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17U - 척추견인기 - Google Patents
척추견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317U KR20200002317U KR2020190001516U KR20190001516U KR20200002317U KR 20200002317 U KR20200002317 U KR 20200002317U KR 2020190001516 U KR2020190001516 U KR 2020190001516U KR 20190001516 U KR20190001516 U KR 20190001516U KR 20200002317 U KR20200002317 U KR 2020000231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 fixing
- spine
- lever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9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50296 Intervertebral disc protr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618 Intervertebral Disc Displac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9 pelvic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머리받침대가 상부에 고정결합된 고정대의 하부로 다리고정부를 구비한 가동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머리받침대에 머리를 대고 상기 다리고정부에 다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고정대에 누운 사용자가 작동부재의 레버를 수동작동하여 고정대에 대해 다리고정부가 설치된 가동대를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고정대의 양측면 고정패널 및 가동대의 가동패널에 서로 연결작동하도록 구성한 척추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척추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머리받침대가 상부에 고정결합된 고정대의 하부로 다리고정부를 구비한 가동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머리받침대에 머리를 대고 상기 다리고정부에 다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고정대에 누운 사용자가 작동부재의 레버를 수동작동하여 고정대에 대해 다리고정부가 설치된 가동대를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고정대의 양측면 고정패널 및 가동대의 가동패널에 서로 연결작동하도록 구성한 척추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목(경추) 8개, 등(흉추) 5개, 천추와 꼬리뼈(미추)로 이루어져있고, 척추와 척추 사이에는 추간판이 있어서 척추를 지탱하고 있다. 상기 추간판은 둥근 구조의 섬유륜과 그 중심부에 있는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륜의 바깥쪽은 인대로 덮혀 있는데, 위에 있는 뼈와 아래에 있는 뼈 사이에 끼어 밀봉되어 있다.
관련업계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인구의 80% 정도는 일생동안 한번 이상 요통으로 고생하고, 그중 7-10% 는 만성요통으로 고생하며, 1% 는 요통으로 신체장애를 갖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요통은 대부분 요추추간판탈출증이라고 하는 것인데, 흔히 디스크라고 부른다.
상기 요추추간판탈출증은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노화되거나, 급작스러운 하중 부담으로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신경을 눌러 통증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추간판탈출증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물리치료를 통해 치료를 하게 된다. 상기 물리치료는 견인치료방법인데 종래에는 환자의 가슴부위를 포함한 상체를 침대에 고정시키고, 도르레를 이용하여 다리에 무거운 추를 매달아 중력식으로 골반을 끌어당겨서 척추를 신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를 가정에서도 손쉽게 견인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 척추견인기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16141호에 등록되어 실시 되어지고 있다.
상기 종래의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척추견인기는 인체의 갈비뼈부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인체의 골반뼈부에 고정되는 가동대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고, 척추의 강제 신장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대의 전후진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를 전후진시키는 가동장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가동장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가동대의 전후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동대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모터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견인기는 모터로 작동되므로 모터의 작동에 대해서는 사람의 신체형태와 신체유형에 따라서 차별화된 힘을 전달할 수 없고, 일정시간 척추를 견인한 후에 모터의 전원을 끄면 더이상 힘을 전달하지 않아서 견인치료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사용하는 장소가 제한적이며, 모터가 쉽게 고장이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척추견인기는 인체구조가 누웠을 때 엉덩이가 상체보다 아랫쪽으로 튀어나온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송판과 고정판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오랜 시간동안 치료를 하면 척추의 일부분이 엉덩이의 튀어나온 부분에 의해 들리게 되어 환자가 불편함을 느낄 뿐만아니라, 치료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척추를 견인한 후에 실린더의 압력을 일정시간 유지하게 되면 추간판이 복원되는 치료가 이루어지지만, 시간에 지남에 따라 인체의 세포들이 다소 신장되어 상기 치료효과가 경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굽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한 체, 전기사용 없이 사용자 스스로 작동수단의 레버를 조작하여 본인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척추를 견인시킬 수 있는 척추견인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범용으로 