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95U - Punc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unc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95U
KR20200001995U KR2020200003000U KR20200003000U KR20200001995U KR 20200001995 U KR20200001995 U KR 20200001995U KR 2020200003000 U KR2020200003000 U KR 2020200003000U KR 20200003000 U KR20200003000 U KR 20200003000U KR 20200001995 U KR20200001995 U KR 202000019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embedding
bar
elev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0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5184Y1 (en
Inventor
문춘호
Original Assignee
문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춘호 filed Critical 문춘호
Priority to KR2020200003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84Y1/en
Publication of KR20200001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9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35Extensible support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75Stone, rock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편리하게 타공한 후 앙카볼트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물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매립기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design relates to a burial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safety of workers and improve workability by allowing the buried material such as anchor bolts to be buried after conveniently drilling an object to be buried in a high place such as the ceiling from the ground.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moving means that are clouded along the ground, and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n embedding device for embedding the buried object in the object to be buried is mounted. It includes an elevating unit, and an elevating drive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buried.

Description

매립장치{PUNCHING APPARATUS}Landfill device{PUNCHING APPARATUS}

본 고안은 매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용이하게 타공한 후 앙카볼트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는 매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bed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bedding apparatus capable of embedding a buried object such as an anchor bolt after easily perforating an object to be buried located at a high place such as a ceiling from the ground.

일반적으로 공간상 활용, 심미적인 이유, 천장에 트레이를 고정하는 전사, 볼트 등을 설치하기 위한 이유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텍스(tex) 또는 일체형 판넬로 구성되는 실내의 천장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구멍에 제품을 설치한다.In general, for various reasons, such as space utilization, aesthetic reasons, transfer to fix the tray to the ceiling, reasons for installing bolts, etc., a perforated ceiling is made on the ceiling of the room consisting of tex or integral panels. Install the product in the hole.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시공 또는 보수시 텍스가 설치된 천장에는 원 형상의 스피커, 전열 전등기구 및 스프링클러 등을 포함하는 각종 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각종 장치는 천장에 관통설치되는 전사나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In addition, various devices including circular speakers, electric heating lamps, and sprinkler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n which the tex is installed during construction or repair of buildings, and these devices are fixed by transfers or bolts installed through the ceiling. .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자동 리프팅 장치나 사다리가 반드시 필요하였다.For this, in the prior art, an automatic lifting device or a ladder was necessarily required.

자동 리프팅 장치의 경우, 작업자를 용이하게 천장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자가 높은 곳까지 올라가게 되기 때문에 낙하사고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automatic lift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raise the worker to the ceiling,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falling accident occurs because the worker rises to a high place.

그리고, 작업자가 머리와 손을 들고 전동 드릴로 천장을 직접 타공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a worker has to directly drill a ceiling with an electric drill while holding a head and hands.

또한, 자동 리프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작업자와 천장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타공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automatic lifting device must accurat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ceil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perforation work.

즉, 자동 리프팅 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작업자의 손에 들려진 전동 드릴이 천장에 닿지 않을 정도로 조작할 경우 작업자를 보다 상승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작업자를 과도하게 상승시킬 경우 작업자가 천장에 충돌하게 되는 안정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In other words, in operating the automatic lifting device, if the electric drill held in the operator's hand does not touch the ceiling, the hassle of raising the operator more occurs, and if the operator is excessively elevated, the operator collides with the ceiling. There is a problem of stability that occurs.

한편, 사다리의 경우 작업자가 자신의 신장에 맞는 위치까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천장을 타공하면 되지만, 작업자는 힘들게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하고, 그 이후 사다리에 불안하게 기댄 상태에서 머리와 팔을 들고 천장을 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adder, the worker can climb up the ladder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ir height and drill the ceiling, but the worker has to climb the ladder with difficulty, and after that, lift the head and arms while leaning on the ladder uneasy to lift the ceiling.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drilled.

그리고,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낙하사고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fall accident occurs even when a ladder is used.

또한, 어느 한 구역에 대한 천공 작업이 완료될 경우,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와 전동드릴을 다른 구역으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천장에 대한 타공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lling work for one area is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lling work for the ceiling is not easy because the operator must directly move the ladder and the electric drill to another area.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419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419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편리하게 타공한 후 앙카볼트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embed a buried material such as an anchor bolt after conveniently perforating the object to be buried located at a high place such as the ceiling from the ground, so that the safety of the work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mbedding device that can protect and improve workabil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물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매립기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Th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moving means that are clouded along the ground,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elevating, and embedding the object to be buried. And an elevating unit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machine is mounted, and an elevating drive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buried.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이동수단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또는 기립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부가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가 기립시 수용되는 포켓부를 포함한다.And, the main frame, the main frame, the base plate on which the main frame is seated and the moving mean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bottom edge, the hinge-coupled so as to be seated or stoo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elevating driver is coupled It includes a fixed bar, and a pocket portion accommodated when the fixed bar is standing.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을 각각 승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키는 제1 실린더,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를 밀거나 당겨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cylinder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contacting the groun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moving means, respectively, and a second cylinder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nd rot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by pushing or pulling the fixing bar.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메인 승강바, 상기 메인 승강바를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탑재부가 설치된 서브 승강바, 상기 서브 승강바가 메인 승강바와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상기 메인 승강바와 서브 승강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unit may be elevated along the main elevating bar and the main elevating bar that are elevated by the elevating driver, and the main elevating bar so that the sub elevating bar and the sub elevating bar are interlocked with the main elevating bar to elevate and descend.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ub lift bar.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승강바의 내부공간에서 서브 승강바의 하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메인 승강바의 외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one side is fixed to the main body, the other side is a connection member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b lift ba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lift bar,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lift bar is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to the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onnecting member.

그리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매립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피스톤 및 피매립물에 상기 매립물을 매립하기 위한 매립홀을 형성하는 타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피스톤을 갖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is a pneumatic cylinder having a first moving piston for moving the buried mach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piston for horizontally moving a perforated hole forming a buried hole for burying the buried object in the object to be buried. Is formed by

또한,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매립기 또는 타공기가 서로 교번되게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매립기를 승강시키는 제1 부가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first additional lift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ston and for lifting the embedding machine so that the embedding machine or the perforated machine can alternately contact the object to be buried.

그리고, 상기 매립기에 매립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매립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일측벽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매립물을 케이스의 타측벽으로 미는 푸쉬판을 포함하는 푸쉬부,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회전구동부, 상기 푸쉬부와 매립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케이스의 상측 또는 매립기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케이스 또는 매립기에 대해 승강되며, 에어 흡입을 통해 케이스 내의 매립물을 픽킹하고, 에어 배출에 의해 픽킹한 매립물을 매립기에 공급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픽업부를 포함한다.And, further comprising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buried material to the buried, the supply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piston,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cas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uried objects is formed therein, the A push unit including a spring fixed to one side wall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and a push plate that pushes the burie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other side wall of the ca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a rotation driving unit that is elevated by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 A second additional lifting drive part disposed between the push part and the embedding machine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ston, and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or the upper side of the embedding machine by the rotation drive part, and the second additional hoistway It includes a pick-up unit including a suction plate that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case or the landfill by the eastern part, picks up the landfill in the case through air suction, and supplies the picked landfill to the landfill by air discharge.

