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32A -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32A
KR20200001232A KR1020180073939A KR20180073939A KR20200001232A KR 20200001232 A KR20200001232 A KR 20200001232A KR 1020180073939 A KR1020180073939 A KR 1020180073939A KR 20180073939 A KR20180073939 A KR 20180073939A KR 20200001232 A KR20200001232 A KR 2020000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ir
thermoelectric element
region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628B1 (ko
Inventor
정재원
임한솔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6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1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Y02T3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역과 열적으로 연결된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또는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열전소자;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제공된 열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전달하되, 평판 형태로 제공되는 열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영역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작동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OF AIR CONDITION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패널과 외기전담장치를 이용하는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전패널을 이용하여 현열부하를 제거하고, 외기전담장치를 이용하여 잠열부하를 제거하는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전소자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근래에, 친환경적이며 그 크기가 매우 작다는 이점 덕분에 여러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다. 특히, 열전소자는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발열 또는 흡열하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공조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종래의 공조장치는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직접 공급하는 대류식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류식 방법을 이용하는 공조 장치는 공조공간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하며, 온열쾌적도가 낮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일 과제는 복수개의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열전 패널을 이용하여 현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일 과제는 방열팬을 이용하여 열전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일 과제는 외기전담장치를 이용하여 잠열부하를 처리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일 과제는 외기전담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체 내부 공기를 쾌적하게 만드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역과 열적으로 연결된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또는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열전소자;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제공된 열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전달하되, 평판 형태로 제공되는 열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영역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작동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 -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열적으로 연결된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또는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열전소자,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부 및 상기 열전소자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팬을 포함함 - 를 이용한 공조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외부 공기의 온도와 미리 정해진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획득된 외부 공기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열전소자를 냉방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열전 패널을 이용하여 현열부하를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팬을 이용하여 열전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기전담장치를 이용하여 잠열부하를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기전담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체 내부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 및 방열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역과 열적으로 연결된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또는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열전소자;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제공된 열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전달하되, 평판 형태로 제공되는 열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영역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작동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상기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열전소자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 상기 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은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은 상기 열 전달 부재와 수평인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열전소자를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영역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열전소자를 냉방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어 공기유통로를 형성하는 제3 영역에 설치되는 환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제1 영역의 공기를 상기 이동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를 상기 제1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제1 영역의 공기와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을 유도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가 미리 정해진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습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 -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열적으로 연결된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또는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열전소자,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부 및 상기 열전소자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팬을 포함함 - 를 이용한 공조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외부 공기의 온도와 미리 정해진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획득된 외부 공기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열전소자를 냉방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조 방법은 상기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 상기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공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조 장치(1000)는 열전부(100), 방열부(200), 환기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부(100)는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200)는 상기 열전부(10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부(100)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환기부(300)는 상기 이동체의 내부 공기를 상기 이동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300)는 상기 이동체의 외부 공기를 상기 이동체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환기부(300)는 상기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공급되는 공기 간의 열 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300)는 상기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체의 외부 공기에 기초하여 열전부(100), 방열부(200) 및 환기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조 장치(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열전부(100)는 이동체 내부의 현열 부하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부(100)는 이동체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부(100)는 이동체의 내부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열차, 자동차와 같은 육상 이동체 또는 드론, 비행기와 같은 공중 이동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열전부(100)는 이동체의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부(100)는 상기 외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 난방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열전부(100)는 상기 외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은 경우 냉방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열전부(100)는 이동체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부(100)는 이동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상측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내측으로 온열 또는 냉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열전부(100)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부(100)는 복사패널의 형태로 제공되어 이동체의 내부로 복사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열전소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110)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소자(110)는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열전소자(110)에 전류가 인가되면, 