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97A -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97A
KR20200001797A KR1020180074765A KR20180074765A KR20200001797A KR 20200001797 A KR20200001797 A KR 20200001797A KR 1020180074765 A KR1020180074765 A KR 1020180074765A KR 20180074765 A KR20180074765 A KR 20180074765A KR 20200001797 A KR20200001797 A KR 20200001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wheel
vehicle
control uni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현
전영준
권영우
허성수
조현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797A/ko
Publication of KR2020000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2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light sources, e.g. rotating luminous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4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ight sources co-operating with movable members, e.g. with shutters to cover or uncover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5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supported by the whe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2001/005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in advertising or decorative a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12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시스템은, 차량의 휠 회전속도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 휠 상에 배치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렬 이상으로 배치된 광소자들과, 상기 광소자들을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광소자 어레이; 및 상기 차량의 휠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광소자 어레이의 광소자들의 온/오프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하여, 상기 휠 상에 특정 이미지를 나타내는 홀로그램을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hologram using wheels of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본 발명은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의 회전을 이용하여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은 일정한 운행 경로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정류장에 일정한 배차 간격으로 정차함으로써 임의의 정류장에 있는 승객을 태워 다른 임의의 정류장까지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중교통수단, 예컨대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해당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에 가서 기다렸다가 버스가 도착하면 승차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교통수단 내외부에 광고 시스템을 설치하여 노선 주변의 지역 광고는 물론 다양한 분야의 광고를 광고 수단 즉, 모니터나 문자 광고 등의 광고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광고는 광고주가 대중교통수단의 운영자와 계약을 통해 일정기간 및 일정시간에 편성된 광고 예를 들어, 동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단방향 광고로서 광고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광고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 해야 한다.
그러나 단방향으로 정보가 전달되는 대중교통수단의 광고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관심과 시선을 오랜시간 머물 수 있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어 광고의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6-47835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들이나 주변 차량 운전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휠의 회전을 이용하여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시스템은, 차량의 휠 회전속도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 휠 상에 배치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렬 이상으로 배치된 광소자들과, 상기 광소자들을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광소자 어레이; 및 상기 차량의 휠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광소자 어레이의 광소자들의 온/오프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하여, 상기 휠 상에 특정 이미지를 나타내는 홀로그램을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는, 블레이드(blade), 바(bar) 또는 디스크(disk) 중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가 제 1 회전속도 이하이면, 상기 바디부를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가 제 2 회전속도 이상이면, 상기 바디부를 제 2 회전속도 이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를 제 3 회전속도로 일정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를 상기 휠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길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휠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기울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통합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른 광고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광고 이미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광소자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방법은, 차량의 휠 상에 적어도 일렬로 배치된 광소자들을 제어하여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휠 회전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휠 회전속도에 따라서 광소자들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광소자들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광소자들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에 매칭된 광고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광소자들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은, 대중교통 차량의 휠 회전을 이용하여 광고 이미지를 홀로그램을 출력함으로써, 광고 이미지의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은, 대중교통 차량의 위치와 연관된 광고 이미지를 홀로그램으로 제공하므로써, 광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은, 대중교통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홀로그램 출력을 추가 제어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명확한 홀로그램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평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가 정지상태의 휠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가 회전 중의 휠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가 회전, 기울기 또는 길이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관련 광고를 홀로그램으로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변경시 방향 지시등을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의 평면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차량(500)의 휠(W)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시스템은, 복수의 홀로그램 출력장치(100), 통합 제어부(200) 및 광고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대중교통 차량(500)(이하, '버스')의 휠(W)에 각각 장착되어, 홀로그램을 휠(W) 외측으로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자세히, 대중교통 차량(500)의 좌측 앞바퀴(W1), 우측 앞바퀴(W2), 좌측 뒷바퀴(W3) 및 우측 뒷바퀴(W4)에는 제 1 홀로그램 출력장치(100-1), 제 2 홀로그램 출력장치(100-2), 제 3 홀로그램 출력장치(100-3) 및 제 4 홀로그램 출력장치(100-4)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들은, 각각의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서 함께 회전함을 이용하여 홀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제어부(200)는, 이러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들과 연결되어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통합 제어부(200)는, 각각의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들에 출력할 이미지를 전송하여, 홀로그램 출력장치(100)가 해당 이미지를 홀로그램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제어부(200)는, 앞뒤 바퀴에 서로 연관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좀더 많은 정보량의 광고를 양바퀴를 통해 홀로그램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제어부(200)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및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제어부(200)는, 광고관리 서버(300)에 대중교통 차량(50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이미지를 수신하여, 해당 광고 이미지를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위치기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200)는, 통신모듈을 통해 차량 제어부(ECU)나 각종 센서로부터 대중교통 차량(500)의 내부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내부 상태정보를 기초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 상태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W)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도어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통합 제어부(200)는, 이와 같이 획득한 차량 내부 상태정보를 각각의 홀로그램 출력장치(100)에 송신하거나, 직접 차량 내부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함으로써, 원활하게 홀로그램을 출력하도록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를 제어할수도 있다.