그리고, 상기 매립기는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 포켓부, 상기 제1 포켓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매립물이 수용되는 제2 내부공간이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포켓부, 상기 매립물의 매립에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포켓부의 출구측을 폐쇄하는 폐쇄막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에어건에 에어가 주입시 이동되어 제2 내부공간에 위치한 매립물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 상기 폐쇄막과 제1 포켓부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타격부가 이동 시 팽창작용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mbedding machine includes a first pocket portion in which a first internal space is formed, a second pocke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formed so that a second internal space in which the buried material is accommoda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nal space, It is mounted on an air gun that supplies air required for the burial of the buried material, and a closing film that closes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pocket is integrally formed, and is col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second inner space, and air in the air gun. A striking part that can be moved during injection and strikes the buried material located in the second inner space, is disposed between the closing membran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pocket part,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expansion when the striking part moves Includes a spring to let.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에 의하면, 지면에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을 편리하게 타공한 다음 앙카와 같은 매립물을 매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ate an object to be buried located at a high place such as a ceiling from the ground, and then to bury an object such as an anchor, thereby protecting the safety of a worker.

그리고, 사다리나 리프팅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ladder or a lifting device is not required,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workability.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과 고정바의 결합상태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베이스판, 이동수단, 실린더의 결합상태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승강부가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공급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5의 타공장치에 적용된 제2 실린더가 고정바 및 승강구동부를 회동시킨 상태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ri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ain frame and the fixing bar applied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ase plate, a moving means, and a cylinder applied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applied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vated.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applied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e in stages.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applied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air gun and an embedding apparatus applied to an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air gun and an embedding apparatus applied to an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ylinder applied to the perforation device of FIG. 5 rotates the fixing bar and the elevating driver.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매립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ed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과 고정바의 결합상태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공급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에 적용된 매립기와 에어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main frame and a fixing bar applied to an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e unit in stages, and FIG. 11 is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applied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embedding device and the air gun applied to the embed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edding apparatus and the air gun are coupled to th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1)는, 사다리나 리트프 장치 등이 없어도 높은 곳에 위치한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용이하게 매립할 수 있는 제품이다.The embed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capable of easily embedding the embedding material 90 in the embedding object located at a high place even without a ladder or a lift device.

이때, 피매립물은 건축물의 내부에 마련된 천장물과 같은 대상물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 to be buried may be an object such as a ceiling object provided inside the building.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1)는, 본체부(10), 승강부(20), 승강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mbed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 an elevating portion 20, and an elevating driving portion 30.

본체부(10)는 승강부(20) 및 승강구동부(30)가 탑재되는 구성이다.The main body 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fting part 20 and the lifting drive part 30 are mounted.

이를 위해, 본체부(10)는 메인프레임(11), 베이스판(12), 고정바(13), 포켓부(14)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ody portion 10 may include a main frame 11, a base plate 12, a fixing bar 13, and a pocket portion 14.

메인프레임(11)은 사각틀(111), 사각틀(111)의 일측과 타측 저면에 기립된 형태로 결합되는 연결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frame 11 may include a square frame 111 and a connection bar 112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quare frame 111 and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in an erect form.

사각틀(111)에는 매립기(70) 및 후술되는 타공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버튼(미도시) 및 후술되는 승강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버튼(미도시)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In the square frame 111, a first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mbedding machine 70 and the perforated machine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 drive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 Can be installed respectively.

베이스판(12)은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면에 연결바(112)의 저면이 고정된다.The base plate 12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plate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11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베이스판(12)의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는 이동수단(121)이 배치된다.Moving means 121 ar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12.

이동수단(121)은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바퀴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means 121 may be formed of a wheel that is rolled along the ground.

이동수단(121)은 본체부(10)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측에 위치된 사각틀(11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oving means 1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quare frame 111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can be changed.

베이스판(1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이동수단(121)을 각각 승강시켜 본체부(10)의 수평도를 유지하기 위한 실린더(40)가 설치된다.A cylinder 40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base plate 12 to maintain the horizontality of the main body 10 by lifting the moving means 121 respectively.

베이스판(1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실린더(40)의 피스톤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of the cylinder 40 passes is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base plate 12.

실린더(40)는 피스톤이 하측을 향하도록 베이스판(12)의 상면에 고정된다.The cylinder 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 so that the piston faces downward.

실린더(40)의 피스톤은 이동수단(121)에 구비된 고정편(1211)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The piston of the cylinder 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1211 provided in the moving means 121, respectively.

고정편(1211)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수단(121)은 고정편(1211)의 내부공간에 축 고정된다.The fixing piece 1211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C'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moving means 121 is axially fix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xing piece 1211.

그리고, 베이스판(12)에는 실린더(40)에 각각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탱크(미도시)가 설치된다.Further, a hydraulic supply tank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2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s 40, respectively.

즉, 실린더(40)가 4개로 적용되는 경우 유압공급탱크도 4개로 적용되며, 유압공급탱크가 실린더(40)에 개별적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것이다.That is, when four cylinders 40 are applied, four hydraulic supply tanks are also applied, and the hydraulic supply tank individually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4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프레임(11)에는 각각의 유압공급탱크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제어버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four control buttons (not shown) for controlling each hydraulic supply tank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1.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가 위치한 지면이 경사진 구조일 경우 실린더(40)를 통해 본체부(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ground on which the buried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s inclined, the main body 10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through the cylinder 40.

예를 들어, 매립장치(1)가 위치한 지면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일 경우,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실린더(40)에만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을 하강시키면 베이스판(12)의 우측이 상승되며, 이로 인해 베이스판(12)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For example, if the ground on which the embedding device 1 is located is inclined downward from left to right, when the piston is lowered b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only two cylinders 40 located on the right, the right side of the base plate 12 is It is raised, thereby making the base plate 12 horizontal.

고정바(13)의 외측면에는 승강구동부(30)가 고정된다.The elevating drive unit 3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ar 13.

고정바(13)는 상측에 위치된 사각틀(111)의 일측에 힌지(H)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약 90도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The fixing bar 13 may be hinged (H) to one side of the square frame 111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rotat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부가적으로, 베이스판(12)의 상면에는 고정바(13)를 밀거나 당겨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100)가 더 설치된다.Additionally, a second cylinder 10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 by pushing or pulling the fixing bar 13 and rot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즉, 제2 실린더(100)의 피스톤이 전진 또는 후진됨에 따라 고정바(13)의 하측이 밀리거나 당겨져, 고정바(13)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That is, as the piston of the second cylinder 100 moves forward or backward,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ar 13 is pushed or pulled, so that the fixing bar 13 is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따라서, 제2 실린더(100)의 피스톤을 단계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켜 고정바(13), 타공기 및 매립기(9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타공물에 타공홀을 사선 형태로 천공한 후, 타공홀에 매립물(90)을 매립할 수 있다.Therefore, the piston of the second cylinder 10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step by step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fixing bar 13, the perforator, and the embedding machine 90, and thus, the perforated hole is drilled in the oblique shape of the workpiece. After that, the buried material 90 may be embedded in the perforated hole.

