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413U -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 Google Patents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13U
KR20200001413U KR2020180005931U KR20180005931U KR20200001413U KR 20200001413 U KR20200001413 U KR 20200001413U KR 2020180005931 U KR2020180005931 U KR 2020180005931U KR 20180005931 U KR20180005931 U KR 20180005931U KR 20200001413 U KR20200001413 U KR 20200001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ear end
guide member
open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236Y1 (ko
Inventor
이흥룡
Original Assignee
이흥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룡 filed Critical 이흥룡
Priority to KR2020180005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3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스템 루버에 구비되어 프레임부재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며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개폐블레이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가 회전브래킷(30)의 회전축(35)에 결합되는 포크부재(11)와; 후단부에 길이 방향의 가이드홈(12')이 형성되고 선단부가 포크부재(11)의 후단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2)와; 선단부에 각도고정구(20)의 각도조절홈(2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5')가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는 고정부재(15)와; 가이드부재(12)의 후단 양측에서 결합되어 가이드부재(12)와 일체화되며 내측에 고정부재(15)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13)와; 일측이 가이드부재(12)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케이스부재(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부재(12)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14)와; 일단은 케이스부재(13)에 결합되고 타단은 누름부재(14)에 결합되어 누름부재(1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Driving Handle for System Louver}
본 고안은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루버에 구비되어 프레임부재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며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개폐블레이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통풍이 요구되는 곳에 대한 시각적 노출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풍을 보장하면서도 햇빛을 차단하고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루버는 보통 기계실이나 주차장, 공장 벽체 등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의 미관이나 실외기의 청결 문제 등으로 인해 옥상 등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하거나, 건물 내에 실외기를 매입 설치하고 있다. 이때, 실외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냉방시에는 개방하여 열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외기의 외측에 루버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를 시스템 루버라 한다.
통상적인 시스템 루버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112)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부재(110)와; 상기 수직프레임(111)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프레임부재(110)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개폐블레이드(120)와; 상기 수직프레임(111)에 구비되어 개폐블레이드(120)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구동장치(130)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블레이드(12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130)는 도 2와 3과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2)에 설치되며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각도조절홈(131')이 형성된 각도고정구(131)와; 개폐블레이드(120)의 회전축(125)에 결합되며 각도고정구(131)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조절홈(13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32')를 이용하여 개폐블레이드(120)의 회전각을 고정하는 작동손잡이(1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손잡이(132)는 선단부가 개폐블레이드(120)의 회전축(125)에 결합되는 포크부재(132a)와, 상기 포크부재(132a)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상기 결합돌기(132')가 구비되고 후단측에 지지부재(132")가 구비된 몸체부(132b)와, 상기 포크부재(132a)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결합돌기(132')가 각도조절홈(13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결합구(132c)와, 상기 지지부재(132")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32b)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포크부재(132a)의 후단에 결합된 누름부재(132d)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32")가 누름부재(132d)의 장공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132")에 의해 지지된 탄성결합구(132c)와 몸체부(132b)가 각도고정구(131)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몸체부(132b)의 결합돌기(132')가 상기 각도고정구(131)의 각도조절홈(131')에 삽입됨으로써 작동손잡이(13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개폐블레이드(120)는 현재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개폐블레이드(120)의 회전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누름부재(132d)를 누르게 되면, 상기 몸체부(132b)의 지지부재(132")가 누름부재(132d)의 장공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결합구(132c)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몸체부(132b)가 후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몸체부(132b)의 결합돌기(132')가 상기 각도고정구(131)의 각도조절홈(131')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작동손잡이(13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132d)를 누룬 상태에서 상기 작동손잡이(13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블레이드(120)의 회전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작동손잡이는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작동손잡이는 누름부재를 손바닥으로 압박하면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어 작동시키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프레임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의 안쪽에 다수개로 구성되는 피치플레이트와, 상기 피치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에 관통되는 회전축을 후방에 구비하고 레일의 내측에 일렬로 조립되는 다수개의 로테이션 핸들과, 상기 로테이션 핸들 상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면에 루버의 측면이 결합되는 보조 로테이션 핸들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서 2개의 연결축에 연결되는 작동대로 상기 루버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판으로 구성되어 로테이션 핸들상에 형성된 가이드벽내측에 안착되는 안착벽을 갖는 보조 로테이션 핸들을 더 형성하고, 보조 로테이션 핸들상에 형성된 결합축 및 결합구에 결합되도록 결합공들을 루버의 측면에 형성하여 보조 로테이션 핸들상에 루버를 안정으로 결합 고정하여 루버가 오랜시간 결합되어 작동시 보조 로테이션 핸들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벽 및 안착벽으로 루버의 측면을 지지하여 종래의 루버로 인한 가이드벽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시스템루버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복수개의 루버 어셈블리가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루버 어셈블리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의 테두리를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루버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 어셈블리; 및 상기 감속기어 어셈블리의 입력측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루버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의해 장방형으로 조립된 프레임부재, 상기 수직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를 개폐하는 다수개의 개폐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템 루버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로 고정부재와 개폐블레이드의 연결부위를 커버하여 빗물의 실내유입을 방지하는 빗물차단가스킷이 구비되어, 우천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개방조작시 유동프레임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빗물차단가스킷이 개폐블레이드에 부딪히지 않도록 한, 시스템 루버를 개시하고 있다.
