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2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23A
KR20200001523A KR1020190075429A KR20190075429A KR20200001523A KR 20200001523 A KR20200001523 A KR 20200001523A KR 1020190075429 A KR1020190075429 A KR 1020190075429A KR 20190075429 A KR20190075429 A KR 20190075429A KR 20200001523 A KR20200001523 A KR 20200001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gasket
inlet
pipe
discharge 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김한솔
장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057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JP7304368B2/ja
Priority to RU2021125985A priority patent/RU2021125985A/ru
Priority to PCT/KR2019/007671 priority patent/WO2020004911A1/en
Priority to RU2021101569A priority patent/RU2754896C1/ru
Priority to EP19182839.1A priority patent/EP3587655B1/en
Priority to CN201910565241.3A priority patent/CN110644188B/zh
Priority to US16/455,227 priority patent/US11332871B2/en
Priority to CN202210921416.1A priority patent/CN115262180A/zh
Publication of KR2020000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23A/ko
Priority to US17/692,388 priority patent/US1185933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고,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 1 내지 4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노즐은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한 제 1, 2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4 노즐은, 상기 제 2 영역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2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제 1, 2 포트 삽입관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3, 4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제 3, 4 포트 삽입관을 구비한 개스킷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 중 일부가 유입되는 제 1 유입포트와, 상기 제 1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1 이송관로와, 상기 제 1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2 토출포트를 구비한 제 1 분배관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 중 다른 일부가 유입되는 제 2 유입포트와, 상기 제 2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2 이송관로와, 상기 제 2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3, 4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3, 4 토출포트를 구비한 제 2 분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순환관을 따라 순환된 물을 드럼 내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131894는(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는 펌프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를 드럼 내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물이 담기는 터브 사이에 개재된 개스킷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노즐들이 구비되고,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개의 포트 삽입관이 상기 노즐들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순환수)을 안내하는 안내관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은 환형의 유로로부터 돌출된 다수개의 토출포트가 상기 다수개의 포트 삽입관에 각각 삽입된다.
각각의 상기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토출포트도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관은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돌출되어 순환관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상기 순환관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로 유입된다.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로부터 배출된 물은 상기 환형의 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유로의 내측면에 부딪히며 양 갈래로 분기된 후 상기 유로를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토출포트들을 통해 차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유로의 내측면에 부딪히는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되며, 이러한 저항은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유동에 교란을 일으켜 양 갈래로 균일하게 유동을 분배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포트 삽입관들에 상기 토출포트가 삽입되는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둘 이상의 토출포트를 둘 이상의 포트 삽입관에 조립하는 것이 쉽지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순환수를 노즐들로 안내하는 분배관이 하나의 이송관로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토출포트로 구성되고, 개스킷에는 상기 복수의 토출포트와 대응하여 복수의 포트 삽입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토출포트로부터 수류가 균일하게 분출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이송관로와 펌프를 연결하는 순환관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드럼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 개스킷에 구비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되, 상기 개스킷이 사출방식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개스킷의 좌우 양측에 각각 둘 이상의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급수 포트들을 고정하는 포트 삽입관들이 상기 개스킷에 일체로 형성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포트 삽입관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상기 노즐들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분배관들을 상기 개스킷에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내에 터브가 구비되고, 상기 터브 내에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터브에는 개스킷이 설치된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터브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 1 내지 4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하여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할 시, 상기 제 1, 2 노즐은 상기 제 1 영역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4 노즐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제 1 내지 4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제 1 내지 4 포트 삽입관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 3, 4 포트 삽입관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가 구비된다.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제 1 분배관과 제 2 분배관을 통해 상기 제 1 내지 4 노즐로 안내된다.