나아가, 고정바(13)는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사각틀(11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 방향으로 회동시에는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Further, the fixing bar 13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111 when it is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maintains an erect state when it is rotated in an upward direction.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1)를 차량, 엘리베이터 등에 적재하거나 층간 이동을 할 경우 고정바(13)와 승강구동부(30)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으면 되고,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매립하는 작업을 수행할 시에는 고정바(13)와 승강구동부(30)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기립시키면 된다.Therefore, when the embed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in a vehicle, an elevator, etc., or when moving between floors, the fixing bar 13 and the elevating drive unit 30 may be rotated downward and folded. When performing the work of embedding the buried material 90 in water, the fixing bar 13 and the elevating driver 30 may be rotated upward to stand up.

부가적으로, 고정바(13)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승강홀(13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승강부(20)의 승강을 가이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bar 13 has an upper surface open and a lifting hole 13a formed therein to guide the lifting of the lifting part 20 to be described later.

포켓부(14)는 고정바(13)가 기립시 수용되는 것으로, 2개의 수직바를 사각틀(111)의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pocket portion 14 is accommodated when the fixing bar 13 is standing, and may be formed by fixing two vertical bars between the square frames 111.

이때, 포켓부(14)는 고정바(13)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된다.In this case, the pocket portions 14 are spaced apart at intervals in which the fixing bars 13 can be accommodated in a force-fitting manner.

이와 같은 경우 고정바(13)가 기립된 상태에서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매립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embedding the buried object 90 in the object to be buried while the fixing bar 13 is standing uprigh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verturned by its own weight.

이와 같이 구성을 포함하는 본체부(10)를 통해 타공기 및 매립기(70)를 필요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가면서 피매립물에 매립물(90)을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embed the buried material 90 in the object to be buried while easily moving the perforator and the embedding machine 70 to the required position through the body portion 10 includ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승강부(20)는 고정바(1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기(70) 및 타공기가 탑재되는 탑재부(23)를 포함한다.The elevating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fixed bar 13 to be elevating and descending, and includes an embedding machine 70 and a mounting portion 23 on which a perforation machine is mounted.

구체적으로, 승강부(20)는 메인 승강바(21), 서브 승강바(22), 연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fting unit 20 may include a main lifting bar 21, a sub lifting bar 22, and a connection part 24.

메인 승강바(21)는 고정바(13)의 승강홀(13a)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구동부(3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The main lift bar 21 may be lifted by the lift drive unit 30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lift hole 13a of the fixed bar 13.

이때, 메인 승강바(21)는 상측 일부분이 고정바(13)의 상측으로 돌출된다.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main lifting bar 21 protrudes upward from the fixed bar 13.

이러한 메인 승강바(2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승강홀(21a)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서브 승강바(22)의 승강을 가이드 한다.The main lifting bar 21 is formed in a pipe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a lifting hole 21a formed therein to guide the lifting of the sub lifting bar 22 to be described later.

서브 승강바(22)는 메인 승강바(21)의 승강홀(21a)에 수용되되, 상측 일부분은 메인 승강바(2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sub lift bar 22 is accommodated in the lift hole 21a of the main lift bar 21, a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protrudes upward of the main lift bar 21.

그리고, 서브 승강바(22)의 상면에는 매립기(70) 및 타공기가 탑재되는 탑재부(23)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mounting portion 23 on which an embedding machine 70 and a punching machine are mount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lift bar 22.

탑재부(23)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23 may be formed of a rodless cylinder or a linear cylinder.

탑재부(23)는 매립기(7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피스톤(231) 및 타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피스톤(2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23 may include a first moving piston 231 for moving the buried machine 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piston 232 for moving the perforated h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제2 이동피스톤(232)을 통해 타공기를 타공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피매립물을 타공하여 타공홀을 형성하면 되고, 이후 제1 이동피스톤(231)을 통해 매립기(70)를 타공홀로 이동시켜, 타공홀에 매립물(90)을 매립하면 된다.Therefore, it is only necessary to move the perforated machine to the position to be perforated through the second movable piston 232 to perforate the object to be buried to form perforated holes. After that, the embedding machine 70 is passed through the first movable piston 231. By moving to the perforated hole, the buried material 90 may be embedded in the perforated hole.

이때, 타공기는 드릴과 같이 피매립물을 타공할 수 있는 제품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forator may be a product capable of perforating the object to be buried, such as a drill.

그리고, 타공기는 선단에 장착된 드릴 비트(미도시)가 천장을 향하도록 제2 이동피스톤(232)에 탑재된다.Further, the perforator is mounted on the second movable piston 232 so that the drill bit (not shown) mounted at the tip faces the ceiling.

한편, 제1 이동피스톤(231)에는 매립기(70)에 다수개의 매립물(90)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6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ovable piston 231 is provided with a supply unit 60 for sequentially supplying a plurality of buried materials 90 to the buried machine 70.

공급부(60)는 케이스(61), 푸쉬부(62), 회전구동부(63),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 픽업부(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ly unit 60 may include a case 61, a push unit 62, a rotation drive unit 63, a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and a pickup unit 65.

케이스(61)는 저면에 제1 이동피스톤(231)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대(611)를 포함한다.The case 61 includes a support 611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ston 231 on the bottom surface.

케이스(6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복수개의 매립물(9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6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ox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buried objects 90 are accommodated.

푸쉬부(62)는 케이스(61)의 수용공간 일측벽에 고정되는 스프링(621), 스프링(621)의 탄성력으로 매립물(90)을 밀어 끝부분에 위치한 케이스(61)의 타측벽에 밀착시키는 푸쉬판(6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part 6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wall of the case 61 located at the end by pushing the buried material 90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21 and the spring 621 fixed to one wall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61 It may include a push plate (622).

스프링(621)은 픽업부(65)가 매립물(90)을 하나씩 인출해 갈 때마다 점진적으로 팽창되어 시점 즉, 케이스(61)의 가장 우측에 위치한 매립물(90)부터 종점 즉, 케이스(61)의 가장 위치한 매립물(90)까지 케이스(61)의 타측벽에 순차적으로 밀착시킨다.The spring 621 gradually expands each time the pickup unit 65 pulls out the buried material 90 one by one, and is gradually expanded from the point of time, that is, the buried material 90 located at the far right of the case 61 to the end point, that is, the case ( The most located buried material 90 of 61) is sequenti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wall of the case 61.

회전구동부(63)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rotation drive unit 63 is coupled to the piston of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and may be raised or lowered.