제작되는 척추견인기라 할지라도 연장수단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척추를 견인시킬 수 있는 척추견인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척추견인기는 사용자의 몸통이 눕혀지는 고정대의 상부에는 머리가 놓이는 머리받침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설치된 가동레일을 따라 다리고정부를 구비한 가동대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손잡이에 레버가 구비된 결합판을 상기 고정대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된 고정패널에 설치하고, 상기 가동대에 폭방향으로 구비된 가동패널에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타단은 탄성스프링을 개입시켜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설치하여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가능한 푸셔를 갖는 작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의 수동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대가 상기 가동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대로부터 전진함으로써 상기 다리고정부를 전진시켜 척추를 견인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외관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가동패널에 고정설치되고, 타단부가 개방단으로 상기 고정패널 상에 고정설치되는 연장외관; 상기 외관공에 대응하는 삽관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연장외관의 타단 개방단을 통해 진출입 가능하고, 타단부의 단에는 상기 푸셔의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연장내봉; 및 정렬된 특정 상기 외관공 및 삽관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외관 및 연장내봉을 고정시키는 고정핀; 으로 이루어지는 연장수단이 더 포함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상기 가동대에 고정설치된 상기 다리고정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의 손잡이 또는 레버 중 어느 한쪽에는 힌지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개되어 고정 가능한 미세조절팁이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가동범위를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대의 가동범위가 미세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척추견인기에서는 사용자가 고정대에 누워 다리고정부가 설치된 가동대를 상기 고정대의 양측에 설치된 작동수단의 레버를 수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대를 밀어낼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적정한 수준에서 척추를 견인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에는 레버의 가동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팁을 구비하여 레버의 동작을 세밀하게 조절함으로써, 가동대의 밀림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대에 설치된 작동수단과 가동대에 설치된 가동패널의 연결부분에 상기 고정대와 가동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장수단을 개입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적합하도록 척추견인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척추견인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체사진.
도 2는 도 1의 하부부분 저면 사진.
도 3은 본 고안 척추견인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사진.
도 4는 본 고안 작동부재의 구성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 연장수단의 구성 개략도.
도 6은 오금받침대에 설치된 래칫부의 구성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하부부분 저면 사진.
도 3은 본 고안 척추견인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사진.
도 4는 본 고안 작동부재의 구성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 연장수단의 구성 개략도.
도 6은 오금받침대에 설치된 래칫부의 구성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침대 형태의 척추견인기에 사용자가 누워서 척추를 견인하는 장치로,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키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이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폭방향으로 함과 함께, 머리쪽을 상부로, 다리쪽을 하부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척추견인기는 머리받침대(10)가 상부에 고정결합된 고정대(20)의 하부로 다리고정부(30)를 구비한 가동대(4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머리받침대(10)에 머리를 대고 상기 다리고정부(30)에 다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고정대(20)에 누운 사용자가 레버(53)를 수동작동하여 상기 고정대(20)에 대해 상기 다리고정부(30)가 설치된 가동대(40)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50)를 상기 고정대(20)의 양측면 고정패널(26) 및 가동대(40)의 가동패널(45)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머리받침대(10)와 상기 고정대(20)는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침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20)의 직사각 고정프레임(21)의 상단 고정프레임에 상기 머리받침대(10)의 사각프레임이 일체로 용접결합되어 구성되고,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전체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 모서리 부근에는 이 전체 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떠받치는 지지다리가 설치되고 각 지지다리의 바닥면에는 캐스터를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당연하게도 상기 고정대(20)의 직사각 고정프레임(21)은 사용자의 키방향인 길이방향이 장변이고, 폭방향이 단변이다.