이하, 통합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100)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100)가 정지상태의 휠(W)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100)가 회전 중의 휠(W)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광소자 어레이(120), 회전 제어부(130), 길이 제어부(140), 기울기 제어부(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통합 제어부(200)로부터 제어신호나 필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홀로그램 출력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부(110)는, 유무선 데이터 송신포트(port)로서, 통합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10)는, 통합 제어부(200)로부터 홀로그램으로 출력할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현재 출력하고 있는 홀로그램을 통합 제어부(200)로 송신할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10)는, 통합 제어부(200)로부터 차량 내부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후 각종 제어부나 광소자 어레이(120)를 제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소자 어레이(120)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광소자들과, 해당 광소자들을 개별적으로 온 오프시키는 복수의 스위치들과, 이를 컨트롤하기 위한 회로, 제어 수단, IC, 또는/및 마이크로 컨트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외형 측면에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광소자 어레이(120)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부와, 바디부 상에 적어도 일렬 이상으로 나열된 광소자들로 구성된 광소자 어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디부는, 차량의 바퀴의 휠(W) 프레임에 장착되어, 바퀴의 적어도 일 지름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소자 어레이(120)를 배치하기 위한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바디부(101)는, 1 열에 광소자 어레이(120)를 지지하기 위한 바(bar) 형태의 지지부일 수 있으며, 바 지지부는 휠(W)의 일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디부(10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광소자들(121, 122,…)이 나열되어 광소자 어레이(120)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디부(101)의 형상은 일례에 불과하며, 바디부(101)의 형상은 블레이드(blade), 바(bar) 또는 디스크(disk) 등 광소자 어레이(120)를 휠(W) 상에 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1) 상에는 광소자 어레이(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서 복수의 광소자 각각은 온(on)/오프(off) 스위칭, 밝기 변화 또는/및 색 변화 스위칭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광소자 어레이(120)는, 휠(W) 회전시 복수의 광소자 각각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외부에서 휠(W)을 바라보는 사람의 시야에서는 휠(W) 상에 정적/동적 홀로그램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1/24 내지 1/16 초 사이의 응답 시간을 갖는 인간의 눈 관성을 기반을 원리로 하여, 광소자 어레이(120)는, 광소자가 휠(W) 회전에 따라 변화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특정 위치에서 발광/오프를 반복함으로써, 인간의 눈에는 휠(W) 상에 특정 이미지를 가지는 홀로그램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소자 어레이(120)의 광소자들은, 1/24초 이하의 속도에서 스위칭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물체가 인간의 눈의 반응보다 빠르게 움직인다하더라도 시간, 마지막 이미지는 일정 기간 동안 사람의 눈과 뇌에 잔상으로 남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사람은 휠(W) 상에 홀로그램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휠(W) 상에 출력되는 홀로그램은, 사람의 착시에 근거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빛의 굴절 등을 이용하는 홀로그램과는 다른 의미로, 회전으로 인해 휠(W)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휠(W) 상에 특정 이미지가 플로팅(floating) 된 것처럼 인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도 4b를 참조하면, 바퀴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광소자들이 특정 시점에 발광/오프를 반복한다면, 인간의 눈에는 휠(W) 상에 특정 이미지를 나타내는 홀로그램(H)이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광소자 어레이(120)가 외부로 특정 이미지를 갖는 홀로그램(H)으로 원활하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휠(W)에 의해 바디부(101)가 소정의 회전속도(이하,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하여야 원하는 패턴의 홀로그램(H)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광소자 어레이(120)의 제 1 광소자가, 제 1 위치에서 1/12초 내에 다시 제 1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회전속도를 제 1 회전속도라 정의할 수 있으며, 1/12초 내에 제 1 위치에 돌아와야만, 사람의 눈에 자연스러운 홀로그램(H)으로 인지될 수 있다.
따라서, 대중교통 차량(500)이 휠(W)이 제 1 회전속도 이하에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가 원활하게 홀로그램(H)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바디부(101)를 추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부(130)가 더 필요할 수 있다.