회전구동부(63)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하우징(631), 하우징(63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하우징(63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축(632)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으며,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633), 회전체(633)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고 일부분이 하우징(63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634), 회전체(633)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작동부(6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e unit 63 is based on a housing 631 coupled to the piston of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a shaft 632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631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631 It can be rotated in place, and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33 and the rotating body 633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art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631, and is formed in a'A' cross-sectional shape. The bracket 634 may include an operation part 635 rotating the rotating body 633 at an angle of 180 degrees.

회전체(633)의 우측면과 좌측면에는 제1,2 수직홈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제1,2 사선홈이 형성된다.First and second vertical grooves are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urfaces of the rotating body 633, and first and second diagonal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제1 수직홈(633a)의 상측은 제1 사선홈(633c)의 상측과 연결되고, 제1 수직홈(633a)의 하측은 제2 사선홈(633d)의 하측과 연결된다.The upp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groove 633a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iagonal groove 633c,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groove 633a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iagonal groove 633d.

그리고, 제2 수직홈(633b)의 상측은 제2 사선홈(633d)의 상측과 연결되고, 제2 수직홈(633b)의 하측은 제1 사선홈(633c)의 하측과 연결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groove 633b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iagonal groove 633d,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groove 633b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iagonal groove 633c.

작동부(635)는 하우징(63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중공이 형성된 사각블럭(6351), 사각블럭(6351)의 빈 공간 및 중공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6352), 승강바(6352)의 일측에 형성되고 사각블럭(6351)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바(6352)와 함께 승강되며 일면에 제1,2 수직홈 및 제1,2 사선홈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편(6354)이 형성된 승강블럭(6353), 상측과 하측이 승강블럭(6353)의 저면과 사각블럭(6351)의 바닥면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63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part 635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631, the side is open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hollow space of the square block 6351 and the square block 635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bar 6352 and the elevating bar 6352 that are elevating along the hollow, and elevating with the elevating bar 6352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quare block 6352,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ly on one surface. The elevating block (6353) in which the elevating pieces (6354) elevating along the groove and the first and second diagonal grooves are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elevating block (6353) and the bottom of the square block (6351). (6355) may be included.

그리고, 하우징(631)의 내부공간에는 승강바(6352)를 하강시키기 위한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ylinder (not shown) for lowering the lifting bar 6352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631.

승강바(6352)와 승강블럭(6353) 및 승강편(6354)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일률적으로 하강되며, 스프링(6355)은 승강블럭(6353)이 하강되면 압축되고 상승되면 팽창되면서 승강바(6352)와 승강블럭(6353)이 사각블럭(63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elevating bar 6352, the elevating block 653, and the elevating piece 6354 are lowered uniformly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nd the spring 6355 is compressed when the elevating block 6355 is lowered, and expanded when the elevating block 6355 is raised. 6352 and the lifting block 6355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quare block 6351.

그리고, 승강편(6354)은 하강 시 제1 사선홈(633c)을 따라 하강된 후 제2 수직홈(633b)을 따라 상승된다.And, the lifting piece 6354 descends along the first diagonal groove 633c when descending, and then rises along the second vertical groove 633b.

승강편(6354)이 제1 사선홈(633c)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강되면 회전체(633) 및 브라켓(634)은 180도 각도만 회전된다.When the lifting piece 634 descen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diagonal groove 633c, the rotating body 633 and the bracket 634 are rotated only by 180 degrees.

또한, 승강편(6354)은 제1 사선홈(633c)의 하측에서 제2 수직홈(633b)을 따라 상승된 후, 제2 수직홈(633b)의 상측에서 제2 사선홈(633d)을 따라 하강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iece 634 is raised along the second vertical groove 633b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iagonal groove 633c, and then along the second diagonal groove 633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groove 633b. Descends.

승강편(6354)이 제2 사선홈(633d)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강되면 회전체(633) 및 브라켓(634)이 180도 각도 더 회전된다.When the lifting piece 634 descen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econd oblique groove 633d, the rotating body 633 and the bracket 634 are further rotated by 180 degrees.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푸쉬부(62)와 매립기(7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이동피스톤(231)의 상면에 고정된다.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is disposed between the push unit 62 and the embedding machine 70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ston 231.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어 회전구동부(63) 및 픽업부(65)를 일률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시킨다.The second additional elevation driving unit 64 is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to uniformly raise or lower the rotation driving unit 63 and the pickup unit 65.

픽업부(65)는 케이스(61) 내의 매립물(90)을 매립기(70)의 제2 포켓부(72)에 하나씩 픽업하는 구성이다.The pickup portion 65 is configured to pick up the buried material 90 in the case 61 into the second pocket portion 72 of the buried machine 70 one by one.

이를 위해 픽업부(65)는 브라켓(634)에 고정되는 바디부(6511)를 갖는 흡착판(651), 흡착판(651)에 관통설치되는 흡입호스(6521)를 포함하는 에어흡입기(65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ickup unit 65 includes an air inhaler 652 including an adsorption plate 651 having a body part 6511 fixed to the bracket 634 and a suction hose 6251 installed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651 can do.

흡착판(651)은 회전구동부(63)에 의해 케이스(61)의 상측 또는 제2 포켓부(72)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제2 부가 승강동부에 의해 케이스(61) 또는 제2 포켓부(72)에 대해 승강될 수 있다.The suction plate 651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61 or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ocket part 72 by the rotation driving part 63, and the case 61 or the second pocket part 72 by the second additional lifting part. ) Can be elevated.

에어흡입기(652)는 펌프 또는 에어흡입 기능을 갖는 공지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haler 652 may be formed of a pump or a known product having an air suction function.

제2 부가 승강 구동부(64)는 흡착판(651)이 케이스(61)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하강시켜 종점에 위치된 매립물(90)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에어흡입기(652)는 에어흡입 작동을 통해 매립물(90)을 흡착판(651)에 고정시킨다.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ing unit 64 descends when the suction plate 651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61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andfill 90 located at the end point, and the air inhaler 652 performs an air suction operation. Through this, the embedded material 90 is fixed to the suction plate 651.

그리고,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흡착판(651)이 매립물(90)을 고정하면 다시 흡착판(651)을 상승시켜 매립물(90)이 케이스(61)의 상측으로 인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raises the suction plate 651 again when the suction plate 651 fixes the buried material 90 so that the buried material 90 is pulled out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61.

또한,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흡착판(651) 및 매립물(90)이 제2 포켓부(72)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흡착판(651) 및 매립물(90)을 동시에 하강시켜 제2 포켓부(72)의 내부에 매립물(90)이 수용되도록 하며, 에어흡입기(652)는 작동이 정지되어 흡착판(651)이 매립물(90)을 고정하지 아니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dditional lifting drive unit 64 moves the suction plate 651 and the landfill 90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ocket part 72 by simultaneously lowering the suction plate 651 and the landfill 90 The buried material 90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part 72, and the air inhaler 652 is stopped so that the suction plate 651 does not fix the buried material 90.