또한, 상기 머리받침대(10) 및 고정대(20)의 상면에는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판(11,22)이 고정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머리받침대(10)의 상판(11)은, 상기 고정대(20)의 상단 고정프레임(21)과의 결합단에서 맞은 편 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상승하는 경사각을 이루는 양측의 경사부(11a)와, 경사각을 형성하지 않는 중앙의 평탄부(11b)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11a)에는 후술할 작동부재(50')가 설치되는바, 이 작동부재(50')가 설치되는 양측에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11a)를 구성함으로써, 누운 상태인 사용자가 머리쪽 방향으로 손을 뻗어 상기 작동부재(50')를 작동함에 있어 팔과 어깨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11b)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평탄부(11b)상에는 양측으로 헤드레일(12)이 설치되고, 이 헤드레일(12)을 따라 베개(13)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상기 베개(1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개(13)에는 머리를 고정시키는 머리고정끈(14)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개(13)의 양측면에는 베개고정바(15)가 고정설치되며, 이 베개고정바(15)의 상단부는 상단연결바(16)로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단연결바(16)에는 상기 베개(13)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50')인 푸셔(54)의 일단이 체결수단인 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54)의 타단은 탄성스프링(55)을 개입하여 상기 고정대(20)의 고정프레임(21)에 근접하는 상기 경사부(11a)의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50')의 레버(53)를 당기면, 로드 형상의 푸셔(54)가 상단연결바(16)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푸셔(54)의 타단에 연결된 탄성스프링(55)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푸셔(54)가 상단연결바(16)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단연결바(16)에 베개고정바(15)를 통해 고정된 베개(13)가 헤드레일(1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의 머리는 머리고정끈(14)으로 베개(1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베개(13)가 헤드레일(1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목뼈가 견인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머리받침대(10)에 설치되는 작동부재(50')는 상기 고정대(20)와 가동대(40)에 설치되는 작동부재(50)와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및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작동부재(50,50')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병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대(20)의 고정프레임(21) 중 길이방향인 장변 양쪽에 배치되는 좌·우 고정프레임(21)의 외향면 상부에는 각각 고정패널(26)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패널(26)은 'ㄴ'자 형태의 패널로 형성되며, 수직판이 상기 좌·우 고정프레임(21)의 상부 외향면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ㄴ'자 형태의 수평판은 사용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단부가 곡면으로 말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수평판 위에 상기 작동부재(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20)의 고정프레임(21) 중 길이방향인 장변 양쪽에 배치되는 좌·우 고정프레임(21)의 내향면 하부에는 각각 가동레일(25)이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가동레일(25)을 따라 가동대(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가동대(40)의 길이방향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가동패널(45)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패널(45)은 가동대(40)의 길이방향 가동프레임(41)인 양쪽 장변을 지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돌출단 형태로 돌출형성되는바, 이 돌출된 가동패널(45)의 돌출단 부분은 상기 고정패널(26)의 수평판에 대응하여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20)의 판체 중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는데, 중앙에는 중앙장공(2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중앙장공(24)의 양쪽으로 측편장공(23)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상기 중앙장공(24) 및 측편장공(23)은 상기 다리고정부(30)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다리고정부(30)는 오금받침대(31)와 발목받침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와 같이 오금받침대(31)와 발목받침대(33)가 모두 다리고정부(30)가 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도 3처럼 발목받침대(33)만이 다리고정부(30)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대(40)는 직사각 가동프레임(41)으로, 이 가동프레임(41)의 길이방향 외향면에 구비된 레일수단이 상기 가동레일(25)과 결합하여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가동프레임(41)의 단변 중 하방 단변 가동프레임(41)에 이르기까지 이들을 연결하는 길이방향의 길이바(43)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가동대(40)의 폭바(42) 양측에는 이 폭바(42)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측편장공(23)을 관통하는 고정봉(32)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고정봉(32)의 단부에 삼각형태의 받침대인 오금받침대(31)가 고정결합된다. 