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09U -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 Google Patents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09U
KR20200001809U KR2020190000526U KR20190000526U KR20200001809U KR 20200001809 U KR20200001809 U KR 20200001809U KR 2020190000526 U KR2020190000526 U KR 2020190000526U KR 20190000526 U KR20190000526 U KR 20190000526U KR 20200001809 U KR20200001809 U KR 20200001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eiling
main body
fa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빛
Priority to KR2020190000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809U/ko
Publication of KR20200001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 모터가 내장된 본체;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결합되는 허브를 포함하고, 허브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 및 본체의 상단 외주에 상기 본체를 천장형 에어컨의 흡입 그릴의 노출면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본체의 상면에는 결합용 홈이 마련되어 있고, 지지 부재는,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서 가요성 재질로 하나 이상 구비되고, 지지 부재의 끝 단 일 영역에는 지지홀이 형성되어 지지 부재가 흡입 그릴을 구성하는 리브를 적어도 하나 감싸도록 하여 지지홀을 상기 결합용 홈에 볼트 결합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본체가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STRUCTURE OF AIR CIRCULATION FAN COMBINED WITH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천장형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시원한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킴에 따라서 실내의 냉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변화의 문제로 인하여 매년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짐에 따라 실내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에어컨은 실내 공간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필수 전자 제품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의 에어컨들 중 천장형 에어컨은,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고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그 선호도가 매우 높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춰 신축 건물 및 신축 아파트 등에는 천장형 에어컨을 매립하여 빌트인(built-in) 가전으로 분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상술한 천장형 에어컨은 깔끔한 인테리어 효과와, 천장형 에어컨에 마련된 4면의 기류 토출구에서 경사진 형태로 하방 토출되어 기류를 어느 정도 확산해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실제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 토출구에 의해 배출되는 기류가 멀리까지 퍼져 실내 전체 공기 분위기를 쾌적하게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냉난방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등의 실내의 온도 편차가 큰 점으로 인해 실내 냉방 효율이 낮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 특허 제10-1533325호(천정 카세트 에어컨 부착용 다익 확산 팬 조립체)에서는 천장형 에어컨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어 에어컨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받아 무동력으로 회전 구동하게 함으로써 기류를 확산하는 다익 확산 팬 조립체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고안의 경우, 천장형 에어컨에 설치하기 위하여 복잡한 결합 구조를 가져 결합 및 분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에어컨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이용하여 다익 확산 팬 조립체를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질적인 기류 확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천장형 에어컨의 흡입 그릴의 노출면에 공기 순환용 팬을 결합 설치함으로써 에어컨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실내 공간에 넓게 분산시켜 냉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는, 구동 모터가 내장된 본체;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결합되는 허브를 포함하고, 허브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 및 본체의 상단 외주에 상기 본체를 천장형 에어컨의 흡입 그릴의 노출면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본체의 상면에는 결합용 홈이 마련되어 있고, 지지 부재는,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서 가요성 재질로 하나 이상 구비되고, 지지 부재의 끝 단 일 영역에는 지지홀이 형성되어 지지 부재가 흡입 그릴을 구성하는 리브를 적어도 하나 감싸도록 하여 지지홀을 상기 결합용 홈에 볼트 결합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본체가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동 모터는, 날개부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풍속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본체의 상면에는, 본체의 테두리에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며, 돌출부 일 영역에는 풍속 제어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인출되도록 하는 전선 인출용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동 모터는, 천장형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 PCB와 연결되어 메인 PCB의 ON/OFF 동작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날개부는, 천장형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 PCB의 에어컨 출력값에 대응되는 전압이 출력되는 포트에 연결되어, 에어컨에 설정된 출력값에 따라 그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하나 이상의 날개는, 구동 축에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날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날개의 곡률 반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면서 구동 축에 대한 경사 예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체는, 본체의 일 영역에 추락 방지 수단으로서, 천장형 에어컨의 일 영역과 적어도 와이어를 포함한 체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체결 수단은 투명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날개부는, 허브에 형성되는 날개의 개수가 세 개 내지 다섯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동 모터는,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 Pair Cable)에 의하여 중앙 서버와 연결되고, 중앙 서버에 의하여 구동 모터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날개부는, 중앙 서버에 의해 설정된 출력값에 따라 그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온도 센서;가 더 설치되고, 온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중앙 서버에 전송하여, 중앙 서버에서 온도값을 기초로 공기 순환용 팬 및 날개부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시원한 공기를 실내 공간에서 원활히 순환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를 찬 공기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실내의 냉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 하나의 지지 부재에 의하여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설치 및 분리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만일의 경우에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 설치된 공기 순환용 팬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인명 피해 및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물건이 파손되는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대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이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일 예.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체의 일 영역에 추락 방지 수단이 마련된 일 예.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체에 풍속 제어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인출되도록 하는 전선 인출용 홈이 마련된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천장형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시원한 공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킴에 따라서 실내의 냉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형 에어컨의 흡입 그릴의 노출면에 공기 순환용 팬을 결합 설치함으로써 에어컨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실내 공간에 넓게 분산시켜 냉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대한 참고도를 도시하였다.