그리고,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는 흡착판(651)을 상승시켜 매립물(90)이 제2 포켓부(72)에 공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raises the suction plate 651 so that the buried material 90 is supplied to the second pocket unit 72.

매립기(70)는 이상 설명한 공급부(60)로부터 매립물(90)을 공급받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구성이다.The embedding machine 7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buried material 90 from the supply unit 60 described above and fill it in the buried material.

이때, 매립물(90)은 앙카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ried material 90 may be formed of anchor bolts.

구체적으로, 앙카볼트는 중공을 포함하며, 일측 내주연에는 나선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편(9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매립본체(91), 매립본체(91)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부분이 절개편(911)들에 감싸여지는 핀(9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chor bolt includes a hollow, and a spiral hole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one side, and a plurality of incision pieces 911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uried body 91 and the buried body 91 It may include a pin 92 accommodated in the inside, a portion of which is wrapped around the cut pieces 911.

그리고, 매립기(70)는 매립본체(91)를 타격하여 절개편(911)들을 벌려 피매립물에 매립할 수 있도록 제1 내부공간(71a)이 형성된 제1 포켓부(71), 제1 포켓부(71)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매립물(90)이 수용되는 제2 내부공간(72a)이 제1 내부공간(71a)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포켓부(72), 에어건(80)에 장착되며 제1 포켓부(71)의 외주연에 출구측을 폐쇄하는 폐쇄막(7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내부공간(71a)과 제2 내부공간(72a)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에어건(80)에 에어가 주입시 전진되어 제2 내부공간(72a)에 위치한 매립물(90)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73), 폐쇄막(731)과 제1 포켓부(71)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타격부(73)가 전진 시 압축되고 에어건(80)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을 시에는 팽창작용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7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edding machine 70 strikes the buried body 91 to open the cut pieces 911 so that the first internal space 71a is formed so that the incision pieces 911 can be buried in the object to be buried. The second pocket portion 72 formed on one side of the pocket portion 71 and formed so that the second inner space 72a in which the buried material 90 is accommoda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pace 71a, the air gun 80 ),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losing film 731 that closes the outlet side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ocket portion 71, and is jointly accommodated in the first inner space 71a and the second inner space 72a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gun 80, it is advanced to strike the landfill 90 located in the second inner space 72a, a striking part 73, a closing membrane 731, and a first pocket part 71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nd when the striking part 73 is compressed when advancing and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air gun 80, it may include a spring 74 tha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an expansion action.

제1 포켓부(71)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71b)이 형성되고, 페쇄막(731)에는 관통홀(7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731a)이 각각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holes 71b vertically penetra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cket part 71, and a fastening hole 731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71b in the closing film 731 ) Are formed respectively.

그리고, 볼트(B)가 관통홀(71b)을 관통하여 체결홀(731a)에 각각 체결된다.Then, the bolts (B)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71b) and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731a).

따라서, 타격부(73)가 제1 포켓부(71) 상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refore, the striking part 73 may rise or fall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buri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pocket part 71.

그리고, 에어건(80)은 공지의 에어주입기(미도시)와 연결된다.Then, the air gun 80 is connected to a known air injector (not shown).

에어주입기는 에어건(80)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82)에 에어를 공급하여 타격부(73)를 상승시킨다.The air injector supplies air to the passage 82 formed inside the air gun 80 to raise the striking part 73.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73)는 에어건(80)의 상측에 외주연에 구비된 나선형 장착구(81)에 장착되는 나선형 장착수단(73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striking part 73 may include a spiral mounting means 732 mounted on a spiral mounting hole 81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gun 80.

나선형 장착수단(732)은 저면과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내주연에 나선형 장착구(81)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piral mounting means 73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and an upper surface, or may be formed as a coil spring,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piral fastened to the spiral mounting hole 81 is formed at the lower inner periphery.

그리고, 나선형 장착수단(732)의 상측에는 타격부(73)의 승강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7321)와 제2 스토퍼(7322)가 일체로 형성된다.Further, a first stopper 7321 and a second stopper 7322 for limiting the lifting distance of the striking portion 73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iral mounting means 732.

제1 스토퍼(7321)는 타격부(73)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편(733)의 저면에 접촉되고, 제2 스토퍼(7322)는 걸림편(733)의 상측과 접촉되거나 또는, 소정간격 이격된다.The first stopper 732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locking piece 73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riking part 73, and the second stopper 732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piece 733 or is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

제1 스토퍼(7321)와 제2 스토퍼(7322)는 금속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에어건(80)의 통로(82)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타격부(73)가 상승될 경우 일정수준으로 늘어나고, 에어건(80)의 통로(82)에 에어주입이 중단될 경우 걸림편(733)을 당겨 타격부(73)를 원위치 시킨다.The first stopper 7321 and the second stopper 7322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metal, so that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passage 82 of the air gun 80, the hitting part 73 is raised to a certain level. When the air injection into the passage 82 of the air gun 80 is stopped, the engaging piece 733 is pulled to return the hitting part 73 to its original position.

타격부(73)는 일부분이 나선형 장착수단(732)의 내부에 수용되며, 해당 부분이 에어건(80)과 마주한다.The striking part 73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iral mounting means 732, and the corresponding part faces the air gun 80.

타격부(73)의 외주연에는 나선형 장착수단(732)의 천장면에 접촉되는 원판 형상의 걸림턱(733)이 형성된다. 따라서, 타격부(73)는 나선형 장착수단(732)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iking part 73 is formed with a disk-shaped locking protrusion 733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spiral mounting means 732. Therefore, the striking part 73 can be raised or lower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buri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piral mounting means 732.

타격부(73)는 상승 시 제2 포켓부(72)에 수용된 매립물(90)을 상 방향으로 타격하여 피매립물에 매립시킨다.The striking part 73 strikes the landfill 90 accommodated in the second pocket part 72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rising, thereby embedding it in the landfill.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는 매립기(70) 또는 타공기가 서로 교번되게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mbed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dditional elevation driving unit 50 for allowing the embedding machine 70 or the perforated air to contact the object to be buri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dditional elevation driving unit 50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는 제1 이동피스톤(231)의 상면에 설치된다.The first additional lift drive unit 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ston 231.

제1 부가 승강구동부(50)의 피스톤은 매립기(70)에 결합된다.The piston of the first additional lifting drive unit 50 is coupled to the embedding machine 70.

따라서, 매립기(70)는 제1 부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다.Accordingly, the embedding machine 70 is raised or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dditional driving unit.

매립기(70)는 상승 될 시 상측 부분이 타공기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embedding machine 70 is raised, the upper part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perforated machine to contact the object to be buried.

그리고, 매립기(70)가 하강 될 시 타공기의 상측 부분이 매립기(70)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mbedding machine 70 is lowered,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machin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embedding machine 70 to contact the object to be buried.