자세히, 회전 제어부(13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를 받으며 바디부(101)를 차량이 제 1 속도 이하로 이동함에 따라 휠(W)이 제 1 회전속도 이하로 회전하면, 바디부(101)를 더 회전시켜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제어부(130)는, 바디부(101)의 중앙에 연결된 샤프트(141)와, 상기 샤프트(141)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샤프트(141)에 토크를 가하여 바디부(101)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제어부(13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를 받아 구동하며, 프로세서(160)는 휠(W) 회전속도가 제 1 회전속도 이하일 때는 회전 제어부(130)를 통해 바디부(101)를 회전시켜 광소자 어레이(120)가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부(13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서 휠(W) 회전속도가 제 2 회전속도 이상이여서 광소자의 온/오프 타임이 해당 회전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때, 휠(W)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주어 회전속도를 제 2 회전속도 이하로 제어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부(130)는, 상황에 따라서 제 1 회전속도 내지 제 2 회전속도 사이의 제 3회전속도로 일정하게 회전하도록 하도록 토크를 변속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60)는, 차량 상태정보에서 차량 속도, 가속 정보를 수신하여 휠(W)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휠(W) 회전속도에 대응시켜 회전 제어부(130)를 미리 제어하여 바디부(101)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제 3 회전속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제 3 회전속도로 광소자 어레이(120)가 회전한다는 가정하에서 광소자 어레이(120)의 광소자들을 각각 제어하여, 원하고자 하는 패턴의 홀로그램(H)을 원활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휠(W)과 바디부(101)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5를 참조하면, 길이 제어부(140)는, 휠(W)에 장착된 베이스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142)는, 상기 바디부(101)를 회전시키는 샤프트(141)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며, 샤프트(141)를 유압식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샤프트(141)를 통해 바디부(101)를 휠(W)외측으로 내보내거나 휠(W)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제어부(14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서 바디부(101)가 휠(W)과 수평한 상태에서 수평이동시켜, 차량의 외측에서 홀로그램(H)을 출력하거나 안전하게 차량 휠(W) 내측에서 홀로그램(H)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기본 모드에서 바디부(101)의 배치방향은 휠(W)의 수평면과 일치한데,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특정상황에서 휠(W)의 수평면과 바디부(101) 사이의 기울기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기울기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휠(W)을 수평면으로 볼 때 바디부(101)의 배치방향과 수평면 사이의 기울기를 기울기 제어부(150)가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기울기 제어부(150)는, 바디부(101)와 샤프트(141)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일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 제어부(150)는, 바디부(101) 중앙에서 바디부(101)와 수평면 사이의 기울기를 제어하여, 홀로그램(H) 출력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도 6을 참조하면, 길이 제어부(140)는 샤프트(141)를 베이스부(142) 내에 장입시키거나 배출하여 휠(W)과 바디부(101) 사이의 거리(d)를 제어하여 홀로그램(H) 출력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기울기 제어부(150)는, 바디부(101)와 휠(W) 수평면 사이의 기울기(θ)를 제어하여 홀로그램(H) 출력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와 통합 제어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대중교통 차량(500)의 휠(W)을 이용한 홀로그램(H)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통합 제어부(200)는, 대중교통 차량(500)의 실시간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통합 제어부(200)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및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 제어부(200)는, 대중교통 차량(500)의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출력할 위치기반 광고 이미지를 결정하고, 해당 광고 이미지를 각각의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들에 전송하여 위치기반 광고 데이터를 홀로그램(H)으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S102)
실시예에서, 통합 제어부(200)는, 광고관리 서버(300)에 대중교통 차량(50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광고 이미지를 수신하여, 해당 광고 이미지를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위치기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관리 서버(300)는, 대중교통 차량의 위치에 따라서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광고를 홀로그램으로 출력하기 적절한 광고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광고 이미지를 통합 제어부(200)를 통해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제어부(200)는, 정류장을 기준으로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의 구간에 출력할 광고 이미지를 저장해두었다가, 대중교통 차량(500)의 위치를 정류장 위치 사이의 구간 별로 인지하고, 해당 구간 위치에 출력할 광고 이미지를 검출한 후 각 홀로그램 출력장치(10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제어부(200)는, 앞뒤 바퀴에 서로 연관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좀더 많은 정보량의 광고를 양바퀴를 통해 홀로그램(H)으로 출력할 수 있다.