상기 오금받침대(31)의 외면에는 바람직하게 쿠션재가 형성되고,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벨트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대(40)의 길이바(43) 중간부에는 이 길이바(43)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장공(24)을 관통하는 고정바(34)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고정바(34)의 단부에 봉형태의 발목받침대(33)가 고정결합된다. 상기 발목받침대(33)의 외면에는 바람직하게 쿠션재가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발목받침대(33) 및 상기 고정바(34)는 상기 길이바(43)에서 분리가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길이바(43)에서 분리된 발목받침대(33)는 고정바(34)를 상기 가동프레임(41)의 하단부에 위치한 지지다리의 사이에 설치된 보조바(44)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목받침대(33)를 상기 보조바(44)에 설치하면 도 3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길이바(43)에서 분리된 발목받침대(33)의 고정바(34)가 상기 보조바(44)에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오금받침대(31)를 제거한 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오금받침대(31)를 제거하고 발목받침대(33)를 보조바(44)에 연결하면 사용자가 무릎을 완전히 편 상태로 누웠을 경우 특별히 상기 가동대(40)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보조바(44)에 결합된 발목받침대(33)에 사용자의 발목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오금받침대(31)가 제거되고, 상기 발목받침대(33)가 지지다리 사이의 상기 보조바(44)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대(20)의 상판(22)에는 쿠션부재가 덮어져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1과 같은 경우에도 상기 고정대(20)의 상판(22)에는 쿠션부재가 덮어져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기 가동대(40)를 상기 고정대(20)에서 밀어내는 작동을 통해 고정대(20)에 누운 사용자의 척추를 견인시킬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머리받침대(10)의 베개(13)를 상기 고정대(20)에서 밀어내는 작동을 통해 목뼈를 견인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고정대(20)에서 가동대(40) 및/또는 머리받침대(10)의 베개(13)를 밀어내기 위해 작동부재(50,50')가 필요하다. 상기 고정대(20)에서 가동대(40)를 밀어내는 작동부재(50)와, 상기 고정대(20)에서 머리받침대(10)의 베게(13)를 밀어내는 작동부재(50')는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하므로, 여기서는 고정대(20)에서 가동대(40)를 밀어내는 작동부재(50)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50)는 권총 형상인 손잡이(52)와 레버(53)가 구비된 결합판(51)이 상기 고정패널(26)의 수평판에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설치되며, 상기 레버(53)의 하단부는 레버힌지부에 의해 결합판(51)에 고정된 상기 손잡이(5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53)의 동작에 의해 로드 형상의 푸셔(54)가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푸셔(54)의 일단은 상기 가동패널(45)의 돌출단에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설치되고, 타단은 탄성스프링(55)을 개입하여 상기 고정패널(26)의 수평판 상부에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결합이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볼트로 체결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20)의 양쪽 고정패널(26)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50)는 도 3과 같이, 한 쌍의 상기 레버(53)를 레버연결바(531)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도 3과 같이 한 쌍의 레버(53)를 레버연결바바(531)로 연결하여 구성하면, 사용자는 상기 고정대(20)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레버연결바(531)만을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작동부재(5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50)는 평상시에는 제1스프링(581)과 밀판(582)에 의해 레버(53)의 상단부가 뒤로 밀리면서 레버(53)의 하단이 상기 가동패널(45)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탄지된다. 