즉,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은, 본체(10)에 구비된 지지 부재에 의하여 천장형 에어컨(200)의 흡입 그릴(210)의 노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술한 본체(10)에는 구동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구동 모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서 허브(21)에 형성된 날개부(20)가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실내 공간에 넓게 확산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100)의 구조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100)의 구조는, 본체(10), 날개부(20), 및 지지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본체(10)는 구동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구동 모터는, 구동 축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구동 모터의 예로써, 상술한 구동 축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통상의 교류 모터, 직류 모터 등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날개부(20)는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결합되는 예를 들어 원통형의 허브(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허브(21)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허브(21)에 형성되는 날개부(20)의 날개 개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 개 내지 다섯 개 형성되도록 하여 피치 간격이 길어지게 함으로써 공기 순환 팬의 회전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여 부드러운 바람이 실내 공간에 제공되도록 하고, 요동을 최소화하여 규칙적인 바람을 생성하게 하여 천장형 에어컨(200)의 기류 배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확산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날개부(20)는 구동 축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0° 내지 60°)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날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날개의 곡률 반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면서 상술한 구동축에 대한 경사 예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날개부(20)는 내측 전면의 휘어짐의 정도가 크고 외측 전면의 휘어짐 정도가 내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하며 구동 축에 대하여 경사 예각이 작아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휘어진 형태의 날개를 갖도록 하고, 이는 곧 천장형 에어컨(200)측으로 만곡지게 형성하여 천장형 에어컨(200)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천장 측에서 실내 공간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형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술한 날개부(20)는 끝 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날개부(20)의 끝 단 형상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는 것으로서, 이렇게 라운드 처리된 날개부(20)는 그렇지 않은 날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바람을 안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수가 증가하여 천장형 에어컨(200)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날개부(20)에는 접착식 방향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방향제는 고체형 방향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실내 공기를 확산시키는데 있어서 에어컨에서 토출되는 시원한 공기에 방향제로부터 공급되는 은은한 향기를 함께 확산되게 하여 더욱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100)의 본체(10)의 상단 외주에는 본체(10)를 천장형 에어컨(200)의 흡입 그릴(210)의 노출면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 부재(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본체(10)의 상면에는 결합용 홈(1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결합용 홈(11)은 후술할 지지 부재(30)에 마련된 지지홀(31)이 볼트 부재(4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내측면에 볼트 부재(40)의 수 나사선에 대응되는 암 나사선이 형성되어 결합력을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지지 부재(30)는 본체(10)의 상단 외주면에서 가요성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로 하나 이상 구비되고, 지지 부재(30)의 끝 단 일 영역에는 지지홀(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술한 본체(10)를 천장형 에어컨(200)의 흡입 