펠티에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열전소자(110)의 일 면은 흡열하고, 타 면은 발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 면의 온도는 낮아지고, 상기 타 면의 온도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의 흡열량 또는 발열량은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열전소자(110)의 흡열량 또는 발열량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의 흡열면 또는 발열면은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을 갖는 전류가 열전소자(110)에 인가될 때, 열전소자(110)의 일 면은 흡열면이되고, 타 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을 갖는 전류가 열전소자(110)에 인가될 때, 열전소자(110)의 일 면은 발열면이되고, 타 면은 흡열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의 흡열면 또는 발열면은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변함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을 갖는 전류가 열전소자(110)에 인가될 때 열전소자(110)의 흡열면은, 상기 전류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바뀌면 발열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방향을 갖는 전류가 열전소자(110)에 인가될 때 열전소자(110)의 발열면은, 상기 전류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바뀌면 흡열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는 열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소자(110)는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및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의 외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은 경우, 열전소자(110)는 냉방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외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 열전소자(110)는 난방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소자(110)가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열전소자(110)의 두 면 중 이동체와 가까운 일 면은 발열면이되고, 이동체와 먼 타 면은 흡열면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열전소자(110)가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열전소자(110)의 두 면 중 이동체와 가까운 일 면은 흡열면이되고, 이동체와 먼 타 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열 전달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와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의 일 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복사되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열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 부재(120)가 획득하는 열은 열전소자(110)의 작동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소자(110)의 상기 작동모드가 상기 난방모드일 때,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온열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의 상기 작동모드가 상기 냉방모드일 때,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냉열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이동체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달 부재(120)는 열전소자(110)의 작동모드에 따라 온열 또는 냉열을 이동체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소자(110)의 상기 작동모드가 상기 난방모드일 때, 열 전달 부재(120)는 이동체 내부로 온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모드가 상기 냉방모드일 때, 열 전달 부재(120)는 이동체 내부로 냉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단열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130)는 열전소자(110)의 흡열면과 발열면 사이의 열 교환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재(130)는 열전소자(110)의 발열면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열전소자(110)의 흡열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의 흡열면과 발열면의 온도차이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열전소자(110)가 상기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열전소자(110)의 흡열면은 열 전달 부재(120)와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어 열 전달 부재(120)로 냉열을 제공하고, 열전소자(110)의 발열면은 열 전달 부재(120)와 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열전소자(110)의 발열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제거되지 않으면, 열전소자(110)의 냉방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00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부(200)는 열전소자(110)가 상기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열전소자(110)의 발열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열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의 냉방성능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히트 싱크, 히트 파이프, 히트 핀, 방열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열전소자(110)와 열적으로 연결되어 열전소자(11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부(200)는 열전소자(110)의 발열면과 연결되어, 상기 발열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열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200)는 열전소자(110)의 흡열면과 연결되어, 상기 흡열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냉열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열전소자(110)로부터 흡수한 상기 폐열을 이동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방열부(200)는 상기 흡수된 폐열과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상기 흡수된 폐열을 상기 이동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의 성능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000)는 환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이동체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부(300)는 이동체 내부 공기를 이동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 공기를 이동체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 내부 공기의 청정도는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환기부(300)는 이동체 내부로부터 이동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이동체 외부로부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 외부로부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 내부로부터 이동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이동체 외부로부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상기 이동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감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체 내부로부터 이동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이동체 외부로부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상기 이동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300)는 이동체 내부의 잠열 부하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부(300)는 이동체 내부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로부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환기부(300)는 이동체 내부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 공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가 미리 정해진 습도보다 높은 경우,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로부터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000)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열전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가 작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이동체 외부 공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소자(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열전소자(110)를 냉방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열전소자(110)를 난방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소자(110)의 작동모드가 냉방모드로부터 난방모드로 전환될 때,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상기 열전소자(110)의 작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소자(110)가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가 제1 온도일 때 인가되는 제1 전류의 세기는,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일 때 인가되는 제2 전류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방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이동체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방열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낮은 경우, 방열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 방열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환기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이동체 내부 공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가 미리 정해진 습도보다 높은 경우, 환기부(300)를 작동시켜, 이동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 환기부(300)를 작동시켜, 이동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000)는 공기정보획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보획득센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장치(1000)는 온도센서를 통해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보획득센서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공기정보획득센서는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조 장치(1000)는 열전부(100), 방열부(200) 및 환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 되지 않았으나, 공조 장치(1000)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열전부(100), 방열부(200), 환기부(300) 및 제어부(400)에 