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72U -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72U
KR20200001972U KR2020190000860U KR20190000860U KR20200001972U KR 20200001972 U KR20200001972 U KR 20200001972U KR 2020190000860 U KR2020190000860 U KR 2020190000860U KR 20190000860 U KR20190000860 U KR 20190000860U KR 20200001972 U KR20200001972 U KR 202000019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support
coupled
fixing
table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229Y1 (ko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2020190000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2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싱크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식기를 거치할 수 있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가 제공된다.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판과, 거치판의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판을 포함하여 상부에 식기류가 거치되며,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치부와, 일단부가 거치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과, 제1 지지봉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봉과, 제1 지지봉 및 제2 지지봉을 고정 및 분리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와,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싱크대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싱크대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싱크대의 외측에서 제1 고정부와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Bowl rack for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싱크대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상부에 식기를 거치하여 설거지하거나, 세척된 식기를 거치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등 상부에 식기를 거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그릇, 접시, 숟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를 세척하거나 과일이나 채소 등을 세척하기 위해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정 깊이를 가지도록 요입된 세척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싱크대는 식기 또는 과일, 채소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만입된 공간을 형성되고, 일반적인 크기 및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시중에서 판매되거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싱크대는 직접 주문하여 제작하지 않을 경우, 단일 사이즈로 제작되어 판매되기에 모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사용자는 식기를 싱크대의 바닥에 내려놓거나 들어올리면서 허리와 목을 구부리게 되면서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식기류를 설거지한 후에 별도의 식기 거치대에 거치할 경우 식기에 남아있는 물기가 식기 거치대의 하부로 흘러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싱크대에 거치되어 식기를 거치할 수 있는 싱크대용 선반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싱크대용 선반은 식기류만 거치하여 식기에 남아있는 물기만 싱크대의 하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 높이조절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7813호, (2006. 05. 26)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싱크대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상부에 식기를 거지하여 설거지하거나, 세척된 식기를 거치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등 상부에 식기를 거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판을 포함하여 상부에 식기류가 거치되며,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치부와, 일단부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을 고정 및 분리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싱크대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싱크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판은 상기 평판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판은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판은 삼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어 상기 거치판과 중첩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봉의 내주면이 상기 제1 지지봉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거치판의 하면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하면에 지지부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파지홈이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싱크대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3 고정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제3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맞물려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는, 싱크대의 내측에 간편하게 설치가능하고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신체사이즈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수그려 싱크대의 저면이 식기를 내려놓을 필요가 없어 허리, 어깨 등과 같은 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식기류를 설거지하면서 식기류를 놓치게 될 경우, 싱크대의 저면이 아닌 거치부의 상면에 낙하하면서 낙하거리가 줄어들어 식기류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설거지 후에 식기류를 거치할 수 있으며, 식기류에 남아 하부로 흐르는 물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고, 식기류에 잔류되어 있는 물기를 그대로 싱크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싱크대의 내측에 손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는, 거치부(10)의 상면에 식기류를 거치하여 설거지하거나 설거지 후에 물기가 제거될 때까지 식기류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높낮이를 조절이 가능하여 설거지할 때 싱크대(S)의 저면에 식기류를 내려둘 필요가 없어 허리를 구부리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는 각 구성요소가 분리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력에 의해 싱크대(S)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작동과정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에,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판(11)과, 거치판(11)의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판(12)을 포함하여 상부에 식기류가 거치되며,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된 거치부(10)와, 일단부가 거치부(10)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21)과, 제1 지지봉(21)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봉(22)과, 제1 지지봉(21) 및 제2 지지봉(22)을 고정 및 분리하는 고정부재(2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20)와, 지지부(2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싱크대(S)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31)와, 싱크대(S)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싱크대(S)의 외측에서 제1 고정부(31)와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32)를 포함한다.
거치부(10)는 상부에 그릇, 접시, 숟가락, 젓가락, 컵 등의 식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싱크대(S)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부(10)는 지지부(20)와 고정부에 의해 싱크대(S)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싱크대(S)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수그릴 필요 없이, 상면에 식기류를 내려둘 수 있다. 특히, 거치부(1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설거지할 경우 상부에 식기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설거지를 하더라도 관통공(13)을 통해 물과 세제가 배출될 수 있다. 거치부(10)는 상면에 식기류를 거치할 수 있는 얇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판(11)과 날개판(12)을 포함한다.
