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018U -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018U
KR20200002018U KR2020190000940U KR20190000940U KR20200002018U KR 20200002018 U KR20200002018 U KR 20200002018U KR 2020190000940 U KR2020190000940 U KR 2020190000940U KR 20190000940 U KR20190000940 U KR 20190000940U KR 20200002018 U KR20200002018 U KR 202000020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unit
longitudinal direction
blind
failure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766Y1 (ko
Inventor
김유홍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유홍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홍, 김대영 filed Critical 김유홍
Priority to KR2020190000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6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6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 체인의 조작에 따른 구동력이 코드실패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차폐부재를 전개나 절첩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볼 체인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클러유니의 기술적 구성 및 구조적 결합을 간략화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절감과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볼 체인(20)이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블라인드 헤드(10)와 상기 볼 체인(20)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클러치유닛(100)과 상기 블라인드헤드(10)에 승하강코드(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유닛(100)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차폐부재(30)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100)은,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내측에 마련된 장착연결구(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130); 상기 체인기어(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장착연결구(121)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되 외주연에 끼움공(141)이 형성된 회전가이드(140);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끼움공(141)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150); 상기 체인기어(130)의 회전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접속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WITH IMPROVING OPEREBILITY IN CLUTCH UNIT}
본 고안은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 체인의 조작에 따른 구동력이 코드실패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차폐부재를 전개나 절첩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볼 체인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클러유니의 기술적 구성 및 구조적 결합을 간략화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절감과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는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커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로켓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결된 가동줄, 즉 볼 체인을 한 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크린이 탄성력에 의해 권취관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 블라인드(10')는 첨부된 도면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브라켓(9)으로 회동부재(5)와 감속부재(8)를 설치하고 그 외면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권취관을 체결한다.
상기 회동부재(5)는 회동체(1)의 전방에 회동구(2)가 형성된 연결축(3)을 설치하고, 연결출(3)의 외면으로 스프링(4)를 결합한다. 그리고 스프링(4)의 양쪽 끝은 회동체(1)와 회동구(2)의 한쪽 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회동구(2)는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연결출(3)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감속부재(8)는 회동체(1)의 전방으로 감속기(6)을 설치하고 그 전방에 감속너트(7a)를 갖는 고정축(7)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스크린을 상,하측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회동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로켓(11)에 연결된 볼 체인(9a)의 한쪽 방향을 잡아당기면, 스크린이 하측으로 내려와 빛을 차단하게 되고, 볼 체인(9a)의 다른 쪽 방향을 잡아당기면 스크린이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개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롤 스크린 블라인드 내부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스크린을 하측으로 펼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장애물에 걸림되는 경우, 스크린에 연결되는 코드줄이 꼬여 작동 불능상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25029호의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07161호의 플리츠 스크린과,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163578호의 플리츠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볼 체인이 연결된 클러치유닛의 간단한 구조적 결합을 통해 볼 체인의 조작에 따른 회전력이 코드실패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성의 간략화에 의해 롤 블라인드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코드실패부에 꼬임방지부를 설치하여 차폐부재의 전개시 사용자나 장애물에 차폐부재의 하단이 걸림되더라도 승하강코드의 꼬임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볼 체인(20)이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블라인드 헤드(10)와 상기 볼 체인(20)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클러치유닛(100)과 상기 블라인드헤드(10)에 승하강코드(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유닛(100)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차폐부재(30)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100)은,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내측에 마련된 장착연결구(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130); 상기 체인기어(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장착연결구(121)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되 외주연에 끼움공(141)이 형성된 회전가이드(140);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끼움공(141)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150); 상기 체인기어(130)의 회전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접속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재(160)에는 상기 가이드홈부(14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돌출키(16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내측에는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된 코드실패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코드실패부(300)에는 상기 차폐부재(30)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하단이 