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좌측 앞바퀴(W1)에 배치된 제 1 홀로그램 출력장치(100-1)와 우측 앞바퀴(W2)에 배치된 제 2 홀로그램 출력장치(100-2)는, 현재 대중교통 차량(500)의 위치에 기초한 광고 이미지를 홀로그램(H)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제 1 홀로그램 출력장치(100-1)에서 출력되는 제 1 홀로그램(H1)과 제 2 홀로그램 출력장치(100-2)에서 출력되는 제 2 홀로그램(H2)은 서로 연관된 정보를 나타내어, 많은 광고량을 홀로그램(H)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대중교통 차량(500)의 주행에 따라서 회전하는 바퀴의 회전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통합 제어부(200)로부터 제어신호나 필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홀로그램 출력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10)는, 통합 제어부(200)로부터 홀로그램(H)으로 출력할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현재 출력하고 있는 홀로그램(H)을 통합 제어부(200)로 송신할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10)는, 통합 제어부(200)로부터 차량 내부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후 각종 제어부나 광소자 어레이(120)를 제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자세히,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휠(W) 센서(wheel sensor)에서 측정한 휠(W) 회전속도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며, 차량 속도 센서를 통해 예상 휠(W)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60)는, 현재 차량 속도와, 사용자의 가속 입력량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현재 시점보다 소정의 시점의 미래에 휠(W) 회전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휠(W) 회전속도에 따라 광소자 어레이(120), 회전 제어부(130), 길이 제어부(140) 또는/및 기울기 제어부(150)를 제어하여, 휠(W) 상에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명확하게 홀로그램(H)으로 표현시킬 수 있다. (S104)
자세히, 프로세서(160)는, 휠(W) 회전속도에 따라 광소자 어레이(120)의 각 광소자의 실시간 위치를 획득하고, 예측된 위치에서 발광/오프를 반복함으로써, 인간의 눈에는 휠(W) 상에 특정 이미지를 가지는 홀로그램(H)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소자 어레이(120)가 외부로 특정 이미지를 갖는 홀로그램(H)으로 원활하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휠(W)에 의해 바디부(101)가 소정의 회전속도(이하,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하여야 원하는 패턴의 홀로그램(H)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광소자 어레이(120)의 제 1 광소자가, 제 1 위치에서 1/12초 내에 다시 제 1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회전속도를 제 1 회전속도라 정의할 수 있으며, 1/12초 내에 제 1 위치에 돌아와야만, 사람의 눈에 자연스러운 홀로그램(H)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회전 제어부(130)를 추가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60)는, 회전 제어부(130)를 제어하여 바디부(101)를 차량이 제 1 속도 이하로 이동함에 따라 휠(W)이 제 1 회전속도 이하로 회전하면, 바디부(101)를 더 회전시켜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부(13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서 휠(W) 회전속도가 제 2 회전속도 이상이여서 광소자의 온/오프 타임이 해당 회전속도를 따라가지 못할하여 원하고자 하는 홀로그램(H) 이미지를 출력할 수 없을 때, 휠(W)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주어 회전속도를 제 2 회전속도 이하로 제어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회전 제어부(130)를 제어하여 바디부(101)가 제 1 회전속도 내지 제 2 회전속도 사이의 특정 제 3회전속도로 일정하게 회전하도록 하도록 토크를 지속적으로 변속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60)는, 차량 상태정보에서 차량 속도, 가속 정보를 수신하여 휠(W)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휠(W) 회전속도에 대응시켜 회전 제어부(130)를 미리 제어하여 바디부(101)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제 3 회전속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제 3 회전속도로 광소자 어레이(120)가 회전한다는 가정하에서 광소자 어레이(120)의 광소자들을 각각 제어하여, 원하고자 하는 패턴의 홀로그램(H)을 원활하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홀로그램 출력장치(100)는, 광고 이미지뿐만 아니라 주변 차량과의 관계에서 교통 정보를 출력하는 교통 이미지도 홀로그램(H)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차량 이동방향 변경정보(예컨대, 조향센서, 요 센서 등) 또는 방향 지시등 입력신호 온(ON)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프로세서(160)는, 차량이 직진방향에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조향방향을 변경한 것을 확인하면, 별도의 방향 지시등 입력신호가 없다고 하더라도 차선 변경 또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직접 방향지시등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대중교통 차량(500)의 이동방향 변경을 파악하면, 프로세서(160)는, 변경방향 측으로 방향지시등 이미지를 홀로그램(H)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S106)
자세히, 프로세서(160)는, 이동방향 측(예컨대, 좌측 또는 우측) 앞뒤 바퀴에 배치된 홀로그램 출력장치(100)에 방향 지시등을 홀로그램(H)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하여, 이동방향 측 후방에서 이동하는 차량 운전자가 방향 지시등을 휠(W) 홀로그램(H)을 통해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후방 차량 운전자가 좀더 홀로그램(H)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홀로그램(H)의 출력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자세히,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길이 제어부(140)를 제어하여 바디부(101)를 휠(W) 외측으로 제 1 거리(d1)만큼 이동시켜 이동방향 측 후방에 바디부(101)의 노출 영역을 좀더 넓힘으로써, 후방 차량 운전자가 홀로그램(H)을 좀더 많은 영역에서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제어부(140)는, 휠(W)에 장착된 베이스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142)는, 상기 바디부(101)를 회전시키는 샤프트(141)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며, 샤프트(141)를 유압식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샤프트(141)를 통해 바디부(101)를 휠(W)외측으로 내보내거나 휠(W)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기울기 제어부(150)를 제어하여 바디부(101)를 휠(W) 측에서 변경 조향방향 측으로 소정의 제 1 각도(θ1) 만큼 이동시켜 이동방향 측 후방에 바디부(101)의 노출 영역을 좀더 넓힘으로써, 후방 차량 운전자가 홀로그램(H)을 좀더 많은 영역에서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로그램 출력시스템은, 대중교통 차량(500)의 휠(W) 회전을 이용하여 광고 이미지를 홀로그램(H)을 출력함으로써, 광고 이미지의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은, 대중교통 차량(500)의 위치와 연관된 광고 이미지를 홀로그램(H)으로 제공하므로써, 광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은, 대중교통 차량(500)의 상태에 따라서 홀로그램(H) 출력을 추가 제어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명확한 홀로그램(H)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차량의 휠 회전속도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 휠 상에 배치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렬 이상으로 배치된 광소자들과, 상기 광소자들을 개별적으로 온(ON)/오프(OFF)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광소자 어레이; 및