상기 제 1 분배관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된다. 상기 제 1 분배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 중 일부가 유입되는 제 1 유입포트와, 상기 제 1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1 이송관로와, 상기 제 1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2 토출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분배관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분배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 중 다른 일부가 유입되는 제 2 유입포트와, 상기 제 2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2 이송관로와, 상기 제 2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3, 4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3, 4 토출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제 1 측과 제 2 측을 정의할 시,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제 1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의 반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분배관과 상기 제 2 분배관은 좌, 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로를 양분하는 가상의 수직한 기준면을 정의할 시, 상기 제 1, 2 토출포트는 상기 기준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관로는, 상기 제 1, 2 토출포트가 돌출된 제 1 관로부와, 상기 제 1 관로부의 하단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제 2 관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관로부는, 상기 제 1 토출포트보다 하측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로부는 상기 제 1 유입포트와 상기 제 1 토출포트 사이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제 2 관로부로부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제 2 관로부와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4 포트 삽입관은 각각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할 수 있고, 상기 제 3, 4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개스킷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탁기는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와,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고,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한 제 1, 2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되는 제 1, 2 노즐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2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제 1, 2 포트 삽입관을 구비한 개스킷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이송관로와, 상기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2 토출포트를 구비한 분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제 1 측과 제 2 측을 정의할 시,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의 반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통로의 중심이 속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한 기준면을 정의할 시, 상기 제 1, 2 토출포트들은 상기 기준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 1, 2 토출포트들이 돌출된 제 1 관로부와, 상기 제 1 관로부의 하단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제 2 관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첫째, 유입포트를 통해 분배관으로 유입된 순환수가 이송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중에 차례로 제 1 토출포트와 제 2 토출포트를 통해 분배되기 때문에 상기 이송관로 내에서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고, 그 만큼 제 1 토출포트와 제 2 토출포트로 균일한 유량을 공급하는데 유리하다.
둘째, 상기 분배관은, 펌프와 연결된 순환관과 연결되는 유입포트가 토출포트들 보다 하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순환관의 설치가 터브 하측(특히, 터브 하측의 좌 또는 우측)의 공간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개스킷에 분배관이 설치된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개스킷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 분배관과 제 2 분배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개스킷에 분배관이 설치된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개스킷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 분배관과 제 2 분배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와, 터브(30)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40)과,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모터(50)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의 전면에는, 투입구(12)가 형성된 전방패널(11)이 배치되고, 전방패널(11)에는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20)가 배치되며, 세제가 투입되는 디스펜서(14)가 설치될 수 있다. 전방패널(11)의 상측에는 세탁기의 작동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5), 급수 공급관(16), 급수호스(17)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시 급수밸브(15), 급수 공급관(16)을 통과한 세탁수가 디스펜서(14)에서 세제와 혼합된 다음, 급수호스(17)를 통하여 터브(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급수밸브(15)에 직수 공급관(18)이 연결되어, 직수 공급관(18)을 통하여 세탁수가 세제와 혼합되지 않고 터브(30) 내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직수 공급관(18)을 통해 공급된 물을 드럼(40) 내로 분사하는 직수노즐(19)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30)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70)가 구비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이 제 1 분배관(80(1))과 제 2 분배관(80(2))으로 공급된다. 이하, 하나의 펌프(70)에 의해 제 1, 제 2 분배관(80(1), 80(2))으로 동시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예로 드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분배관(80(1))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제 2 분배관(80(2))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70)는 개스킷(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펌프(70)는 개스킷(60)의 하측에서 좌, 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된다.
제 1 분배관(80(1))과 제 2 분배관(80(2))을 통해 안내된 물이 개스킷(60)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66a, 66b, 66c, 66d)로 공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의 내주면(62)으로부터, 4개의 돌출부(65a, 65b, 65c, 65d)가 개스킷(6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각각의 노즐(66a, 66b, 66c, 66d)이 대응하는 돌출부(65a, 65b, 65c, 65d)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분배관(80(1), 80(2))의 토출포트들(83a, 83b, 83c, 83d)을 통하여 배출된 순환수가 노즐들(66a, 66b, 66c, 66d)을 통하여 드럼(4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66a, 66b, 66c, 66d)은 같은 분배관(80(1), 80(2)))을 통해 물을 공급받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2 개의 노즐(66a/b, 66c/d)을 포함하며, 이 두개의 노즐(66a/b, 66c/d) 중 아래에 위치하는 것(66a, 66c)을 하부 노즐이라고 하고, 하부 노즐(66a, 66c)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노즐(66b, 66d)을 상부 노즐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분배관(80)은 개스킷(6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하, 개스킷(60)의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분배관(80(1))이라고 하고,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 2 분배관(80(2))이라고 하며, "제 1" 또는 "제 2"의 구분이 없을 시에는 제 1 분배관(80(1)) 또는 제 2 분배관(80(2)) 중 어느 것을 칭하는 것으로 여겨도 무방하다.