KR 10-2011-0084064 A KR 10-2011-0130161 A KR 10-1339061 B1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스템 루버에 구비된 작동손잡이와 각도 고정구 사이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손으로 쥔 상태에서 작동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어 오작동의 우려가 없고 작동손잡이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프레임부재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개폐블레이드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브래킷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블레이드 각도고정구;를 구비한 시스템 루버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브래킷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각도고정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조절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이용하여 개폐블레이드의 회전각을 고정하는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로서, 선단부가 상기 회전브래킷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포크부재와; 후단부에 길이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포크부재의 후단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선단부에 상기 각도고정구의 각도조절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단 양측에서 결합되어 가이드부재와 일체화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누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선단 상측과 하측에 각각 삽입돌기가 형성된 돌기몸체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몸체의 후단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누름부재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가이드부재에 면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몸체에 비해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누름부재는 선단 하부에 상기 토션스프링이 설치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후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와, 하부측에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누름부와 작동부는 중간 부분이 살빼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이나 오작동의 우려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따르면, 손으로 손잡이를 쥐는 동작만으로 누름부재를 눌러 고정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으므로 개폐블레이드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따르면, 고정부재의 돌기몸체가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가 전후이동하게 되므로 고정부재의 움직임이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따르면, 누름부재의 누름부와 작동부가 모두 살빼기 가공됨에 따라 재료 사용량과 중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스템 루버의 외부 형상이 도시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시스템 루버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작동손잡이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루버용 작동손잡이가 채용된 시스템 루버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손잡이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손잡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손잡이에서 누름부재를 눌렀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손잡이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는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50)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프레임부재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개폐블레이드(40)와; 상기 수직프레임(5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40)의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브래킷(30)과; 상기 수직프레임(50)에 설치되며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각도조절홈(25)이 형성된 블레이드 각도고정구(20);를 구비한 시스템 루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브래킷(30)의 회전축(35)에 결합되며 각도고정구(20)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조절홈(2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5')를 이용하여 개폐블레이드(40)의 회전각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10)는, 선단부가 상기 회전브래킷(30)의 회전축(35)에 결합되는 포크부재(11)와; 후단부에 길이 방향의 가이드홈(12')이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포크부재(11)의 후단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2)와; 선단부에 상기 각도고정구(20)의 각도조절홈(2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5')가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는 고정부재(15)와; 상기 가이드부재(12)의 후단 양측에서 결합되어 가이드부재(12)와 일체화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15)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13)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재(12)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재(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부재(12)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14)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부재(1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누름부재(14)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재(1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재(13)는 좌측 케이스부재(13a)와 우측 케이스부재(13b)로 분할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5)는 가이드부재(12)의 가이드홈(12)에 삽입되며 선단 상측과 하측에 각각 삽입돌기(15')가 형성된 돌기몸체(15a)와,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몸체(15a)의 후단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누름부재(14)의 끼움돌기(14d)가 삽입되는 끼움홈(15c)이 형성된 연장부(15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15b)는 가이드부재(12)에 면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몸체(15a)에 비해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재(14)는 선단 하부에 상기 토션스프링(16)이 설치되는 고정돌기(14b)가 형성되고 후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재(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14a)와, 하부측에 상기 고정부재(1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d)가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14a)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부(14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14a)와 작동부(14c)는 중간 부분이 살빼기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 루버의 개폐블레이드(4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도 7 및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5)의 선단에 구비된 결합돌기(15')가 각도고정구(20)의 각도조절홈(25)에 삽입됨으로써 작동손잡이(1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작동손잡이(10)에 구비된 토션스프링(16)에 의해 고정부재(15)가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15)가 후퇴하여 작동손잡이(10)나 개폐블레이드(40)가 움직이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작동손잡이(10)를 손으로 쥐게 되면, 도 8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14)가 손바닥에 의해 눌려져 회동하여 누름부(14a)가 케이스부재(13)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누름부(14a)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부(14b)가 회동하면서 고정부재(15)를 후퇴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5)의 선단에 구비된 결합돌기(15')가 각도고정구(20)의 각도조절홈(25)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작동손잡이(10)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손잡이(10)를 회전시켜 개폐블레이드(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개폐블레이드(40)의 회전이 완료된 후 상기 작동손잡이(10)를 놓게 되면, 토션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재(14)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15)가 전진하여 결합돌기(15')가 각도고정구(20)의 각도조절홈(2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폐블레이드(4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작동손잡이