대해서는 도 1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공조 장치(1000)는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10), 제1 영역(10)과 열적으로 연결되는 제2 영역(20) 및 제1 영역(10)과 연결되어 공기 유통로를 형성하는 제3 영역(30)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10)은 제2 영역(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 영역(30)은 제1 영역(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0)은 제2 영역(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3 영역(30)은 제1 영역(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10)은 제2 영역(20)과 제3 영역(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0)과 제3 영역(3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제2 영역(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20)은 제1 영역(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전부(100)는 제1 영역(10)과 인접한 제2 영역(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부(100)는 제1 영역(10)으로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열전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온열 또는 냉열은 제1 영역(1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역(20)은 제1 영역(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열전부(100)는 제2 영역(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때, 열전부(100)로부터 제1 영역(10)으로 제공되는 온열 또는 냉열은 제1 영역(1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평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열전부(100)는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의 경계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복수개의 열전소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열전소자(1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130)는 복수개의 열전소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열재(130)는 상기 복수개의 열전소자(110)간의 열 교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000)는 방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열전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열전부(10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부(200)는 열전부(1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열부(200)는 제2 영역(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20)이 제1 영역(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방열부(200)는 열전부(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0)이 제1 영역(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방열부(200)는 열전부(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이동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방열부(200)는 열전부(10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이동체 상측의 공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200)는 이동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방열부(200)는 열전부(10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이동체 하측의 공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000)는 환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제3 영역(30)에 배치되어, 이동체 내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부(300)는 제1 영역(10)의 공기를 이동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의 공기(OA)를 제1 영역(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10)의 공기의 청정도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이동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 외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로부터 제1 영역(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부(300)는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습도가 미리 정해진 습도보다 높은 경우, 이동체 외부로부터 제1 영역(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 및 방열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열전소자(110), 열 전달부재(120) 및 단열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전부(100)에 대해서는 도 1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110)는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소자(110)는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및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를 작동모드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의 상기 작동모드는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부재(120)는 상기 열전소자(110)로부터 제공되는 온열 또는 냉열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부재(120)는 상기 획득된 열을 제1 영역(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부재(120)는 평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열 전달부재(120)는 열전소자(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부재(120)는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달부재(120)는 열전소자(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 전달부재(120)는 상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온열 또는 냉열을 하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는 열전소자(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열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재(130)는 복수개의 열전소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단열재(130)는 복수개의 열전소자(110)간의 열 교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의 온도조절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폐열 전달부(210), 방열팬(220) 및 풍량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전달부(210)는 열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동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전달부(210)는 열전소자(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열전달부(210)는 열전소자(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폐열전달부(210)는 열전소자(110)를 기준으로 열 전달부재(12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폐열전달부(210)는 열전소자(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 전달부재(120)는 열전소자(1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열전달부(210)는 열전소자(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열 전달부재(120)는 열전소자(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열전소자(110)의 흡열면은 열 전달부재(120)와 연결되고, 열전소자(110)의 발열면은 폐열전달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는 열 전달부재(120)로 냉열을 제공하고, 폐열전달부(210)로 온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폐열전달부(210)는 상기 열전소자(110)로부터 제공되는 온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폐열전달부(210)는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전달부(210)는 히트 플레이트(211), 히트 파이프(212) 및 히트 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플레이트(211)는 열전소자(110)와 연결되어, 열전소자(110)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히트 플레이트(211)는 평판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히트 플레이트(211)는 그 크기가 열전소자(110)보다 크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플레이트(211)는 열전소자(110)로부터 획득되는 폐열을 히트 파이프(212)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212)는 상기 히트 플레이트(211)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일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파이프(212)는 히트 플레이트(2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히트 파이프(212)는 히트 플레이트(211)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212)는 히트 플레이트(21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히트 파이프(212)는 히트 플레이트(211)로부터 전달되는 폐열을 히트 플레이트(211)와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파이프(2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 핀(213)이 결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핀(213)은 히트 파이프(212)로부터 열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히트 핀(213)은 상기 획득되는 열과 외부 공기간의 열 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히트 핀(213)은 상기 획득되는 열과 외부 공기간의 열 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획득되는 열과 외부 공기간의 열 교환량 및 열 교환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핀(213)은 히트 플레이트(211)와 수평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 핀(213)은 히트 파이프(212)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방열팬(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220)은 열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팬(220)은 일측으로부터 열전소자(110)측으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이동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의 온도조절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220)은 폐열전달부(210)측으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110)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소자(110)로부터 폐열전달부(210)로 전달된 폐열은 