그릴(210)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100)이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조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본체(10)를 천장형 에어컨(200)의 흡입 그릴(2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지지 부재(30)를 흡입 그릴(210)의 리브(211)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하여 내부로 인입되게 한 후, 지지 부재(30)가 흡입 그릴(21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11)를 감싸도록 하여 흡입 그릴(210)의 노출면의 이면에서 지지 부재(30)에 형성된 지지홀(31)이 본체(10)에 형성된 결합용 홈(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 시켜서 홀 간에 겹쳐 있는 부분을 볼트 부재(40)가 관통하는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본체(10)를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여러 복잡한 체결 수단 및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하던 방식과는 달리, 단 하나의 볼트 부재(40)에 의하여 본체(10)를 천장형 에어컨(200)의 흡입 그릴(21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설치 및 분리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포함되는 구동 모터는 천장형 에어컨(200)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 PCB와 연결되어 메인 PCB의 ON/OFF 동작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에어컨의 ON/OFF 동작에 의하여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동작이 ON 되거나 OFF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구동 모터의 구동 축과 연결되는 허브(21)에 형성된 날개부(20)는 천장형 에어컨(200)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 PCB의 에어컨 출력값에 대응되는 전압이 출력되는 포트에 연결되어 에어컨에 설정된 출력값에 따라 그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즉, 한 예로써, 에어컨의 풍속이 강, 중, 약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했을 때, 에어컨의 풍속이 강으로 설정될 시, 날개부(20)의 회전 속도를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에어컨의 풍속이 약으로 설정되었을 시, 날개부(20)의 회전 속도를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구동 모터는 날개부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풍속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체(10)에 풍속 제어 모듈(5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인출되도록 하는 전선 인출용 홈(12)이 마련된 일 예를 도시하였다.
본 고안에서 상술한 풍속 제어 모듈(50)은, 에어컨의 동작과는 별개의 전원을 갖는 것으로서, 공기 순환용 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전선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순환용 팬의 본체(10)의 상면에는 본체(10)의 테두리에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돌출부 일 영역에서 풍속 제어 모듈(5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인출되도록 하는 전선 인출용 홈(12)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풍속 제어 모듈(50)의 전선이 상술한 전선 인출용 홈(12)을 따라 배선 처리가 깔끔하게 수행될 수 있어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 설치되는 공기 순환용 팬이 별도의 풍속 제어 모듈(50)을 갖고, 별도의 전원 공급 전선이 필요하다 하더라도 외관의 심미성을 해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포함되는 구동 모터는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 Pair Cable)의 어느 한 라인에 의하여 중앙 서버와 연결되고 상술한 중앙 서버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UTP 케이블은, 랜(LAN)케이블의 일종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UTP 케이블은 회사 및 가정 등에서 소규모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여 중앙에서 그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저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중앙 서버에서 UTP 케이블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용 팬이 구비된 천장형 에어컨(200)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 예로써, 상술한 중앙 서버에 의하여 구동 모터에 대한 전원 ON/OFF 가 가능해질 수 있다.
즉, 중앙 서버에서 입력된 입력값에 따라 구동 모터의 전원이 ON 되거나 OFF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원의 제어 기능 외에도 중앙 서버에 설정된 또한 중앙 서버에 설정된 공기 순환용 팬의 출력값에 따라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부(20)의 회전 속도 제어 역시 가능해질 수 있다.