    상기 차량의 휠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광소자 어레이의 광소자들의 온/오프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하여, 상기 휠 상에 특정 이미지를 나타내는 홀로그램을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블레이드(blade), 바(bar) 또는 디스크(disk) 중 하나의 형상인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가 제 1 회전속도 이하이면, 상기 바디부를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제어부를 제어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가 제 2 회전속도 이상이면, 상기 바디부를 제 2 회전속도 이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제어부를 제어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를 제 3 회전속도로 일정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제어부를 제어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휠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길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수평면에 대한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를 변경하는 기울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통합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른 광고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광고 이미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광소자들을 제어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시스템.
  10. 차량의 휠 상에 적어도 일렬로 배치된 광소자들을 제어하여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휠 회전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휠 회전속도에 따라서 광소자들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광소자들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광소자들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에 매칭된 광고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광소자들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방법.
  12. 제 10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74765A 2018-06-28 2018-06-28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1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65A KR20200001797A (ko) 2018-06-28 2018-06-28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65A KR20200001797A (ko) 2018-06-28 2018-06-28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97A true KR20200001797A (ko) 2020-01-07

Family

ID=6915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65A KR20200001797A (ko) 2018-06-28 2018-06-28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7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835B1 (ko) 2015-03-12 2016-08-1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광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835B1 (ko) 2015-03-12 2016-08-1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광고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500B2 (en) Sensory stimul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US11619940B2 (en) Operating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road user reaction modeling with occlusions
US101342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potential risks
EP3376432B1 (en) Method and device to generate virtual lane
US1009522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vigilance decrement while maintaining readiness using augmented reality in a vehicle
KR102124804B1 (ko)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CN105835874B (zh) 视野受阻环境中的自主车辆操作
CN103650015B (zh) 车辆用信息传递装置
WO2017097150A1 (zh) 一种电子地图显示方法及装置
KR20220027260A (ko) 승객 편안함을 위해 경로 및 운전 스타일을 결정하고 동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8128249B (zh) 用于改变外侧后视摄像头的视野的系统和方法
JP7113259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を備える情報提示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を備える移動体
JPWO2015118859A1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の表示方法
CN103217169A (zh) 全挡风玻璃显示器上的最佳注视位置
CN103249589A (zh) 车辆用信息传递装置
US20210356257A1 (en) Using map information to smooth objects generated from sensor data
KR20190107286A (ko) 차량용 광고 제공 장치 및 차량용 광고 제공 방법
US11840173B2 (en) External facing communic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KR20230020564A (ko) 어려운 운전 조건하에서 랜드 마크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명령 강화
US7286930B2 (en) Ghost following
CN112789205A (zh) 针对自动驾驶车辆检测队列并对队列进行响应
KR20200001797A (ko) 대중교통 차량의 휠을 이용한 홀로그램 출력 방법 및 시스템
JP3235653U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1358521B2 (en) Vehicle wheel units
JP2018120290A (ja) イベント予測システム、イベント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