그리고 결합판(51)에 고정된 손잡이(52)를 파지하고 레버(53)를 당겨주면, 로드 형상의 푸셔(54)가 가동패널(45)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푸셔(54)의 타단에 연결된 탄성스프링(55)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스톱퍼판(592)이 제2스프링(591)에 의해 로드 형상의 푸셔(54)에 가압 밀착되므로, 푸셔(54)가 전진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스톱퍼판(592)의 상단을 누르면 스톱퍼판(592)의 가압 밀착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푸셔(54)의 타단에 연결된 탄성스프링(55)이 수축하여 푸셔(54)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푸셔(54)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가동패널(45)에 결합된 가동대(40)가, 고정패널(26)에 결합된 고정대(20)로부터 전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대(40)에 고정결합된 다리고정부(30)가 전후진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견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작동부재(50)의 손잡이(52) 또는 레버(53) 중 어느 한쪽에는 힌지부(56)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개되어 고정 가능한 미세조절팁(57)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레버(53)의 폴딩홈(531)에 내장되어 있던 상기 미세조절팁(57)이 힌지부(56)를 축으로 회전하여 전개되면 상기 레버(53)의 가동범위가 축소됨에 따라 레버(53)의 당겨지는 범위가 축소된다. 이로 인해 1회 레버(53)의 당김동작으로 이동할 수 있는 푸셔(54)의 전진 길이가 축소되므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사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최초 가동대(40)의 출발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출발위치의 변경은 상기 푸셔(54)의 일단과 상기 가동패널(45)의 연결부에 연장수단(60)을 개입시키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수단(60)은 상기 가동패널(45)에 고정되는 연장외관(61)과, 상기 푸셔(54)의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연장외관(61)에 진출입 가능한 연장내봉(62)과, 상기 연장외관(61)과 연장내봉(62)을 고정시키는 고정핀(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외관(61)은 관체로,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외관공(611)이 형성되고, 관체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가동패널(45)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의 타단부가 개방단(612)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내봉(62)은 상기 외관공(611)에 대응하는 삽관공(621)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연장외관(61)의 타단인 개방단(612)을 통해 연m
장외관(61)의 내부로 진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 상부는 상기 고정패널(26)에 고정설치되며, 이 타단부의 단에는 상기 푸셔(54)의 일단이 고정설치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크기에 맞도록 상기 연장외관(61)을 상기 연장내봉(62)에 끼운 후 상기 연장외관(61)의 외관공(611)과 연장내봉(62)의 삽관공(621)에 고정핀(63)을 꽂아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외관(61)과 함께 상기 가동대(40)에 고정된 상기 다리고정부가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적합하도록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오금받침대(31)에는 다리를 묶어 오금받침대(31)에 고정하는 다리고정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리고정끈을 대신하여 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래칫부(70)가 도 6과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상기 래칫부(70)는 감김쇠(74)에 와이어(75)로 연결된 압박봉(76)이 래칫휠(71)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허벅지를 압박하도록, 상기 래칫휠(71)을 작동시키는 폴(72)을 회전축(73)에 상기 래칫휠(71)과 일렬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73)은 연결바(77)를 이용해 상기 오금받침대(31)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래칫휠(71)은 상기 폴(72)의 좌우 왕복동작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운동력을 전하는 톱니바퀴이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래칫휠(71)의 톱니가 폴(72)의 동작에 의해 회전 작동함으로써, 래칫휠(71)가 동일 회전축(73)에 연결된 감김쇠(74)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감김쇠(74)에 와이어(75)가 감기면서 연결바(77)가 사용자가의 허벅지를 압박하여 오금받침대(31)에 다리 전체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칫휠(71)은 상기 오금받침대(31)의 외면에 설치된 스톱퍼(78)에 의해 동작이 고정되며, 사용자가 상기 스톱퍼(78)의 잠금을 해제시키면, 압박봉(76)의 허벅지 압박이 해제된다.