따라서, 제1 승강부(20)를 통해 타공기로 피매립물을 타공한 후 매립기(70)로 타공홀에 매립물(90)을 매립할 수 있다.Accordingly, after drilling the object to be buried with a perforator through the first lifting unit 20, the buried object 90 can be buried in the perforated hole with the embedding machine 70.

연결부(24)는 서브 승강바(22)가 메인 승강바(21)와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메인 승강바(21)와 서브 승강바(22)를 연결한다.The connection part 24 connects the main lifting bar 21 and the sub lifting bar 22 so that the sub lifting bar 22 moves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main lifting bar 21.

이를 위해 연결부(24)는 연결부재(241), 지지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ion part 24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241 and a support member 242.

연결부재(241)는 하측이 고정바(13)의 상측 외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메인 승강바(21)의 상측 개구부를 통과하여 서브 승강바(22)의 하부 측면 또는 저면에 고정된다.The connecting member 241 has a lower side fixed to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ar 13, and an upper side is fixed to a lower side or a bottom surface of the sub lift bar 22 through an upper opening of the main lift bar 21.

지지부재(242)는 연결부재(241)를 지지하면서 연결부재(24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The support member 242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241 while supporting the connection member 241.

지지부재(242)는 메인 승강바(21)의 상측 외면에 축 고정된다.The support member 242 is axially fix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main lifting bar 21.

따라서, 지지부재(242)는 연결부재(241)가 이동 시 제자리 회전되면서 지지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42 is supported while rotating in place when the connecting member 241 is moved.

이때, 연결부재(241)는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242)는 연결부재(241)에 대응되게 스프로켓 또는 드럼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241 may be formed of a chain, and the support member 242 may be formed of a sprocket or a drum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mber 241.

승강구동부(30)는 승강부(20)를 피타공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승강구동부(30)가 유압 실린더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elevating drive unit 30 raises or lowers the elevating unit 20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and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and hereinafter, the elevating drive unit 30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

승강구동부(30)는 고정바(13)의 측면에 고정되며, 피스톤은 메인 승강바(21)의 상측에 형성된 브라켓(211)에 결합된다.The elevating driver 30 is fixed to the side of the fixing bar 13, and the piston is coupled to the bracket 21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elevating bar 21.

그리고,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 또는 회수하기 위한 유압공급탱크(31)는 베이스판(12)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hydraulic supply tank 31 for supplying or recover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2.

메인 승강바(21)가 고정바(13)의 승강홀(13a)에 수용되고, 서브 승강바(22)가 메인 승강바(21)의 승강홀(21a)에 수용됨으로, 승강구동부(30)는 메인 승강바(21)와 서브 승강바(22)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승강시킨다.The main lifting bar 21 is accommodated in the lifting hole 13a of the fixed bar 13, and the sub lifting bar 22 is accommodated in the lifting hole 21a of the main lifting bar 21, so that the lifting drive unit 30 Elevates the main lifting bar 21 and the sub lifting bar 22 in a telescopic manner.

다음으로, 도 5,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의 사용 예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use of the burie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nique effec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6 and 11.

먼저, 건축물의 천장에는 트레이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며, 이를 위해 천장에 트레이가 지지 및 설치되는 전사, 파이프, 볼트 등을 설치할 복수개의 홀을 타공해야 한다.First, a structure such as a tray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holes for installing transfers, pipes, bolts, etc. in which the tray is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ceiling must be drilled.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를 건축물의 천장면 중 홀을 타공할 위치로 이동시킨다.Therefore, the embedd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position in which the hole is to be drill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building.

이때, 제1 이동피스톤(231)을 통해 타공기를 천장면의 타공할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At this time, it is sufficient to move the perforated machine to the position to be perforated on the ceiling surface through the first moving piston 231.

이후, 제2제어버튼을 통해 피스톤을 상승시킨다.Thereafter, the piston is rais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button.

도 5와 같이 피스톤(31)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되면 도 6과 같이 메인 승강바(21)가 고정바(13)의 승강홀(13a)을 따라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연결부재(241) 및 지지부재(242)는 상호 작용에 의해 도르래 원리로 서브 승강바(22) 및 탑재부(23)에 탑재된 타공기를 상승시킨다.When the piston 31 is raised in a lowered state as shown in FIG. 5, the main lifting bar 21 is raised along the lifting hole 13a of the fixed bar 13,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member 241 and The support member 242 raises the perforated air mounted on the sub lift bar 22 and the mounting portion 23 by a pulley principle by interaction.

이후에, 타공기가 천장면과 가까워 질 때쯤 제1제어버튼을 통해 타공기를 작동시키면 드릴비트가 천장면을 타공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perforated hole is operated through the first control button when the perforated hole is close to the ceiling surface, the drill bit perforates the ceiling surface.

이후, 제1 이동피스톤(231)을 통해 매립기(70)를 이동시켜 천장면에 형성된 타공홀의 하측에 제2 포켓부(72)가 위치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embedding machine 70 is moved through the first moving piston 231 so that the second pocket portion 72 is positioned under the perforated hole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이때, 흡착판(651)은 회전구동부(63)에 의해 케이스(6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suction plate 651 maintains a state positioned above the case 61 by the rotation driving part 63.

따라서, 본체부(10)에 마련된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하강시키면 흡착판(651)이 종점(F)에 위치된 매립물(90)의 상면에 접촉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is lowered by manipulating the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the second supplementary lift drive unit 64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the suction plate 651 is located at the end point F. I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andfill 90.

이후, 본체부(10)에 마련된 에어흡입기(652)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흡입호스(6521)가 흡착판(651) 상의 에어를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흡착판(651)에 매립물(90)을 고정시킨 후,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통해 흡착판(651)을 상승시켜 매립물(90)을 케이스(61)의 상측으로 인출시킨다.Thereafter, by operating a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the air inhaler 652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uction hose 6251 sucks the air on the suction plate 651, the buried material 90 in the suction plate 651 After fixing is carried out, the suction plate 651 is raised through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to draw the buried material 90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61.

이후, 본체부(10)에 마련된 회전구동부(63)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브라켓(634) 및 픽업부(65)를 180도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흡착판(651) 및 매립물(90)이 제2 포켓부(7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Thereafter, by operating a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the rotation driving unit 63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to rotate the bracket 634 and the pickup unit 65 at an angle of 180 degrees, the suction plate 651 and the embedded material ( 90)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pocket portion 72.

이후에,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통해 흡착판(651)을 하강시켜 매립물(90)을 제2 포켓부(72)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에어흡입기(652)의 작동을 정지시켜 매립물(90)에 대한 흡착판(651)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제2 부가 승강구동부(64)를 통해 픽업부(65)만 상승시킨다.Thereafter, the suction plate 651 is lowered through the second additional lifting drive unit 64 to place the buried material 90 inside the second pocket unit 72,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air inhaler 652 is stopped. After releasing the fixation of the adsorption plate 651 to the buried material 90, only the pick-up unit 65 is raised through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64.