거치판(11)은 상부에 식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의 일부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거치판(11)은 상부에 거치되는 식기류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물과 세제와 접촉하더라도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판(11)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사용자가 설거지할 경우, 물과 세제를 배출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된다. 관통공(13)은 거치판(11)의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3)은 물과 세제를 배출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과 거치판(11)에 형성되는 개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판(11)은 설치 위치(가정용, 업소용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에 따라 직경 또는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판(12)은 상부에 식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의 일부로, 거치판(11)의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된다. 날개판(12)은 상부에 거치되는 식기류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거치판(11)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판(11)과 동일한 재질인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물과 세제와 접촉하더라도 녹슬지 않을 수 있다. 날개판(12)은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설거지할 때 물과 세제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공(13)의 직경과 날개판(12)의 크기는 거치판(11)의 크기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판(12)은 삼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를 형성되어 일측변이 거치판(11)의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날개판(12)은 복수 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어 거치판(11)의 상면에 중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거치판(11)이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날개판(12)이 삼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판(12)은 복수 개가 거치판(11)의 면적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다각형의 일측변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접철가능하여 거치판(11)의 상면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날개판(12)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거치판(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거치판(11)의 상면에 중첩배치될 수도 있지만, 힌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져 거치판(11)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판(12)은 거치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거치판(11)과 날개판(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기가 상부로부터 싱크대(S)의 저면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식기류가 깨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날개판(12)은 사용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싱크대(S)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 날개판(12)을 접고 거치판(11)과 날개판(12)이 중첩된 상부에 식기류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부에 거치할 식기가 많을 경우 날개판(12)을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거치부(10)는 접철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보관에 용이한 특징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치판(11)과 날개판(12)을 포함하는 거치부(10)는 지지부(20)에 의해 싱크대(S)의 내측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부(31, 32)에 의해 싱크대(S)의 내측에 안전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거치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가느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거치부(10)에 결합된다. 지지부(20)는 일단부가 거치판(11)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싱크대(S)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31, 32)에 연결되어 거치부(10)를 싱크대(S)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봉(21)과 제2 지지봉(22)을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에, 싱크대(S)의 내측에 설치되는 거치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지지봉(21)과 제2 지지봉(22)은 거치부(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0)의 일부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거치판(11)의 하부에 배치되어 거치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봉(21)은 일단부가 거치판(11)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타단부가 제2 지지봉(22)에 결합된다. 제2 지지봉(22)은 제1 지지봉(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제1 지지봉(21)이 삽입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지지봉(22)은 내주면이 제1 지지봉(2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제1 지지봉(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지지봉(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지지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봉(21)과 제2 지지봉(22)은 고정부재(23)에 의해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길이를 조절하여 싱크대(S) 내측에 배치되는 거치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하는 지지부(20)는 고정부에 의해 싱크대(S)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1, 32)는 거치부(10)와 지지부(20)를 싱크대(S)의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2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고정부(31, 32)는 제2 지지봉(22)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싱크대(S)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31)와, 싱크대(S)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싱크대(S)의 외측에서 제1 고정부(31)와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32)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는 내측에 자력을 가지고 있는 제1 자석부재(310)와 제2 자석부재(320)를 수용하여, 싱크대(S)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내측과 외측에서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가 자체적으로 자력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는 자력에 의해 싱크대(S)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배치되며, 지지부(20)가 싱크대(S)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31)에 결합되어 거치부(10)를 싱크대(S)에 설치할 수 있으나, 상면에 식기류를 거치하는 거치부(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지지부는 거치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거치부(10)를 싱크대(S)의 바닥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20)와 다르게 싱크대(S)의 측면에서 지지부(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지지부는 싱크대(S)의 내측에 지지부(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지부(51)와 제3 고정부(53)와 연장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51)는 지지부(20)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파지홈을 형성한다. 파지부(51)는 지지부(20)가 삽입되는 파지홈을 형성하며, 파지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지지부(20)의 양측에 맞물려 지지부(20)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파지부(51)는 파지홈의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를 통해 파지홈의 내측에 지지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파지부(51)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파지홈에 지지부(20)가 삽입되면 지지부(20)에 탄성력을 가하고 지지부(20)를 가압하여 지지부(20)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51)는 싱크대(S)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3 고정부(53)와 연결된 연장부(52)에 의해 싱크대(S)에 고정되어 지지부(20)를 파지할 수 있다.