방열팬(220)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220)은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팬(220)은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220)은 열 전달부재(120)와 수평인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팬(220)은 이동체를 상부에서 볼 때, 이동체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220)은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 작동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 방열팬(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이동체가 이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류를 이용하여 열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이동체가 이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방열팬(220)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고, 공조 장치(1000)의 전력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정지중에도 열전부(100)의 온도조절성능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220)은 열전소자(110)가 상기 냉방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가 상기 냉방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방열팬(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가 상기 냉방모드로 작동되고, 상기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에 방열팬(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200)는 풍량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부(230)는 이동체의 이동으로 인해 형성되는 기류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체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풍량조절부(23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제2 영역(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부(230)는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풍구의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제2 영역(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구의 크기는 열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폐열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풍구의 크기는 열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폐열량이 높을수록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풍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량조절부(230)는 덕트 그릴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20)은 덕트 내부로 정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역(20)에 배치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부(100) 및 방열부(2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3 영역(30)에 배치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열 교환부(310), 제습부(320) 및 가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부(310)는 이동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제1 공기(EA)와 이동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제2 공기사이의 열 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공기는 제1 공기(EA)와의 열 교환을 통해, 제1 공기(EA)로부터 온열 또는 냉열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는 열 교환부(310)를 통과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기(EA)의 온도가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공기는 열 교환부(310)를 통과함에 따라 제1 공기(EA)로부터 냉열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는 열 교환부(310)를 통과함으로써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공기(EA)의 온도가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 공기는 열 교환부(310)를 통과함에 따라 제1 공기(EA)로부터 온열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는 열 교환부(310)를 통과함으로써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제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320)는 상기 제2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부(320)는 상기 제2 공기의 습도가 미리 정해진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320)는 열 교환부(310)를 통과한 상기 제2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320)는 콘덴서식 제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기가 제습부(320)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는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가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330)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부(320)를 통과한 상기 제2 공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 가열부(330)는 상기 제2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33)는 히팅 코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외기전담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10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조 장치(1000)를 이용한 공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이동체 외부 공기의 정보를 획득하고 (S100) 및 상기 획득된 외부 공기 정보에 기초하여 공조 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단계(S100)에서 실외 공기의 정보는, 예를 들어 실외 공기의 건구 온도, 절대 습도, 상대 습도 등이 될 수 있고, 공조 장치(1000)에 설치된 공기정보획득센서를 통하여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정보획득센서는 온도센서 및/또는 습도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계(S200)에서 제어부(400)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 내부 공기의 온도, 습도와 같은 이동체 내부 공기의 파라미터 및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체 내부 공기가 25℃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는 건구 온도가 될 수 있고, 상기 파라미터의 값은 25℃가 될 수 있다.
또한, 단계(S200)에서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정보획득센서를 통해 검출된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정보와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비교하여 공조 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파라미터는 건구 온도이고, 상기 제1 파라미터의 값은 제1 온도일 수 있고, 제2 파라미터는 상대 습도이고,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은 제2 습도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온도와 상기 제1 온도를 비교하고,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습도와 상기 제2 습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를 상기 냉방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상기 열전소자(100)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열팬(2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400)는 열전소자(110)를 상기 난방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어부(400)는 방열팬(22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400)는 제습부(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습부(320)를 통과한 상기 제2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400)는 가열부(3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이동체 외부 공기(OA)의 습도가 상기 제2 습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400)는 제습부(320)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공기의 습도는 제습부(320)를 통과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외에도, 제어부(400)는 이동체 외부 공기(OA) 정보에 기초하여 공조 장치(1000)의 다양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제1 영역 212 히트 파이프
20 제2 영역 213 히트 핀
30 제3 영역 220 방열팬
100 열전부 230 풍량조절부
110 열전소자 300 환기부
120 열 전달부재 310 열 교환부
130 단열재 320 제습부
200 방열부 330 가열부
210 폐열전달부 400 제어부
211 히트 플레이트 1000 공조 장치

Claims (11)

  1.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역과 열적으로 연결된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영역에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또는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열전소자;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제공된 열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전달하되, 평판 형태로 제공되는 열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영역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작동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제거하기 위한 방열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 상기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축을 따라 회전하는
    공조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상기 열 전달 부재와 수평인 축을 따라 회전하는
    공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열전소자를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영역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열전소자를 냉방모드로 작동시키는
    공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어 공기유통로를 형성하는 제3 영역에 설치되는 환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제1 영역의 공기를 상기 이동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를 상기 제1 영역으로 공급하는
    공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제1 영역의 공기와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을 유도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부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가 미리 정해진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습부를 작동시키는
    공조 장치.