이후, 회전구동부(63)를 통해 브라켓(634) 및 픽업부(65)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픽업부(65)가 케이스(6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bracket 634 and the pickup unit 65 are rotated at an angle of 180 degrees through the rotation driving unit 63 so that the pickup unit 65 is positioned above the case 61.

이후에, 본체부(10)에 마련된 제1 승강구동부(30)용 제어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매립기(70)를 상승시켜 제2 포켓부(72)의 매립물(90)이 천공홀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본체부(10)에 마련된 에어주입기용 제어버튼(미도시)을 통해 에어주입기로 에어건(80)의 내부에 에어를 반복적으로 주입, 정지시켜 타격부(73)가 매립본체(91)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도록 한다.After that, by operating the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the first lift drive unit 30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to raise the embedding machine 70, the buried material 90 of the second pocket unit 72 is perforated. After placing it in the hole, the blower 73 is embedded by repeatedly injecting and stopping air into the air gun 80 through the air injector through a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the air injec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91 is repeatedly hit.

이때, 에어주입기는 에어건(80)의 내부에 1초 내지 3초 간격으로 에어를 주입한다.At this time, the air injector injects air into the air gun 80 at intervals of 1 to 3 seconds.

그리고, 에어건(8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면 타격부(73)가 상승되면서 매립본체(91)를 타격한다. 이때, 스프링(74)은 폐쇄막(731)과 제1 포켓부(71)의 천장면의 사이에서 압축되고, 볼트(B)도 상승하여 일부분이 제1 포켓부(71)의 상측 외부로 돌출된다.And, when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ir gun 80, the striking part 73 rises and strikes the buried body 91. At this time, the spring 74 is compressed between the closing membrane 731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first pocket part 71, and the bolt B also rises so that a part of the spring 74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ocket part 71 do.

그리고, 에어건(80)의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지 아니하면 스프링(74)이 팽창되면서 폐쇄막(731)을 밀어 타격부(73)가 하강된다.In addition, when air is no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ir gun 80, the spring 74 expands and pushes the closing membrane 731 to lower the striking portion 73.

또한, 매립본체(91)는 타격부(73)에 타격될 때마다 타공홀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되며, 절개편(911)들은 핀(92)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감싸기 때문에 핀(92)도 함께 상승된다.In addition, the buried body 91 is gradually raised along the perforated hole whenever it is hit by the striking portion 73, and the cut pieces 911 elasticall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in 92, so the pin 92 is also Rise together.

그리고, 핀(92)은 그 직경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핀(92)의 상측부분은 매립본체(9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Further, the pin 92 is formed in a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widen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n 92 protrudes upward of the buried body 91.

따라서, 매립본체(91)는 핀(92)을 따라서도 점진적으로 상승되며, 이에 대응하여 절개편(911)들도 점진적으로 벌어진다. 벌려진 절개편(911)들은 천장면에 걸린다. 따라서, 매립물(90)이 천장면에 고정된다.Accordingly, the buried body 91 is gradually raised even along the pin 92, and the cut pieces 911 are also gradually opened in response thereto. The open incision pieces 911 are hung on the ceiling surface. Accordingly, the embedded material 90 is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그리고, 어느 한 부분에 대한 타공작업 및 매립물(90)의 매립작업이 완료되면 제2제어버튼을 통해 피스톤을 하강시킨 후, 매립장치(1)를 다음 타공 및 매립할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전술한 방식으로 천장면에 홀을 타공한 후 매립물(90)을 매립해 나가면 된다.And, when the perforation work for one part and the embedding work of the buried material 90 are completed, the piston is lower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button, and then the embedding device 1 is sequentially moved to the next perforation and burial position. After drilling a hole in the ceiling surface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buried material 90 may be buri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립장치(1)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가 천장면의 타공 및 매립물(90)을 매립할 위치 마다 사다리를 옮겨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번거로움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지상에서 매립장치(1)를 용이하게 옮겨가면서 천장면을 안전하게 타공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the embedd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or has to move the ladder to each position where the perforation of the ceiling surface and the landfill 90 is to be embedded, and the operator There is no hassle and dangerous situation to go up and dow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of allowing an operator to safely perforate the ceiling while moving the buried device 1 easily from the ground.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1 : 매립장치 10 : 본체부
11 : 메인프레임 111 : 사각틀
112 : 연결바 12 : 베이스판
121 : 이동수단 1211 : 고정편
13 : 고정바 13a,21a : 승강홀
14 : 포켓부 20 : 승강부
21 : 메인 승강바 211,634 : 브라켓
22 : 서브 승강바 23 : 탑재부
231 : 제1 이동피스톤 232 : 제2 이동피스톤
24 : 연결부 241 : 연결부재
242 : 지지부재 30 : 승강구동부
31 : 유압공급탱크 40 : 실린더
50 : 제1 부가 승강구동부 60 : 공급부
61 : 케이스 611 : 지지대
62 : 푸쉬부 621,6355,74 : 스프링
622 : 푸쉬판 63 : 회전구동부
631 : 하우징 632 : 축
633 : 회전체 633a : 제1 수직홈
633b : 제2 수직홈 633c : 제1 사선홈
633d : 제2 사선홈 635 : 작동부
6351 : 사각블럭 6352 : 승강바
6353 : 승강블럭 6354 : 승강편
64 : 제2 부가 승강구동부 65 : 픽업부
651 : 흡착판 6511 : 바디부
652 : 에어흡입기 6521 : 흡입호스
70 : 매립기 71 : 제1 포켓부
71a : 제1 내부공간 72 : 제2 포켓부
72a : 제2 내부공간 73 : 타격부
731 : 폐쇄막 732 : 나선형 장착수단
733 : 걸림턱 80 : 에어건
81 : 나선형 장착구 90 : 매립물
91 : 매립본체 911 : 절개편
92 : 핀
1: embedding device 10: main body
11: main frame 111: square frame
112: connecting bar 12: base plate
121: moving means 1211: fixed piece
13: fixing bar 13a, 21a: lifting hole
14: pocket portion 20: elevating portion
21: main lifting bar 211,634: bracket
22: sub lift bar 23: mounting portion
231: first moving piston 232: second moving piston
24: connection part 241: connection member
242: support member 30: elevating drive unit
31: hydraulic supply tank 40: cylinder
50: the first additional lifting drive unit 60: supply unit
61: case 611: support
62: push part 621,6355,74: spring
622: push plate 63: rotation drive unit
631: housing 632: shaft
633: rotating body 633a: first vertical groove
633b: second vertical groove 633c: first diagonal groove
633d: second diagonal groove 635: operating part
6351: square block 6352: lifting bar
6353: elevating block 6354: elevating flight
64: second additional lifting drive unit 65: pickup unit
651: suction plate 6511: body
652: air inhaler 6521: suction hose
70: embedding machine 71: first pocket portion
71a: first internal space 72: second pocket portion
72a: second internal space 73: hitting part
731: closing membrane 732: spiral mounting means
733: locking step 80: air gun
81: spiral mounting hole 90: landfill
91: landfill body 911: incision
92: pin