제3 고정부(53)는 싱크대(S)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23)로, 내부에 자력을 가지고 있는 자석부재를 수용하거나, 자체적으로 자력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싱크대(S)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3 고정부(53)를 싱크대(S)의 내측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싱크대(S)의 측면을 사이에 두고 싱크대(S)의 외측에서 별도의 자석부재가 제3 고정부(53)와 자력으로 결합되어, 제3 고정부(53)를 싱크대(S)의 측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연장부(52)는 파지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3 고정부(53)와 연결되는 것으로, 가느다란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파지부(51)와 연장부(52)에 고정 결합된다. 연장부(52)는 파지부(51)와 제3 고정부(53) 사이를 연결하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52)는 파지부(51) 및 제3 고정부(53)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부(20)를 측면에서 고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는 거치부(10), 지지부(20), 고정부는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 시에 손쉽게 결합하여 싱크대(S)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보관 시에 각 구성을 분리하여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0)는 제1 고정부(31)에 나사결합되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거치부(10)와 지지부(20)는 가이드레일(41)과 결합부(42)를 통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레일(41)과 결합부(42)는 거치부(10)와 지지부(20)가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거치부(10)와 지지부(20)에 형성된다. 가이드레일(41)은 거치판(11)의 하면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41)로, 거치판(11)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하는 면을 향하여 굴절 형성되어 결합부(42)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 배치가능한 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1)은 거치판(11)의 하면에 고정형성되며, 하부로 연장되어 굴절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결합부(42)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42)는 지지부(2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가이드레일(41)에 삽입되어 지지부(20)를 거치부(10)와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봉(21)의 일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42)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제1 지지봉(21)의 일단부와 고정되며, 양측단부가 가이드레일(41)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42)는 가이드레일(41)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레일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삽입 후 가이드레일(4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판(11)의 하면과 제1 지지봉(21)의 일단부에 가이드레일(41)과 결합부(42)가 각각 형성되어, 손쉽게 결합 및 분리하여 싱크대(S)의 내측에 거치부(1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의 상면을 덮는 평판부(41a)를 포함하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41)이 평판부(41a)의 양측부를 따라 각각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평판부(41a)가 형성되지 않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41)이 거치판(11)의 하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는 거치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가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거치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부재(23)를 간편하게 회전하고 제2 지지봉(22)을 제1 지지봉(21)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지지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길이를 조절한 후에 고정부재(23)를 다시 회전하여 제1 지지봉(21)과 제2 지지봉(2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20)는 고정부재(23)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일단부에 고정된 거치부(10)가 싱크대(S)의 내측에 배치되는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싱크대(S)용 식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식기류를 설거지하고자 할 때, 허리를 수그리면서 싱크대(S)의 저면에 있는 식기류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필요 없이, 허리를 수그리지 않아도 닿을 정도로 거치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거치부(10)의 상부에 거치한 상태에서 설거지할 수 있어,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는 싱크대(S)의 내측에 간편하게 배치하고 날개판(12)을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날개판(12)을 접어 거치판(11)과 날개판(12)이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식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설치되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의 거치부(10)는 지지부(20)뿐만 아니라 싱크대(S)의 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부(20)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싱크대(S)의 내측에 간편하게 설치가능하고, 거치부(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신체사이즈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수그려 싱크대(S)의 저면이 식기를 내려놓을 필요가 없어 허리 또는 어깨 등의 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거지할 때 거치부(10)의 상면에 식기를 거치하여 설거지하고, 설거지할 때뿐만 아니라 설거지 한 후에도 세척된 식기류를 거치하여 건조시킬 수 있으며, 물기가 남아있는 식기류를 거치하더라도 물기를 관통공(13)을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식기류를 설거지하면서 식기류를 놓치게 될 경우, 싱크대의 저면이 아닌 거치부의 상면에 낙하하면서 낙하거리가 줄어들어 식기류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싱크대(S)의 내측에 손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10: 거치부 11: 거치판
