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29U -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29U
KR20200001029U KR2020180005196U KR20180005196U KR20200001029U KR 20200001029 U KR20200001029 U KR 20200001029U KR 2020180005196 U KR2020180005196 U KR 2020180005196U KR 20180005196 U KR20180005196 U KR 20180005196U KR 20200001029 U KR20200001029 U KR 20200001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liquid
injecting
replenishm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620Y1 (ko
Inventor
이범희
Original Assignee
이범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희 filed Critical 이범희
Priority to KR2020180005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2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2/36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에 의존하지 않고 보충액을 주입하고, 정확한 양을 주입할 수 있는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보충액을 지게차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 및 보충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고, 주입부는 상기 지게차의 투입구에 삽입되는 제1 튜브와, 보충액의 흐름을 온/오프하는 밸브, 보충액의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를 촉발시키는 수동펌프 및 저장조의 배출구에 삽입되는 제2 튜브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저장조는 보충액을 저장하고 지게차의 포크에 탑재되어 포크에 의해 투입구로부터 높이 H만큼 상승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Apparatus of inputting supplementary liquid for battery of forklift}
본 고안은 보충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차를 제공하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축전지의 보충액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화물을 들어 올리고 내리고 또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의 일종이다. 지게차는 전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핵심 물류기계이다.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크게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로 구분된다. 전동지게차는 엔진지게차에 비해 배기가스가 없고, 소음이 작아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전동지게차의 축전지는 전해액이 들어있는 케이스 속에 음극판과 양극판을 넣은 것으로서, 이들 양극판과 음극판과 전해액 사이에 상호화학반응이 일어나 충전과 방전작용을 한다. 이러한 축전지는 적절한 시간마다 전해액과 같은 보충액을 공급해주어야 충방전이 원활하게 일어난다.
전동지게차로의 보충액의 주입을 위하여,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활용하여 주입하였다. 모터를 활용하면,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보충액이 넘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동지게차에 보충액을 주입에 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2007-0012910호에는 전해액의 부족을 알려주는 경보장치 정도는 제시하고는 있지만,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상식처럼 되어 있어서, 보충액을 주입하는 방식에 대해서 개선이 필요하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에 의존하지 않고 보충액을 주입하고, 정확한 양을 주입할 수 있는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는 보충액을 지게차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 및 상기 보충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입부는 상기 지게차의 투입구에 삽입되는 제1 튜브, 상기 보충액의 흐름을 온/오프하는 밸브, 상기 보충액의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를 촉발시키는 수동펌프 및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에 삽입되는 제2 튜브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저장조는 상기 보충액을 저장하고, 상기 지게차의 포크에 탑재되어 상기 포크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부터 높이 H만큼 상승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밴드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밴드가 부착된다. 상기 제2 튜브는 상기 저장용기의 밑면에 접촉한다. 상기 저장용기의 측면에는 상기 보충액의 용량을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펌프는 상기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도 간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에 의하면, 높이차를 제공하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중력으로 보충액을 주입함으로써,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에 의존하지 않고 보충액을 주입하고, 정확한 양의 보충액을 주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충액 주입장치 및 지게차를 활용하여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주입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주입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높이차를 제공하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중력으로 보충액을 주입함으로써,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에 의존하지 않고 보충액을 주입하고, 정확한 양의 보충액을 주입하는 주입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높이차를 제공하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중력으로 보충액을 주입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높이차에 의한 중력으로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축전지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지게차에 적용된다. 여기서, 보충액은 순수 등과 같이 축전지가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하여, 수시로 보충하는 유체를 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보충액 주입장치(10)는 보충액을 지게차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20) 및 상기 보충액을 저장하는 저장조(30)로 구분된다. 주입부(20)는 제1 튜브(21), 밸브(22), 수동펌프(23), 제2 튜브(24) 및 고정밴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부(30)에 저장된 보충액은 제2 튜브(24), 수동펌프(23), 밸브(22) 및 제1 튜브(21)를 거쳐, 상기 지게차에 주입된다. 수동펌프(23)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보충액이 중력에 의한 낙하를 촉발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 전체에 걸쳐 동작시키는 것은 아니다. 수동펌프(23)는 작업자가 손으로 쥐었다 폈다 하면, 상기 보충액이 중력에 의해 낙하를 시작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튜브(21, 24)는 파이프 형태로써, 주입의 편의를 위하여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튜브(21, 24) 사이에는 밸브(22) 및 수동펌프(23)가 위치한다. 특히, 제2 튜브(24)는 지게차를 활용하여 보충액을 주입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제2 튜브(24)의 단부 근처에는 고정밴드(25)가 부착되어, 제2 튜브(24)가 저장조(30)에 고정된다. 즉, 고정밴드(25)를 저장조(30)에 묶으면, 제2 튜브(24)는 저장조(30)에 고정되어,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제2 튜브(24)가 저장조(3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밸브(22)는 상기 보충액의 흐름을 온/오프한다.
저장조(30)는 저장용기(31), 밴드고정부(32), 배출구(33) 및 수위표시부(34,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저장용기(31)는 보충액을 저장하는 용기로써, 사각통, 원통 등과 같은 다양한 용기가 가능하다. 밴드고정부(32) 및 배출구(33)는 저장용기(31)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정밴드(25)로 밴드고정부(32)에 고정된 제2 튜브(24)는 저장조의 배출구(33)로 삽입된다. 이때, 제2 튜브(24)는 저장용기(31)의 밑면과 접촉하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밴드(25)는 제2 튜브(24)가 저장용기(31)의 밑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수위표시부(34)는 저장용기(31)의 측면에 표시되어, 저장용기(31)에 저장된 보충액의 용량을 수시로 알려준다. 이를 위해, 저장용기(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이 좋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보충액 주입장치(10) 및 지게차(100)를 활용하여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보충액 주입장치(1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지게차(100)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요소를 구비하고, 전면에는 포크(111)를 상승 및 하강하게 하는 마스트(110)가 배치되고, 몸체에는 보충액이 투입되는 투입구(120)가 위치한다. 지게차(100)는 공지된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포크(111)는 마스트(110)를 따라서 상승하고 하강한다. 본 고안의 보충액의 주입은 저장조(30)를 탑재한 포크(111)가 투입구(120으로부터 높이 H로 상승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지게차(100)의 포크(111) 및 마스트(110)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필수 구성요소이다. 저장조(30)가 높이 H만큼 상승하면, 저장조(30)의 보충액은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가진다.
보충액을 주입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2 튜브(24)가 저장용기(31)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밴드고정부(32)에 고정밴드(25)를 고정한다. 그후, 저장용기(31)를 포크(111)에 탑재시킨 다음, 포크(111)를 상승시켜 저장용기(31)를 높이 H만큼 들어올린다. 제1 튜브(21)를 지게차의 투입구(120)에 삽입하고, 밸브(22)를 오픈시킨다. 하지만, 상기 보충액은 높이 H의 위치에너지를 가지만, 제2 튜브(24)를 거쳐 주입되기 위한 운동에너지를 아직 갖추고 있지 않다. 이때, 수동펌프(23)를 통하여 압력을 가하면, 상기 보충액이 제2 튜브(24)를 통하여 자유낙하도록 촉발시킨다. 필요한 경우,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원활한 주입을 위하여 수동펌프(23)를 통하여 간헐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주입장치 20; 주입부
21, 24; 제1 및 제2 튜브
22; 밸브 23; 수동펌프
25; 고정밴드 30; 저장조
31; 저장용기 32; 밴드고정부
33; 배출구 34; 수위표시부
100; 지게차 110; 마스트
111; 포크 120; 투입구