장애물에 걸림되는 경우, 상기 승하강코드(40)의 꼬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꼬임방지부(4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꼬임방지부(400)는,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되는 상기 코드실패부(300)의 실패바디(310) 내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고정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삽입돌출구(411)가 형성된 회전력전달부재(41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삽입돌출구(411)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421)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단에 걸림돌출편(422)이 형성되고, 상기 실패바디(310)의 내주연에 형성된 리브편(미도시)의 삽입을 위한 리브삽입장공(4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재(42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실패바디(310)에 간섭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걸림부재(420)에 간섭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의 왕복이동에 의해 압축 및 인장되는 탄성스프링(430)과, 상기 코드실패부(300)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의 걸림돌출편(422)이 걸림되는 회전방지구(44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볼 체인이 연결된 클러치유닛의 간단한 구조와 구조적 결합을 통해 볼 체인의 조작에 따른 회전력이 코드실패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차폐부재의 전개 및 절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에 따라 롤 블라인의 사용성이 향상됨은 물론 구성의 간략화에 의해 롤 블라인드의 제조원가 절감을 통한 제품의 경쟁력 확보 및 소비자의 구매촉진을 통한 기업이윤의 상승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차폐부재의 전개시 사용자나 장애물에 차폐부재의 하단이 걸림되더라도 코드실패부에 형성된 꼬임방지부를 통해 승하강코드의 꼬임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태를 나탄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헤드의 내측에 클러치 유닛 및 코드실패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유닛과 감속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유닛과 감속부재, 코드실패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코드실패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종래 블라인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태를 나탄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 헤드의 내측에 클러치 유닛 및 코드실패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유닛과 감속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유닛과 감속부재, 코드실패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코드실패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는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볼 체인(20)이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블라인드 헤드(10)와 상기 볼 체인(20)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클러치유닛(100)과 상기 블라인드헤드(10)에 승하강코드(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유닛(100)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차폐부재(30)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100)은 상기 볼 체인(20)이 연결되는 체인기어(130)와 상기 체인기어에 연결되는 회전가이드(140)와, 상기 회전가이드(140)여 연결되게 설치되는 토션스프링(150)과 상기 체인기어(130)의 회전시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접속부재(160)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는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시, 조작에 따른 구동력이 상기 차폐부재(30)가 연결된 코드실패부(3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차폐부재(30)를 전개나 절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의 구조적 결합 및 구성을 간략화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을 통한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는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볼 체인(20)이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를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볼 체인(20)이 앞쪽과 뒤쪽으로 두 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볼 체인(20)이 연결되는 상기 클러치 유닛(100)이 장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내측에는 상기 클러치 유닛(100)와 연결되는 감속부재(200)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부재(200)는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되는 코드실패부(300)와 회전봉(50)을 매개로 연결된다.
즉, 상기 클러치 유닛(100)기 구동되면 상기 감속부재(200)가 연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봉(50)이 회전되어 상기 코드실패부(300)를 통한 승하강코드의 권취 및 풀림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30)는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전개 및 절첩되는 가림부(31)와 상기 가림부(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코드(40)가 연결되는 하바중량체(3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클러치 유닛(100)에는 상기 체인기어(130), 회전가이드(140), 토션스프링(150), 접속부재(16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메인바디(110)와 상기 메인바디(110)의 일측에 장착되되 체인기어(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장착연결구(121)가 형성된 상기 캡부재(1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110)에는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시 꼬임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하강조작을 가이드하는 롤링부재(11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클러치 유닛(100)의 상기 체인기어(130)는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내측에 마련된 장착연결구(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인기어(130)에는 상기 볼 체인(20)의 볼이 삽입되는 볼삽입홈(131)이 외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 체인(20)의 어느 일측을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인기어(130)의 일측에는 한 쌍의 돌출가동편(132)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돌출가동편(132) 사이에 피팅공간부(133)가 마련되고, 상기 피팅공간부(133)에는 후술되는 상기 접속부재(160)의 일측이 위치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140)는 상기 체인기어(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장착연결구(121)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되 외주연에 끼움공(1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142)에는 후술되는 상기 접속부재(160)의 이동돌출키(162)가 삽입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150)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끼움공(141)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50)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장착연결구(121)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끼움공(141)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160)는 