시/정지하는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직선 운동부(142)에 의해 본체(140)가 슬라이딩되는 기설정된 거리, 또는 회전 운동부(143)에 의해 가이드 유닛(120)이 회전되는 기설정된 각도가 세팅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거리의 직선 운동에 대한 기설정된 각도의 회전 운동 각도의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는, 베이스부(110)에 대한 본체(140)의 이동에 의해 체내에 삽입되도록 직선 운동되고, 가이드 유닛(120)의 회전에 의해 체내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가 회전됨으로써, 하우징(130) 및 가이드 유닛(120)의 직선 및 회전이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내에 삽입된 반사부(122)의 위치가 동력에 의해 정확하게 가변될 수 있다. 나아가, 시술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를 고정시켜 두고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 정확성 및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의 가이드 유닛(22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더 참조하여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시술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유닛(220)에 포함되는 반사부(122)는 축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경통부(121)의 반경 방향 중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122)는 레이저를 반경 방향 중 서로 반대인 두 방향으로 분지시키거나, 혹은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네 방향으로 분지시키거나, 혹은 원주 방향으로 45도 간격으로 여덟 개의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방향으로의 반사 및 분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반사부(122)에 구비되는 반사 부재(222a)는 다각뿔 또는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꼭지점은 경통부(121)를 통과하는 레이저의 경로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 부재(222a)의 꼭지점은 경통부(121)의 중심축의 연장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 부재(222a)는 꼭지점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반사면(R)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 부재(222a)가 다각뿔인 경우, 반사면(R)은 꼭지점을 공유하여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삼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사 부재(222a)가 원뿔인 경우, 반사면(R)은 원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R)은 중심축 방향 및 반경 방향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의 경사를 가져, 중심축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방사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반사 부재(222a)는 팔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8개의 반사면(R)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유닛(120)을 구성하는 반사부(122)가 레이저를 서로 다른 방향 또는 방사상으로 분지 및 가이드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100)는 가이드 유닛(120)의 반경 방향 중 복수의 방향 또는 방사상으로 동시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내의 넓은 부위를 동시에 시술할 수 있고, 가이드 유닛(120)을 회전시켜야 하는 각도가 작아져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시 하우징(130)을 포함하는 기구물이 체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효율적인 시술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 안전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110: 베이스부
120, 220: 가이드 유닛
121: 경통부
122: 반사부
122a, 222a: 반사 부재
122b: 홀더 부분
130: 하우징
131: 연결봉
140: 본체
141: 구동부
142: 직선 운동부
143: 회전 운동부
144: 제어부
145: 조작부
150: 레이저 발진부

Claims (7)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본체;
    산기 본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축방향으로 레이저를 가이드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를 반경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본체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되는 직선 운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유닛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회전 운동부를 포함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봉을 구비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경통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경통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홀더 부분을 포함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기설정된 거리의 슬라이딩에 대해 상기 가이드 유닛을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직선 운동부 및 회전 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기설정된 거리, 상기 기설정된 각도 및 상기 기설정된 거리에 대한 상기 기설정된 각도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경통부의 중심축의 연장선 상에 꼭지점이 위치되는 다각뿔 또는 원뿔 형상의 반사 부재를 구비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경통부를 통과하는 레이저를 방사상으로 분지시키도록 상기 꼭지점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경통부를 통과하는 레이저를 상기 반경 방향 중 복수의 방향으로 분지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KR2020190002221U 2019-05-30 2019-05-30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KR200494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21U KR200494184Y1 (ko) 2019-05-30 2019-05-30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21U KR200494184Y1 (ko) 2019-05-30 2019-05-30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69U true KR20200002669U (ko) 2020-12-09
KR200494184Y1 KR200494184Y1 (ko) 2021-08-24

Family

ID=7378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21U KR200494184Y1 (ko) 2019-05-30 2019-05-30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8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819B1 (ko) 2013-05-08 2014-06-17 주식회사 센바이텍 레이저 조사기
KR20160051730A (ko) * 2013-08-01 2016-05-11 엘.엔. 에스.피. 에이. 질관 또는 기타 천연 또는 수술적으로 얻어진 구멍을 치료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관련된 장치
KR20160146079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질 수술용 레이저조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819B1 (ko) 2013-05-08 2014-06-17 주식회사 센바이텍 레이저 조사기
KR20160051730A (ko) * 2013-08-01 2016-05-11 엘.엔. 에스.피. 에이. 질관 또는 기타 천연 또는 수술적으로 얻어진 구멍을 치료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관련된 장치
KR20160146079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질 수술용 레이저조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184Y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515B2 (en) Pneumatically driven ophthalmic scanning endoprobe
US45386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ataractous lens tissue by laser radiation
RU26445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вагинального канала или других естественных или полученных хирургическим путем отверстий и относящаяся к нему система
US20130158393A1 (en) Concentric Drive Scanning Probe
JPH038221B2 (ko)
EP2635227B1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illumination using common light source
KR101700334B1 (ko) 초음파 카트리지 및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수술기
CA2932013C (en) Forward scanning-optical probes, circular scan patterns, offset fibers
JP2002507461A (ja) 眼科顕微手術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照明装置
US7493155B2 (en) Non-invasive medical treatment installation
JP3754562B2 (ja) エネルギー照射装置
JP2002017877A (ja) 医療用エネルギー照射装置
EP0625271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ASER RADIATION.
KR200494184Y1 (ko) 자동형 레이저 조사 장치
CN205698218U (zh) 多点扫描光凝仪
EP2682158B1 (en) Handpiece for laser treatment device
JP3773050B2 (ja) 医療処置用の生体組織支持装置
KR101559927B1 (ko) 체내 삽입용 레이저 조사 장치
US20220226665A1 (en) Light therapy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65196B1 (ko) 레이저 조사 장치
KR101585712B1 (ko) 의료용 레이저 핸드피스 프로브
CN220237582U (zh) 一种光纤鞘管
KR20160146079A (ko) 질 수술용 레이저조사기
JP2003319947A (ja) レーザ治療装置
CN116899109A (zh) 一种适用于光治疗的光路调节系统及其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