11...포크부재
12...가이드부재
12'...가이드홈
13...케이스부재
13a...좌측 케이스부재
13b...우측 케이스부재
14...누름부재
14a...누름부
14b...고정돌기
14c...작동부
14d...끼움돌기
15...고정부재
15'...결합돌기
15a...돌기몸체
15b...연장부
15c...끼움홈
16...토션스프링
20...각도고정구
25...각도조절홈
30...회전브래킷
40...개폐블레이드
50...수직프레임

Claims (5)

  1. 수직프레임(50)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프레임부재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개폐블레이드(40)와; 상기 수직프레임(5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40)의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브래킷(30)과; 상기 수직프레임(50)에 설치되며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각도조절홈(25)이 형성된 블레이드 각도고정구(20);를 구비한 시스템 루버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브래킷(30)의 회전축(35)에 결합되며 각도고정구(20)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조절홈(2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5')를 이용하여 개폐블레이드(40)의 회전각을 고정하는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10)로서,
    선단부가 상기 회전브래킷(30)의 회전축(35)에 결합되는 포크부재(11)와; 후단부에 길이 방향의 가이드홈(12')이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포크부재(11)의 후단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2)와; 선단부에 상기 각도고정구(20)의 각도조절홈(2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5')가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는 고정부재(15)와; 상기 가이드부재(12)의 후단 양측에서 결합되어 가이드부재(12)와 일체화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15)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13)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재(12)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재(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부재(12)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14)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부재(1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누름부재(14)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재(1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5)는 가이드부재(12)의 가이드홈(12)에 삽입되며 선단 상측과 하측에 각각 삽입돌기(15')가 형성된 돌기몸체(15a)와,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몸체(15a)의 후단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누름부재(14)의 끼움돌기(14d)가 삽입되는 끼움홈(15c)이 형성된 연장부(1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5b)는 가이드부재(12)에 면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몸체(15a)에 비해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4)는 선단 하부에 상기 토션스프링(16)이 설치되는 고정돌기(14b)가 형성되고 후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재(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14a)와, 하부측에 상기 고정부재(1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4d)가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14a)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부(1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4a)와 작동부(14c)는 중간 부분이 살빼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KR2020180005931U 2018-12-19 2018-12-19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KR200492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31U KR200492236Y1 (ko) 2018-12-19 2018-12-19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31U KR200492236Y1 (ko) 2018-12-19 2018-12-19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13U true KR20200001413U (ko) 2020-06-29
KR200492236Y1 KR200492236Y1 (ko) 2020-09-02

Family

ID=7112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931U KR200492236Y1 (ko) 2018-12-19 2018-12-19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3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975A (ko) * 2008-12-04 2010-06-14 이상면 환기창용 보턴형 개폐핸들유닛
KR20110084064A (ko) 2010-01-15 2011-07-21 안건형 시스템루버의 구조
KR20110130161A (ko) 2010-05-27 2011-12-05 은산건업주식회사 시스템 루버
KR101339061B1 (ko) 2013-05-15 2013-12-09 나정학 시스템 루버
KR20180004436A (ko) * 2016-07-04 2018-01-12 (주)인트라락 시스템루버의 손잡이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975A (ko) * 2008-12-04 2010-06-14 이상면 환기창용 보턴형 개폐핸들유닛
KR20110084064A (ko) 2010-01-15 2011-07-21 안건형 시스템루버의 구조
KR20110130161A (ko) 2010-05-27 2011-12-05 은산건업주식회사 시스템 루버
KR101339061B1 (ko) 2013-05-15 2013-12-09 나정학 시스템 루버
KR20180004436A (ko) * 2016-07-04 2018-01-12 (주)인트라락 시스템루버의 손잡이 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36Y1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7041B (zh) 出风结构及空调器
CA2590862A1 (en) Automated shutter control
KR101598310B1 (ko) 에어 컨디셔너
US8336256B2 (en) Automated louvre system
CN105189903A (zh) 用于建筑开口的百叶窗面板
US6135880A (en) Adjustable register incorporating a toggle-joint mechanism to move slats thereof between open and closed positions
KR20200001413U (ko)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WO2010054483A1 (en) Shutter
US7328533B1 (en) Window shutt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977704B1 (ko) 송풍팬용 셔터 개폐 구조
KR102219679B1 (ko) 시스템 루버의 밀폐구조
KR101720471B1 (ko)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1163762B1 (ko)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101349632B1 (ko) 외벽 설치용 루버
EP1369547B1 (en) Moving mechanism, particularly for applications with window handles
US5056578A (en) Carrier structure for a vertical blind assembly
KR200490241Y1 (ko) 시스템 루버의 고정블레이드 결합구조
KR200490795Y1 (ko) 시스템 루버의 개폐블레이드 결합구조
JP3683520B2 (ja) スラットの揺動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雨戸
KR101756175B1 (ko) 창호 일체형 자연환기 장치
CN215951727U (zh) 用于双导风板的运动组件和空调器
KR100318131B1 (ko) 차양막의 개폐작동장치
CN215951721U (zh) 连杆组件和用于双导风板的运动组件
JP6006042B2 (ja) 換気装置と開口部装置
KR101500469B1 (ko) 회전 이동식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