펌프(70)와 터브(30)는 배출 호스(72)로 연결되고, 분배관(80)과 펌프(70)는 직결되거나 순환관(86)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 1 분배관(80(1))과 제 2 분배관(80(2))을 각각 펌프(70)와 연결하는 제 1 순환관(86(1))과 제 2 순환관(86(2))이 구비될 수 있다.
펌프(70)가 작동되면 터브(30)내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1 분배관(80(1))과 제 2 분배관(80(2))을 통하여 복수의 노즐(66a, 66b, 66c, 66d)로 안내된 후 드럼(40) 내부로 분사되어, 세탁수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70)는 배수관(74)과 연결되어, 배수관(74)을 통하여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펌프(70)는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나, 이와 달리 순환펌프와 배수펌프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다. 순환펌프와 배수펌프가 별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에 배수관(74)이 연결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순환관(86)이 연결됨이 당연하다.
한편, 터브(30)는 단일의 터브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 1, 2 터브체(30a, 30b)가 서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2 터브체(30a, 30b)가 체결되어 터브(30)를 형성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터브체(30a)를 단순히 ‘터브(30)'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터브(30)의 전방면(31)에는, 전방패널(11)에 형성된 투입구(12)에 대응되도록 입구(32)가 형성된다. 터브(30)의 전방면(3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90)가 체결될 수 있다. 제 1 밸런서(90(1))가 전방면(3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밸런서(90(2))가 전방면(3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투입구(12)를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의 투입구(12) 테두리와 입구(32)를 형성하는 터브(30)의 테두리 사이에 개스킷(60)이 배치된다. 개스킷(60)은 고무와 같은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투입구(12)와 터브(30)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60P)를 형성한다.
개스킷(60)은,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패널(11)의 투입구(12) 테두리에 연결되고, 후방 가장자리는 터브(30)의 개구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터브(30)와 전방패널(11) 사이가 밀봉된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20)와 개스킷(60)의 선단부가 밀착되어, 도어(20)와 개스킷(60) 사이가 밀봉되므로, 세탁수의 누설이 방지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은 전방패널(11)의 투입구(12)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61)와, 입구(32)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2)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스킷 바디(6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패널(11)은 투입구(12)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61)가 끼워질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1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61)가 입구(12)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터브(30)는 입구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2)가 끼워진다. 터브 결합부(62)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2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2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2)가 터브(30)의 입구 둘레에 공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61)는 전방패널(11)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2)는 터브(30)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개스킷 바디(63)는 터브 결합부(62)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 구간(또는, 개스킷 바디(63))에, 터브(30)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63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개스킷 바디(63)에는 케이싱 결합부(61)로부터 터브 결합부(62)를 향해(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관상의 림부(63a)가 형성되고, 접철부(63b)는 림부(63a)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림부(63a)의 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h)의 외측에서 도어(20)의 배면과 밀착되는 외측 도어 밀착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는 외측 도어 밀착부(68)의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전술한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림부(63a)의 전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의 내측에서 도어(20)의 배면(바람직하게는, 윈도우(22))와 밀착되는 내측 도어 밀착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드럼(40)은 회전 과정에서 진동(즉, 드럼(40)의 회전 중심선(C)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터브(30)의 중심선(대략,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과 동일 함.) 역시 이동하며, 이때의 이동 방향(이하, "편심 방향" 이라고 함.)은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다.
접철부(63b)는 터브(30)가 편심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접히거나 펼쳐진다. 접철부(63b)는 림부(63a)로부터 케이싱 결합부(61) 측으로 절곡된 내경부(631)와, 내경부(631)으로부터 터브 결합부(62) 측으로 절곡되어 터브 결합부(62)와 연결되는 외경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내경부(631)는 외경부(632)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부(63a)와 접철부(63b)는 대략 "S"자 형태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
터브(30)의 중심이 편심 방향으로 이동될 시 접철부(63b)의 일부분이 접혀지면, 그 부분에서 내경부(631)와 외경부(632) 사이가 줄어들고, 반면에 이렇게 접혀지는 부분의 반대쪽에서는 접철부(63b)가 펼쳐져 내경부(631)와 외경부(632) 사이가 벌어진다.