12: 날개판 13: 관통공
20: 지지부 21: 제1 지지봉
22: 제2 지지봉 23: 고정부재
31: 제1 고정부 32: 제2 고정부
41: 가이드레일 41a: 평판부
42: 결합부 51: 파지부
52: 연장부 53: 제3 고정부
310: 제1 자석부재 320: 제2 자석부재

Claims (7)

  1.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판을 포함하여 상부에 식기류가 거치되며,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치부;
    일단부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봉과,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을 고정 및 분리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싱크대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싱크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상기 평판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은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판은 삼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어 상기 거치판과 중첩배치되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의 내주면이 상기 제1 지지봉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의 하면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하면에 지지부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파지홈이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싱크대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3 고정부와, 상기 파지부와 상기 제3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맞물려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KR2020190000860U 2019-02-28 2019-02-28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KR200493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60U KR200493229Y1 (ko) 2019-02-28 2019-02-28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60U KR200493229Y1 (ko) 2019-02-28 2019-02-28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72U true KR20200001972U (ko) 2020-09-07
KR200493229Y1 KR200493229Y1 (ko) 2021-02-23

Family

ID=7247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60U KR200493229Y1 (ko) 2019-02-28 2019-02-28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871A (ko) 2021-10-08 2023-04-17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32A (ja) * 1994-04-28 1995-11-14 Daisan Shoji Kk 折り畳み式テーブルにおける天板と脚部との連結機構
JPH08322747A (ja) * 1995-06-02 1996-12-10 Kazuyoshi Takahashi 洗い場の補助具
JP2005304991A (ja) * 2004-04-26 2005-11-04 Yoshitaka Arai 三面突っ張り構造
KR200417813Y1 (ko) 2006-01-19 2006-06-02 주식회사 원구 싱크대용 선반
KR20120081366A (ko) * 2011-01-11 2012-07-19 김미량 범용성을 갖는 서포팅 유닛
KR20160136955A (ko) * 2015-05-21 2016-11-30 정미승 싱크대용 주방용구 거치대
CN107669187A (zh) * 2017-10-27 2018-02-09 平湖市中天卫厨设备厂 一种家用厨房辅助支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32A (ja) * 1994-04-28 1995-11-14 Daisan Shoji Kk 折り畳み式テーブルにおける天板と脚部との連結機構
JPH08322747A (ja) * 1995-06-02 1996-12-10 Kazuyoshi Takahashi 洗い場の補助具
JP2005304991A (ja) * 2004-04-26 2005-11-04 Yoshitaka Arai 三面突っ張り構造
KR200417813Y1 (ko) 2006-01-19 2006-06-02 주식회사 원구 싱크대용 선반
KR20120081366A (ko) * 2011-01-11 2012-07-19 김미량 범용성을 갖는 서포팅 유닛
KR20160136955A (ko) * 2015-05-21 2016-11-30 정미승 싱크대용 주방용구 거치대
CN107669187A (zh) * 2017-10-27 2018-02-09 平湖市中天卫厨设备厂 一种家用厨房辅助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229Y1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5732B (zh) 保持组件
US20120085715A1 (en) Dish rack with adjustable spout & removable drip tray
WO2001085008A3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EP2554097A2 (en) Dishwasher rack comprising an extractable perimetric frame
EP3148393B1 (en) Article rack accessory with improved usability for use in a dishwasher
KR200493229Y1 (ko) 싱크대용 식기 보조거치대
US20160367026A1 (en) Rotatable Storage Device
KR20090131473A (ko) 식기건조대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KR200484786Y1 (ko) 수저 받침대
CN109567435B (zh) 具备开闭式固定夹的多用途置物架
KR200465013Y1 (ko)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KR200495766Y1 (ko)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
KR10244718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CN215687252U (zh) 一种沥水架
CN210931266U (zh) 水槽及集成有水槽的清洗设备
US11589730B2 (en) Glass holder attachment
CN211022347U (zh) 一种厨房用具收纳架
EP1787568A1 (en) Cutlery basket and basket set for a dishwashing machine comprising quick access zone
CN112584733B (zh) 玻璃杯保持附件
JP7086707B2 (ja) 水切り籠
KR200183439Y1 (ko) 주방용품 보관구
KR20090024004A (ko) 식기 세척기
KR100939504B1 (ko) 설거지용 받침대
KR200493385Y1 (ko) 싱크대용 물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