상기 체인기어(130)의 회전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체인기어(130)의 돌출가동편(132)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피팅공간부(133)에 위치하는 한 쌍의 인서트피팅구(161)와, 상기 인서트피팅구(161)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센터편(163)과, 상기 센터편(163)의 일측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전달연장구(165)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부재(160)의 인서트피팅구(161)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부(14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돌출키(1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 유닛의 구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볼 체인(2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체인기어(130)의 돌출가동편(132)의 회전력이 상기 인서트피팅구(161)를 통해 상기 접속부재(160)에 전달되어 상기 접속부재(160)가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인서트피팅구(161)에 형성된 상기 이동돌출키(162)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가이드홈부(142)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접속부재(160)가 상기 감속부재(200)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접속부재(160)의 전달연장구(165)와 상기 감속부재(2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160)와 감속부재(200)가 상호 연결되면 상기 감속부재(200)에 연결된 회전봉(5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코드실패부(300)에 권취된 승하강코드(40)를 풀게 되거나 권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부재(160)와 감속부재(200)의 사이에는 별도의 압축스프링(17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접속부재(160)가 상기 감속부재(200)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압축스프링(170)이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을 멈춰 장력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스프링(170)이 인장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160)와 감속부재(200)가 단절되어 상기 코드실패부(300)의 구동이 멈춰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는 상기 클러치 유닛의 간단한 구조와 구조적 결합을 통해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따른 회전력이 상기 코드실패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차폐부재의 전개 및 절첩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어 롤 블라인의 사용성이 향상됨은 물론 구성의 간략화를 통한 롤 블라인드의 제조원가 절감을 통한 제품의 경쟁력 확보 및 소비자의 구매촉진을 통한 기업이윤의 상승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감속부재(200)는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 및 조작해제시, 상기 클러치 유닛(100)의 접속부재(160)와 접속되거나 단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속부재(200)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압축스프링(17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전달연장구(165)의 걸림을 위한 다수개의 걸림대응턱(211)이 형성된 접속회전구(210)와, 상기 접속회전구(210)의 나사산에 기어결합되는 기어결합부(220)와, 상기 접속회전구(21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5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스틱끼움홈(231)이 형성된 스틱체결구(230)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170)은 상기 접속회전구(210)의 길이방향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피팅구(161) 사이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접속부재(160)가 상기 감속부재(200)의 접속회전구(210)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170)이 압축되면서 상기 접속부재(160)의 전달연장구(165)가 상기 접속회전구(210)의 걸림대응턱(211)에 걸림되어 상기 접속회전구(210)가 회전되고, 그 회전력이 상기 스틱체결구(230)를 통해 상기 회전봉(50)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드실패부(300)는 상기 블라인드 헤드(10) 내측에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코드실패부(300)에는 상기 감속부재(200)에 연결된 상기 회전봉(50)이 연결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코드실패부(300)는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되는 실패바디(310)와 상기 실패바디(310)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되 내주연에 회전방지구(440)가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케이스(320)와 상기 하부케이스(320)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부덮개(3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코드실패부(300)에는 상기 차폐부재(30)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하단에 장애물이 걸림되는 경우, 상기 승하강코드(40)의 꼬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꼬임방지부(4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부재(30)가 전개되어 하바중량체(32)가 장애물에 걸림되어 상기 승하강코드(40)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꼬임방지부(400)에 의해 상기 실패바디(310)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승하강코드(4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꼬임방지부(400)는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되는 상기 코드실패부(300)의 실패바디(310) 내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고정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삽입돌출구(411)가 형성된 회전력전달부재(41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삽입돌출구(411)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421)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단에 걸림돌출편(422)이 형성되고, 상기 실패바디(310)의 내주연에 형성된 리브편(미도시)의 삽입을 위한 리브삽입장공(4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재(42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실패바디(310)에 간섭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걸림부재(420)에 간섭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의 왕복이동에 의해 압축 및 인장되는 탄성스프링(430)과, 상기 코드실패부(300)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의 걸림돌출편(422)이 걸림되는 회전방지구(4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속부재(200)에 연결된 상기 회전봉(50)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와 실패바디(3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5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가 회전되어 상기 실패바디(3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꼬임방지부(4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볼 체인(20)을 조작하여 상기 차폐부재(30)를 전개하는 경우, 상기 회전봉(50)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를 매개로 상기 실패바디(310)에 전달되어 상기 차폐부재(30)의 가림부(31)를 전개할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재(420)는 상기 실패바디(310)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스프링(430)을 압축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하바중량체(32)에 장애물이나 사용자가 걸림되면 상기 승하강코드(40)의 장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430)이 인장되어 상기 걸림부재(420)를 상기 감속부재(20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감속부재(200)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걸림부재(420)는 상기 걸림돌출편(422)이 상기 하부케이스(320)의 회전방지구(440)에 걸림되어 상기 실패바디(310)의 회전을 즉시 저지함으로써 상기 승하강코드(40)의 풀림 방지를 통해 상기 승하강코드(40)의 꼬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블라인드 헤드 20: 볼 체인
