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99U -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 Google Patents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99U
KR20200001099U KR2020180005333U KR20180005333U KR20200001099U KR 20200001099 U KR20200001099 U KR 20200001099U KR 2020180005333 U KR2020180005333 U KR 2020180005333U KR 20180005333 U KR20180005333 U KR 20180005333U KR 20200001099 U KR20200001099 U KR 202000010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elf
shower bath
type show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창숙
Original Assignee
성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숙 filed Critical 성창숙
Priority to KR2020180005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099U/ko
Publication of KR20200001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욕조수전과 선반이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은 냉수연결관과 온수연결관이 형성되고 이들 냉온수연결관과 연결되는 연결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토수구와, 상기 토수구의 개폐 및 개방 범위를 조절하여 토수구로 토수 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밸브가 제공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부면에 욕실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반; 상기 본체에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핸드샤워헤드; 를 포함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반형 샤워욕조수전{SHELF TYPE SHOWER FAUCET}
본 고안은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욕조수전과 선반이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수전은 욕실이나 샤워부스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샤워수전은 물이 토수 되는 토수구 및 토수의 조절 및 온수와 냉수를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제공된다.
또한 샤워수전에는 샤워헤드가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가 전환노브를 조절하여 토수구 또는 샤워헤드 쪽으로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샤워수전은 냉온수 공급배관에 연결되고, 샤워헤드는 샤워수전의 연결부에 별도의 배관으로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렉시블 호스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핸드샤워헤드로 이루어진다.
핸드샤워헤드는 벽체에 별도로 설치된 거치대에 거치시켜 사용하거나 사용 후 거치시켜 보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샤워수전이 설치된 욕실에는 샤워부스에는 샤워를 할 때 사용되는 비누, 샴푸 및 컵 등과 같은 욕실 용품을 놓을 수 있는 선반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워수전과 선반은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이들을 각각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 이들이 각각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므로 욕실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또한 이렇게 샤워수전과 선반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면 샤워를 할 때 선반에 놓인 욕실용품을 등을 사용하기 불편할 수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580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샤워욕조수전과 선반이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 샤워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은 냉수연결관과 온수연결관이 형성되고 이들 냉온수연결관과 연결되는 연결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토수구와, 상기 토수구의 개폐 및 개방 범위를 조절하여 토수구로 토수 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밸브가 제공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부면에 욕실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반; 상기 본체에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핸드샤워헤드; 를 포함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에 형성된 토수구는 핸드샤워헤드 쪽으로 토수를 변경하는 전환밸브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토수구를 정면에서 보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토수구에서 토수 되는 물이 핸드샤워헤드 쪽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반에는 핸드샤워헤드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되고,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수평계가 제공된다.
상기 선반은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은 강화유리패널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은 샤워수전과 선반이 일체로 이루어져 욕실이나 샤워부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토수구가 전환노브 역할도 함께 수행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토수구를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토수구나 핸드샤워헤드로 토수 되는 물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가 토수구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에 수평계가 제공되어 샤워욕조수전을 설치할 때 선반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춰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핸드샤워헤드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의 본체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서 핸드샤워헤드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사시도 및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의 본체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은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형성되고 상부면에 욕실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반(4)과, 상기 본체(2)에 연결호스(6)를 통하여 연결되는 핸드샤워헤드(8)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로와 연결되는 냉수연결관(10)과 온수연결관(12)이 형성되고, 이들 냉온수연결관(10)(12)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토수구(14)와, 상기 토수구(14)의 개폐 및 개방 범위를 조절하여 토수구(14)로 토수 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밸브(16)가 제공된다.
상기 냉수연결관(10)과 온수연결관(12)의 끝단부에는 니플이 각각 제공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로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토수구(14)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토수구(14)가 정면으로 위치한 경우 토수구(14)로 물이 토수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토수구(14)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유로가 전환되면서 핸드샤워헤드(8) 쪽으로 토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별도의 전환노브가 제공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전환노브 역할을 토수구(14)가 수행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토수구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욕조 또는 욕실에서 사용자가 토수구에 머리 등과 같은 신체가 부딪쳐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지만, 본 고안과 같이 토수구(14)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90도 정도 회전시키는 것으로 토수구(14)로부터 핸드샤워헤드(8) 쪽으로 유로가 전환되므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토수구(14)로 물을 배출시킬 때에는 토수구(14)를 0도 위치인 정면으로 위치시키면 되고, 핸드샤워헤드(8)로 물을 배출시킬 때에는 토수구(14)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던 토수구(14)가 본체(2)의 하부 쪽으로 힌지 회전하여 은폐되면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토수구(14)로 인하여 신체에 상해를 입지 않는다.
이렇게 토수구(14)의 회전으로 유로가 전환 될 수 있도록 냉수연결관(10)과 온수연결관(12)은 연결 관로(20)로 연결되고, 이 연결 관로(20)는 토수구(14)와 연결된다. 또 연결 관로(20) 내부에는 전환밸브가 제공되어 토수구(14)의 힌지 회전으로 유로를 토수구(14)로부터 핸드샤워헤드(8)쪽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토수구(14)의 회전으로 유로를 변경시키는 전환밸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샤워욕조수전에는 선반(4)이 일체로 형성되어 샤워 등을 할 때 필요한 비누 및 샴푸 그리고 양치질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컵과 같은 욕실용품(100) 등을 사용하기 편리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샤워욕조수전과 선반(4)이 일체로 형성되면 종래와 같이 선반의 설치를 위하여 해머드릴을 이용하여 벽에 구멍을 내고 브래킷을 설치한 후 제품을 시공하는 작업이 생략되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샤워욕조수전과 선반을 각각 별도의 위치에 설치할 때에 비하여 욕실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반(4)은 상부면 일부 또는 전부가 본체(2)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패널 형태로 이루어진다.
선반(4)은 예를 들면 스크래치 방지와 선반표면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강화유리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반(4)에는 핸드샤워헤드(8)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2)가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핸드샤워헤드(8)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핸드샤워헤드(8)를 거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선반(4)의 내측으로는 수평계(24)가 제공되어 샤워욕조수전을 설치할 때 선반(4)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춰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형 샤워욕조수전은 선반(4)에 비누, 샴푸, 컵과 같은 욕실용품(100) 등을 올려 농고 거치대(22)에 핸드샤워헤드(8)를 거치시켜 사용하면 된다.
먼저, 토수구(14) 물을 토수 시키려면 급수조절밸브(16)를 개방시키면 냉온수연결관(10)(12)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어 연결 관로(20)를 거쳐 토수구(14)로 배출된다.
이때 급수조절밸브(16)를 조절하여 냉수 또는 온수의 토수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온으로 조절하면 되는데, 이렇게 토수구(14)로 토수 되는 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용기나 욕조에 받아 사용하면 된다.
토수구(14)로 배출되던 물을 배출중지 시키려면 급수조절밸브(16)를 닫으면 된다.
그리고 토수구(14)를 통하여 욕조에 물을 받아 사용자가 욕조에 들어갈 경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환노브의 역할을 하는 토수구(14)를 수평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의 토수구(14)가 본체(2)의 하부 쪽으로 힌지 회전하면서 측면 방향으로 위치하여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토수구(14)애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핸드샤워헤드(8)를 사용하려면 위와 같은 상태에서 급수조절밸브(16)를 개방시키면 냉온수연결관(10)(12)을 거쳐 연결 관로(20)를 통하여 핸드샤워헤드(8)로 물이 배출되어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핸드샤워헤드(8)를 손으로 잡고 사용하거나 또는 거치대(22)에 거치시켜 놓고 사용하면 된다.
핸드샤워헤드(8)의 사용이 끝나면 급수조절밸브(16)를 닫고서 거치대(22)에 핸드샤워헤드(8)를 거치시키면 된다.
이렇게 토수구(14) 또는 핸드샤워헤드(8)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세수나 샤워 등을 할 때 선반(4)에 놓인 욕실용품(100)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본체
4: 선반
6: 연결호스
8: 핸드샤워헤드
10: 냉수연결관
12: 온수연결관
14: 토수구
16: 급수조절밸브
20: 연결 관로
22: 거치대
24: 수평계