한편, 복수의 노즐(66a, 66b, 66c, 66d)은 제 1 내지 제 4 노즐(66a, 66b, 66c, 66d)을 포함한다. 개스킷 바디(63)를 좌, 우로 배분하여 제 1 영역(I)과 제 2 영역(II)을 정의할 시(도 6 참조.), 제 1, 2 노즐(66a, 66b)은 제 1 영역(I)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4 노즐(66c, 66d)은 제 2 영역(II)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제 1 영역(I)은 개스킷(60)을 전방에서 보았을 시 좌측(또는, 개스킷(60)의 배면을 보았을 시 우측)이고, 제 2 영역(II)은 개스킷(60)을 전방에서 보았을 시 우측(또는, 개스킷(60)의 배면을 보았을 시 좌측)이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영역(I)이 우측이고, 제 2 영역(II)이 좌측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2 포트 삽입관(64a, 64b)이 제 1 영역(I)에서 개스킷 바디(6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1, 2 포트 삽입관(64a, 64b)은 제 1, 2 노즐(66a, 66b)과 각각 연통된다. 제 1 포트 삽입관(64a)과 제 2 포트 삽입관(64b)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3, 4 포트 삽입관(64c, 64d)이 제 2 영역(II)에서 개스킷 바디(6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3, 4 포트 삽입관(64c, 64d)은 제 3, 4 노즐(66c, 66d)과 각각 연통된다. 제 3 포트 삽입관(64c)과 제 4 포트 삽입관(64d)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제 1, 2 분배관(80(1), 80(2))은 개스킷(60)에 설치된다. 각각의 분배관(80(1), 80(2))은, 펌프(70)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81),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82), 이송관로(82)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토출포트(83, 84)를 포함한다.
복수의 토출포트(83, 84)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두 개의 토출포트(83, 84)를 포함하며, 이하, 두 개의 토출포트(83, 84) 중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 1 토출포트(83) 또는 하부 토출포트라고 하고, 제 1 토출포트(83)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 2 토출포트(84) 또는, 상부 토출포트라고 한다. 제 1 분배관(80(1))과 제 2 분배관(80(2)) 각각에 제 1 토출포트(83)와 제 2 토출포트(8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관로(82)는 개스킷(60)에 의해 규정된 통로(60P)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향으로 안내한다. 이송관로(82)는 유입포트(81)와 연통된 유로를 구성하며, 상기 유로는 대략 개스킷(6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휘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분배관(80(1))은 제 1 영역(I)에서 개스킷(60)과 결합된다. 제 1 분배관(80(1))은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 중 일부가 유입되는 제 1 유입포트(81)와, 제 1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1 이송관로(82)와, 제 1 이송관로(82)로부터 분지되어 제 1, 2 포트 삽입관(64a, 64b)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2 토출포트(83, 84)를 포함한다.
제 1 이송관로(82) 상에서 제 2 토출포트(84)는 제 1 토출포트(83) 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 1 이송관로(82)를 따라 상측으로 안내되는 물중 일부가 제 1 토출포트(83)에서 먼저 분기된 후, 나머지는 제 2 토출포트(84)로 분기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분배관(80(2))은 제 2 영역(II)에서 개스킷(60)과 결합된다. 제 2 분배관(80(2))은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 중 다른 일부(또는, 나머지)가 유입되는 제 2 유입포트(81)와, 제 2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2 이송관로(82)와, 제 2 이송관로(82)로부터 분지되어 제 3, 4 포트 삽입관(64c, 64d)과 각각 연결되는 제 3, 4 토출포트(83, 84)를 포함한다.
제 2 이송관로(82) 상에서 제 4 토출포트(84)는 제 3 토출포트(83) 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 2 이송관로(82)를 따라 상측으로 안내되는 물중 일부가 제 3 토출포트(83)에서 먼저 분기된 후, 나머지는 제 4 토출포트(84)로 분기된다.
유입포트(81)는 펌프(70)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된다. 유입포트(81)는 순환관(86(1), 86(2))에 의해 펌프(70)와 연결될 수 있다. 분배관(80)의 개수에 대응하여 펌프(70)에는 순환수가 토출되는 순환포트(71a, 71b,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펌프(70)는 제 1 순환포트(71a)와 제 2 순환포트(71b)를 구비하고, 제 1 순환포트(71a)는 제 1 순환관(86(1))에 의해 제 1 분배관(80(1))의 제 1 유입포트(81(1))와 연결되고, 제 2 순환포트(71b)는 제 2 순환관(86(2))에 의해 제 2 분배관(80(2))의 유입포트(81(2))와 연결된다.