  9. 복수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갖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공조 장치 -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제1 영역에 온열을 제공하는 난방모드 또는 냉열을 제공하는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열전소자,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부 및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제거하기 위한 방열팬을 포함함 - 를 이용한 공조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체 외부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외부 공기의 온도와 미리 정해진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획득된 외부 공기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열전소자 -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제1 영역과 열적으로 연결된 제2 영역에 설치됨 - 를 냉방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정지된 경우, 상기 방열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조 방법.
  11. 제9 항 및 제10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073939A 2018-06-27 2018-06-27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KR10210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39A KR102108628B1 (ko) 2018-06-27 2018-06-27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39A KR102108628B1 (ko) 2018-06-27 2018-06-27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32A true KR20200001232A (ko) 2020-01-06
KR102108628B1 KR102108628B1 (ko) 2020-05-07

Family

ID=6915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939A KR102108628B1 (ko) 2018-06-27 2018-06-27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322A1 (ko) * 2021-08-17 2023-0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객실 내 비말 차단 공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731A (ja) * 1998-06-02 1999-12-14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
JP2000318422A (ja) * 1999-05-13 2000-11-21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250342Y1 (ko) * 2001-07-26 2001-11-22 전경호 열전기술을 이용한 차량의 냉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731A (ja) * 1998-06-02 1999-12-14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
JP2000318422A (ja) * 1999-05-13 2000-11-21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250342Y1 (ko) * 2001-07-26 2001-11-22 전경호 열전기술을 이용한 차량의 냉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322A1 (ko) * 2021-08-17 2023-0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객실 내 비말 차단 공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628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6266A (ko) 펠티에 소자를 갖춘 액체-공기 열교환 장치를 구비한 실내형 공기 조화기
JP2017537293A5 (ko)
JP2000274788A (ja) 加温装置、冷却装置及びこの冷却装置を利用した空調装置
JP4767879B2 (ja) 恒温恒湿器
KR20160059031A (ko) 차량용 제습 장치
JP2013134032A (ja) 機器冷却システムおよび機器冷却方法
JP2012112563A (ja) 空調装置
KR101524090B1 (ko) 차량 시트의 냉난방유닛
KR20200001232A (ko)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KR101524089B1 (ko) 차량 시트의 냉난방유닛
KR102002248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공조기 및 공조 방법
JP5044316B2 (ja) 塗装用フラッシュオフ装置
KR20100060756A (ko) 액냉식 열전 냉각장치
CN106929407B (zh) 冷热风道系统及基因测序仪
JP6609702B2 (ja) 保冷加温装置、及び分析装置
JP2012192781A (ja) 車両の空調装置
KR101887779B1 (ko) 통풍시트의 통풍모듈
KR102108638B1 (ko) 열전소자가 결합된 복사 냉방 시스템 및 설계 방법
KR20180072079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JP2010169354A (ja) 天井放射冷暖房装置
KR101543104B1 (ko) 차량용 제습 장치
WO2017061436A1 (ja) レーザ光源装置
KR20180061726A (ko) 차량용 열전소자 공조장치
JP6624576B2 (ja) 放射パネルモジュール、放射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及び制御方法
KR20180061727A (ko) 열용량이 개선된 차량용 열전소자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