Claims (5)

  1. 보충액을 지게차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 및
    상기 보충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지게차의 투입구에 삽입되는 제1 튜브, 상기 보충액의 흐름을 온/오프하는 밸브, 상기 보충액의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를 촉발시키는 수동펌프 및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에 삽입되는 제2 튜브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조는 상기 보충액을 저장하고, 상기 지게차의 포크에 탑재되어 상기 포크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부터 높이 H만큼 상승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밴드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밴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는 상기 저장용기의 밑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측면에는 상기 보충액의 용량을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펌프는 상기 보충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도 간헐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KR2020180005196U 2018-11-14 2018-11-14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KR200492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196U KR200492620Y1 (ko) 2018-11-14 2018-11-14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196U KR200492620Y1 (ko) 2018-11-14 2018-11-14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29U true KR20200001029U (ko) 2020-05-22
KR200492620Y1 KR200492620Y1 (ko) 2020-11-12

Family

ID=7086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196U KR200492620Y1 (ko) 2018-11-14 2018-11-14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2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482A (ja) * 2003-02-24 2004-09-16 Nagoya Doro Engineer Kk バッテリー液の補充装置
KR20100011982U (ko) * 2009-06-01 2010-12-09 정정민 배터리용 증류수공급장치
KR101340378B1 (ko) * 2012-08-02 2013-12-11 (주)마루엠씨에스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시스템
KR20150053334A (ko) * 2013-11-08 2015-05-18 (주)마루엠씨에스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용 탱크
KR20180098033A (ko) * 2017-02-24 2018-09-03 신수산나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482A (ja) * 2003-02-24 2004-09-16 Nagoya Doro Engineer Kk バッテリー液の補充装置
KR20100011982U (ko) * 2009-06-01 2010-12-09 정정민 배터리용 증류수공급장치
KR101340378B1 (ko) * 2012-08-02 2013-12-11 (주)마루엠씨에스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시스템
KR20150053334A (ko) * 2013-11-08 2015-05-18 (주)마루엠씨에스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용 탱크
KR101545786B1 (ko) * 2013-11-08 2015-08-19 (주)마루엠씨에스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용 탱크
KR20180098033A (ko) * 2017-02-24 2018-09-03 신수산나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620Y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9616B2 (ja) 気泡混入防止機構および該機構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並びに液体材料吐出方法
RU2010119032A (ru)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CN104620438A (zh) 用于工业电池的蒸馏水补充系统
MX2011013242A (es) Un aparato y metodo para recargar un contenedor dispensador.
JP5216508B2 (ja) 建設機械の燃料給油装置
US20080277018A1 (en) Tank-refilling pump arrangements
KR101331443B1 (ko) 잉크 리필 장치
KR20200001029U (ko) 지게차 축전지의 보충액 주입장치
CN108128542A (zh) 一种汽车旅行用车载储液器
CN202669466U (zh) 一种全地形车油箱结构
US2781064A (en) Electrolyte dispensing apparatus
US3729033A (en) Compact portable tire servicing device
CN210793729U (zh) 一种水性钢铁防腐液灌装装置
US20170158051A1 (en) Spare Tire Fuel Tank
RU26406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редотвращающих загрязнение добавочных жидкостей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с дизельным двигателем
KR200481742Y1 (ko) 전동 지게차용 배터리의 증류수 주입장치
JP2010234871A (ja) ウォッシャータンク
JP4831250B1 (ja) 液面計付き液体吐出装置
KR101545786B1 (ko)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용 탱크
KR100579682B1 (ko)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리필 시스템
KR20070023200A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US11772848B2 (en) Container with pump system and method
US11178807B1 (en) Portable fluid tank apparatus for seed carts
JP5776895B2 (ja) 可搬式給油装置
JP2018024192A (ja) インキ補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