Claims (7)

  1. 냉수연결관과 온수연결관이 형성되고 이들 냉온수연결관과 연결되는 연결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토수구와, 상기 토수구의 개폐 및 개방 범위를 조절하여 토수구로 토수 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밸브가 제공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부면에 욕실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반;
    상기 본체에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핸드샤워헤드;
    를 포함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토수구는 핸드샤워헤드 쪽으로 토수를 변경하는 전환밸브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를 정면에서 보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토수구에서 토수 되는 물이 핸드샤워헤드 쪽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핸드샤워헤드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수평계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패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강화유리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KR2020180005333U 2018-11-20 2018-11-20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KR202000010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33U KR20200001099U (ko) 2018-11-20 2018-11-20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33U KR20200001099U (ko) 2018-11-20 2018-11-20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99U true KR20200001099U (ko) 2020-05-28

Family

ID=7086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33U KR20200001099U (ko) 2018-11-20 2018-11-20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0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007B1 (ko) * 2020-08-14 2021-01-22 한석희 오버헤드 샤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05Y1 (ko) 2014-10-08 2015-01-05 (주)티에스자바 선반이 구비된 샤워수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05Y1 (ko) 2014-10-08 2015-01-05 (주)티에스자바 선반이 구비된 샤워수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007B1 (ko) * 2020-08-14 2021-01-22 한석희 오버헤드 샤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0632A (en) Spout with adjustable discharge head
US5678258A (en) Multiple showerhead apparatus
US8122528B2 (en) Shower device
KR200475805Y1 (ko) 선반이 구비된 샤워수전
KR20200001099U (ko) 선반형 샤워욕조수전
CN110711649A (zh) 一种喷淋模式可调节的淋浴喷头
US11879244B2 (en) Add-on bidet module for a toilet
JPH11169309A (ja) 洗面ボウル
KR101945403B1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US2513566A (en) Dishwasher
CN214766272U (zh) 一种导管自动排水装置
KR20140102825A (ko) 바디샤워 기능을 갖춘 샤워장치
JP7175133B2 (ja) 吐水装置及び洗面台
JPH0520228Y2 (ko)
JP3612509B2 (ja) シャワー器具
KR20000016435U (ko) 세면대용 수전금구
JPH10211113A (ja) シャワー装置付き浴室
JPH0444158Y2 (ko)
JPH0534771Y2 (ko)
KR200173548Y1 (ko) 배수각도 임의 조절이 가능한 샤워 겸용 수도 꼭지
JP2590243Y2 (ja) 浴槽への給水装置
JP2001003416A (ja) ノズル
GB2558738A (en) Sink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48058Y1 (ko) 샤워기의 착탈이 가능한 수도전
JP2000070167A (ja) 複数種類のノズルを備える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