즉, 중앙 서버에 의하여 상술한 날개부(20)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는 등의 조작이 가능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천장형 에어컨(200)에 설치된 공기 순환용 팬을 동시 다발적으로 제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술한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온도 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온도 센서는 주위의 온도값을 측정하여 중앙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 중앙 서버에서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온도값을 기초로 구동 모터의 전원 및 날개부(20)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예로써,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내 온도값이 중앙 서버에서 설정된 출력값인 온도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구동 모터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상술한 날개부(20)의 회전 속도 역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내 온도값에 따라 더 빠르게 회전하여 천장형 에어컨(200)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확산시켜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더 느리게 회전되게 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에 따라 온도값에 따라 공기 순환용 팬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조절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실내의 온도가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본체의 일 영역에 추락 방지 수단이 마련된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본체에는, 본체의 일 영역에 추락 방지 수단으로서 천장형 에어컨(200)의 일 영역과 적어도 와이어를 포함한 체결 수단(110)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체결 수단(110)은 바람직하게는 외관의 심미성을 저하하지 않도록 구성되게 하기 위하여 투명 와이어를 포함하여 투명 소재의 플라스틱 및 합성 수지로 구성된 체결 수단(110)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서는 만일의 사고를 대비하여, 천장형 에어컨(200)에 결합 설치된 공기 순환용 팬(100)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상술한 체결 수단(110)이 구비되어 인명 피해 및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물건이 파손되는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는,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시원한 공기를 실내 공간에서 원활히 순환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를 찬 공기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며, 실내의 냉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단 하나의 지지 부재에 의하여 용이하게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을 설치 가능한 바에 따라 설치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만일의 경우에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 설치된 공기 순환용 팬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인명 피해 및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물건이 파손되는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 있어서,
    구동 모터가 내장된 본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결합되는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 및
    상기 본체의 상단 외주에 상기 본체를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흡입 그릴의 노출면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결합용 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서 가요성 재질로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끝 단 일 영역에는 지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흡입 그릴을 구성하는 리브를 적어도 하나 감싸도록 하여 상기 지지홀을 상기 결합용 홈에 볼트 결합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본체가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날개부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풍속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 일 영역에는 상기 풍속 제어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인출되도록 하는 전선 인출용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 PCB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PCB의 ON/OFF 동작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 PCB의 에어컨 출력값에 대응되는 전압이 출력되는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설정된 출력값에 따라 그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날개는,
    상기 구동 축에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기 날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날개의 곡률 반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구동 축에 대한 경사 예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추락 방지 수단으로서,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일 영역과 적어도 와이어를 포함한 체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투명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허브에 형성되는 날개의 개수가 세 개 내지 다섯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 Pair Cable)에 의하여 중앙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중앙 서버에 의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중앙 서버에 의해 설정된 출력값에 따라 그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에는,
    실내 온도를 측정 가능한 온도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상기 중앙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온도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 모터의 전원 및 상기 날개부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KR2020190000526U 2019-02-01 2019-02-01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KR202000018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26U KR20200001809U (ko) 2019-02-01 2019-02-01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26U KR20200001809U (ko) 2019-02-01 2019-02-01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09U true KR20200001809U (ko) 2020-08-12

Family

ID=7203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26U KR20200001809U (ko) 2019-02-01 2019-02-01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8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9656B2 (ja) 遠心天井扇
USRE49862E1 (en) Medallion fan
EP2354685B1 (en) Ventilating device and outdoor unit having the same
US9932990B2 (en) Ventilation device, in particular for heating, cooling, and/or humidifying air in residential buildings
US7381129B2 (en) Columnar air mo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202118589U (zh) Led灯
AU2012378838B2 (en) Fan
US11873828B2 (en) Ceiling fan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807093A (zh) 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KR20210127577A (ko) 공기순환장치, 공기정화기 및 공기가습기
CN106871402B (zh) 空气调节机构
US20130189082A1 (en) Diffusion Type Combination Fan
CN107131148A (zh) 贯流风轮、贯流风机及送风装置
KR20200001809U (ko) 천장형 에어컨에 결합되는 공기 순환용 팬의 구조
KR20060128172A (ko) 실링팬을 구비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4251891A (zh) 一种冰箱
CN208765080U (zh) 风机组件和空调器
KR100331817B1 (ko) 천장형 에어컨
CN215489950U (zh) 一种浴霸
CN219888329U (zh) 扇叶结构及具有其的散热风扇
CN220911528U (zh) 涡轮式浴室暖风机装置
CN214711016U (zh) 一种护发吹风机
KR20230139679A (ko) 카세트 에어컨용 무동력 팬 장치
CN211822741U (zh) 一种空调器的送风结构及空调器
CN218936490U (zh) 出风结构、空调内机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