이송관로(82)를 따라 이송된 순환수가 복수의 토출포트(83, 84)를 통해 배출된다. 이들 토출포트(83, 84)는 유입포트(81)의 상측에서 이송관로(82)로부터 분지된다. 즉, 유입포트(81)의 출구(즉, 유입포트(81)가 이송관로(82)와 연결되는 부분)보다 토출포트(83, 84)의 입구(즉, 토출포트(83, 84)가 이송관로(82)와 연결되는 부분)가 더 상측에 위치한다.
제 1 분배관(80(1)) 및/또는 제 2 분배관(80(2))에 있어서, 이송관로(82)를 기준으로 제 1 측과 제 2 측을 정의할 시, 유입포트(81(1), 81(2))는 이송관로(82(1), 82(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에 위치하고, 토출포트들((83a/b, 83c/d)은 상기 제 2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포트(81(1), 81(2))는 이송관로(82(1), 82(2))를 기준으로 토출포트들((83a/b, 83c/d)과는 반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60)의 포트 삽입관들(64a/b, 64c/d)은 이들에 결합되는 분배관(80(1), 80(2))의 이송관로(82(1), 82(2)))에 대해 토출포트(83a/b, 83c/d)과 같은 편에 위치하고, 유입포트(81(1), 81(2))는 이송관로(82(1), 82(2))에 대해 포트 삽입관들(64a/b, 64c/d) 과도 반대 편에 위치한다.
한편, 개스킷(60)을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통로(60P)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한 기준면(OV, 도 6 참조.)을 정의할 시, 각각의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은 기준면(OV)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입포트(81(1), 81(2))도 기준면(OV)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토출포트(83a, 83b, 83c, 83d)로부터 배출되는 수류압에 의한 반작용은 분배관(80)을 개스킷(6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나, 유입포트(81(1), 81(2))를 통해 이송관로(82(1), 82(2)) 내로 유입되는 수류는 이송관로(82(1), 82(2))를 개스킷(60)측으로 미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분배관(80)이 개스킷(6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하부 토출포트(83a, 83c)와 상부 토출포트(83b, 83d)는, 이송관로(82)에 대해 제 1 측(즉, 전방에서 바라볼 시 좌, 우 양측 중 어느 한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토출포트(83a, 83c)와 상부 토출포트(83b, 83d)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포트(81)는 이송관로(82)에 상기 제 1 측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제 2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상부 토출포트(83a, 83c/ 83b, 83d)를 통해 배출되는 수류는 이송관로(82)로부터 상기 제 1 측을 향하는 방향이므로, 수류의 분출압이 반력으로 작용하여 이송관로(82)는 상기 제 2 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측은 상부 토출포트(83b, 83d)가 상부 포트 삽입관(64b, 64d)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이다.
이에 반해, 유입포트(81)는 이송관로(82)로부터 상부 토출포트(83c, 83d)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되는 수류는 이송관로(82)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 토출포트(83b, 83d)가 상부 포트 삽입관(64b, 64d)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이송관로(82)는 토출포트들(83a/b, 83c/d)이 돌출된 제 1 관로부(82a)와, 제 1 관로부(82a)의 하단에서 개스킷(60)의 외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 2 관로부(82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포트(81)는 제 2 관로부(82b)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포트(81)는 제 2 관로부(82b)로부터 개스킷(60)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포트(81)는 제 2 관로부(82b)로부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관로부(82a)와 제 2 관로부(82b)가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된 부분에서 유동 저항이 발생된다. 즉, 제 2 관로부(82b)로부터 제 1 관로부(82a)로 수류가 진입하는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되어 수류가 바로 하부 토출포트(83)를 지나치지 않고, 관로부(82)의 내측면에서 반사, 굴절되어 하부 토출포트(83)로 유도되며, 따라서, 하부 토출포트(83)를 통해 충분한 유량이 토출될 수 있다.
