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71U - 음료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71U
KR20200001071U KR2020180005285U KR20180005285U KR20200001071U KR 20200001071 U KR20200001071 U KR 20200001071U KR 2020180005285 U KR2020180005285 U KR 2020180005285U KR 20180005285 U KR20180005285 U KR 20180005285U KR 20200001071 U KR20200001071 U KR 202000010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oling
main body
beverage container
coo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764Y1 (ko
Inventor
장성훈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장성훈
김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훈, 김기용 filed Critical 장성훈
Priority to KR2020180005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6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음료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하단에 상기 음료 용기를 냉각하는 펠티어 소자를 가지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축냉제; 상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음료 용기의 온도 정보 및 동작시간 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냉각장치{BEVERAGE COOLING DEVICE}
본 고안은 음료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료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온 상태의 캔음료 또는 병음료를 단시간 내에 급속히 냉각시켜 차가운 음료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음료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시간적, 경제적 이유로 인해 한번에 음료를 대량 구매하여 장기간 보관하면서 음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대량으로 구매된 음료는 냉장고에 넣어두고 보관하게 된다. 장기간 냉장고에 보관하면, 음료의 내용물 또한 냉각된 온도를 유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원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온 상태의 음료수를 냉장고에 넣고 냉각시킬 경우 적어도 수십 분 내지는 1시간 이상이 소요되므로 사용자가 급속한 냉각을 원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의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급속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이 부분에 저온의 냉기를 집중시킴으로써 음료를 냉각시키거나 캔 음료 또는 병 음료의 주변에 냉기를 분사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온 상태의 음료를 급속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속 냉각장치들에 의한 냉각은 일반적인 냉장 및 냉동에 의한 냉각에 비하여 시간이 적게 소요되기는 하지만 캔 또는 병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 전체를 냉각시키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단시간 내에 차가운 음료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 용기에 저장되는 음료수를 차갑게 마시기 위해서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음료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용기 또한 개발되어져 왔다. 이와 같은 냉온 기능을 갖는 장치의 하나의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6864호(2015.04.03 등록, 고안의 명칭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가 언급될 수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문헌에는 냉매 및 열선을 포함하는 텀블러가 개시되어 있고, 냉장기 또는 냉동기에 넣어 두었다 사용할 경우 냉매로 인해 음료의 보냉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텀블러 USB 커넥터 부분을 컴퓨터 또는 전자기기 등에 연결할 경우 텀블러 내부의 열선이 작동하여 음료의 보온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냉온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텀블러에 수용된 음료가 단순히 냉매 및 열선에 의해 온도가 변하는 것으로 음료의 온도가 텀블러에 수용되면 텀블러의 온도대로 결정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할 때 음료의 온도를 변경할 수 없고, 텀블러 내 음료의 온도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6864호,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2015.04.03 등록)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할 때 음료의 온도를 변경할 수 있고, 음료의 온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한 온도의 음료를 음용할수 있도록 하며, 냉각효율이 향상된 음료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음료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하단에 상기 음료 용기를 냉각하는 펠티어 소자를 가지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외벽과 내벽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축냉제, 외측에 상기 음료 용기의 온도 정보 및 동작시간 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음료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음료 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음료 용기가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일측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에서 발생된 열이 방출되는 방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냉각부 하부에 위치하며,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하부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내부에 상기 음료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는, 축냉제 및 펠티어 소자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 용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는, 음료 용기의 고정 및 회전이 가능한 커버를 통해 음료 용기를 회전시키면서 냉각하여 대류열 전달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음료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됨으로써 온도 정보 및 장치의 동작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전자 디바이스(예, 스마트폰)과 통신 될 수 있고, 음료의 온도 모니터링 및 온도 알람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의 냉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의 냉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서 커버(20) 쪽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커버(20)에서 본체(10)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1)는 본체(10), 커버(20), 냉각부(30), 디스플레이부(60), 전원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상이며,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본체(10)의 내부에 냉각부(30)가 설치될 수 있고, 음료 용기가 냉각부(30) 내로 삽입되어, 본체(10) 내부에서 음료 용기의 냉각 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하우징(11)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은 냉각부(30)로부터 단열 기능을 수행하여 하우징(11)의 과냉을 막아, 사용자가 본체(10)와 접촉할 때 냉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커버(20)는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커버(20)는 음료 용기의 상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21)가 마련된다. 