Claims (9)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매립물을 피매립물에 매립하는 매립기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피매립물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A body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moving means that are cloud-moved along the ground,
An elevating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elevating and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n embedding machine for embedding the buried object in the buried object is mounted;
An embedd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vating driver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bur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이동수단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또는 기립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부가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가 기립시 수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art,
Mainframe,
A base plate on which the main frame is seated and the moving mean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bottom edge,
A fixed bar hinged to seat or st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o which the elevating driver is coupled,
A buried device including a pocket portion accommodated when the fixing bar is standing u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을 각각 승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키는 제1 실린더,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를 밀거나 당겨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cylinder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for raising and lowering each of the moving means to contact the ground,
An embed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ylinder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nd rot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by pushing or pulling the fixing b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메인 승강바,
상기 메인 승강바를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탑재부가 설치된 서브 승강바,
상기 서브 승강바가 메인 승강바와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상기 메인 승강바와 서브 승강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part, a main elevating bar that is elevated by the elevating driver,
A sub lift bar that can be lifted along the main lift bar and the mounting unit is installed,
An embedd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ain lifting bar and the sub lifting bar so that the sub lifting bar moves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main lifting ba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승강바의 내부공간에서 서브 승강바의 하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메인 승강바의 외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on part,
One side is fixed to the main body, the other side is a connection member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b lift ba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lift bar,
A buried device including a support memb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lifting bar to support the connection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매립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피스톤 및 피매립물에 상기 매립물을 매립하기 위한 매립홀을 형성하는 타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피스톤을 갖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art is formed of a pneumatic cylinder having a first movable piston for moving the burying mach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movable piston for horizontally moving a perforated hole forming a burying hole for burying the burying in the object Landfill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매립기 또는 타공기가 서로 교번되게 피매립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매립기를 승강시키는 제1 부가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 embed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rst additional lifting driv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ston and for lifting the embedding machine so that the embedding machine or the perforated machine can alternately contact the object to be buri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기에 매립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매립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일측벽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매립물을 케이스의 타측벽으로 미는 푸쉬판을 포함하는 푸쉬부,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회전구동부,
상기 푸쉬부와 매립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피스톤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부가 승강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케이스의 상측 또는 매립기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 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케이스 또는 매립기에 대해 승강되며, 에어 흡입을 통해 케이스 내의 매립물을 픽킹하고, 에어 배출에 의해 픽킹한 매립물을 매립기에 공급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픽업부를 포함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buried material to the embedding unit, the supply unit,
A case disposed on the top of the first movable piston,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uried objects is formed therein,
A push unit including a spring fixed to one side wall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and a push plate for pushing the burie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other side wall of the case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 rotation drive unit that is elevated by the second additional lift drive unit,
A second additional elevation driv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push unit and the embedding machine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ston,
It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or to the upper side of the embedding machine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and the second part is raised and lowered to the case or the embedding machine by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picks the buried material in the case through air intake, and picks it by air discharge. An embedding apparatus comprising a pick-up unit including an adsorption plate for supplying a buried material to the embedd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기는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 포켓부,
상기 제1 포켓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매립물이 수용되는 제2 내부공간이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포켓부,
상기 매립물의 매립에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포켓부의 출구측을 폐쇄하는 폐쇄막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에어건에 에어가 주입시 이동되어 제2 내부공간에 위치한 매립물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
상기 폐쇄막과 제1 포켓부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타격부가 이동 시 팽창작용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andfill machine
A first pocket portion in which a first internal space is formed,
A second pocke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formed such that a second inner space in which a buried material is accommoda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pace,
It is mounted on an air gun that supplies air required for the burial of the buried material, and a closing film that closes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pocket is integrally formed, and is col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second inner space, and air in the air gun. A striking part that can be moved during injection and strikes the landfill locat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An embedding device comprising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closing membran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returning to an original position through an expansion action when the striking portion moves.
KR2020200003000U 2020-08-14 2020-08-14 Punching apparatus KR2004951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00U KR200495184Y1 (en) 2020-08-14 2020-08-14 Punc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00U KR200495184Y1 (en) 2020-08-14 2020-08-14 Punc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95U true KR20200001995U (en) 2020-09-14
KR200495184Y1 KR200495184Y1 (en) 2022-03-24

Family

ID=7247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000U KR200495184Y1 (en) 2020-08-14 2020-08-14 Punc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84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709B1 (en) * 1995-08-30 1998-04-07 김태구 Drilling device for cealling work
KR20080089057A (en) * 2007-03-31 2008-10-06 김한택 Go up and down device for a hammer drill
KR20140012807A (en) * 2012-07-23 2014-02-04 허광학 An installing apparatus of anchor to ceiling
KR101884198B1 (en) 2018-01-03 2018-08-02 주식회사 더울림 Apparatus for cutting of tex
KR102115219B1 (en) * 2020-01-07 2020-05-27 대명지이씨(주) Construction robot for ceil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709B1 (en) * 1995-08-30 1998-04-07 김태구 Drilling device for cealling work
KR20080089057A (en) * 2007-03-31 2008-10-06 김한택 Go up and down device for a hammer drill
KR20140012807A (en) * 2012-07-23 2014-02-04 허광학 An installing apparatus of anchor to ceiling
KR101884198B1 (en) 2018-01-03 2018-08-02 주식회사 더울림 Apparatus for cutting of tex
KR102115219B1 (en) * 2020-01-07 2020-05-27 대명지이씨(주) Construction robot for ce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84Y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2092U (en) Punching apparatus
KR100704720B1 (en) Device for lifting temporary stand and lifting method thereof
US10865603B2 (en) Core drill apparatus for installation in excavator
KR101676415B1 (en) an excavator core drill device
KR102412165B1 (en) Apparatus for drilling on the ceil
KR20080089057A (en) Go up and down device for a hammer drill
US20210381189A1 (en) Pile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35265B1 (en) apparatus for drilling on the ceil
KR20140012807A (en) An installing apparatus of anchor to ceiling
CN112921966B (en) Device for ensuring pile end of precast pile to enter bearing stratu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0952755A (en) Indoor side installation method for building glass
KR20200001995U (en) Punching apparatus
KR20020062259A (en) Rail bracket assembly and vertically-movable scaffold using the same
KR101674542B1 (en) EDB_Eco Demolition device and method for High-rise Buildings
KR102014720B1 (en) Golf tee lifting apparatus
KR20080102922A (en) Liftable working tower for high place
KR20110019806A (en) Movable ladder
KR101558892B1 (en) Excavating apparatus of holding the base
CN110714464A (en) Construction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ubular pile in dense sand layer
JP2021080646A (en) Device and method for pulling out existing structure
JP6908811B2 (en) Two-by-four building anchor guide construction method
KR102250569B1 (en) Scattering soil preventing Apparatus of auger screw cover for crane piercing machine
KR20200145195A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cattering soil
CN219343914U (en) Low-altitude maintenance platform
CN214292986U (en) Movable electric hammer lift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