제 2 관로부(82b)에서 유입포트(81)의 출구(즉, 유입포트(81)로부터 순환수가 배출되는 구멍)가 형성된 면은 유입포트(81)와 직교하는 부분(82c)을 포함할 수 있다. 직교하는 부분(82c)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포트(81)는 직교하는 부분(82c)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선(또는, 평면)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직교하는 부분(82c)에서 이송관로(82) 내의 유로는 실질적으로 유입포트(8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가 이송관로(8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먼저 하부 토출포트(83a, 83c)를 통해 토출된 후, 남은 유량이 상부 토출포트(83b, 83d)를 통해 토출된다. 특히, 수류가 이송관로(82)를 따라 일방향(상방향)으로 안내되는 중에 하부 토출포트(83a, 83c)와 상부 토출포트(83c, 83d)로 차례로 분지되기 때문에, 이송관로(82) 내에서의 수류 저항이 거의 일정하다. 하부 토출포트(83a, 83c)의 토출 유량과 상부 토출포트(83b, 83d)의 토출 유량이 규형을 이루도록 토출포트들(83a, 83b, 83c, 83d)의 내경, 노즐()의 내경, 이송관로(82)의 내경 등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하부 토출포트(83a, 83c)와 상부 토출포트(83c, 83d)로부터 균일하게 순환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유입포트(81)가 하부 토출포트(83a, 83c)와 상부 토출포트(83b, 83d) 사이에서 이송관로(82)에 접속되었다고 가정하면,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가 상, 하로 분지된 후 각각이 상부 토출포트(83b, 83d)와 하부 토출포트(83a, 83c)를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순환수가 상, 하로 분기되는 구간에서 유로 저항이 과도하여 유로 내에서 수류의 교란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하부/상부 토출포트(83a, 83c/ 83b, 83d)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치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펌프(70)는 속도 가변(또는, 토출 유량 가변)이 가능한 가변속 펌프일 수 있다. 이 경우, 유입포트(81)가 하부 토출포트(83a, 83b)와 상부 토출포트(83c, 83d) 사이에 접속된다면, 펌프(70)가 저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즉, 토출 유량이 적은 경우), 중력에 의한 영향이 고속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쳐, 이송관로(82) 내에서 상, 하로 분지된 수류 중에 하측으로 분지된 유량이 월등하게 되고, 본 발명과 비교하여 상부 토출포트(83b, 83d)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다.
개스킷(60)의 외주면(61)에는 네 개의 토출포트에 각각 대응되도록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이 개스킷(6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은 관상의 형태로써, 일단은 노즐(66a, 66b, 66c, 66d)과 연결되고, 타단은 토출포트(83, 84)와 연결된다.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은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부분의 끝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토출포트(83, 84)가 삽입된다. 4개의 토출포트(83, 84)가 각각 4개의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개스킷(60)의 내주면(62)에는 4개의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들과 각각 연통되는 4개의 노즐(66a, 66b, 66c, 66d)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즐(66a, 66b, 66c, 66d)이 개스킷(60)과 일체로 형성되나, 이와는 달리 개스킷(60)과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개스킷(60)에 결합되거나, 개스킷(6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별도의 유로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과 유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밸런서(90(1))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된다. 제 1 밸런서(90(1))는 개스킷(60)의 외주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에 조립공간(AS)을 규정하는 이격 부분(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로(82)는 조립공간(AS) 내에 배치되는 부분(82d)을 포함한다. 제 2 토출포트(84)는 부분(82d)으로부터 돌출된다. 상부 토출포트(83b, 83d)는 조립공간(AS) 내에서 상부 포트 삽입관(64b, 64d)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부 토출포트(83b, 83d)로부터 순환수가 토출될 시의 수류압 또는 터브(30)의 진동에 의해 상부 토출포트(83b, 83d)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부분(82d)이 제 1 밸런서(90(1))와의 접촉(또는, 간섭)되기 때문에 이동이 제지되며, 따라서, 상부 토출포트(83b, 83d)가 상부 포트 삽입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 1 분배관(80(1))과 제 2 분배관(80(2))은 개스킷(60)에 대해 좌, 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개스킷(60)의 포트 삽입관(64a, 64b, 64c, 64d)들 역시 좌, 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배관(80(1))과 제 2 분배관(80(2))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좌우로 뒤집어 어느 쪽에나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고,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 1 내지 4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노즐은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한 제 1, 2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4 노즐은, 상기 제 2 영역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2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제 1, 2 포트 삽입관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3, 4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제 3, 4 포트 삽입관을 구비한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 중 일부가 유입되는 제 1 유입포트와, 상기 제 1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1 이송관로와, 상기 제 1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2 토출포트를 구비한 제 1 분배관; 및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 중 다른 일부가 유입되는 제 2 유입포트와, 상기 제 2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 2 이송관로와, 상기 제 2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3, 4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3, 4 토출포트를 구비한 제 2 분배관을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제 1 측과 제 2 측을 정의할 시,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제 1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은 상기 제 2 측에 위치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배관과 상기 제 2 분배관은 좌, 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양분하는 가상의 수직한 기준면을 정의할 시, 상기 제 1, 2 토출포트는 상기 기준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관로는,