상기 래칫부(70)에서 래칫휠(71)을 작동시키는 폴(72)은 도 5와 같이 상기 오금받침대(31)의 양쪽 측단부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상기 폴(72)은 오금받침대(31)의 어느 한쪽 측단부만 설치되거나 또는 오금받침대(31)의 양쪽 측단부에 설치된 폴(72)을 봉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폴(72)을 'ㄷ'자 형태로 구성하면 사용자가 손을 뻗어 허리부분에서 폴(72)을 한 손으로도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머리받침대
11: 상판
11a: 경사부 11b: 평탄부
12: 헤드레일 13: 베개
14: 머리고정끈 15: 베개고정바
16: 상단연결바
20: 고정대 21: 고정프레임
22: 상판 23: 측편장공
24: 중앙장공 25: 가동레일
26: 고정패널
30: 다리고정부 31: 오금받침대
32: 고정봉 33: 발목받침대
34: 고정바
40: 가동대 41: 가동프레임
42: 폭바 43: 길이바
44: 보조바 45: 가동패널
50,50': 작동부재 51: 결합판
52: 손잡이 53: 레버
531: 레버연결바 54: 푸셔
55: 탄성스프링 56: 힌지부
57: 미세조절팁 581: 제1스프링
582: 밀판 591: 제2스프링
592: 스톱퍼판
60: 연장수단 61: 연장외관
611: 외관공 612: 개방단
62: 연장내봉 621: 삽관공
63: 고정핀
70: 래칫부 71: 래칫휠
72: 폴 73: 회전축
74: 감김쇠 75: 와이어
76: 압박봉 77: 연결바
11a: 경사부 11b: 평탄부
12: 헤드레일 13: 베개
14: 머리고정끈 15: 베개고정바
16: 상단연결바
20: 고정대 21: 고정프레임
22: 상판 23: 측편장공
24: 중앙장공 25: 가동레일
26: 고정패널
30: 다리고정부 31: 오금받침대
32: 고정봉 33: 발목받침대
34: 고정바
40: 가동대 41: 가동프레임
42: 폭바 43: 길이바
44: 보조바 45: 가동패널
50,50': 작동부재 51: 결합판
52: 손잡이 53: 레버
531: 레버연결바 54: 푸셔
55: 탄성스프링 56: 힌지부
57: 미세조절팁 581: 제1스프링
582: 밀판 591: 제2스프링
592: 스톱퍼판
60: 연장수단 61: 연장외관
611: 외관공 612: 개방단
62: 연장내봉 621: 삽관공
63: 고정핀
70: 래칫부 71: 래칫휠
72: 폴 73: 회전축
74: 감김쇠 75: 와이어
76: 압박봉 77: 연결바
Claims (3)
- 사용자의 몸통이 눕혀지는 고정대의 상부에는 머리가 놓이는 머리받침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설치된 가동레일을 따라 다리고정부를 구비한 가동대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손잡이에 레버가 구비된 결합판을 상기 고정대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된 고정패널에 설치하고, 상기 가동대에 폭방향으로 구비된 가동패널에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타단은 탄성스프링을 개입시켜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설치하여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가능한 푸셔를 갖는 작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의 수동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대가 상기 가동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대로부터 전진함으로써 상기 다리고정부를 전진시켜 척추를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견인기.
- 제1항에 있어서,
관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외관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가동패널에 고정설치되고, 타단부가 개방단인 연장외관;
상기 외관공에 대응하는 삽관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연장외관의 타단 개방단을 통해 진출입 가능하고, 타단부의 상부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결합됨과 함께 그 단에는 상기 푸셔의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연장내봉; 및
정렬된 상기 외관공 및 삽관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외관 및 연장내봉을 고정시키는 고정핀; 으로 이루어지는 연장수단이 더 포함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상기 가동대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견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손잡이 또는 레버 중 어느 한쪽에는 힌지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개되어 고정 가능한 미세조절팁이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가동범위를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대의 가동범위가 미세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견인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516U KR200493480Y1 (ko) | 2019-04-12 | 2019-04-12 | 척추견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516U KR200493480Y1 (ko) | 2019-04-12 | 2019-04-12 | 척추견인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317U true KR20200002317U (ko) | 2020-10-21 |
KR200493480Y1 KR200493480Y1 (ko) | 2021-04-07 |
Family
ID=7300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516U KR200493480Y1 (ko) | 2019-04-12 | 2019-04-12 | 척추견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48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44929A (zh) * | 2024-03-26 | 2024-05-17 | 江苏省苏北人民医院 | 一种带有测量功能的脊柱侧弯牵引床 |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6141Y1 (ko) | 2000-09-21 | 2001-03-15 | 박성헌 | 척추 견인기 |