커버(20)는 이러한 공간부(2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회전부재(20a) 및 회전부재(20a)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부재(20a)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20b)로 구성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0a)는 내주면에 마찰력이 높은 고정부재가 부착되어, 음료 용기의 상단부가 끼워졌을 때 회전부재(20a)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는 실리콘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모터(20b)의 작동 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커버(20)는 하면에 제1 접속단자(26)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26)는 커버(20)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26)는 본체(10)의 제2 접속단자(36)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해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20)가 본체(10)와 결합 시, 제1 및 제2 접속단자(26, 36)는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1 접속단자(26)를 통해 커버(20)에 공급되어 회전부(20a, 20b)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에 음료 용기가 수용된 후, 커버(20)를 본체(10)에 끼웠을 때, 음료 용기의 상단부는 회전부재(20a)에 고정되고, 본체(10)에서 전력을 공급받은 커버(20)는 모터(20b)를 작동하여 본체(10) 내부에서 음료 용기가 회전 될 수 있다. 음료냉각장치(1)가 냉각을 수행하는 동안 음료 용기가 회전함으로써, 음료 용기 내의 음료가 유동하여 혼합되어, 온도 구배가 낮아져 균일하며 빠른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
냉각부(3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1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냉각부(30)는 내부에 중공형의 수용부(31)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수용부(31)에는 음료 용기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 용기의 상단부는 커버(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냉각부(30)의 축방향 길이는 음료 용기의 축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냉각부(30)의 수용부(31)의 단면적은 음료 용기의 단면적과 대응될 수 있어, 음료 용기가 냉각부(30)에 수용될 때, 냉각부(30)의 내주면과 최대한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각부(3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냉각부(30)는 상면에 제2 접속단자(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단자(36)는 냉각부(30)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단자(36)에는 커버(20)에서 돌출된 제1 접속단자(26)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속단자(36)는 전원부(7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므로, 제1 접속단자(26)가 연결될 시 제1 접속단자(26)를 통해 전력을 커버(20)에 공급할 수 있다.
냉각부(30)는 축냉제(32) 및 펠티어 소자(34)를 포함하여, 음료 용기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축냉제(32)는 냉각부(30)의 외벽 및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30)의 테두리를 따라 축냉제(32)가 삽입 되어있는 형태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냉제(32)는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된 유연한 재질의 팩 내부에 축냉액이 채워져 있는 팩 형태이거나, 액체 상태인 축냉액일 수 있다. 이때, 축냉액은 어는점을 약 -7℃ ~ -20℃ 범위의 온도로 낮춘 염화나트륨용액 또는 염화칼륨용액일 수 있다. 이러한 축냉제(32)는 냉각부(30)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므로, 수용부(31)에 수용된 음료 용기에 열을 대전시켜, 냉각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펠티어 소자(34)는 냉각부(30) 하단부에 설치되어 음료 용기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부(30)의 하면에는 냉각부(30)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연통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구(미도시)는 펠티어 소자(34)의 형태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펠티어 소자(34)의 일측면은 음료 용기와 접촉할 수 있고, 타측면은 냉각부(30)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류가 공급되는 펠티어 소자(34)는 음료 용기와 접촉하는 상측면에서 냉각이 이루어져 음료 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펠티어 소자(34)의 하측면에서는 가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30)의 외측 하단부에는 단열판(38)이 설치될 수 있다. 단열판(38)은 펠티어 소자(34)의 하측면에서 방출되는 열이 냉각부(30)에 다시 열전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부(30)의 외측 하단부에는 연결부재(4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40)는 봉 형태로, 냉각부(30)의 외측 하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40)의 상단은 냉각부(30)와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지지대(50)에 고정되어, 연결부재(40)에 의해 냉각부(30)와 하부지지대(50)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하우징(11)에는 방열홀(12)이 형성되며, 방열홀(12)의 위치는 냉각부(30)와 하부지지대(50)가 이격되는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30)의 펠티어 소자(34)의 하측면에서 발생된 열이 방열홀(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냉각부(30)는 내부에 음료 용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미도시)는 냉각부(3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음료 용기의 측면과 가깝게 위치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60) 및 통신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한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60) 및 통신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하부지지대(50)는 하우징(11)의 내측 저면에 접하며, 연결부재(40)와 연결되어 냉각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지지대(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60)는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음료 용기의 온도 정보 및 동작시간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60)는 LCD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60)는 유연한 재질로 된 플렉서블 스크린일 수 있어, 본체(10) 원주 방향의 둥근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온도 센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 센서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를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어,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60)에 표출되는 정보를 스위칭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를 누르면 온도 정보가 표출될 수 있고, 스위치를 한번 더 누르면 동작시간 정보가 표출될 수 있다.