    상기 제 1, 2 토출포트가 돌출된 제 1 관로부; 및
    상기 제 1 관로부의 하단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제 2 관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로부는,
    상기 제 1 토출포트보다 하측에서 절곡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로부는 상기 제 1 유입포트와 상기 제 1 토출포트 사이에서 절곡되는 세탁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제 2 관로부로부터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제 2 관로부와 직교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4 포트 삽입관은 각각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 3, 4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한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개스킷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13.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고,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한 제 1, 2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배치되는 제 1, 2 노즐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2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제 1, 2 포트 삽입관을 구비한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개스킷과 결합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이송관로와, 상기 이송관로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분지되어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2 토출포트를 구비한 분배관을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제 1 측과 제 2 측을 정의할 시,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2 포트 삽입관은 상기 제 2 측에 위치하는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중심이 속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한 기준면을 정의할 시, 상기 제 1, 2 토출포트들은 상기 기준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유입포트는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 1, 2 토출포트들이 돌출된 제 1 관로부; 및
    상기 제 1 관로부의 하단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제 2 관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한 세탁기.
KR1020190075429A 2018-06-27 2019-06-25 세탁기 KR20200001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72500A JP7304368B2 (ja) 2018-06-27 2019-06-25 洗濯機
RU2021125985A RU2021125985A (ru) 2018-06-27 2019-06-25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PCT/KR2019/007671 WO2020004911A1 (en) 2018-06-27 2019-06-25 Washing machine
RU2021101569A RU2754896C1 (ru) 2018-06-27 2019-06-25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EP19182839.1A EP3587655B1 (en) 2018-06-27 2019-06-27 Washing machine
CN201910565241.3A CN110644188B (zh) 2018-06-27 2019-06-27 洗衣机
US16/455,227 US11332871B2 (en) 2018-06-27 2019-06-27 Washing machine
CN202210921416.1A CN115262180A (zh) 2018-06-27 2019-06-27 洗衣机
US17/692,388 US11859333B2 (en) 2018-06-27 2022-03-11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393 2018-06-27
KR20180074393 2018-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23A true KR20200001523A (ko) 2020-01-06

Family

ID=6915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429A KR20200001523A (ko) 2018-06-27 2019-06-25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04368B2 (ko)
KR (1) KR20200001523A (ko)
RU (2) RU20211259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4664S1 (en) * 2019-05-21 2021-07-13 Nomis Llc Door lock installation ji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3884B2 (ja) * 2010-01-08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EP2343409B1 (en) * 2010-01-08 2014-02-12 Panasonic Corporation Washing machine
JP5325861B2 (ja) * 2010-09-28 2013-10-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S2598833T3 (es) * 2011-04-14 2017-01-30 Lg Electronics Inc. Lavadora que comprende boquillas de pulverización
EP2540902B1 (en) * 2011-06-30 2020-05-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EP2719814A1 (en) * 2012-10-09 2014-04-16 Candy S.p.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etergent activation
KR20140140435A (ko) * 2013-05-29 201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6136154A1 (ja) * 2015-02-27 2016-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4664S1 (en) * 2019-05-21 2021-07-13 Nomis Llc Door lock installation j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4896C1 (ru) 2021-09-08
JP7304368B2 (ja) 2023-07-06
RU2021125985A (ru) 2021-10-04
JP2021528180A (ja)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78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0644188B (zh) 洗衣机
RU2764136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20200001523A (ko) 세탁기
JP7200269B2 (ja) 洗濯機
EP3591114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7213896B2 (ja) 洗濯機
KR20200001526A (ko) 세탁기
RU2754895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KR20200001524A (ko) 세탁기
CN114045642A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