KR100398625B1 (ko) | 2001-05-10 | 2003-10-10 | 심휘인 | 신장 스트레칭 머신 |
KR200386069Y1 (ko) * | 2005-02-28 | 2005-06-07 | 최규용 | 정형용 척추 견인기 |
KR100612432B1 (ko) | 2003-07-26 | 2006-08-16 | 빈 이 | 척추견인기 |
KR100732640B1 (ko) | 2005-06-18 | 2007-06-28 | 최규용 |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
US20120239059A1 (en) * | 2011-03-15 | 2012-09-20 | Mark Jagger | Computer Controlled Laser Therapy Treatment Table |
KR101455034B1 (ko) * | 2014-07-24 | 2014-11-04 | 이희구 | 척추 교정 장치 |
KR101606202B1 (ko) * | 2014-12-18 | 2016-04-01 | 경세미 | 요추 견인용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신체 교정 장치 |
KR101642247B1 (ko) | 2016-02-19 | 2016-07-29 | 박진한 | 척추견인기 |
KR101706587B1 (ko) | 2014-12-04 | 2017-02-15 | 허강수 |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
US9687406B1 (en) * | 2016-02-16 | 2017-06-27 | Gerald M. Steiner | Stretching device |
KR20170107745A (ko) * | 2016-03-16 | 2017-09-26 | 정선이 | 척추교정기 |
KR20180075868A (ko) * | 2016-12-27 | 2018-07-05 | 박서연 | 키성장 자세교정기 |
-
2019
- 2019-04-12 KR KR2020190001516U patent/KR20049348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6141Y1 (ko) | 2000-09-21 | 2001-03-15 | 박성헌 | 척추 견인기 |
KR100398625B1 (ko) | 2001-05-10 | 2003-10-10 | 심휘인 | 신장 스트레칭 머신 |
KR100612432B1 (ko) | 2003-07-26 | 2006-08-16 | 빈 이 | 척추견인기 |
KR200386069Y1 (ko) * | 2005-02-28 | 2005-06-07 | 최규용 | 정형용 척추 견인기 |
KR100732640B1 (ko) | 2005-06-18 | 2007-06-28 | 최규용 |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
US20120239059A1 (en) * | 2011-03-15 | 2012-09-20 | Mark Jagger | Computer Controlled Laser Therapy Treatment Table |
KR101455034B1 (ko) * | 2014-07-24 | 2014-11-04 | 이희구 | 척추 교정 장치 |
KR101706587B1 (ko) | 2014-12-04 | 2017-02-15 | 허강수 |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
KR101606202B1 (ko) * | 2014-12-18 | 2016-04-01 | 경세미 | 요추 견인용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신체 교정 장치 |
US9687406B1 (en) * | 2016-02-16 | 2017-06-27 | Gerald M. Steiner | Stretching device |
KR101642247B1 (ko) | 2016-02-19 | 2016-07-29 | 박진한 | 척추견인기 |
KR20170107745A (ko) * | 2016-03-16 | 2017-09-26 | 정선이 | 척추교정기 |
KR20180075868A (ko) * | 2016-12-27 | 2018-07-05 | 박서연 | 키성장 자세교정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44929A (zh) * | 2024-03-26 | 2024-05-17 | 江苏省苏北人民医院 | 一种带有测量功能的脊柱侧弯牵引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3480Y1 (ko) | 2021-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30910B2 (en) | Adjustable spinal rehabilitation device | |
CN103251491B (zh) | 限制、再定位、牵引以及运动装置及方法 | |
KR101474289B1 (ko) | 요추 및 경추 견인침대 | |
KR101272196B1 (ko) |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 |
CN109998854B (zh) | 坐式腰椎牵引及椎间盘按摩设备 | |
US5129881A (en) | Counter-stressing traction system | |
CN102026608B (zh) | 协助分娩的装置 | |
CN112842807B (zh) | 一种骨科脊柱多方位矫正装置及其矫正方法 | |
KR101706587B1 (ko) |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 |
JP2010000343A (ja) | 腰椎牽引装置 | |
KR100420965B1 (ko) | 척추 교정용 의자 | |
KR20130086672A (ko) | 자동 안마장치 | |
KR200493480Y1 (ko) | 척추견인기 | |
KR20090055662A (ko) |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 |
CN208081355U (zh) | 一种骨科脊柱全方位矫正装置 | |
US7219963B2 (en) | Back support for placing the back of a user in traction | |
KR102031246B1 (ko) | 등근육 운동기구 | |
HU229901B1 (en) | Massage table | |
KR20100122299A (ko) | 스트레칭 장치 | |
KR20090119621A (ko) | 키성장 자세교정기 | |
JPS6143478Y2 (ko) | ||
US704107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umbosacral area | |
CN106510917A (zh) | 一种医疗用脊椎矫正装置 | |
KR200270422Y1 (ko) | 척추 교정용 의자 | |
KR101102894B1 (ko) |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