전원부(70)는 본체(10)의 하부지지대(50) 내부 공간에 내장되어, 본체(10) 및 커버(20)의 각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구성들의 가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70)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로 마련될 수도 있고, 건전지로 마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10)의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전원부(70)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16)가 설치될 수 있어, 음료냉각장치(1)의 가동 및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10)는 통신부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근거리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냉각장치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음료냉각장치(1)로 정보를 송신하고 및/또는 음료냉각장치(1)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음료냉각장치(1)와 무선으로(W)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냉각장치(1)의 온도 센서(미도시)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음료냉각장치(1)의 근거리통신모듈을 구비하는 통신부(미도시)와 근거리무선연결(예,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예, 스마트폰)는 하나 이상의 음료냉각장치(1)와 페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냉각장치(1)와 페어링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료냉각장치(1)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어플리케이션은 음료의 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음료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 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음료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원하는 온도에 알람을 제공받아, 적기에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음료냉각장치 10: 본체
11: 하우징 12: 방열홀
16: 전원스위치 20: 커버
20a: 회전부재 20b: 모터
21: 공간부 26: 제1 접속단자
30: 냉각부 31: 수용부
32: 축냉제 34: 펠티어 소자
36: 제2 접속단자 38: 방열판
40: 연결부재 50: 하부지지대
60: 디스플레이부 70: 전원부
100: 전자 디바이스

Claims (6)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음료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하단에 상기 음료 용기를 냉각하는 펠티어 소자를 가지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외벽과 내벽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축냉제;
    외측에 상기 음료 용기의 온도 정보 및 동작시간 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음료냉각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음료 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음료냉각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음료 용기가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음료냉각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에서 발생된 열이 방출되는 방열홀이 형성된 음료냉각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냉각부 하부에 위치하며,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하부지지대를 포함하는 음료냉각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내부에 상기 음료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음료냉각장치.
KR2020180005285U 2018-11-16 2018-11-16 음료냉각장치 KR200492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85U KR200492764Y1 (ko) 2018-11-16 2018-11-16 음료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85U KR200492764Y1 (ko) 2018-11-16 2018-11-16 음료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71U true KR20200001071U (ko) 2020-05-26
KR200492764Y1 KR200492764Y1 (ko) 2020-12-07

Family

ID=7086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285U KR200492764Y1 (ko) 2018-11-16 2018-11-16 음료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681B1 (ko) * 2019-02-08 2020-08-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캔음료 냉온장치
KR20220071703A (ko) * 2020-11-24 2022-05-31 박성철 물 냉각장치
KR20230025302A (ko)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256U (ko) * 1993-11-24 1995-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장 및 온장 겸용 음식물 저장장치
JP2004156839A (ja) * 2002-11-07 2004-06-03 Sanyo Electric Co Ltd 缶入り飲料冷却器並びに缶入り飲料冷却方法
KR200401762Y1 (ko) * 2005-08-11 2005-11-22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테이블용 김치냉장고
KR20060015106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넵스테크놀로지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동장치
KR20120093514A (ko) * 2011-02-15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476864Y1 (ko) 2013-12-05 2015-04-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
KR20170111365A (ko) * 2016-03-28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온 보관 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256U (ko) * 1993-11-24 1995-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장 및 온장 겸용 음식물 저장장치
JP2004156839A (ja) * 2002-11-07 2004-06-03 Sanyo Electric Co Ltd 缶入り飲料冷却器並びに缶入り飲料冷却方法
KR20060015106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넵스테크놀로지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동장치
KR200401762Y1 (ko) * 2005-08-11 2005-11-22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테이블용 김치냉장고
KR20120093514A (ko) * 2011-02-15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476864Y1 (ko) 2013-12-05 2015-04-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
KR20170111365A (ko) * 2016-03-28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온 보관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681B1 (ko) * 2019-02-08 2020-08-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캔음료 냉온장치
KR20220071703A (ko) * 2020-11-24 2022-05-31 박성철 물 냉각장치
KR20230025302A (ko)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64Y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055B2 (en) Method of cooling a beverage container
CN109476411B (zh) 运输装置
KR200492764Y1 (ko) 음료냉각장치
JP7430728B2 (ja) 能動的温度制御を備える可搬式冷却器
US10464731B2 (en) Temperature controlled transport enclosure with tracking technology utilizing thermoelectric devices
US10281188B2 (en) Ice cooler
US2016036481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regulating properties of a beverage
CN104687949A (zh) 智能保温杯
US11408774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container comprising a fluid
KR20220093236A (ko)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KR100775518B1 (ko) 자동 냉각/보온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및 이를이용한 음료용기의 자동 냉각/보온 방법
US20220381508A1 (e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TW201620432A (zh) 致冷加熱裝置
US11793353B2 (en) Heating container
KR20220163473A (ko) 능동적 온도 제어를 가지는 휴대용 쿨러
CN112996736A (zh) 温控瓶的系统和方法
KR20170107152A (ko) 보온 및 보냉을 위하여 열전소자를 이용한 유아용 피딩장치
US20230400233A1 (e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KR20100018888A (ko)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냉각 장치
KR20190041117A (ko) 스마트 냉온기능 텀블러
KR20190001787A (ko) 발열 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