30: 차폐부재 40: 승하강코드
50: 회전봉 100: 클러치유닛
110: 메인바디 120: 캡부재
121: 장착연결구 130: 체인기어
131: 볼삽입홈 132: 돌출가동편
133: 피팅공간부 140: 회전가이드
141: 끼움공 142: 가이드홈부
150: 토션스프링 160: 접속부재
161: 인서트피팅구 162: 이동돌출키
163: 센터편 165: 전달연장구
170: 압축스프링 200: 감속부재
210: 접속회전구 220: 기어결합부
230: 스틱체결구 300: 코드실패부
310: 실패바디 320: 하부케이스
330: 상부덮개 400: 꼬임방지부
410: 회전력전달부재 411: 삽입돌출구
420: 걸림부재 421: 가이드장공
422: 걸림돌출편 423: 리브삽입장공
430: 탄성스프링 440: 회전방지구

Claims (4)

  1.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볼 체인(20)이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블라인드 헤드(10)와 상기 볼 체인(20)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클러치유닛(100)과 상기 블라인드헤드(10)에 승하강코드(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유닛(100)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차폐부재(30)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100)은,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내측에 마련된 장착연결구(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볼 체인(20)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130);
    상기 체인기어(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장착연결구(121)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되 외주연에 끼움공(141)이 형성된 회전가이드(140);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끼움공(141)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150);
    상기 체인기어(130)의 회전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접속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14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재(160)에는 상기 가이드홈부(14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돌출키(1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헤드(10)의 내측에는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된 코드실패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코드실패부(300)에는 상기 차폐부재(30)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하단이 장애물에 걸림되는 경우, 상기 승하강코드(40)의 꼬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꼬임방지부(4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방지부(400)는, 상기 승하강코드(40)가 권취되는 상기 코드실패부(300)의 실패바디(310) 내측에 길이방향 일측이 고정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삽입돌출구(411)가 형성된 회전력전달부재(41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삽입돌출구(411)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421)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단에 걸림돌출편(422)이 형성되고, 상기 실패바디(310)의 내주연에 형성된 리브편(미도시)의 삽입을 위한 리브삽입장공(4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재(42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실패바디(310)에 간섭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걸림부재(420)에 간섭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의 왕복이동에 의해 압축 및 인장되는 탄성스프링(430)과, 상기 코드실패부(300)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420)의 걸림돌출편(422)이 걸림되는 회전방지구(4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2020190000940U 2019-03-07 2019-03-07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200492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40U KR200492766Y1 (ko) 2019-03-07 2019-03-07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40U KR200492766Y1 (ko) 2019-03-07 2019-03-07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18U true KR20200002018U (ko) 2020-09-16
KR200492766Y1 KR200492766Y1 (ko) 2020-12-07

Family

ID=7266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940U KR200492766Y1 (ko) 2019-03-07 2019-03-07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6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314A (ko) * 2017-03-07 2018-09-17 김대영 이종차폐부재를 적용한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314A (ko) * 2017-03-07 2018-09-17 김대영 이종차폐부재를 적용한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66Y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6514B2 (en) Roller shade with a counterbalancing device
KR101763046B1 (ko)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
US10711517B2 (en) Lifting device of cordless covering
JP4440802B2 (ja) ブラインド
MX2014009836A (es) Persiana y su modulo de control.
EP3425156B1 (en) Window covering and stability mechanism for the same
KR20160045126A (ko) 코드 없는 직물 베네치안 창 가리개 조립체
US6186215B1 (en) Multi-positional rolling window screen
US20130255891A1 (en) Window Blind without Using a Lift Cord
CA3040927C (en) Window shade
US20070039695A1 (en) Roman shade
US9140060B2 (en) Window covering having at least one deformable connector
KR200492766Y1 (ko) 조작성이 향상된 클러치유닛을 갖는 롤 블라인드
CN212054444U (zh) 控制装置以及具有该控制装置的卷帘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120008841U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US9151110B2 (en) Cordless blind systems having cord enclosures with a swivel feature and methods of assembling such cord enclosures
US20160069130A1 (en) Cordless blind system and retro-fit method
US20130126108A1 (en) Cord winding device for a screen, such as a window covering
WO2020238541A1 (zh) 一种拉珠式窗帘装置
KR102584371B1 (ko) 블라인드 창의 장력조절장치
KR20110074427A (ko)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CA3173865A1 (en) Cordless roller shade mechanism
JP6843494B2 (ja) 遮蔽装置
US20200263493A1 (en) Driving mechanism for roll blind capable of shade adjus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